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447A -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447A
KR20010111447A KR1020010002332A KR20010002332A KR20010111447A KR 20010111447 A KR20010111447 A KR 20010111447A KR 1020010002332 A KR1020010002332 A KR 1020010002332A KR 20010002332 A KR20010002332 A KR 20010002332A KR 20010111447 A KR20010111447 A KR 2001011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link
seat
connection point
shaf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8646B1 (ko
Inventor
노무라히데마사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다카야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다카야, 다이하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다카야
Publication of KR2001011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쿠션을 사용자세와 격납자세로 조작이 용이하게 가볍게 전환되며, 사용자세로 한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을 신뢰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바닥면(1)에 장착한 시트 지지장치(2)의 시트 지지체(3)와 시트쿠션(4a) 사이에 연결링크(5)를 개재시킨다. 연결링크(5)의 일단측은, 시트쿠션(4a)에 고정의 링크장착부재(7)에 축심(5a) 둘레에서 선회가능하게 연결하고 타단측은, 시트 지지체(3)에 고정의 링크장착부재(8)에 축심(8) 둘레에서 선회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시트쿠션(4a)을 사용자세로 한 경우, 연결링크(5)의 시트쿠션측에 연결되어 있는 축심(5a)은 시트 지지체측에 연결되어 있는 축심(5b)에 의해 낮은 레벨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 {SEAT MOUNTING STRUCTURE FOR A MOTORCAR}
본 발명은 일단측이 시트쿠션측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바닥측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링크를 갖춤과 동시에, 시트쿠션이 사용자세인 상태에서 연결링크의 시트쿠션측과의 연결점이 바닥측과의 연결점보다도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좌석 장착구조에 의하면, 시트쿠션을 조작함으로써 연결링크가 시트쿠션측과 바닥측의 양측에 대하여 선회하여, 시트쿠션이 사용자세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한 격납자세로 전환되므로, 시트의 공간이 화물 적재공간 등 좌석 이외에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좌석 장착구조를 채용한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걸게되면, 시트쿠션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조작력을 받는다. 그러면, 시트쿠션이 연결링크의 바닥측과의 연결점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선회하려고 하므로, 이 선회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이 사용자세로부터 솟아오르는 것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상술한 좌석 장착구조로서,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에 결합상태로 편향되는 결합부를 상기 시트쿠션에 설치하고, 상기 결합부를 그 편향력에 대항하여 결합해제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있었다.
즉, 시트쿠션(4a)에 연결링크(5)를 연결하기 위해 링크장착부재(7)를 설치하고, 그 링크장착부재(7)에 걸림부(7a)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으면, 시트쿠션(4a)을 사용자세로 한 경우, 상기 걸림부(7a)가 연결링크(5)의 하측에 위치하여 연결링크(5)와의 결합을 위해, 연결링크(5)와 링크장착부재(7)와의 상대선회가 규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조작력이 가해지더라도 시트쿠션(4a)의 솟아오름이 규제된다. 그리고, 시트쿠션(4a)을 사용자세로부터 격납자세로 전환하거나 격납자세로부터 사용자세로 되돌릴 때에는 시트쿠션(4a)을 이동조작시키는 것만으로 연결링크(5)와 링크장착부재(7)가 상대선회하고, 걸림부(7a)가 연결링크(5)와 결합하면서 탄성변형되어, 결합 및 결합해제 조작되고, 연결링크(5)를 상대선회 방향으로 지나치게 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시트쿠션(4a)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걸림부(7a)가 상기 시트쿠션(4a)의 솟아오름을 규제하는 결합해제 상태로 하거나, 시트쿠션(4a)을 사용자세로 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7a)가 상기 시트쿠션(4a)의 솟아오름을 규제하는 결합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상태의 전환을 시트쿠션(4a)을 자세변경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여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 조작으로 가능하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종래에, 급정지 조작하는 등에 의해 강력한 상기 조작력을 받더라도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이 신뢰적으로 규제되도록 하면, 그 조작력이 가해지더라도 걸림부가 연결링크를 지나치지 않도록 걸림부와 연결링크 사이에 가해지는 힘을 강력하게 할 필요가 있었다. 