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0906Y1 -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0906Y1
KR200140906Y1 KR2019960056494U KR19960056494U KR200140906Y1 KR 200140906 Y1 KR200140906 Y1 KR 200140906Y1 KR 2019960056494 U KR2019960056494 U KR 2019960056494U KR 19960056494 U KR19960056494 U KR 19960056494U KR 200140906 Y1 KR200140906 Y1 KR 200140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oor
loading box
discharge door
agricultural machin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379U (ko
Inventor
조준종
Original Assignee
조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종 filed Critical 조준종
Priority to KR2019960056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09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43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0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0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4Adaptations of gearing for driving, loading or unlo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출도어를 필요한 양 만큼 개폐 고정가능하게 구성시키므로서, 적재함 이동간에도 적정량의 적재물을 배분 토출되도록함에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도어레버를 이용하여 토출도어를 개폐동작 시키므로서 토출도어를 간편하고 실용성 있게 효과적으로 조작할수 있도록 함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농기계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취하며 상부면이 개방된 적재함 본체의 외측면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적재함 본체내로 관통하는 대략 직사각 형태의 토출구와 토출구 정면 하단으로 판상의 토출안내판과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도어와 토출도어 정면중앙으로 연결되며 토출도어를 개폐 단속하는

Description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
본 고안은 토출 도어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농기계(트레일러 또는 경운기등)있어, 적재함내에 구성시키므로서 적재함에 적재되어있는 곡식의 낟알 또는 사육하는 가축의 사료등을 용이하게 토출 및 단속하도록한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계(트레일러 또는 경운기등) 적재함에 구성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토출도어 개폐장치는 토출도어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토출구상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경첩등에의해 개폐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농기계 적재함내의 적재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단속된 경첩을 풀고 힌지축에 의해 도출도어를 회동시키므로서 토출구를 통해 적재물을 토출시키는 것이었다.
때문에, 종래의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는 토출구를 일시적으로 개방하고, 일시적으로 단속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넓은 축사내에 사료등을 제공하고자 할 때에는 적재함 이동간 적재물을 적정량 분배시키지 못하고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 적재물을 분해 제공해야 하므로, 상당한 인건비의 낭비와 함께 작업의 번거로운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가 창안되어 사용되어지고는 있으나, 이들 또한 적재물을 필요로 하는 일정량 만큼 배분 토출되게 하는 기능이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많은 문제점을 상존 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트레일러 또는 경운기등)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는 상기한 종래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출도어를 필요한 양 만큼 개폐 고정가능하게 구성 시키므로서, 적재함 이동간에도 적정량의 적재물을 배분 토출되도록함에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도어레버를 이용하여 토출도어를 개폐동작 시키므로서 토출도어를 간편하고 실용성 있게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취하며 상부면이 개방된 적재함 본체의 외측면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적재함 본체내로 관통하는 대략 직사각 형태의 토출구와 토출구 정면 하단으로 판상의 토출안내판과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도어와 정면중앙으로 연결되며 토출도어를 개폐 단속하는형상의 도어레버와 도어레버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구성되어지므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조립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출구 2 : 토출도어
3 : 도어레버 4 : 고정구
11 : 가이드 홈 12 : 토출 안내판
21 : 슬라이딩 면 22 : 랙 기어
31 : 피니어 기어 32 : 슬라이딩 면
100 : 적재함 P : 도어레버 연결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정면도로서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취하며 상부면이 개방된 적재함 본체(100)의 외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직사각형태로서 개방된 토출구(1)와 토출구(1)를 개폐하는 직사각판체의 토출도어(2)와 토출도어(2)를 개폐 단속하는형상의 도어레버(3)와 도어레버(3)를 고정하는 고정구(4)로 형성되어짐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토출구(1)는 적재함내에서 적재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11)과 판상체로서 좌, 우 측면이 날개로 형성된 토출안내판(12)으로 구성되어지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은 토출구(1)의 내측면 좌, 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토출안내판(12)은 토출구(1)정면 좌,우측면에 날개를 형성한 형태로서 토출구(1)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안내판(12)에 있어, 양측 날개의 상단측면으로는 관통되는 도어레버연결구(P)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직사각 판상체의 토출도어(2)는 전술한 토출구(1)상에 조립, 개폐되며 적재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젓으로, 슬라이딩면(21)과 랙(Rack) 기어(22)로 구성되어지되, 슬라이딩면(21)은 토출도어(2)의 길이방향 좌, 우 측면으로 형성되고, 토출도어(2) 정면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랙 기어(22)가 형성되며, 이때 토출도어(2)에 있어 랙 기어(22) 형성부위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토출도어(2)상에는 랙 기어(22)와 동일 기능을 갖는 체인을 조립 구성시킬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레버(3)는 핸들 축의 기능으로서 전술한 토출도어(2)와 연결되며 토출도어(2)를 개폐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토출도어(2)와 연결되는 도어레버(3)의 일측면상에는 피니어(Pinion) 기어(31)가 일체로서 형성되며, 후술하는 고정구(4)에 연결되는 도레버(3)의 타측면 상은 고정기어(32)가 일체로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4)는 전술한 토출구(1)의 상단측면 적재함 존체상에 힌지연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므로서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완료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조립 관계 및 상호 작용상태로는, 우선 토출구(1)의 가이드홈(11) 상으로는 토출도어(2)의 슬라이딩면(21)이 연결되고, 토출구(1) 정면 하단으로 형성된 토출안내판(12)에 있어 날개의 도어레버연결구(P)로는 도어레버(3)를 삽입 연결시키되, 연결된 도어레버(3)에 있어, 피니어 기어(31)는 토출도어(2)상의 랙 기어(22)와 치합 조립되며, 고정기어(32)는 고정구(4)와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제3도의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의 사용상태 정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레버(3)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어레버(3)상의 피니어 기어(31)는 토출도어(2)의 랙 기어(22)에 치합된 상태에서 힘을 전달하게 되며, 이에 따라 토출도어(2)는 슬라이딩면(21)에 의해 토출구(1)의 가이드홈(11)을 따라 상승하며 토출구(1)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방된 토출구(1)를 통해 적재물은 토출안내판(12)을 따라 외부로 토출하게 되며, 도어레버(3)의 회전조절에 따라 토출도어(2)는 상,하 이동되며 토출구(1)의 개방면적을 조절하게 되므로 적재물의 토출량을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적재함을 이동중 또는 정지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적재물만을 토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어레버(3)를 회전조작하여 필요로 하는 일정량 만큼 토출구(1)를 개방시킨후, 상부로 개방된 토출도어(2)의 하중에 의해 토출구(1)가 폐쇄되지 않도록 도어레버(3)의 고정기어(32)상에 고정구(4)를 회동 조절하므로서 필요한 위치에 걸림고정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는 도어레버에 의해 토출구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적재물의 토출량을 조절할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뿐만 아니라, 고정기어와 고정구에 의해 개방된 토출구의 상태가 유지되므로, 적재함 이동간에도 일정량의 적재물을 배분하여 토출시킬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괄목할만한 기대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경운기등 농기계의 적재함(100)에 있어서, 적재함(100) 본체 임의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직사각면체로서 토출구(1)와 토출구(1)를 개폐하는 직사각판체의 토출도어(2)와 토출도어(2)를 개폐조작하는 도어레버(3)와 도어레버(3)를 고정하는 고정구(4)로 구성되어지되,
    토출구(1) 정면하단으로는 토출안내판(12)이 형성되고, 토출도어(2) 정면중앙 길이 방향으로는 랙 기어(22)가 형성되며, 도어레버(3)의 일측 및 타측에는 피니언 기어(31)와 고정기어(32)가 형성되어, 도어레버(3)의 회전조작에 의해 피니언기어(31)는 랙 기어(22)와 치합하며 토출도어(2)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토출구(1)를 개폐시키고, 고정구(4)를 고정기어(32)에 연결하여 토출구(1)의 개방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 장치.
KR2019960056494U 1996-12-24 1996-12-24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 KR200140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494U KR200140906Y1 (ko) 1996-12-24 1996-12-24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494U KR200140906Y1 (ko) 1996-12-24 1996-12-24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379U KR19980043379U (ko) 1998-09-25
KR200140906Y1 true KR200140906Y1 (ko) 1999-03-20

