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120A - 디스크이젝트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이젝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120A
KR20010110120A KR1020010029881A KR20010029881A KR20010110120A KR 20010110120 A KR20010110120 A KR 20010110120A KR 1020010029881 A KR1020010029881 A KR 1020010029881A KR 20010029881 A KR20010029881 A KR 20010029881A KR 20010110120 A KR20010110120 A KR 20010110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gear
disk
disc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나카신사쿠
야마나카다카시
Original Assignee
다나신덴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덴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신덴기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1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6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transfer means therefor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의 꺼냄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디스크이젝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픽업구동모터로부터 픽업에 이르는 경로 속에 슬라이딩기구를 개재시키고, 동일 모터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경로 속에 개폐기구를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이젝트장치{DISK EJ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픽업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는 디스크이젝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픽업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는 디스크이젝트장치로서는 종래 픽업구동모터로부터 픽업에 이르는 제 1 동력전달경로와, 상기 픽업구동모터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제 2 동력전달경로를 번갈아 개폐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이젝트조작을 실시하면 우선 제 1 동력전달경로를 단아서 픽업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킨 후 제 1 동력전달경로를 차단하는 동시에 제 2 동력전달경로를 닫아서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젝트조작을 실시해도 바로 디스크의 꺼냄동작을 개시시킬 수 없어서 디스크를 신속하게 꺼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픽업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는 디스크이젝트장치이고, 또한 픽업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면서 디스크의 꺼냄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크를 신속하게 꺼내게 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이젝트장치는 픽업구동모터로부터 픽업에 이르는 제 1 동력전달경로 속에 슬라이딩기구를 개재시키고, 부하가 일정값을 넘으면 해당 슬라이딩기구가 슬라이딩동작하여 픽업구동모터로부터 픽업에 이르는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 상기 픽업구동모터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제 2 동력전달경로 속에는 해당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개재시키고, 이젝트조작에 의해 개폐기구를 닫아서 상기 픽업구동모터에 의해 픽업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면서 상기 디스크꺼냄기구에서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게 한다. 그리고 픽업이 초기위치에 복귀한 후는 상기 슬라이딩기구를 슬라이딩동작시키면서 디스크꺼냄기구에서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동력전달경로 속에 상기 슬라이딩기구보다도 큰 부하에 의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흡수기구를 개재시키면 디스크의 꺼냄을 무리하게 멈추도록 한 경우이어도 과부하흡수기구로 픽업구동모터의 동력을 흡수하여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개폐기구를 닫힘상태로 홀딩하는 홀딩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꺼냄동작의 최종과정에서 해당 홀딩을 해제하여 개폐기구를 열도록 하면 디스크꺼냄완료후 제 2 동력전달경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젝트조작에 동반하여 상기 픽업구동모터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공급수단을 설치하면 이젝트조작시에는 해당 모터를 고속회전시켜서 디스크를 보다 빠르게 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2는 동일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3은 동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4는 동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5는 동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6은 동일 실시예에 과부하흡수기구를 부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에 고전압공급수단을 부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9는 동일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10은 동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1은 동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2는 동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구부분의 개략평면도.
도 14는 동일 실시예의 디스크삽입도중에 있어서의 기구부분의 개략평면도.
도 15는 동일 실시예의 디스크삽입시에 있어서의 기구부분의 개략평면도.
도 16은 동일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7은 동일 실시예의 일부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동일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19는 동일 실시예의 개략회로구성도.
도 20은 동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21은 동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픽업 4: 픽업구동모터
10: 슬라이딩기구 11a: 규제부재
17: 개폐기구 28: 홀딩기구
29: 디스크꺼냄기구 40; 고전압공급수단
70: 재생장치 본체 70a: 삽입구
71: 재생기판 72: 이젝트레버
73: 디스크반송장치 74: 밀어넣음레버
75: 되밀음레버 75a: 되밀음부
76: 캠벽 77: 캠롤러
78: 캠홈 79: 캠핀
80: 회전이동지지축 81: 대기어
82: 중간기어 83: 제 1 동력전달경로
84: 제 2 동력전달경로 85: 개폐기구
86: 제 1 제어스위치 87: 제 2 제어스위치
88: 제 3 제어스위치 89: 제 1 기어
90: 제 2 기어 91: 제 3 기어
92: 제 4 기어 93: 제 5 기어
94: 제 1 마찰판 95: 제 6 기어
96: 결치(缺齒)대기어 96a: 결치부
97: 결치소기어 97a: 결치부
98: 제 2 마찰판 99: 스위치조작캠
100a: 제 1 걸어맞춤부 100b: 제 2 걸어맞춤부
101: 제 1 아암 101a: 걸림고정핀
102: 제 2 아암 102a: 캠핀
103: 제 3 아암 104: 제 4 아암
105: 편심원통부 106: 봉스프링
107: 연산회로 108: 제어회로
109: 구동회로
픽업구동모터로부터 픽업에 이르는 제 1 동력전달경로 속에는 슬라이딩기구를 개재시키고, 픽업구동모터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제 2 동력전달경로 속에는 개폐기구를 개재시킨다. 그래서 이젝트조작을 실시하면 픽업구동모터가 기동하여 픽업이 초기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데, 이젝트조작에 의해 개폐기구가 닫혀서 디스크꺼냄기구가 작동하고 디스크의 꺼냄동작도 개시된다. 그리고 픽업이 초기위치까지 복귀하여 제 1 동력전달경로에 있어서의 부하가 일정값을 넘으면 슬라이딩기구가 슬라이딩동작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한편 디스크꺼냄기구는 픽업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디스크꺼냄동작을 게속한다.