즉, 예를 들면, 탄성편향력에 의해 걸려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링크와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결합해제 조작을 위해 상기 탄성편향력에 대항하기 위한 커다란 조작저항을 받는 등 시트쿠션을 자세전환 시킬 때의 조작이 원활하지 않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세인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을 신뢰적으로 규제할 수 있고, 또한, 시트쿠션의 자세전환 조작이 가볍게 될 수 있는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청구항1의 특징과 같이, 시트쿠션이 사용자세인 상태에서, 상기 연결링크의 시트쿠션측과의 연결점이 바닥측과의 연결점보다도 낮은 레벨 또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세인 시트쿠션에 상기 조작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링크에 바닥측과의 연결점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하강선회시키는 방향의 분력이 작용한다. 이 분력에 의해, 상기 조작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링크가 바닥측과의 연결점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상승선회하는 것을 규제하여, 시트쿠션이 솟아오르는 것을 규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력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연결링크의 상기 양측 연결점의 레벨 차이를 적절히 설정하면, 상기 조작력이 강한 경우에도 상기 분력이 크게 되어 연결링크의 상승선회가 확실히 방지되고,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이 확실히 규제된다. 이로 인해, 시트쿠션을 자세전환 시킬 때에 솟아오름 규제를 해제하거나 작용시키거나 할 때 특별한 규제전환의 수고가 필요하지 않으며, 솟아오름 규제에 기인하는 커다란 조작저항 또한 받지 않도록 하면서, 시트쿠션을 사용자세로 한 때에는 급정지 조작 등의 상기 조작력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이 신뢰적으로 규제된다.
청구항2의 특징과 같이, 상기 시트쿠션의 형태유지용 선재에 형태유지작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연결링크의 바닥측과의 연결점보다도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연장선재부를 갖추도록 함과 동시에, 바닥측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대하여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맞닿는 결합부를 상기 연장선재부의 연장단측에 갖추게 함으로써, 사용자세인 시트쿠션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조작력이 작용하고, 연결링크의 상기 연결점 배치를 위해 연결링크를 바닥측과의 연결점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상승선회시키는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여도, 결합부가 고정부재에 대하여 맞닿음으로써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을 억제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시트쿠션을 사용자세나 격납자세로 전환시킬 때 결합부가 고정부재에 맞닿더라도 형태유지용 선재가 탄성변형하여 그 맞닿음이 시트쿠션의 이동이나 위치조정의 장애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쿠션을 자세변경 시킬 때에 장애가 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한 구성의 추가만으로, 시트쿠션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조작력을 받았을 때에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을 보다 신뢰적으로 규제하게 된다.
도 1은 자동차의 후부좌석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자동차의 후부좌석의 일부가 절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좌석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시트쿠션 장착구조의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시트쿠션 장착구조의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시트쿠션 장착구조의 정면도.
부호의 설명
3b 고정부재
4a 시트쿠션
5 연결링크
5a 시트쿠션측의 연결점
5b 바닥측의 연결점
6 형태유지용 선재
6a 형태유지 작용부
9 결합부
10 연장된 선재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 후부의 바닥면(1) 상측에 시트 지지장치(2)를 고정하고 있다. 이 시트 지지장치(2)에 시트 지지체(3)를 설치하고, 상기 시트 지지체(3)에는 시트(4)를 좌우에 한 쌍 장착하여, 자동차의 후부 좌석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시트 지지체(3)는 시트쿠션(4a)과 등받이(4b)로 이루어진다.
좌우의 시트(4) 각각의 등받이(4b) 하단측을, 상기 시트 지지체(3)의 후단측지지부(3a)에 차체 횡방향의 축심(4c) 둘레에서 선회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좌우 각각의 등받이(4b)를 상기 축심(4c) 둘레에서 선회조작하면,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3)에 대하여 기립한 사용자세와,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도 3에 실선으로 각각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장치(2) 상에 접혀진 격납자세로 전환된다.
