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561A - 자동차용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561A
KR20010111561A KR1020010073727A KR20010073727A KR20010111561A KR 20010111561 A KR20010111561 A KR 20010111561A KR 1020010073727 A KR1020010073727 A KR 1020010073727A KR 20010073727 A KR20010073727 A KR 20010073727A KR 20010111561 A KR20010111561 A KR 2001011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mirror
vehicl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태
Original Assignee
채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영태 filed Critical 채영태
Priority to KR1020010073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1561A/ko
Publication of KR2001011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561A/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씨 및 기온에 관계없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미러 장치는 사이드 미러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사이드 미러장치의 미러쪽에 위치되도록 제 1슬릿 홀을 구비하는 제 1에어공급부와, 사이드 미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 1에어공급부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에어 공급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미러 장치{MIRROR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날씨 및 기온에 관계없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빗물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용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여러가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측면 및 뒷면의 시야를 간편하게 확보가기 위한 사이드 미러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장치에 부착되는 사이드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이드 미러(4)는 자동차(2)의 앞 도어(14)에 부착된다. 따라서, 사이드 미러(4)는 운전석을 중심으로 자동차(2)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 미러(4)는 미러(6), 고정부(8) 및 도시되지 않은 연결부로 구비한다.
미러(6)는 자동차의 측면 및 뒷면의 비추게 된다. 고정부(8)는 사이드 미러를 소정각도로 고정한다. 연결부는 고정부(8)와 도어(14) 사이에 설치되어고정부(8)를 도어(14)에 연결시킨다.
자동차(2)가 운행될 때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4)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10)의 일측부(12)를 통하여 사이드 미러(4)를 감시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4)를 통하여 자동차(2)의 뒷면 및 측면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사이드 미러(4)는 자동차(2)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및/또는 눈)가 올 때 미러(6)의 표면에 빗물이 맺히게 되어 시야확보가 곤란하게 된다. 아울러, 겨울철에는 미러(6)의 표면에 성애가 얼어 붙어서 시야확보가 곤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이드 미러(4)의 시야는 비 또는 기온의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라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4)의 내부에 열선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사이드 미러(4)에 포함된 열선은 스위치에 연동되어 동작한다. 운전자가 스위치를 턴-온시켰을 때 열선은 소정의 열을 사이드 미러(4)에 전달하여 미러의 표면을 건조시킨다.
하지만, 이와 같이 열선이 내장된 사이드 미러(4)는 열선의 발열되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모됨과 아울러 열선의 발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많은 비가 오는 경우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마찬가지로, 미러(6)의 표면에 얼어붙은 성애를 제거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날씨 및 기온에 관계없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설치된 에어 공급부의 밑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 미러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자동차의 윈도우에 설치된 에어 공급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자동차 4,20 : 사이드 미러
6,24 : 미러 8,22 : 고정부
10,42 : 윈도우 14,44 : 도어
26,46 : 에어 공급부 28 : 연결부
30 : 슬릿 홀 32 : 모터
33 : 에어 공급장치 34 : 송풍기
36 : 에어 인입부 38 : 이동부
40 : 히터선 48 : 공기 압축장치
50 : 벨브 51,52 : 이동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미러 장치는 사이드 미러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사이드 미러장치의 미러쪽에 위치되도록 제 1슬릿 홀을 구비하는 제 1에어공급부와, 사이드 미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 1에어공급부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에어 공급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 미러장치와 인접된 윈도우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도어에 설치됨과 아울러 윈도우 쪽으로 위치되도록 제 2슬릿 홀을 구비하는 제 2에어공급부와,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 2에어 공급부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에어 공급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또는 제 2에어 공급장치는, 자동차의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모터와, 모터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송풍기와, 송풍기의 앞단에 설치되어 송풍기가 회전할 때 공기가 인입되는 에어 인입부와, 제 1 또는 제 2에어 공급장치와 에어 인입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 이동부와, 자동차의 히터에 연동되어 동작함과 아울러 에어 이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히터선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에어 공급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설치되며,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압축장치와, 자동차의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벨브와, 벨브와 공기 압축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이동관과, 벨브와 제 1에어 공급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이동관과, 벨브와 제 2에어 공급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3이동관과, 자동차의 히터에 연동되어 동작함과 아울러 제 1 내지 제 3이동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히터선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미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이드 미러(20)는 미러(24), 고정부(22), 에어 공급부(26) 및 연결부(28)를 구비한다.
미러(24)는 자신이 설치된 자동차의 측면 및 뒷면을 비추게 된다. 고정부(22)는 운전자가 최대한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미러(24)를 소정각도로 고정한다. 연결부(28)는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의 앞 도어에 연결된다.
에어 공급부(26)는 미러(24)의 상측에 설치되어 미러(24)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에어 공급부(26)의 밑면에는 도 3과 같은 슬릿 홀(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에어 공급부(26)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미러(24)에 공기가 공급되면 미러(24)에 맺혀있는 빗물 등이 제거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운전자는 미러(24)에 빗물이 맺혔을 때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에어 공급부(26)로부터 미러(24)에 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이와 같이 에어 공급부(26)로부터 미러(24)에 공기가 소정압력으로 공급되면 미러(24)에 맺힌 빗물이 제거되므로 운전자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부(2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미러(24)에 빗물등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에어 공급부(26)는 히터에 연동되어 소정온도를 공기를 미러(24)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겨울철에 미러(24)에 표면에 생성되는 성애등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에어 공급부(26)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20)의 내부에는 도 4와 같은 에어 공급장치(33)가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공급장치(33)는 모터(32)와, 모터(32)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송풍기(34)와, 송풍기(34)의 앞단에 설치되는 에어 인입부(36)와, 에어 인입부(36)와 에어 공급부(26)의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부(38)를 구비한다.
