KR200141935Y1 -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935Y1
KR200141935Y1 KR2019950053779U KR19950053779U KR200141935Y1 KR 200141935 Y1 KR200141935 Y1 KR 200141935Y1 KR 2019950053779 U KR2019950053779 U KR 2019950053779U KR 19950053779 U KR19950053779 U KR 19950053779U KR 200141935 Y1 KR200141935 Y1 KR 200141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mirror
outside mirror
park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660U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3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935Y1/ko
Publication of KR970033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9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를 위한 후진시 아웃사이드 미러를 후방 관측에 용이한 위치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1)에 메모리 스위치(2)와 아웃사이드 미러 콘트롤 유니트(3)와 스위치(4)와 파킹레버(7)를 설치하고, 리어범퍼(5)에는 거리감지센서(6)을 설치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를 파킹 모드 변환 위치로 이송 시키므로서,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구조물과 충돌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파킹모드(Parking Mode)변환 미러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웃사이드 미러(Out side Mirror) 2 : 메모리 스위치
3 : 아웃사이드 미러 콘트롤 유니트 4 : 스위치
5 : 리어범퍼 6 : 거리감지센서
본 고안은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웃사이드 미러에 차량의 파킹시 파킹모드 변환 위치로 이동시킬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리어범퍼에는 거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차 또는 후진시 아웃사이드 미러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차량의 후방 하단 및 측방장애물의 확인이 용이하고, 후방의 구조물과의 거리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는 양측 프론트 도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중 양측방과 후방의 시야를 확인할수 있게 하고, 주차시에는 주차차량의 후방과 양측방의 시야를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아웃사이드 미러는 주차시 양측 및 후방 시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차차량의 상태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를 상.하로 이동시켜 사용함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의 사용취급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아웃사이드 미러의 조작이 불편하여 차량의 양측 시야 및 후방의 시야 확인이 용이하지 못하여 차량외부의 구조물과의 접촉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아웃사이드 미러에 차량의 파킹시 파킹모드 변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리어범퍼에는 거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차 또는 후진시 아웃사이드 미러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차량의 후방 하단 및 측방장애물의 확인이 용이하고,후방의 구조물과의 거리 확인을 용이하게 할수 있어 아웃사이드 미러의 사용취급성을 높이고, 차량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1)에 메모리 스위치(2)와 아웃사이드 미러 콘트롤 유니트(3)와 스위치(4)와 파킹레버(7)를 설치하고, 리어범퍼(5)에는 거리감지센서(6)을 설치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를 파킹 모드 변환 위치로 이송 시키므로서,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1)에 메모리 스위치(2)와 아웃사이드 미러 콘트롤 유니트(3)와 스위치(4)를 연결 설치하여 차량의 주차시 스위치(4)를 작동시키면 아웃사이드 미러 콘트롤 유니트(3)에 입력된 신호가 아웃사이드 미러(1)에 전달되어 미러(1)를 초기위치에서 파킹 모드 변환 위치로 하향 이동시킨다.
또한 리어범퍼(5)에 설치된 거리 감지 센서(6)를 작동시켜 차량주차시 아웃사이드 미러(1)를 통해 차량의 양측방 시야와 리어범퍼의 센서(6)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잇게 한다.
따라서, 양측방의 외부구조물의 확인이 용이하고, 리어범퍼(1)의 센서(6)를 통해 후방의 구조물 및 차량과의 거리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주차를 편리하게 할수 있게 하고, 주차완료후 파킹 레버를 작동시키면 아웃사이드 미러 콘트롤 유니트(3)의 메모리 신호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1)가 초기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아웃사이드 미러에 차량의 파킹시 파킹모드 변환 위치로 이동시킬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리어 범퍼에는 거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차 또는 후진시 아웃사이드 미러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차량의 후방 하단 및 측방장애물의 확인이 용이하고, 후방의 구조물과의 거리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차량의 주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1)에 메모리 스위치(2)와 아웃사이드 미러 콘트롤 유니트(3)와 스위치(4)와 파킹레버(7)를 설치하고, 리어범퍼(5)에는 거리감지센서(6)을 설치하여 아웃사이드 미러(1)를 파킹 모드 변환 위치로 이송 시키므로서, 주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
KR2019950053779U 1995-12-29 1995-12-29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 KR200141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779U KR200141935Y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779U KR200141935Y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660U KR970033660U (ko) 1997-07-26
KR200141935Y1 true KR200141935Y1 (ko) 1999-06-01

Family

ID=1944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779U KR200141935Y1 (ko) 1995-12-29 1995-12-29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9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660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25451A (ja) 車両のコ−ナポ−ル装置
JPH04297367A (ja) 外部操作式駐車装置を備えた電気自動車
KR200141935Y1 (ko) 차량용 파킹모드 변환 미러
JP2576456Y2 (ja) 自動車の補助ウインカー装置
CN201009855Y (zh) 一种自动液压伸缩式汽车雨刷
KR19980045466U (ko) 자동차의 접철식 보조 미러
JPS5911938A (ja) トレ−ラトラクタ車のトレ−ラ前方角に、新たに自動的に動く、サイドバツクミラ−を取り付ける装置
KR940003690Y1 (ko) 자동차용 엘리베이터의 차량 정지 장치
JPS6114916Y2 (ko)
KR200200730Y1 (ko) 자동차의 전방 측방향 관측용 사이드미러
KR200173297Y1 (ko) 자동차용 후미 미러
JP2000272372A (ja) コラムシフトレバー構造
KR19990007202U (ko) 자동차의 장애물 감지용 센서
JPH0741631Y2 (ja) 自動車の識別装置
KR19980045226A (ko) 대형차량의 계단 설치구조
JPH036162U (ko)
KR200213856Y1 (ko) 파워 스티어링휠을 이용한 후진등 방향조절장치
JPS60183252A (ja) 自動車の後部導風装置
KR20040088219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해소장치
KR200206623Y1 (ko) 자동차 후방용 안전미러
JPH03231056A (ja) ワイパ装置
JPH0221077U (ko)
KR19980025912U (ko) 자동차의 주차 및 탈주차 장치
KR19980012866U (ko)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
KR970041932A (ko) 자동차용 스포일러(spoiler)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