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172A - 고전압 가변 저항기 - Google Patents

고전압 가변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172A
KR20010110172A KR1020010030723A KR20010030723A KR20010110172A KR 20010110172 A KR20010110172 A KR 20010110172A KR 1020010030723 A KR1020010030723 A KR 1020010030723A KR 20010030723 A KR20010030723 A KR 20010030723A KR 20010110172 A KR20010110172 A KR 2001011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nap
mold
high voltage
variabl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4556B1 (ko
Inventor
미야모토도시유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1011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고전압 가변 저항기가 단자 베이스부를 가지고 있는 절연 케이싱; 상기 절연 케이싱에 수납되고 출력부를 가지고 있는 회로부; 상기 절연 케이싱의 상기 단자 베이스부에 삽입되고 상기 회로부의 출력부에 접속된 스냅인 단자 및 상기 스냅인 단자와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에서부터 상기 단자 베이스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냅인 단자에 압입되어 접속되는 출력 접속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단자 베이스부는 상기 스냅인 단자를 인도하고 삽입시키도록 배열된 삽입 홈, 상기 출력 접속 단자를 인도하고 삽입시키도록 배열된 삽입 구멍 및 상기 삽입 구멍을 교차하는 상기 삽입 홈의 측면에 위치한 릴리프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삽입 홈, 상기 삽입 구멍, 상기 릴리프 홈은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로부터 일체적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Description

고전압 가변 저항기{High-voltage variable resist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신기 또는 그 외의 장치등의 포커스(focus) 전압과 스크린(screen) 전압을 조정하는데 사용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포커스팩(focuspacks)'이라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를 칼라 텔레비젼 및 디스플레이 모니터(display monitor)등의 초점과 밝기 조정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7-235402호에서는 회로 기판의 접속 전극에 접속된 스프링(spring) 부분을 가진 스냅인(snap-in) 단자가 절연 케이싱(casing)의 단자 베이스(base)부에 위치하고 외부 리드(lead)선은 스냅인 단자에서 직각 방향으로 압입되어 외부에 접속되도록 설치한 고전압 가변 저항기형태가 공개되었다. 상기 고전압 가변 저항기는 내부 회로 기판과 외부 리드선이 전도 고무 내지 땜납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다.
상술한 고전압 가변 저항기에서, 스냅인 단자는 케이싱의 단자 베이스부에서 지지되므로, 단자 베이스부는 스냅인 단자의 양 측을 지탱하기 위한 삽입 홈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단자 베이스부는 삽입 홈의 내부에 외부 리드선을 삽입하기 위해서 직각으로 확장하는 삽입 구멍을 가지고 있다.
외부 리드선을 스냅인 단자의 구멍 속으로 정확히 압입하기 위해서, 삽입 구멍은 삽입 홈과 정확하게 정렬되게 형성되야 한다.
도 1에서, 삽입 홈(2) 및 삽입 홈과 직각인 삽입 구멍(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을 받는 구조의 금속 몰드(4)에 의해서,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5)에 의해서 단자 베이스부(1) 내부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압력을 받는 구조의 금속 몰드(4)에서, 삽입 홈(2)을 형성하기 위한 제 1몰드(4a)와 삽입 구멍(3)을 형성하기 위한 제 2몰드(4b)는 서로 간단하게 접촉한다. 그러므로, 제 2몰드(4b)의 중심축은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필요한 중심선(X)에 항상 일치하는 건 아니고, 제 2몰드(4b)는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수지의 압력에 의한 양 (δ)만큼 중심선(X)에서 변위한다. 결과적으로, 삽입 구멍(3)은 필요한 중심선(X)에 해당하는 정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없다.
