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437B1 -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437B1
KR100265437B1 KR1019970042832A KR19970042832A KR100265437B1 KR 100265437 B1 KR100265437 B1 KR 100265437B1 KR 1019970042832 A KR1019970042832 A KR 1019970042832A KR 19970042832 A KR19970042832 A KR 19970042832A KR 100265437 B1 KR100265437 B1 KR 10026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s
housing
fixed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452A (ko
Inventor
서영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4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도어가 자중에 의해 닫히는 것을 방지한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레일(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양측이 차체에 볼트로 고정되는 고정공(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에어 공급튜브(130)와 연결되는 공기 흐름라인(112)이 멈춤부재(100)와 간섭되는 단턱(113a)이 형성된 슬라이드 공(113)과 내통한 구조의 하우징(110)과, 상기 도어(10)가 완전히 오픈된 상태에서 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롤러(11),(12)에 접하여 하우징 슬라이드 공(113)의 단턱(113a)이 걸리는 환형의 돌기(121a)가 형성되고 하단은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롤러에 접하는 일측면은 라운딩되고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타측면은 롤러가 걸리는 걸림턱(121b)을 구비한 스톱퍼(121)와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드 공(113)에 삽입되어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가압되도륵 스프링(122)이 탄지되어 캡(123)으로 고정된 멈춤부재(100)와, 상기 멈춤부재의 동작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에어 공급튜브(130)로 구성되어, 경사면을 등판하는 위치에서 도어의 수동 조작시 도어의 자중에 의한 닫힘을 방지함으로씨 승객이 짧은 시간에 도어를 통해 안전하게 탈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본 발명은 버스의 도어가 자중에 의해 닫히는 것을 방지한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시내버스의 경우 중간에 위치한 슬라이드 식 자동 개폐 도어에는 비상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륵 비상조작레버가 부착되어 있다.
만일 이 비상조작레버를 오픈시키면 수동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여닫을 수 있어 승객이 하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스가 오르막 경사면에서 멈춰 섰을 경우 비상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열더라도 도어의 자중으로 미끄러져 다시 닫혀 버리게 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황에서 차실내에서 도어가 자중에 의해 닫히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경사면에 차가 정차되어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도어가 자중에 의해 자주 닫혀 짧은 시간에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대피중 다른 사고의 위험도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경사면에서 정차한 차량의 도어를 수동으로 오픈 시킬 때 오픈된 도어가 자중에 의해 다시 닫히지 않도륵 함으로써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은 종래 일반버스가 경사면 등판시 비상 정차한 상태도.
도2는 도1의 상태에서 종래의 도어가 자중에 의하여 닫히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3은 본발명에 따른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각각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5a 및 도5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도어의 록킹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20 : 레일
11,12 : 롤러 100 : 멈춤부재
110 : 하우징 112 : 공기 흐름라인
113 : 가이드 공 113a : 단턱
121 : 스톱퍼 121a : 돌기
121b : 걸림턱 122 : 스프링
123 : 캡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는 차체의 상단에 레일(20)이 고정되고 도어(10)의 상단에 고정된 롤러(11),(12)가 이 레일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되고, 또한 상기 레일(2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도어(10)가 완전히 오픈된 상태에서 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롤러(11),(12)에 접하여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하로 동작되는 멈춤부재와, 상기 멈춤부재의 동작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에어 공급튜브(1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측이 차체에 볼트로 고정되는 고정공(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에어 공급튜브(130)와 연결되는 공기 흐름라인(112)이 멈춤부재(100)와 간섭되는 단턱(113a)이 형성된 슬라이드 공(113)과 내통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멈춤부재(100)는 상단에 상기 슬라이드 공(113)의 단턱(113a)이 걸리는 환형의 돌기(121a)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롤러에 접하는 일측면은 라운딩되고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타측면은 롤러가 걸리는 걸림턱(121b)을 구비한 스톱퍼(121)와,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드 공(113)에 삽입되어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가압되도록 스프링(122)이 탄지되어 캡(123)으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도4a 및 도4b는 각각 상술한 도어 록킹장치의 조립되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상슬한 구조를 갖는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에 의한 비상시도어의 록킹과정을 도5a 및 도5b를 참고로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도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어 공굽튜브(13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하우징(110)내 공기 흐름통로(112)로 유입되면서 스프링(122)의 탄성보다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스톱퍼(121)를 밀어올린다.
