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020B1 -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4020B1 KR102514020B1 KR1020210086711A KR20210086711A KR102514020B1 KR 102514020 B1 KR102514020 B1 KR 102514020B1 KR 1020210086711 A KR1020210086711 A KR 1020210086711A KR 20210086711 A KR20210086711 A KR 20210086711A KR 102514020 B1 KR102514020 B1 KR 102514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mold
- tire curing
- tire
- tre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5—Tyre-vulcanising presses with two or more moulds, e.g. stacked upon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88—Multi-face stack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6—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mould inse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는 그린 타이어의 사이드부에 대응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사이드 몰드 및 제2 사이드 몰드, 상기 그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사이드 몰드 및 상기 제2 사이드 몰드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영역을 구비하는 트레드 몰드 및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는 그린 타이어의 사이드부에 대응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사이드 몰드 및 제2 사이드 몰드, 상기 그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사이드 몰드 및 상기 제2 사이드 몰드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영역을 구비하는 트레드 몰드 및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트레드 몰드가 사이드 몰드와 접하는 부분에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타이어 제조 공정은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조성물로 원재료를 압출 및 압연하여 반제품을 제조하는 단계, 반제품을 성형하여 그린 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 그린 타이어를 가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류 공정은 가류 컨테이너의 한 쌍의 사이드 몰드와 트레드 몰드 사이에 그린 타이어를 배치하고, 그린 타이어의 내측면에 블래더를 배치한 다음 이를 부풀려, 그린 타이어를 몰드 측으로 가압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진행된다.
한편 사이드 몰드와 트레드 몰드를 결합할 때 높은 압력과 온도로 인해 트레드 몰드가 사이드 몰드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트레드 몰드와 사이드 몰드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그린 타이어의 고무가 용융되어 유격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어 외관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트레드 몰드가 사이드 몰드와 접촉하는 부분에 일일이 용접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타이어 가류 장치 중 트레드 몰드가 사이드 몰드와 접촉하는 영역에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배치함으로써 가류 공정에서 마모되는 부분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타이어 가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타이어 가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는 그린 타이어의 사이드부에 대응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사이드 몰드 및 제2 사이드 몰드, 상기 그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사이드 몰드 및 상기 제2 사이드 몰드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영역을 구비하는 트레드 몰드 및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몰드, 상기 제2 사이드 몰드 및 상기 트레드 몰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사이드 몰드 및 상기 제2 사이드 몰드의 내측면과 요철 없이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은 상기 그린 타이어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굴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트레드 몰드와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몰드는 외측면과 단차를 이루며, 각각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강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 및 상기 한 쌍의 체결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부는 각각 복수 개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체결 영역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돌출 영역과 접촉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서 상기 돌출 영역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돌출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트레드 몰드의 측면에서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쇠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는 트레드 몰드가 사이드 몰드와 접촉하는 영역에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함으로써,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트레드 몰드가 마모 또는 손상될 경우, 해당 부위를 신속하고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는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에 포함될 수 있다.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는 성형 공정을 거쳐 완성된 원통형의 그린타이어(G)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원하는 구조, 형상, 외관 및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부여하는 가류 공정에 이용된다.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는 타이어 가류 장치(100) 외에도 상부 플레이트(200), 하부 플레이트(300), 아우터링(400), 세그먼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 가류 장치(100)는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린타이어(G)를 직접 가류한다. 타이어 가류 장치(1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부 플레이트(200)는 가류 시 그린타이어(G)의 측면을 고정하고,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의 상측으로 출입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00)에는 타이어 가류 장치(100)의 사이드 몰드(제1 사이드 몰드(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몰드(110)는 그린타이어(G)의 상부 측면과 접촉하여 그린타이어(G)의 상부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00)는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의 다른 구성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하부 플레이트(300)는 세그먼트(500)를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00)에는 사이드 몰드(제2 사이드 몰드(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몰드(120)는 그린타이어(G)의 하부 측면과 접촉하여 그린타이어(G)의 하부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아우터링(400)은 상부 플레이트(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플레이트(20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아우터링(400)은 상부 플레이트(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우터링(400)의 내측면에는 세그먼트(500)가 설치될 수 있다.
