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863Y1 -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 Google Patents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863Y1
KR200141863Y1 KR2019960028086U KR19960028086U KR200141863Y1 KR 200141863 Y1 KR200141863 Y1 KR 200141863Y1 KR 2019960028086 U KR2019960028086 U KR 2019960028086U KR 19960028086 U KR19960028086 U KR 19960028086U KR 200141863 Y1 KR200141863 Y1 KR 200141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ssembly
molding
pressing force
segment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899U (ko
Inventor
김용섭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2019960028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8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8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2Means for forming recesses or protrusions in the tyres, e.g. grooves or ribs, to create the tread or sidewalls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6Surface structure of the mould, e.g. roughness, arrangement of slits, groov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8Annular elements, e.g. rings, for moulding the tyre shoulder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어셈블리의 가압력분산구조에 관한 것을, 컨테이너 어셈블리의 상/하부플레이트(2,1)에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지지단(2a, 1a)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돌출지지단(2a, 1a)부위로 그린타이어를 가류하게 되는 사이드플레이트(3,3')와 전달세그먼트부재(6)가 안착되어져, 그린타이어의 가류시 가해지는 가압력이 성형세그먼트(5)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2, 1)의 각 돌출지지단(2a, 1a)을 매개로 전달세그먼트(6)로 분산되어 동일한 가압력하에서 상대적으로 내구력의 향상을 가져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본 고안은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린타이어의 가류성형 작업시 접촉되는 전체부위로 가압력을 분산시켜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타이어는 차체와 지면사이에서 차량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지면으로 부터의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완충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 생/합성고무와 가황촉진제 및 연화제를 첨가한 후 코드와 비드와이어 등으로 그 내구성을 강화시켜 여러공정을 거친 다음 1차적인 타이어 즉, 그린타이어(Green Tire)를 제조하고 이어 가류금형인 컨테이너 조립체에서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하면서 가류시켜 완성된 타이어를 제조하게 된다.
한편 1차적인 타이어 형상인 그린타이어를 가류시키는데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조립체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1)와, 이 하부플레이트(1)에 간격을 두고 윗쪽으로 구비된 상부플레이트(2), 타이어 형상을 이루는 캐비티(Cavity)를 이루도록 상기 플레이트(1,2)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각각 장착됨과 더불어 끝부위에 대략 ㄱ자로 절곡형성된 안착부(3a,3a')를 갖춘 상/하부사이드플레이트(3',3), 이들 상/하부사이드플레이트(3',3)의 각 안착부(3a,3a')부위로 안착되도록 플랜지형상과 같이 돌출된 가압부(5a)를 구비함과 더불어 가류시 트레드형상이 성형되도록 안쪽으로 트레드형상을 갖춘 성형섹터부재(5), 이 성형섹터부재(5)가 안착되도록 양선단에 플랜지부(6b)를 갖춘 안착홈(6a)을 형성하여 가압력을 전달하는 전달세그먼트부재(6), 이 전달세그먼트부재(6)에 수직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가압외부링부재(7) 및, 이 가압외부링부재(7)를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전달세그먼트부재(6)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부플레이트(1)에 장착된 슬라이트플레이트(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 조립체의 캐비티(4)내로 삽입된 그린타이어 가류시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압외부링부재(7)가 도면의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해 이 가압외부링부재(7)에 밀착된 전달세그먼트부재(6)를 슬라이드플레이트(8)를 매개로 도면의 화살표 b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시키게 되고, 이 전달세그먼트부재(6)가 수평이동되면 성형섹터부재(5)가 밀려지면서 양쪽의 가압부(5a)를 매개로 화살표 c와 c'방향으로 각각 수평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이때 상기 성형섹터부재(5)가 전달하게 되는 가압력은 이 성형섹터부재(5)의 가압부(5a)와 접촉하게 되는 상부사이드플레이트(3')와 하부사이드플레이트(3)의 각 안착부(3a',3a)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 d,d' 방향의 반발력으로 지지되게 되면서 상기 가압부(5a)와 안착부(3a',3a)가 접촉되는 각 접촉면(k,k')을 통해 분산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룬 컨테이너 조립체 내에서 그린타이어와 가류시에는 가압외부링부재(7)에 의해 가해지는 대략 100ton정도의 가압력이 전달세그먼트부재(6)를 매개로 성형섹터부재(5)의 가압부(5a)로 집중되게 되는 바, 이로 인하여 타이어의 