대조적으로,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5)에서는, 삽입 구멍(3)을 형성하는 제 2몰드(5)의 인출단이 삽입 홈(2)을 형성하는 제 1몰드(5a)의 구멍(5a1)에서 꿰뚫는다. 따라서, 수지 또는 그 외의 요인등에 의해 압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제 2몰드(5b)는 제 1몰드(5a)에 의해 고정 위치에서 지지되고, 그 결과로서 삽입 구멍(3)은 필요한 중심선(X)를 따라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의 사용에 의해서 삽입 구멍(3)을 정확하게 형성하는 장점이 제공되기는 하지만, 문제점도 있다. 즉, 제 1몰드(5a)의 구멍(5a1)과 제 2몰드(5b) 사이에 틈이 있슴으로 해서, 그 틈으로 인해 삽입 홈(2)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 구멍(3)의 테두리에서 버르(burr)가 형성된다. 버르는 삽입 홈(2)의 내면으로 돌출하고, 스냅인 단자가 삽입 홈(2)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로인해, 스냅인 단자를 소정의 위치에 삽입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스냅인 단자와 출력 리드선 사이에서 신뢰성있는 접속을 불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삽입 구멍이 삽입 홈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정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스냅인 단자가 어떠한 버르도 생성되지 않고 삽입 홈에서 고정된 위치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삽입 홈과 삽입 구멍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압력을 받는 구조의 금속 몰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V-V)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VI-V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케이싱(casing)의 하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단자 베이스부 및 스냅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고전압 가변 저항 11...절연 케이싱
12...단자 베이스부 14...삽입 홈
15...삽입 구멍 16...릴리프 홈
32...스냅인 단자 32d...접속 구멍
33, 34, 46...출력 접속 전극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자 베이스부를 가지고 있는 절연 케이싱; 상기 절연 케이싱에 수납되고 출력부를 가지고 있는 회로부; 상기 절연 케이싱의 상기 단자 베이스부에 삽입되고 상기 회로부의 출력부에 접속된 스냅인 단자; 및 상기 스냅인 단자와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에서부터 상기 단자 베이스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냅인 단자에 압입되어 접속되는 출력 접속 전극을 포함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로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단자 베이스부는 상기 스냅인 단자를 인도하고 삽입시키도록 배열된 삽입 홈, 상기 출력 접속 단자를 인도하고 삽입시키도록 배열된 삽입 구멍 및 상기 삽입 구멍을 교차하는 상기 삽입 홈의 측면에 위치한 릴리프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삽입 홈, 상기 삽입 구멍, 상기 릴리프 홈은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로부터 일체적으로 동시에 형성된다.
삽입 홈과 릴리프 홈을 형성하는 몰드 및 삽입 구멍을 형성하는 몰드는 뚫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단자 베이스부는 이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몰드가 성형 후에 분리될 때, 주조 버르는 삽입 홈과 삽입 구멍의 교차점에서 형성된다. 버르가 릴리프 홈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스냅입 단자가 삽입 홈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는다. 이 이유로 인해, 스냅인 단자는 고정 위치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스냅인 단자와 출력 접속 전극 사이의 접속을 신뢰성있게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출력 접속 전극은 스냅인 리드선이다. 즉,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출력 단자로서 스냅인 리드선을 사용하고, 삽입 구멍을 경유한 스냅인 단자로 리드선의 코어(core)선을 압입함으로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신뢰성있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는 삽입 홈을 형성하는 제 1몰드와 제 1몰드에서 형성되어 삽입 구멍이 된 구멍에 관통되는 제 2몰드를 포함하고, 릴리프 홈의 깊이는 제 1몰드에 형성된 구멍의 깊이보다 같거나 크다. 즉,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에 의해서 형성된 버르의 두께는 관통된 구멍의 두께보다 크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버르 및 스냅인 단자는 릴리프 홈의 길이가 관통된 구멍의 깊이보다 크도록 설치하므로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신뢰성있게 제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성분, 특성, 양태,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고전압 가변 저항기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고전압 가변 저항기(10)는 칼라텔레비젼 내지 칼라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에서 초점과 밝기를 조정하는데에 사용되는 스냅인 형(type) 포커스팩이다. 고전압 가변 저항기(10)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산화물,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같은 방연성이 높은 재료로 제조된 절연 케이싱(11); 케이싱(11)에 수납된 회로 기판(23); 가변 저항기(24, 25, 26); 포커싱(focusing) 출력부(27, 28); 및 스크린(screen) 출력부(29)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가변 저항기(24, 25, 26)의 조정 손잡이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각 조정 손잡이에 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더(slider)는 회로 기판(23)의 표면에 배치된 저항기(도시되지 않은)에서 미끄러지고, 이에 의해 원하는 저항을 설정한다. 가변 저항기의 개수는 1개, 2개, 아니면 4개 이상이어도 된다. 3개의 출력부가 항상 제공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1개의 출력부만으로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11)은 한 측에서 개구되고, 거기에 단차부(stepped portion; 12)를 가지고 있다. 회로 기판(23)은 단차부(12)에 위치하고, 케이싱(11)의 개구와 회로 기판(23)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는 수지(도시되지 않음)로 채워진다. 단자 베이스부(13)는 케이싱(11)의 한 끝에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단자 베이스부(13)에는 후술할 스냅인 단자(32)를 인도하고 삽입하기 위한 삽입 홈(14)과 출력 접속 전극(33)의 코어선(33a)을 인도하고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15)이 형성된다. 삽입 홈(14) 및 삽입 구멍(15)은 서로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릴리프 홈(16)은 삽입 홈(14)의 측면에서 삽입 구멍(15)과 교차하게 형성된다. 삽입 홈(14)의 틈에서, 경사면(17)은 인도용으로 형성된다. 삽입 홈(14), 삽입 구멍(15), 릴리프 홈(16)은 도 3에 도시된 몰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된다. 릴리프 홈(16)의 깊이는 뚫린 구멍의 깊이보다 큰게 바람직하다.