이 상태에서는 도어(10)가 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되는데 스톱퍼(121)에 의해 아무런 저지를 받지 않게 된다.
도5b는 비상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에어 공급튜브(130)로부터 고압의 공기 공급이 중단으로 스톱퍼(121)는 스프링(122)의 반발탄성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비상레버를 수동의 위치로 조작한 후 도어(10)를 열면 롤러(11)(12)가 스톱퍼(121)의 라운딩면을 밀어 올리면서 통과하나 반대로 닫치는 방향으로는 걸림턱(121b)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버스의 정차시에도 한 번 열린 도어는 스톱퍼(121)에 걸리게 되므로 자중에 의해 다시 닫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비상레버를 자동의 위치로 조작한 후 에어 공급튜브(130)를 통해 다시 고압의 공기를 하우징내로 공급하면 도5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되면서 도어(10)의 자동개폐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작용으로 본 발명은 경사면을 등판하는 위치에서 도어의 수동 조작시 도어의 자중에 의한 닫힘을 방지함으로써 승객이 짧은 시간에 도어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좋으며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차체의 상단에 레일(20)이 고정되고 도어(10)의 상단에 고정된 롤러(11),(12)가 이 레일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되는 차량의 자동 개폐 도어에 있어서, 상기 레일(20)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도어(10)가 완전히 오픈된 상태에서 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롤러(11),(12)에 접하여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하로 동작되는 멈춤부재(100)와, 상기 멈춤부재의 동작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어하는 에어 공급튜브(130)로 구성된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양측이 차체에 볼트로 고정되는 고정공(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에어 공급튜브(130)와 연결되는 공기 흐름라인(112)이 멈춤부재(100)와 간섭되는 단턱(113a)이 형성된 슬라이드 공(113)과 내통한 구조를 갖는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재(100)는 상단에 상기 슬라이드 공(113)의 단턱(113a)이 걸리는 환형 돌기(121a)가 형성되고 하단은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롤러에 접하는 일측면은 라운딩되고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타측면은 롤러가 걸리는 걸림턱(121b)을 구비한 스톱퍼(121)와,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드 공(113)에 삽입되어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가압되도록 스프링(122)이 탄지되어 캡(123)으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KR1019970042832A 1997-08-29 1997-08-29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KR10026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832A KR100265437B1 (ko) 1997-08-29 1997-08-29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832A KR100265437B1 (ko) 1997-08-29 1997-08-29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452A KR19990019452A (ko) 1999-03-15
KR100265437B1 true KR100265437B1 (ko) 2000-09-15

Family

ID=1951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832A KR100265437B1 (ko) 1997-08-29 1997-08-29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4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452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767B1 (ko) 해제가능한 자동차 도어 제동 기관
JP2001507418A (ja) ガイドレールを備えたケーブル式窓リフタ
KR100265437B1 (ko) 버스의 비상탈출을 위한 도어 록킹장치
KR20080097048A (ko) 스크린도어의 도어개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린도어
US3902736A (en) Passive actuating device for a safety belt
KR200153382Y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스톱퍼 장착구조
KR19990016424U (ko) 차량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주유구 캡 개폐장치
KR19980069314A (ko) 승합차용 사이드 도어의 록크장치
KR20010046763A (ko) 자동차용 급가속 방지 장치
KR200179585Y1 (ko)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개문 록크장치
US3877394A (en) Pneumatically controlled railroad box car door latching device
KR100804012B1 (ko) 스크린도어의 안전개폐장치
JPH0516434U (ja) サンルーフのデフレクター用ブラケツト取付構造
JPH0610391B2 (ja) プラグドアのガイド装置
KR20070032590A (ko) 차량용 연료캡 분실방지장치
EP0808981A2 (en)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motor vehicle door
JPH07252063A (ja) エレベータ乗場戸の解錠装置
KR100957089B1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100534361B1 (ko) 차량의 필러 도어 개폐구조
KR970002210Y1 (ko) 유로관 안전장치
KR100521795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 하강 높이 제한장치
JPS6222412Y2 (ko)
KR910006672Y1 (ko) 엘리베이터차 도어 안전잠금 장치
KR20010066519A (ko) 버스의 중간 도어 열림 시 가속 페달 밟힘 방지 장치
JP2001234674A (ja) 防水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