상기 시트 지지체(3)는 원형 파이프를 벤딩하여 설치한 것이고, 차체의 횡방향 부분을 상기 시트쿠션에 대한 전단측 지지부(3b)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전단측 지지부(3b)에는 좌우 시트(4) 각각의 시트쿠션(4a) 좌우측을 연결링크(5)를 통해 장착하는 장착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쿠션(4a)의 바닥측 내부에 시트쿠션(4a)의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형태유지용 선재(6)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형태유지용 선재(6)에는, 일단측에서 시트쿠션(4a)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측 암(arm)형 링크장착부재(7)를 시트쿠션(4a)의 이면측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또한, 시트 지지체(3)의 상기 전단측 지지부(3b)에는, 링크장착부재(8)를 용접하여 바닥측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링크장착부재(8)와 상기 링크장착부재(7)에 걸쳐서 상기 연결링크(5)를 설치하여서, 상기 시트쿠션(4a)과 상기 바닥측을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시트쿠션(4a)의 전단측 저부의 이면측에는 결합부(9)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장착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링크(5)의 일단측은 상기 시트측의 링크장착부재(7)에 시트 횡방향으로 따르는 방향의 축심(5a) 둘레에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측은상기 바닥측의 링크장착부재(8)에 시트 횡방향으로 따르는 방향의 축심(5b) 둘레에서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장착구조 각각에 대한 좌측 연결링크(5)와 우측 연결링크(5)는 각각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환봉재를 벤딩성형하고 있다.
상기 환봉재의 단부는 좌우 연결링크(5)의 시트측 링크장착부재(7)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단부를 구성하고, 시트의 횡방향을 따르는 횡방향자세로 형성된다. 상기 환봉재의 중앙부는 좌우 연결링크(5)의 바닥측 링크 장착부재(8)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시트 횡방향을 따르는 횡방향자세로 형성된다. 또한, 좌우 연결링크(5)의 상기 양쪽 링크단부분과 상기 횡방향 봉을 접속하는 환봉재의 부분이 상기 환봉재의 중앙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좌우의 시트쿠션(4a) 각각을 시트쿠션(4a)의 전단측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조작하면, 좌우의 연결링크(5)가 바닥측 링크장착부재(8)에 대하여 상대선회 함과 동시에 시트측 링크장착부재(7)에 대하여 상대선회하기 위해,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사용자세와,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도 3에 실선으로 각각 도시하는 격납자세로 전환된다.
즉, 연결링크(5)의 시트쿠션측 연결점인 상기 축심(5a)이, 바닥측 연결점인 상기 축심(5b)보다도 차체의 후방측으로 위치하고, 시트쿠션(4a)의 전단측이 시트측 링크장착부재(7), 연결링크(5), 바닥측 링크장착부재(8)를 통해 시트 지지체(3)의 전단측 지지부(3b)에 의해 지지되고, 시트쿠션(4a)의 후단측이 시트 지지체(3)의 후단측 부분(3c)에 놓여 지지되는 상태가 되면, 사용자세가 된다.
이 때, 시트쿠션(4a)의 후단부가 사용자세인 등받이(4b) 하단부의 하측에 끼워지고, 이 위치에서 솟아오르지 않도록 등받이(4b)와 연관된 상태로 된다.
또한, 연결링크(5)의 시트측에 상기 축심(5a)이 바닥측의 상기 축심(5b)보다도 차체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시트 지지장치(2)의 전방에서 바닥면 상에 전단측이 하측으로 되어 세워진 상태로 되면, 격납자세가 된다.
좌우의 시트쿠션(4a) 각각에 대한 상기 좌우의 연결링크(5) 각각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시트쿠션(4a)을 상기 사용자세로 한 상태에서는, 연결링크(5)의 시트쿠션측 연결점인 상기 축심(5a)이 바닥측 연결점인 상기 축심(5b)보다도 낮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면, 브레이크가 걸리는 등에 의해 시트쿠션(4a)을 차체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조작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 조작력의 크기로 설정한 힘 F와, 시트쿠션(4a) 중심 G의 연결링크(5)의 바닥측 상기 축심(5b)에 대한 높이 위치를 고려하여 연결링크(5)의 상기 양쪽 축심(5a, 5b)의 레벨 차이를 설정하고 있다.
결국, 상기 조작력이 가해지면, 이로 인하여 시트쿠션(4a)의 중심 G에 가해지는 조작력 F 때문에, 시트쿠션(4a)의 전단측을 바닥측의 상기 축심(5b) 둘레에서 상승시키는 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러나, 중심 G에 가해지는 상기 조작력 F가 연결링크(5)의 시트쿠션측 상기 축심(5a)에 가해지고, 이 조작력 F의 연결링크(5) 축심에 따르는 방향의 제1 분력 F1과 연결링크(5)의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 분력 F2가 연결링크(5)에 작용한다. 따라서, 제2 분력 F2는 연결링크(5)를 바닥측의 축심(5b) 둘레에서 선회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모멘트의 발생에 관련되지 않는 연결링크(5)가 바닥측의 축심(5b) 둘레에서 상승측으로 선회하는 것이 규제되고, 시트쿠션(4a)의 전단측이 솟아오르는 것이 규제된다.
