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0917Y1 -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0917Y1
KR200140917Y1 KR2019960037277U KR19960037277U KR200140917Y1 KR 200140917 Y1 KR200140917 Y1 KR 200140917Y1 KR 2019960037277 U KR2019960037277 U KR 2019960037277U KR 19960037277 U KR19960037277 U KR 19960037277U KR 200140917 Y1 KR200140917 Y1 KR 200140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emergency door
guide rail
vehicle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889U (ko
Inventor
김용찬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7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091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8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0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09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문을 구비한 버스차량에 있어서, 비상문의 일측에 설치된 시트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상시 비상문을 통하여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비상문(10) 일측에 위치한 시트(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시트(20)의 하부인 차량의 바닥면(5)에 한 쌍의 더브테일로 결합된 가이드레일(30) 2개를 횡설하고, 이 가이드레일(30)의 상부에 시트(20)의 레그(22)를 고정시켜서 시트(20)가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30)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본 고안은 비상문을 구비한 버스차량에 있어서, 비상문의 일측에 설치된 시트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상시 비상문을 통하여 탈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차량의 경우에 차내의 화재나 그 밖의 위험시 외부로 탈출하기 용이하도록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 비상문은 차내의 후방에 주로 설치되며 그 일측으로 시트가 고정 설치된다.
이같이 비상문과 시트가 근접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상황이 급할 경우 비상문을 열고 그 일측의 시트를 통하여 탈출하여야 한다.
그런데 통로와 비상문과의 사이에 놓여진 시트에 의해 탈출의 방해를 받게 됨으로 비상시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상문의 일측에 구비된 시트를 통로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유사시 비상문측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레일과 시트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바닥면 10 : 비상문 20 : 시트
22 : 레그 30 : 가이드레일 32 : 브래킷
34 : 레버 42 : 고정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차량의 비상문 일측에 시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시트의 하부인 차량의 바닥면에 한 쌍의 더브테일로 결합된 가이드레일을 2개를 횡설하고, 상부 가이드레일에 시트의 레그를 고정시켜서 시트가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비상문(10) 일측에 시트(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시트(20)의 하부인 차량의 바닥면(5)에 한 쌍의 상부 가이드레일(30A)과 하부 가이드레일(30B)이 더브테일로 결합된 가이드레일(3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방에 각각 횡설되어 있다.
상기 시트(20)는 상부 가이드레일(30A)에 레그(22)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어 하부가이드레일(30B)을 따라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 고정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부 가이드레일(30A)의 상면에 브래킷(32)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32)에 스프링(33) 반력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레버(34)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34)의 하방인 상부 가이드레일(30A)에 관통된 구멍(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40)의 일축선상으로 하부가이드레일(30B)에 레버(34)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시트(20)는 레버(34)가 스프링(33)력에 의해 상부가이드레일(30A)을 관통하여 하부 가이드레일(30)의 고정홈(42)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측방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같은 상태에서 비상문(10)을 열어야 할 경우 레버(34)를 잡아당기게 되면 스프링(33)은 압축되고 레버(34)의 하단부가 하부 가이드레일(30B)의 고정홈(42)에서 빠지게 된다.
다음 시트(20)를 차량의 통로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시트(20)에 연결된 상부 가이드레일(30A)이 하부 가이드레일(30B)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비상문(20)과 인접한 시트(20) 측면과의 폭이 넓어지고 이로 인해 열려진 비상문(20)으로 접근이 용이하게 되고, 신속한 탈출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의 하부인 차량의 바닥면에 한 쌍의 더브테일로 결합된 가이드레일 2개를 횡설하고, 상부 가이드레일에 시트의 레그를 고정시켜서 시트가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시 시트를 통로측으로 밀어내고 출입문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신속한 탈출을 꾀할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의 비상문(10) 일측에 위치한 시트(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시트(20)의 하부인 차량의 바닥면(5)에 한 쌍의 더브테일로 결합된 가이드레일(30)을 2개를 횡설하고, 이 가이드레일(30)의 상부에 시트(20)의 레그(22)를 고정시켜서 시트(20)가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30)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브래킷(32)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브래킷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레버(34)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34)가 가이드레일(30)의 상부를 관통하여 하부가이드 레일에 형성된 고정홈(42)에 탄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KR2019960037277U 1996-10-31 1996-10-31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KR200140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277U KR200140917Y1 (ko) 1996-10-31 1996-10-31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277U KR200140917Y1 (ko) 1996-10-31 1996-10-31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889U KR19980023889U (ko) 1998-07-25
KR200140917Y1 true KR200140917Y1 (ko) 1999-04-01

Family

ID=1947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277U KR200140917Y1 (ko) 1996-10-31 1996-10-31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09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889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3531B2 (ja) 車両のスライドレール構造
KR20200003883A (ko) 이동 안내 장치 및 홈 차폐 유닛
CA2464590A1 (en) Elevator landing door broken chain safety device
US6334629B1 (en) Height adjustment means for safety belt defector fittings of vehicles
KR200140917Y1 (ko) 버스차량의 비상문 사용이 용이한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KR20010027076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탈방지구조
KR20080052170A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슈 및 그 장착 구조
KR200153382Y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스톱퍼 장착구조
KR101644030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290037B1 (ko) 비상문이 설치된 버스용 시트의 슬라이딩 구조
KR100265437B1 (ko)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GB2340460A (en) A roof arrangement
KR200179585Y1 (ko)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개문 록크장치
KR20020015206A (ko) 자동차의 트렁크내 화물고정용 네트 고정장치
KR100655613B1 (ko) 루프 랙 베이스 레일과 크로스 바 슬라이더의 조립부 구조
KR100811760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 록킹 장치
KR100423667B1 (ko)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의 상단부 스토퍼의 구조
KR20020085382A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스테이 장치
KR100392010B1 (ko) 인디케이터와 콘솔업퍼커버 사이의 갭 발생 방지장치
KR200149306Y1 (ko) 자동차용 인너핸들의 장착구조
KR0109369Y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19980046386U (ko) 승합차량의 슬립방지식 도어구조
KR100397931B1 (ko) 화물고정용 브라켓
KR200147388Y1 (ko) 시트트랙장치
KR20010082872A (ko) 전동차와 승강장 간의 간격을 없애주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