세그먼트(500)는 아우터링(4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링(40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마찬가지로 세그먼트(500)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의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 출입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아우터링(40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아우터링(400)이 상부 플레이트(200) 및 하부 플레이트(300)와 접촉함으로써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10)의 상측 및 측면으로의 공기의 출입이 차단될 수 있다.
세그먼트(500)의 내측면에는 트레드 몰드(130)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레드 몰드(130)는 세그먼트(500)의 이동에 따라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부를 가압하거나, 트레드부에 가한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는 제1 사이드 몰드(110), 제2 사이드 몰드(120), 트레드 몰드(130) 및 보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몰드(110)는 상부 플레이트(200)와 연결되며, 그린타이어(G)의 사이드부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 몰드(110)의 내측면은 그린타이어(G)의 사이드부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사이드 몰드(120)는 하부 플레이트(300)와 연결되고, 제1 사이드 몰드(110)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그린타이어(G)의 사이드부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몰드(120)의 내측면은 그린타이어(G)의 사이드부 타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몰드(130)는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의 외측에 배치되며,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 몰드(130)의 내측면은 그린타이어(G)의 트레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가류 장치(100)가 조립되면 제1 사이드 몰드(110), 제2 사이드 몰드(120) 및 트레드 몰드(130)의 내측면은 그린타이어(G)의 외측면, 즉 트레드부와 사이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요철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트레드 몰드(130)는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영역(13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 영역(131)은 트레드 몰드(1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타이어 가류 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를 향하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타이어 가류 장치(100)의 종단면(longitudinal section) 상에서 보았을 때, 트레드 몰드(130)는 내측면이 바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를 향해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말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부(140)는 한 쌍의 돌출 영역(131)에 탈착 가능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부(140)는 각각 한 쌍의 돌출 영역(131) 상에 배치되며, 트레드 몰드(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140)가 트레드 몰드(130)에 결합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 영역(131)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하나 이상의 볼트(B)가 삽입되어, 트레드 몰드(130)와 보강부(14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부(140)의 내측에는 볼트(B)와 동일한 개수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영역(131)의 삽입홈, 보강부(140)의 체결공의 내측 및 볼트(B)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보강부(140)가 트레드 몰드(130)에 결합되는 방식은 반드시 볼트(B) 체결 방식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별도의 그리퍼 또는 클램프 유닛 등을 통해 보강부(140)를 트레드 몰드(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사이드 몰드(110), 제2 사이드 몰드(120) 및 트레드 몰드(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강부(140)의 내측면은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의 내측면과 요철 없이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140)는 내측면(그린타이어(G)를 향하는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그린타이어(G)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강부(140)의 외측면은 트레드 몰드(130)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140)가 돌출 영역(131)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강부(140)의 외측면이 트레드 몰드(13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선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되지 않고, 보강부(140)의 외측 코너부와 트레드 몰드(130)의 외측 코너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140)가 트레드 몰드(130)에 결합되기 위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보강부(14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강부(140)는 트레드 몰드(1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는 철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트레드 몰드(130)는 이보다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강부(140)는 트레드 몰드(130)와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140)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1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보강부(140)는 트레드 몰드(130) 및/또는 제1 사이드 몰드(110), 제2 사이드 몰드(120)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140)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는 타이어 가류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와 트레드 몰드(1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트레드 몰드(130)에 마모가 생기더라도, 보강부(140)를 트레드 몰드(130)에서 제거한 후 새로운 보강부(140)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류 공정에서 트레드 몰드(130)에 마모 또는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A)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와 비교했을 때, 트레드 몰드(130A) 및 보강부(140A)의 형상이 상이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A)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트레드 몰드(130A)는 외측면과 단차를 이루며, 한 쌍의 돌출 영역(131A)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 영역(13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드 몰드(130A)는 한 쌍의 돌출 영역(131A)이 위치하는 단부에, 외측면과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 영역(133A)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 영역(133A)은 트레드 몰드(130A)의 외측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돌출 영역(131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140A)는 제1 바디(141A) 및 제2 