포커싱 출력부(27)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포커싱 출력 단자(31), 및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스냅인 단자(32)를 포함한다. 포커싱 출력 단자(31)는 회로 기판(23)에 고정되고, 이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포커싱 출력 단자(31)의 한 끝단(31a)은 케이싱(11)의 뒤쪽으로 돌출하고, 다른 끝단(31b)은 스냅인 단자(32)의 스프링(부(32a)에 탄성 접촉하여, 이 스프링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한 접속을 더욱 신뢰성있게 하려면, 스프링부(32a)는 포커싱 출력 단자(31)의 다른 끝단(31b)과 접촉하도록 적당한 돌출부가 있어야 한다.
스냅인 단자(32)의 평탄한 부분(32b)의 양 측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단자 베이스부(13)에 형성된 삽입 홈(14)에 삽입된다. 이 경우에서, 평탄부(32b)의 측부는 삽입 홈(14)의 틈에 위치한 경사면(17)에 의해 부드럽게 인도된다. 안쪽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클로(claw; 32)(예를 들어, 도 8에서는 3개의 클로)를 가진 연결 구멍(32b)은 평탄부(32b)의 거의 중앙에 형성된다. 스냅인 단자(32)가 삽입 홈(14)의 안쪽 부분에 삽입되면, 접속 구멍(32b) 및 삽입 구멍(15)은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한다. 삽입 홈(14)과 삽입 구멍(15)이 동시에 형성될 때, 버르(15a)(도 5를 참조)가 삽입 구멍(15)의 가장자리에 형성될지라도, 릴리프 홈(16)이 버르(15a)가 형성된 삽입 홈(14)의 측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버르(15a)는 삽입 홈(14)로 돌출하지 않고, 스냅인 단자(32)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포커싱 출력 접속 전극(33)은 스냅인 리드선을 포함하고, 절연 케이싱(11)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한 실질적으로 원통형 부분(19)에 삽입된다. 코어선(33a)은 삽입 구멍(15)을 통과하고, 스냅인 단자(32)의 접속 구멍(32d)에 압입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접속 구멍(32b) 및 삽입 구멍(15)이 일직선으로 정렬하므로, 출력 접속 전극(33)의 코어선(33a)은 접속 구멍(32b)의 거의 중앙으로 정확하게 인도된다. 출력 접속 전극(33)을 압입함으로서, 접속 구멍(32b)의 클로(32c)는 구부러져서 출력 접속 전극(33)의 코어선(33a)의 주위면과 압착하고, 이에 의해 코어선(33a)이 제거되거나 떨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 접속 전극(33) 및 스냅인 단자(32)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출력 접속 전극(33)의 코어선(33a)의 인출 끝단이 단자 베이스부(13)의 후측에 위치된 측벽 부분(18)에 접촉하지만, 반드시 접촉할 필요가 있는 건 아니다.
포커싱 외부 전극(28)은 포커싱 출력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스냅인 단자(도시되지 않음)도 또한 포함한다. 포커싱 출력부(28)의 구조는 포커싱 출력부(27)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커싱 출력부(28)의 출력 접속 전극(34)은 또한 스냅인 리드선을 포함하고, 절연 케이싱(11)의 실질적으로 외부로부터 돌출한 대략 원통형 부분(20)에 삽입된다. 코어선은 절연 케이싱(11)의 삽입 구멍을 관통하고, 스냅인 단자의 접속 구멍에 압입된다.
스크린 출력부(29)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스냅인 단자(32)를 가지고 있다. 스크린 출력부(29)의 구조는 스냅인 단자(32)의 스프링부(32a)가 회로 기판(23)의 패턴(pattern)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포커싱 출력부(27)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도 6에서, 도 5에 해당하는 구성성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크린 출력부(29)의 출력 접속 전극(46)은 또한 스냅인 리드선을 포함하며, 절연 케이싱(11)의 출력부에서부터 돌출한 대략 원통형 부분(21)인 곳에 삽입된다. 출력 접속 전극의 코어선(46a)은 절연 케이싱(11)의 삽입 구멍(15)을 관통하고, 스냅인 단자(32)의 접속 구멍(32d)에 압입된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스냅인 단자(32)의 스냅부(32a)는 회로부의 예에서처럼 외부 단자(3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회로 기판(23)의 패턴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지만, 스냅인 단자(32)는 납땜이나 그 밖의 수단에 의해서 스프링 부분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접속될 수 있다.