이 후, 추가로, 시트쿠션(4a)의 중심 G가 연결링크(5) 바닥측의 상기 축심(5b)보다도 높은 레벨에 위치되도록 하는 힘이 가해져도, 시트쿠션(4a)의 전체가 바닥측의 축심(5b) 둘레에서 상승하려고 하지만, 시트쿠션(4a)의 후단부가 등받이(4b)의 하단부에 끼워짐으로써 실제로는 시트쿠션(4a)의 솟아오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4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쿠션(4a)에는 시트쿠션(4a)의 형태를 유지하는 형태유지 작용부(6a)를 내장하고 있어서, 그 전단부로부터 연장된 선재부(10)를 연장하여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시트쿠션(4a)의 사용자세에서, 상기 형태유지 작용부(6a)에는 시트쿠션(4a)의 내부에서 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측이 시트쿠션(4a)의 전단부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암부(10a)를 설치하여 상기 시트쿠션(4a)으로부터 단부를 노출시키고 있다. 암부(10a)의 단부끼리 걸쳐서 횡방향 선재부를 시트쿠션(4a)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횡방향 선재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9)가 구성된다. 그리고, 시트쿠션(4a)을 상기 사용자세로 한 상태에서는, 상기 연장된 선재부(10)가 형태유지용 선재(6)의 형태유지 작용부(6a)로부터 하방향으로 연결링크(5)의 바닥측 링크장착부재(8)로의 연결점보다도 차체 전방측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9)가 시트 지지체(3)의 상기 전단측 지지부(3b)의 하측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시트쿠션(4a)을 사용자세로 한 경우, 시트쿠션(4a)을 차체의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조작력이 작용하면, 연결링크(5)를 바닥측의 축심(5b) 둘레에서 상승선회시키는 방향의 분력이 연결링크(5)에 작용하고, 시트쿠션(4a)의 전단측이 솟아오르려 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결합부(9)가 시트 지지체(3)의 전단측 지지부(3b)의 하부에 맞닿아, 전단측 지지부(3b)를 스토퍼로 하여 기능시키기 때문에, 시트쿠션(4a)은 그 이상 솟아오르지 않도록 제어된다.
결국, 좌우의 시트(4) 각각에 있어서, 시트쿠션(4a)은 전방측이 선회중심으로 되도록 하여 선회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사용자세와 상기 격납자세로 전환된다. 또한, 시트쿠션(4a) 및 등받이(4b)를 상기 사용자세로 전환시키면, 시트(4)가 좌석용의 상태로 된다. 이 때, 시트쿠션(4a)을 차체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조작력이나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조작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연결링크(5)의 상기 축심(5a)이 상기 축심(5b)의 후방 또는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시트쿠션(4a)의 솟아오름을 규제하며, 또한, 상기 결합부(9)가 시트 지지체(3)의 전단측 지지부(3b)와 맞닿아서 상기 시트쿠션(4a)의 솟아오름을 규제하므로, 상기 시트쿠션(4a)의 전단측이 솟아오르지 않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쿠션(4b) 및 시트쿠션(4a)을 상기 격납자세로 전환함으로써, 시트(4)가 격납상태로 되고, 시트 지지장치(2) 상의 좌석용 공간을 화물적재 공간 등의 좌석 이외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시트 지지장치(2)는 상기 시트 지지체(3)를 바닥측의 부재에 대하여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절함으로써, 시트(4)의 전후조절을 할 수 있다. 시트 지지장치(2)를 채용하지 않고, 시트(4)를 바닥측에 전후조절 불가능하게 장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시트 지지체(3)의 전단측 지지부(3a)를 바닥측에 고정된 고정부재(3a)로 호칭한다.
청구항1에 기재되는 발명에 의하면, 급제동이 걸리는 등에서도, 연결링크의 상승선회가 규제되어 시트쿠션이 솟아오르지 않게 된다.