바디(14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41A)는 보강부(140A)가 트레드 몰드(130A)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 영역(131A)과 접촉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바디(141A)의 내측면은 그린타이어(G)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143A)는 제1 바디(141A)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체결 영역(133A)과 접촉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바디(143A)는 제1 바디(141A)의 일 단부에서 일 방향(예를 들어 도 4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140A)는 트레드 몰드(130A)에 체결된 상태에서, 돌출 영역(131A)과 체결 영역(133A)을 감싸도록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바디(143A)는 체결공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볼트(B)가 제2 바디(143A)의 체결공 및 체결 영역(133A)의 삽입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A)는 보강부(140A)가 트레드 몰드(130A)의 돌출 영역(131A)과 체결 영역(133A)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보강부(140A)가 트레드 몰드(130A)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 또는 유격, 진동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체결공이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를 향하는 한 쌍의 돌출 영역(131A) 대신 트레드 몰드(130A)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 영역(133A)에 형성됨으로써, 보강부(140A)와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의 접촉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바디(141A)에도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돌출 영역(131A)에도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140A)가 돌출 영역(131A) 및 체결 영역(133A) 양쪽에 결합됨으로써, 보강부(140A)가 보다 견고하게 트레드 몰드(130A)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 또는 유격, 진동 등을 보다 확실하게 줄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B)를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140B)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와 비교했을 때, 트레드 몰드(130B) 및 보강부(140B)의 형상이 상이하며, 이탈 방지부(15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B)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드 몰드(130B)는 한 쌍의 돌출 영역(131B) 및 삽입홈(135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 영역(131B)은 제1 사이드 몰드(110) 및 제2 사이드 몰드(120)를 바라보는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삽입홈(135B)은 한 쌍의 돌출 영역(131B)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35B)에는 후술하는 보강부(140B)의 스토퍼(143B)가 삽입될 수 있다.
보강부(140B)는 바디(141B) 및 스토퍼(143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41B)는 돌출 영역(131B)과 접촉하며, 내측면(그린타이어(G)를 향하는 면)이 그린타이어(G)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143B)는 삽입홈(135B)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140B)는 트레드 몰드(130B)의 측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스토퍼(143B)가 삽입홈(135B)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삽입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B)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보강부(140B)가 트레드 몰드(130B)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지 않고,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보강부(140B)를 트레드 몰드(130B)에 탈착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50B)는 보강부(140B)가 삽입홈(135B)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강부(140B)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140B)가 삽입홈(135B)에 삽입되면 삽입홈(135B)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X축 방향)으로는 보강부(140B)가 이탈되지 않으나, 삽입 방향(예를 들어 도 6의 Y축 방향)으로 보강부(140B)가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부(150B)가 트레드 몰드(130B)의 양 단부에 형성된 안착홈(137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안착홈(137B)은 이탈 방지부(150B)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트레드 몰드(130B)의 양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50B)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150B)는 안착홈(137B)과 보강부(140B)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이탈 방지부(150B)는 보강부(140B)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최소한의 형상 및 크기, 예를 들어 트레드 몰드(130B)의 삽입홈(135B)과 보강부(140B)의 스토퍼(143B)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B)는 보강부(140B)를 트레드 몰드(130B)로부터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볼트 등 별도의 체결 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트레드 몰드(130B)가 제1 사이드 몰드(110B) 및 제2 사이드 몰드(120B)와 보다 양호하게 접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C)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C)는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B)와 비교했을 때, 트레드 몰드(130C) 및 보강부(140C)의 형상이 상이하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C)의 나머지 구성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장치(100B)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140C)는 바디(141C) 및 스토퍼(143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41C)는 트레드 몰드(130C)의 돌출 영역(131C)에 안착되며, 스토퍼(143C)는 바디(141C)에서 돌출 영역(131C)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강부(140C)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쇠(145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143C)는 바디(141C)에서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8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걸림쇠(145C)는 스토퍼(143C)의 일측에서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도 8의 Z축 방향)으로 복수 개 연장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복수 개의 걸림쇠(145C)가 스토퍼(143C)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십자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걸림쇠(145C)는 스토퍼(143C)의 상부 또는 중간 부분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걸림쇠(145C)는 서로 수직이 아닌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걸림쇠(145C)는 원형 또는 타원일 수 있다.