상기 제 2 동력전달경로 속에는 상기 슬라이딩기구보다도 큰 부하에 의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흡수기구를 개재시켜 둔다. 그렇게 하면 디스크의 꺼냄을 무라하게 멈춘 경우이어도 픽업구동모터의 동력을 과부하흡수기구에서 흡수하여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홀딩기구에 의해 이젝트버튼을 밀어넣음위치에 고정시켜서 상기 개폐기구를 닫힘상태로 홀딩하고, 디스크꺼냄기구가 디스크꺼냄동작의 최종과정에서 이젝트버튼을 복귀시키도록 하면 디스크꺼냄동작의 종료와 동시에 개폐기구가 열려서 제 2 동력전달기구가 차단된다.
이젝트조작에 동반하여 고전압공급수단에 의해 픽업구동모터에 고전압을 공급하도록 하면 모터가 고속회전하여 픽업의 복귀동작과 디스크의 꺼냄을 더욱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크이젝트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디스크이젝트장치를 구비한 디스크플레이어의 개략평면도이고, 디스크(12)가 소정의 재생위치에 장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1은 턴테이블, 2는 픽업, 3은 이 픽업(2)을 지지하여 왕복동작 가능한 픽업지지체, 4는 픽업구동모터이다.
상기 턴테이블(1)은 턴테이블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상기 픽업지지체(3)는 일부에 랙(5)을 구비하고, 직선궤도를 따라서 스토퍼(6a, 6b)간을 왕복운동 자유롭다. 랙(5)의 근처에는 피니언(7)과 웜기어(8)가 동축상에 배치되고, 랙(5)에는 피니언(7)을 맞물리게 하고 있다. 피니언(7)과 웜기어(8)의 사이에는 도 2와 같이 마찰판(9)을 끼워 통하여 피니언(7)과 마찰판(9)으로 슬라이딩기구(10)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슬라이딩기구(10)는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픽업(2)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제 1 동력전달경로) 속에 개재하게 된다.
웜기어(8)는 픽업구동모터(4)의 축에 고정된 웜(11)에 맞물리고, 픽업구동모터(4)의 회전은 웜(11), 웜기어(8), 슬라이딩기구(10) 및 랙(5)을 통하여 픽업지지체(3)에 전달된다. 픽업구동모터(4)가 한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픽업지지체(3)의 이동에 동반하여 픽업(2)이 디스크(12)의 기록면을 따라서 그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픽업구동모터(4)가 다른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이에 동반하여 픽업(2)이 내측의 초기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디스크재생시에 있어서의 픽업지지체(3)의 이동범위는 최대 이동범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종단까지 이동하는 일은 없지만 디스크꺼냄조작을 실시하면 픽업구동모터(4)는 픽업지지체(3)가 스토퍼(6a)에 의해 규제되어 초기위치에 정지한 후도 피니언(7)과 마찰판(9)의 사이에서 슬라이딩동작시키면서 다시 계속 회전한다.
도면 중 13은 캠기어이다. 이 캠기어(13)는 이면측에 소용돌이캠(14)을 갖는다. 캠기어(13)의 축에는 회전이동판(15)이, 중앙부분을 지지되어 있다. 회전이동판(15)은 일단측에서 전환기어(16)를 지지하고 이 기어(16)를 캠기어(13)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전환기어(16)와 회전이동판(15)은 개폐기구(17)를 구성하는 것으로, 회전이동판(15)의 회전이동에 동반하고, 전환기어(16)는 웜기어(8)에 대하여 이반 또는 맞물려서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제 2 동력전달경로)를 개폐한다.