또한, 시트쿠션을 격납자세로 하거나 사용자세로 되돌릴 때, 솟아오름 규제를 해제하거나 작용시키기 위한 특별한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솟아오름 규제에 기인하는 조작저항을 받지 않으며, 시트쿠션을 이동조작하는 것만으로 완료되고, 상기 이동조작을 가볍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전환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되는 발명에 의하면, 시트쿠션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조작력을 받는 경우에도, 이 경우에는 연결링크의 상기 연결점 배치를 위해 연결링크를 상승선회시키는 방향의 분력이 작용하여도 결합부의 고정부재와의 맞닿음에 의해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이 억제되어, 시트쿠션이 솟아오르지 않게 된다.
또한, 시트쿠션을 사용자세나 격납자세로 전환시킬 때, 결합부가 고정부에 맞닿더라도 형태유지용 선재가 탄성변형하여 장애가 되지 않아, 시트쿠션을 소정의 자세로 용이하게 조작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Claims (2)

  1. 시트쿠션과 바닥 사이에 걸쳐서 연결링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링크의 일단측을 시트쿠션측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하며, 또한 타단측을 바닥측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이 사용자세인 상태에서, 연결링크의 시트쿠션측과의 연결점이 바닥측과의 연결점보다도 차체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이 사용자세인 상태에서, 상기 연결링크의 시트쿠션측과의 연결점이 바닥측 연결점보다도 낮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형태유지용 선재에, 형태유지 작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바닥측 연결점보다도 차체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연장된 선재부를 갖추며, 바닥측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대하여 시트쿠션의 솟아오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맞닿는 결합부를 상기 연장된 선재부의 연장단측에 갖추는 좌석장착구조.
KR1020010002332A 2000-06-09 2001-01-16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 KR100658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3179A JP3625742B2 (ja) 2000-06-09 2000-06-09 自動車の座席取付け構造
JP2000-173179 2000-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447A true KR20010111447A (ko) 2001-12-19
KR100658646B1 KR100658646B1 (ko) 2006-12-15

Family

ID=1867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332A KR100658646B1 (ko) 2000-06-09 2001-01-16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64050B1 (ko)
JP (1) JP3625742B2 (ko)
KR (1) KR100658646B1 (ko)
DE (1) DE6010985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978B1 (ko) 2004-04-29 2006-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마운팅구조
DE102005030032A1 (de) * 2005-06-27 2007-01-04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mit Gebrauchs- und Ladestellung
JP5767156B2 (ja) * 2012-04-24 2015-08-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5239A (en) * 1981-06-11 1982-12-16 Mazda Motor Corp Rear seat of automobile
DE3913529A1 (de) * 1988-05-02 1989-11-16 Volkswagen Ag Hintersitzanordnung in einem kraftfahrzeug
FR2676974B1 (fr) * 1991-05-30 1993-09-10 Peugeot Banquett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FR2738535B1 (fr) * 1995-09-11 1997-11-28 Peugeot Sieg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4050A1 (en) 2001-12-19
DE60109852T2 (de) 2006-01-19
EP1164050B1 (en) 2005-04-06
JP3625742B2 (ja) 2005-03-02
JP2001347863A (ja) 2001-12-18
KR100658646B1 (ko) 2006-12-15
DE60109852D1 (de)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1033B1 (en) Vehicle seat with suspension mechanism
CA2136117C (en) Inertia hinge for seatback and armrest
US7044543B2 (en) Height-adjustable vehicle seat having a crash locking unit
EP1945478B1 (en) Front row seat assembly having fold flat mechanism with forward cushion movement
EP1344677A2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US7828358B2 (en) Storable seat for vehicle
JP4511558B2 (ja) 乗り物の座席
KR20000077288A (ko) 차량용 시트 구조체
KR20090086085A (ko) 후방 절첩 모션을 갖는 절첩 편평 좌석 조립체
MX2013005036A (es) Sistema de asiento de vehiculo con mecanismo de tope giratorio y metodo.
US7246857B2 (en) Seat folding device of vehicle
US20110115273A1 (en) Vehicle Seat
JP2012136063A (ja) 乗物用シート
KR100658646B1 (ko) 자동차의 좌석 장착구조
US7753449B2 (en) Reclining seat for automobiles
EP0422527B1 (en) A device for tilting the backrest of a vehicle seat, particularly the rear seats of motor cars
JP5003169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JP4961721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N115123032A (zh) 儿童安全座椅
JP3568454B2 (ja) 自動車の座席取付け構造
GB2347621A (en) A vehicle seat
CN216101680U (zh) 一种靠背可翻转座椅
JP7447518B2 (ja) 乗物用シート
JP3636610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緩衝構造
JP6551574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