모터(32)는 운전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소정 Rpm으로 회전한다. 모터(32)가 회전될 때 모터(32)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34)가 회전된다. 이때, 송풍기(34)는 소정 Rpm으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에어 인입부(36)로 공급한다. 에어 인입부(36)로 공급된 공기는 이동부(38)를 통하여 에어 공급부(26)로 공급되게 된다.
이동부(38)에는 자동차의 히터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히터선(40)이 감겨있다. 따라서, 겨울철에 운전자가 히터를 동작시키게 되면 히터선(40)도 소정의 온도로이동부(38)를 가열시킨다. 따라서, 히터가 동작할때 소정온도로 덮혀진 공기라 에어 공급부(26)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사이드 미러(20)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42)에 빗물 및/또는 성애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 공급부(46)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44)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공급부(46)도 사용자의 스위치에 연동되어 동작하면서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어(44)의 내부에는 도 4와 같은 에어 공급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에어 공급부(26,46)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자동차의 몸체에 공기 압축장치(Compressor : 48)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압축장치(48)는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에어 공급부(26,46)는 제 1이동관(51)과 접속된다. 공기 압축장치(48)는 제 2이동관(52)과 접속된다. 제 1이동관(51)과 제 2이동관(52)의 사이에는 벨브(50)가 설치된다. 벨브(50)는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에 연동되어 턴-온 및 턴-오프된다.
벨브(50)가 턴-온되었을 때 공기 압축장치(48)는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제 2이동관(52), 벨브(50) 및 제 1이동관(51)을 경유하여 에어 공급부(26,46)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제 1 및 제 2이동관(51,52)을 감싸도록 도시되지 않은 히터선이 설치될 수 있다. 히터선은 자동차 히터에 연동되어 동작하면서 제 1 및 제 2이동관(51,52)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미러 장치에 의하면 사이드 미러 및/또는 사이드 미러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에 에어 공급부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에어 공급부는 소정의 압력으로 사이드 미러 및 윈도우에 공기를 공급하므로써 사이드 미러 및 윈도우에 맺혀있는 빗물, 눈 및/또는 성애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부는 사이드 미러 및 윈도우에 빗물, 눈 및/또는 성애등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앞측단 도어에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장치와, 상기 자동차의 앞측단 도어에 설치되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미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 미러장치의 미러쪽에 위치되도록 제 1슬릿 홀을 구비하는 제 1에어공급부와,
    상기 사이드 미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에어공급부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에어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장치와 인접된 상기 윈도우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윈도우 쪽으로 위치되도록 제 2슬릿 홀을 구비하는 제 2에어공급부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에어 공급부에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2에어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에어 공급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앞단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가 회전할 때 공기가 인입되는 에어 인입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에어 공급장치와 상기 에어 인입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 이동부와,
    상기 자동차의 히터에 연동되어 동작함과 아울러 상기 에어 이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히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에어 공급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설치되며,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압축장치와,
    상기 자동차의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벨브와,
    상기 벨브와 상기 공기 압축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이동관과,
    상기 벨브와 상기 제 1에어 공급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이동관과,
    상기 벨브와 상기 제 2에어 공급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3이동관과,
    상기 자동차의 히터에 연동되어 동작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내지 제 3이동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히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미러 장치.
KR1020010073727A 2001-11-26 2001-11-26 자동차용 미러 장치 KR20010111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727A KR20010111561A (ko) 2001-11-26 2001-11-26 자동차용 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727A KR20010111561A (ko) 2001-11-26 2001-11-26 자동차용 미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561A true KR20010111561A (ko) 2001-12-19

Family

ID=4593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727A KR20010111561A (ko) 2001-11-26 2001-11-26 자동차용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15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745B1 (ko) * 2003-02-11 2005-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미러의 제상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745B1 (ko) * 2003-02-11 2005-05-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미러의 제상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0815A1 (en) Windshield clearing and de-icing system
KR20010111561A (ko) 자동차용 미러 장치
CN111301350A (zh) 旋转式雨刮以及雨刮器
KR100491745B1 (ko) 사이드 미러의 제상구조
CN219134101U (zh) 具有除水功能的后视镜及汽车
KR200165737Y1 (ko) 자동차의 유리성에 제거장치
KR200235575Y1 (ko) 서리,성애 및 결로현상 제거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윈도우와이퍼
KR0132252B1 (ko) 자동차 윈도우 서리 제거장치
CN2513808Y (zh) 车用外水内风式取暖器
KR200190458Y1 (ko) 자동차 대쉬보드용 흡열방지장치
KR200347420Y1 (ko) 자동차 전면 유리창의 성에 제거 장치
JP3002581U (ja) 車両におけるフロントガラスの氷結解除装置
KR940003215Y1 (ko) 자동차의 시야 방해물 제거장치
KR0125108Y1 (ko) 성애제거용 보조그릴
KR0145917B1 (ko) 자동차의 리어윈드쉴드 성에제거장치
JP2006290307A (ja) エアーワイパー
KR940000675Y1 (ko) 자동차의 앞유리 성애 및 습기 제거장치
KR19980018658U (ko) 겨울철 자동차 윈드 실드 글라스의 성에 제거 장치
KR200141711Y1 (ko) 수분흡입기구를 갖춘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JPH052374Y2 (ko)
KR200312973Y1 (ko) 버스 유리의 습기제거 보조장치
KR19980040377U (ko) 자동차 리어 도어 글래스의 디프로스트 장치
KR20040066460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빗물제거장치
KR19980034419U (ko) 자동차 백 밀러의 습기제거구조
KR20000003151U (ko) 자동차의 전면 유리의 열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