출력 리드선이 상술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출력 접속 전극(33, 34, 46))처럼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결합 단자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고전압 가변 저항기에 따르면, 삽입 홈 및 삽입 구멍이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이들을 정확히 성형할 수 있다. 더욱이, 버르가 삽입 구멍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때에도, 삽입 홈의 측면에 형성된 릴리프 홈에 의해 스냅인 단자의 삽입이 방해받지 않는다. 이것은 스냅인 단자가 고정 위치에 일정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출력 접속 전극에 신뢰성있게 접속되도록 한다. 지금 고려하고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라는 것이라고 언급하더라도,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반대로, 본 발명은 다양하고도, 부기된 청구항의 개념과 범위 내에 포함된 동가의 변형을 할 수 있다. 다음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등가 구조, 기능을 포함하기 위해 가장 폭넓은 해석을 따른다.

Claims (18)

  1. 단자 베이스부를 가지고 있는 절연 케이싱;
    상기 절연 케이싱에 수납되고 출력부를 가지고 있는 회로부;
    상기 절연 케이싱의 상기 단자 베이스부에 삽입되고 상기 회로부의 출력부에 접속된 스냅인 단자; 및
    상기 스냅인 단자와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에서부터 상기 단자 베이스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냅인 단자에 압입되어 접속되는 출력 접속 전극을 포함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로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단자 베이스부는 상기 스냅인 단자를 인도하고 삽입시키도록 배열된 삽입 홈, 상기 출력 접속 단자를 인도하고 삽입시키도록 배열된 삽입 구멍 및 상기 삽입 구멍을 교차하는 상기 삽입 홈의 측면에 위치한 릴리프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삽입 홈, 상기 삽입 구멍, 상기 릴리프 홈은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로부터 일체적으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접속 전극은 스냅인 리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뚫는 구조의 금속 몰드는 상기 삽입 홈을 형성하는제 1몰드, 및 삽입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 1몰드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제 2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 홈의 깊이는 상기 제 1몰드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가변 저항기는 칼라 텔레비젼과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에서 초점과 밝기를 조정하도록 배열된 스냅인형 포커스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싱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카보네이트 중의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회로 기판, 복수개의 가변 저항기, 포커싱 출력부 및 스크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싱은 한 측이 개구되고, 단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은 단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절연 케이싱의 개구와 회로 기판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가 수지로 채워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과 상기 삽입 구멍은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의 틈새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
  10. 회로부, 스냅인 단자, 출력 접속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제 1몰드 및 상기 제 1몰드에 형성된 구멍을 뚫는 제 2몰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몰드 및 제 2몰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냅인 단자를 인도하고 삽입하도록 배열된 삽입 홈, 상기 출력 접속 전극을 인도하고 삽입하도록 배열된 삽입 구멍 및 상기 삽입 홈을 교차하는 상기 삽입 홈의 측면에 위치된 릴리프 홈을 가지고 있는 단자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절연 케이싱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 홈, 상기 삽입 구멍, 상기 릴리프 홈은 제 1몰드 및 제 2몰드로부터 일체적으로 동시에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절연 케이싱에 상기 회로부를 실장시키는 단계;
    상기 스냅인 단자를 상기 절연 케이싱의 상기 단자 베이스부에 삽입하여, 상기 스냅인 단자를 상기 회로부의 출력부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단자 베이스부에 상기 스냅인 단자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상기 출력 접속 단자를 삽입하여, 상기 출력 접속 단자를 상기 스냅인 단자에 압입하고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홈의 깊이가 상기 제 1몰드에 형성된 상기 구멍의 깊이보다 실질적으로 같거나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접속 전극이 스냅인 리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고전압 가변 저항기는 칼라 텔레비젼,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의 초점과 밝기를 조정하기 위해 배열된 스냅인 형 포커스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싱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회로 기판, 복수개의 가변 저항기, 포커싱 가변 저항기, 포커싱 출력부, 스크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싱은 한 측에서 개구되고, 단차부를 가지고 있으며;
    회로 기판은 단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절연 케이싱의 개구와 회로 기판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가 수지로 채워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구멍이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홈의 틈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가변 저항기의 제조 방법.