트레드형상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계열의 재질로 형성되게 되는 가압부(5a)부위가 부분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린타이어의 가류성형 작업시 가압외부링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을 전달세그먼트부재와 성형섹터부재로 분산시켜, 상대적으로 내구력이 약한 재질로 된 성형섹터부재의 변형이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타이어성형시 가압력이 분산되는 구조를 갖춘 컨테이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조립체의 작용시 분산되는 가압력의 전달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제3도는 종래구조로서, 타이어성형시 가압력이 한곳으로 집중되는 구조를 갖춘 컨테이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컨테이너 조립체의 작용시 가압력의 전달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플레이트 1a,2a : 돌출지지단
2 : 상부플레이트 3 : 하부사이드플레이트
3a,3a' : 안착부 3' : 상부사이드플레이트
4 : 캐비티 5 : 성형섹터부재
5a : 가압부 6 : 전달세그먼트부재
6a : 안착홈 6b : 플랜지부
7 : 가압외부링부재 8 : 슬라이드플레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컨테이너 조립체가 상/하부플레이트사이에 캐비티를 이룸과 더불어 선단부에 안착부를 갖춘 하/상부사이드플레이트와, 이 사이드플레이의 각 안착부와 접촉되도록 가압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그린타이어의 가류시 트레드형상이 형성되도록 안쪽으로 트레드형상을 갖춘 성형섹터부재 및, 이 성형섹터부재가 안착되도록 양끝부위로 플랜지부를 이루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가압외부링부재의 가압력을 전달함과 더불어 이동시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장착된 슬라이드플레이트와 미끄럼 이동되는 전달세그먼트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에는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지지단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돌출지지단부위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와 전달세그먼트부재가 접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어 조립체의 캐비티내로 삽입된 그린타이어가 가류시 가압외부링부재가 전달세그먼트부재에 가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하부플레이트의 각 돌출지지단을 매개로 이 전달세그먼트부재와 사이드플레이트가 가압력을 전달받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전달세그먼트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성형섹터부재의 가압력은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전달되므로, 상기 성형섹터부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이 성형섹터부재와 전달세그먼트부재로 분산되어져 동일한 가압력하에서 상대적으로 내구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어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타이어성형시 가압력이 분산되는 구조를 갖춘 컨테이어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인 바, 본 고안 컨테이어 조립체는 상/하부플레이트(2,1)사이에 캐비티를 이룸과 더불어 끝부위로 안착부(3a,3a')를 갖춘 상/하부사이드플레이트(3',3)와, 이들 상/하부사이드플레이트(3',3)의 각 안착부(3a,3a')와 접촉되도록 가압부(5a)가 구비됨과 더불어 그린타이어 가류시 트레드형상이 성형되도록 안쪽으로 트레드형상을 갖춘 성형섹터부재(5) 및, 이 성형섹터부재(5)가 안착되도록 양끝부위에 플랜지부(6b)를 갖춘 안착홈(6)이 구비되어 상기 가압외부링부재(7)의 가압력을 전달함과 더불어 이동시 상기 하부플레이트(1)에 장착된 슬라이드플레이트(8)와 미끄럼이동되도록 된 전달세그먼트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플레이트(2,1)에는 사이드플레이트(3,3')가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안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단(2a,1a)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돌출지지단(2a,1a)부위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3')와 전달세그먼트부재(6)가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3')의 각 안착부(3a,3a')는 상기 돌출지지단(2a,1a)과 전체적으로 면접촉되도록 그 선단부가 단차없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성형세그먼트(5)의 가압부(5a)도 가압력을 받아 이동할 때 돌출지지단(2a,1a)의 끝부위와 미끄럼이동 되도록 단차없이 평평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전달세그먼트(6)의 플랜지부(6b)는 가압외부링부재(7)의 가압력에 의한 이동시 상기 돌출지지단(2a,1a)과 접촉되도록 충분한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조립체의 캐비티(4)내에 삽입된 그린타이어가 가류되면, 가압외부링부재(7)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이 전달세그먼트부재(6)와 성형섹터부재(5)를 매개로 분산되어 전달되게 되는 바,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압외부링부재(7)가 도면의 화살표 A방향으로 수직하게 가압력을 가해 이 가압외부링부재(7)에 밀착된 전달세그먼트부재(6)를 슬라이드플레이트(8)를 매개로 도면의 화살표 B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이 전달세그먼트부재(6)의 수평이동에 따라 플랜지부6(b)가 상/하부플레이트(2,1)의 돌출지지단(2a,1a)에 도면의 화살표 B1과 B1' 방향(이때, 상/하부사이드플레이트(3',3)는 도면의 화살표 E1과 E1' 방향으로 반발력이 작용된다). 으로 접촉되면서 성형섹터부재(5)를 전체적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성형섹터부재(5)가 양쪽의 가압부(5a)를 매개로 도면의 화살표 C와