Family

ID=1948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494U KR200140906Y1 (ko) 1996-12-24 1996-12-24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09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73Y1 (ko) * 2011-11-07 2014-07-04 이홍선 곡물적재용 덤프적재함
KR200473544Y1 (ko) * 2012-09-18 2014-07-11 이홍선 곡물적재용 덤프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379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5058898B3 (de) Tür zum Verschließen von Waschmaschinen oder Wäschetrocknern
EP3294501A1 (de) Aufbewahrungseinrichtung
EP1516703A1 (de) Stapelbarer Werkzeugkoffer
DD289504A5 (de) Baueinheit
DE19852165A1 (de) Box
KR200140906Y1 (ko) 농기계 적재함의 토출도어 개폐장치
EP1018473B1 (de) Behälteranordnung
WO2016075027A1 (de) Verschlussvorrichtung und behälter
EP1984685A2 (de) Kältegerät
DE19901439C1 (de) Sortiermagazin für die Bevorratung loser Kleinteile
EP1660825A1 (de) Türabsteller für ein kältegerät
EP3285973A1 (de) Aufbewahrungsbehälter
DE202007001796U1 (de) Kunststoffbehälter
EP1789735A1 (de) Tür für ein kühlgerät
DE10234316B4 (de) Mischgerät mit einem elektrischen Antriebsmotor und Sicherheitseinrichtung
DE19822011C1 (de) Austragvorrichtung für Getreidetrockner
KR970000500Y1 (ko) 석회 살포기 겸용 퇴비 살포기
DE2731608C2 (de) Scharnier für ein in eine Anbaueinheit von Anbauküchen und dgl. einsetzbares Einbaugerät
CN219500192U (zh) 宠物喂食器
EP1861287B1 (de) Laderaumanordnung
EP2757218B1 (de) Behälter mit tür und arretiervorrichtung zum arretieren der tür in einer offenstellung
CN217608889U (zh) 一种均匀投食双粮碗和防卡粮的宠物喂食器
DE4342916A1 (de) Faltbare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DE2848402C3 (de) Elektrogerät
EP3733549B1 (de) Behälter mit selbsttragender abdeckung für aus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