KR10-2001-0030723A 2000-06-02 2001-06-01 고전압 가변 저항기 KR100394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5346 2000-06-02
JP2000165346A JP2001345204A (ja) 2000-06-02 2000-06-02 高圧可変抵抗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172A true KR20010110172A (ko) 2001-12-12
KR100394556B1 KR100394556B1 (ko) 2003-08-14

Family

ID=1866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723A KR100394556B1 (ko) 2000-06-02 2001-06-01 고전압 가변 저항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87029B2 (ko)
JP (1) JP2001345204A (ko)
KR (1) KR100394556B1 (ko)
CN (1) CN12126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8796B2 (ja) * 2001-11-07 2007-0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気部品
JP3990187B2 (ja) * 2002-05-14 2007-10-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egrセンサ
JP4170023B2 (ja) * 2002-06-07 2008-10-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センサ
US8081419B2 (en) * 2007-10-17 2011-12-20 Greatbatch Ltd. Interconnections for multiple capacitor anode leads
TW201012357A (en) * 2008-09-11 2010-03-16 Compal Electronics Inc Snap relieving device
CN112289531B (zh) * 2020-10-13 2022-03-04 沅陵县向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脉冲高功率电感电阻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1294Y2 (ja) * 1992-11-27 1999-03-03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高電圧抵抗パック
JPH0672204U (ja) * 1993-03-17 1994-10-07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高圧用電子部品及び高圧用可変抵抗器
TW287349B (ko) 1993-12-28 1996-10-01 Hokuriku Elect Ind
JPH07283001A (ja) * 1994-04-05 1995-10-27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高電圧用可変抵抗器ユニット
TW309159U (en) * 1994-12-28 1997-06-21 Hokuriku Elect Ind Co Ltd High-voltage variable resistor
JPH09186006A (ja) * 1995-12-28 1997-07-15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高電圧用抵抗器ユニット及び高電圧用可変抵抗器ユニット
TW340227B (en) * 1996-06-05 1998-09-11 Murata Manufacturing Co High-voltage variable resistor
JP3166824B2 (ja) * 1996-06-27 2001-05-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圧用可変抵抗器
TW353183B (en) * 1996-12-27 1999-02-21 Hokuriku Elect Ind Electric component and variable resistor for high voltage use
US6627198B2 (en) * 1997-03-13 2003-09-30 Corixa Corporation Fusion protein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tigens and their uses
US6200156B1 (en) * 1998-11-27 2001-03-13 Hokuriku Electric Industry Co., Ltd. Terminal fitment for lead wire connection and high-voltage variable resistor unit with relay terminal fi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14947A1 (en) 2002-02-07
KR100394556B1 (ko) 2003-08-14
CN1212624C (zh) 2005-07-27
US6587029B2 (en) 2003-07-01
CN1327241A (zh) 2001-12-19
JP2001345204A (ja) 200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9770B2 (en) Connector
KR940008442Y1 (ko) 전도성 각부와 인서어트를 구비한 콘넥터
JP3070762B2 (ja) 低損失な電気的相互接続
JP3346360B2 (ja) 電子部品、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機装置
US20060183359A1 (en) Plug-and-socket connector for data transmission via electrical conductors
KR900005087B1 (ko) 콘넥터
US4713633A (en) Cover attaching arrangement for casing of dielectric coaxial resonators
KR20020082411A (ko) 프린트 배선판간 접속 구조
KR20040015375A (ko) 스위칭 기능을 구비한 커넥터
KR100394556B1 (ko) 고전압 가변 저항기
JP2005174553A (ja)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
US4417776A (en) Connectio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al implements
EP0426385A1 (en) Telephone extension socket
JPH11121116A (ja) 電子部品取付ソケット及びこの電子部品取付ソケットに収容される電子部品
JPH0645301U (ja) 高電圧抵抗パック
JP4102295B2 (ja)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US5742218A (en) Flyback transformer
US6677849B1 (en) High-voltage variable resistor
JP5567868B2 (ja) レセプタクル同軸コネクタ
KR0119274Y1 (ko) 버팀엔트리 커넥터
KR20180054230A (ko) 동축 커넥터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rf 커넥터
JPH07302633A (ja) 通信機におけるスピーカ接続構造
EP0884802A2 (en) Electrical connector
JP3665961B2 (ja) 表面接続型コネクタ、及び表面接続型コネクタを用いた接続構造
JPH11224760A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転スロットル位置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