트레드 몰드(130C)는 보강부(140C)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홈(135C)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보강부(140C)는 트레드 몰드(130C)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걸림쇠(145C)가 삽입홈(135C)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140C)가 트레드 몰드(130C)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가류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격이나 진동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타이어 가류 컨테이너
100, 100A, 100B, 100C: 타이어 가류 장치
100, 100A, 100B, 100C: 타이어 가류 장치
Claims (10)
- 그린 타이어의 사이드부에 대응되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사이드 몰드 및 제2 사이드 몰드;
상기 그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사이드 몰드 및 상기 제2 사이드 몰드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 영역을 구비하는 트레드 몰드; 및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돌출 영역과 접촉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서 상기 돌출 영역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돌출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로서,
상기 보강부가 상기 타이어 가류 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보강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강부의 내측면 및 상기 한 쌍의 이탈 방지부는 상기 그린 타이어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굴곡된, 타이어 가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몰드, 상기 제2 사이드 몰드 및 상기 트레드 몰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사이드 몰드 및 상기 제2 사이드 몰드의 내측면과 요철 없이 연속하여 연결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트레드 몰드와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가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부는 각각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에 볼트로 체결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몰드는 외측면과 단차를 이루며, 각각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강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돌출 영역 및 상기 한 쌍의 체결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부는 각각 복수 개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체결 영역에 볼트로 체결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트레드 몰드의 측면에서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걸림쇠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6711A KR102514020B1 (ko) | 2021-07-01 | 2021-07-01 |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6711A KR102514020B1 (ko) | 2021-07-01 | 2021-07-01 |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5687A KR20230005687A (ko) | 2023-01-10 |
KR102514020B1 true KR102514020B1 (ko) | 2023-03-27 |
Family
ID=8489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6711A KR102514020B1 (ko) | 2021-07-01 | 2021-07-01 |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402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343B1 (ko) * | 2006-11-20 | 2007-11-05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가류용 금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467B1 (ko) | 1992-09-24 | 1995-06-15 |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 탄탈콘덴서의 화성공정시 화성피막(Ta_2O_5) 제거방법 |
KR19980061792U (ko) * | 1997-03-27 | 1998-11-16 | 남일 | T/c 테스트용 면판을 슬라이드 장착한 타이어 성형용 가류몰드 |
KR101150799B1 (ko) * | 2009-10-29 | 2012-06-13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트레드 몰드 세그먼트,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및 타이어 가류금형의 조립방법 |
-
2021
- 2021-07-01 KR KR1020210086711A patent/KR1025140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3343B1 (ko) * | 2006-11-20 | 2007-11-05 |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 가류용 금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5687A (ko) | 2023-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59183B1 (en) | Airless tire | |
EP3511156B1 (en) | Tire vulcanizing apparatus | |
DE69209705T2 (de) | Druckloser Reifen für Reserverad | |
KR102118106B1 (ko) | 타이어 가류 몰드 세트 및 타이어 가류 장치 | |
WO2006115141A1 (ja) | 型締装置、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 |
DE69927729T2 (de) | Segmentiertes Reifenformwerkzeug | |
US20160075379A1 (en) | Vehicle subframe | |
KR20190090381A (ko) | 차량의 알루미늄 사이드 레일과 콘트롤 아암 사이의 연결 장치 | |
KR102514020B1 (ko) | 탈착 가능한 보강부를 구비하는 타이어 가류 장치 | |
US7318714B2 (en) | Core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s | |
US6540283B1 (en) | Method and device for suspension of a cab on a vehicle frame | |
CN107139960A (zh) | 超轻量化高强度过渡车钩 | |
CN102165127B (zh) | 模具的扭转锁定装置 | |
CN100439002C (zh) | 垫圈 | |
JP3217843U (ja) | タイヤ加硫金型装置 | |
EP2949443B1 (en) | Sector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JP2013215945A (ja) |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およびタイヤの加硫方法 | |
CN104260608A (zh) | 一种汽车悬架及其控制臂 | |
CN111216387A (zh) | 轮胎硫化用模具 | |
KR102121377B1 (ko) | 타이어 가류 브래더 장착장치 | |
JP7028047B2 (ja) | タイヤ加硫用ブラダ組立体の取付方法 | |
JP7035768B2 (ja) | タイヤ加硫用ブラダ組立体 | |
KR102581809B1 (ko) | 부분 교체가 가능한 타이어 가류용 트레드 몰드 | |
US20070148270A1 (en) | Tire curing mould formed with internal holes | |
JP6130762B2 (ja) | タイヤ成型用金型及びタイヤ成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