여기서, 상기 전달세그먼트부재(6)에 구비된 플랜지부(6b)는 상/하부플레이트(2,1)의 돌출지지단(2a,2b)에 면접촉되는 접촉면(Q1,Q')과, 이 지지단(2a,2b)의 반대쪽에서 상기 플랜지부(6b)의 가압력에 대한 반발력으로 상/하부사이드플레이트(3,3')가 접촉면(Q,Q')에 의해 면 접촉됨과 더불어, 또한 성형섹터부재(5)의 가압부(5a)와 상기 상/하부사이드플레이트(3,3')의 안착부(3a',3a)가 서로 면접촉되는 접촉면(K,K')을 통해 분산되어져, 결국 상기 가압외부링부재(7)가 전달하는 가압력이 각 접촉면(Q1,Q1' ; Q,Q' ;K,K')을 매개로 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컨테이너 조립체의 상/하부플레이트에 각각 간격을 두고 돌출지지단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돌출지지단부위로 그린타이어를 가류하게 되는 사이드플레이트와 전달세그먼트부재가 안착되어져, 그린타이어 가류시 가해지는 가압력이 성형세그먼트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의 각 돌출지지단을 매개로 전달세그먼트로 분산되어 동일한 가압력하에서 상대적으로 내구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상/하부플레이트(2,1)사이에 캐비티를 이룸과 더불어 선단부에 안착부(3a,3a')를 갖춘 상/하부사이드플레이트(3,3')와, 이 사이드플레이트(3,3')의 각 안착부(3a,3a')와 접촉되도록 가압부(5a)가 구비됨과 더불어 그린타이어 가류시 트레드가 형성되도록 안쪽으로 트레드형상을 갖춘 성형섹터부재(5) 및, 이 성형섹터부재(5)가 안착되도록 양끝부위로 플랜지부(6b)를 갖춘 안착(홈6)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외부링부재(7)로 부터 가압력을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하부플레이트(1)에 장착된 슬라이드플레이트(8)를 매개로 미끄럼 이동되는 전달세그먼트부재(6)로 구성된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2,1)에 사이드플레이트(3,3')가 삽입되도록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단(2a,1a)이 각각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3,3')의 각 안착부(3a,3a')는 상기 돌출지지단(2a,1a)과 전체적으로 면접촉되도록 그 끝부위가 단차없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성형세그먼트(5)의 가압부(5a)도 돌출지지단(2a,1a)의 끝부위와 미끄럼이동 되도록 단차없이 평평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전달세그먼트(6)의 플랜지부(6b)는 가압외부링부재(7)의 가압력에 의한 이동시 상기 돌출지지단(2a,1a)과 접촉될 수 있는 길이를 갖춘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KR2019960028086U 1996-09-04 1996-09-04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KR200141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086U KR200141863Y1 (ko) 1996-09-04 1996-09-04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086U KR200141863Y1 (ko) 1996-09-04 1996-09-04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899U KR19980014899U (ko) 1998-06-25
KR200141863Y1 true KR200141863Y1 (ko) 1999-06-01

Family

ID=1946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086U KR200141863Y1 (ko) 1996-09-04 1996-09-04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8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899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8774B (zh) 轮胎及轮胎的制造方法
DE69304751T2 (de) Gummifederreifen mit einer Füllung die das Fahrverhältnis verbessert
JP6505241B2 (ja) 抗張部材を備えたゴム製無限軌道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141863Y1 (ko) 타이어성형용 컨테이너 조립체의 가압력분산구조
KR102463868B1 (ko) 고하중 차량용 휠 일체형 타이어와 이의 제조방법
JP2017077742A (ja) 非空気入りタイヤ、金型および非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298090B1 (ko) 트레드부와 결합력 향상을 위해 이중사출된 스포크부를 갖는 비공기압 타이어와 이의 제조방법
JPH09309128A (ja) 剛性部材を備えたゴム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装置と成形型
KR102515973B1 (ko) 패턴 탈부착 구조를 지닌 타이어의 가류 몰드
KR200205246Y1 (ko)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KR102463551B1 (ko) 2단계 탈형 가능한 타이어 가류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가류 방법
CN217476650U (zh) 一种轮胎模具
AU5601390A (en) Improved tread assembly for retreading motor vehicle tires and mold for making the same
KR102514020B1 (ko)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KR102463536B1 (ko) 공기입 타이어용 스터드, 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6183B1 (ko) 타이어 가류 블래더
KR102444914B1 (ko) 비드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1916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제조방법
JPS6340003Y2 (ko)
KR100687647B1 (ko) 개선된 비드링을 갖는 타이어용 가류금형
KR100459660B1 (ko) 액츄에이터와 가류기 사이를 결속하는 결합장치를 구비한타이어 가류금형장치
KR100203453B1 (ko) 타이어용 가류금형
KR200196975Y1 (ko) 타이어 가류브래더의 보강구조
KR100513132B1 (ko) 내구성이 향상되는 래이디얼 타이어용 비이드
KR200167720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변형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