도면 중 18은 이젝트버튼이다. 이젝트버튼(18)은 일부에 눌러내림돌기부(19)를 갖고, 항상 스프링(20)에 의해 복귀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젝트버튼(18)의 근처에는 훅레버(21)가 배치되어 있다. 훅레버(21)는 축(22)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이동 자유로우며, 그 일단에는 경사면(23) 및 걸림고정단부(24)가 연속형성되고, 경사면(23)을 이젝트버튼(18)의 눌러내림돌기부(19)에 대향시키고 있다. 또 훅레버(21)의 타단에는 판스프링(25)이 붙여 고정되고, 이 판스프링(25)의 단부를 상기 회전이동판(15)의 타단측에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또 훅레버(21)는 스프링(26)에 의해 항상 한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그 탄성지지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을 스토퍼(27)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훅레버(21), 스프링(26) 및 스토퍼(27)에 의해 홀딩기구(28)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면 중 29는 디스크꺼냄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슬라이드판이다. 디스크꺼냄기구는 슬라이드판(29)의 도면 중 윗방향으로의 이동에 동반하여 재생위치에 있는 디스크(12)를 꺼내는 동작을 실시하는데, 디스크꺼냄기구 자체는 공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슬라이드판(29)에는 상기 훅레버(21)의 일부에 대향하는 눌러내림돌기부(30)와 걸어맞춤돌기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32는 축(33)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이동 자유로운 연결레버이며, 일단에 설치된 캠핀(34)을 상기 캠기어(13)의 소용돌이캠(14)에 맞닿게 하고, 타단을 슬라이드판(29)의 걸어맞춤돌기부(31)에 대향시키고 있다.
회전이동판(1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전환기어(16)(개폐기구(17))가 웜기어(8)에 맞물리면 픽업구동모터(4)의 회전이 웜기어(8) 및 전환기어(16)를 통하여 캠기어(13)에 전달되고, 캠기어(13)의 회전에 동반하여 소용돌이캠(14)이 연결레버(32)의 캠핀(34)을 눌러서 연결레버(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다. 그리고 연결레버(32)가 슬라이드판(29)의 걸어맞춤돌기부(31)를 누르고, 슬라이드판(29)이 도면 중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크꺼냄기구가 디스크꺼냄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이젝트장치에 따르면 턴테이블(1)상에 디스크(12)가 장전되어 재생동작이 실시되고 있는 도중에 이젝트버튼(18)을 밀어넣으면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투입되어 픽업(2)을 초기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젝트버튼(18)의 눌러내림돌기부(19)가 훅레버(21)의 경사면(23)을 눌러서 훅레버(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훅레버(21)는 회전이동판(1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전환기어(16)를 웜기어(8)에 맞물리게 한다. 훅레버(21)의 잉여의 회전이동은 판스프링(25)의 휨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젝트버튼(18)의 눌러내림돌기부(19)가 경사면(23)으로부터 빠지면 훅레버(18)가 스프링(26) 및 판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해 약간 복귀하고, 도 3과 같이 걸림고정단부(24)로 이젝트버튼(18)을 밀어넣음위치에 고정시키므로 전환기어(15)는 웜기어(8)에 맞물린 위치에 홀딩된다.
그래서 픽업구동모터(4)의 회전이 웜기어(8) 및 슬라이딩기구(10)를 통하여 픽업지지체(3)에 전달되고, 픽업(2)이 디스크(12)의 기록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동시에 픽업구동모터(4)의 회전이 웜기어(8) 및 개폐기구(17)를 통하여 캠기어(13)에 전달되고, 캠기어(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동반하여 도 4와 같이 소용돌이캠(4)이 연결레버(32)의 캠핀(34)을 눌러서 연결레버(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킨다. 그래서 연결레버(32)의 타단이 슬라이드판(29)의 걸어맞춤돌기부(31)를 눌러서 슬라이드판(29)을 도면 중 윗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슬라이드판(29)의 이동에 의해 디스크꺼냄기구가 재생위치에 있는 디스크(12)를 꺼내는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픽업지지체(3)는 스토퍼(6a)에 맞닿아서 정지하고 픽업(2)을 초기위치에 위치시키는데, 픽업구동모터(4)는 슬라이딩기구(10)를 구성하는 피니언(7)과 마찰판(9)의 사이에서 슬라이딩을 생기게 하면서 계속 회전한다. 또 캠기어(13)는 모터(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고, 슬라이드판(29)을 계속 이동한다. 그리고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의 꺼냄이 완료하는 최종단계에서 도 5와 같이 슬라이드판(29)의 눌러내림돌기부(30)가 훅레버(21)를 누른다. 그렇게 하면 훅레버(21)가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이동하므로 이젝트버튼(18)의 눌러내림돌기부(19)가 걸림고정단부(24)로부터 빠지고 이젝트버튼(18)은 스프링(20)에 의해 복귀한다. 또 이젝트버튼(18)의 복귀에 의해 픽업구동모터(4)가 정지하고, 훅레버(21) 및 회전이동판(15)은 초기위치에 복귀하며, 전환기어(16)는 웜기어(8)로부터 이반한다.
이상과 같이 이 디스크이젝트장치는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픽업(2)에 이르는 제 1 동력전달경로 속에 슬라이딩기구(10)를 개재시키고,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제 2 동력전달경로 속에는 해당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17)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이젝트조작에 의해 개폐기구(17)를 닫음으로써 상기 픽업구동모터(4)의 동력으로 픽업(2)을 초기위치에 이동시키면서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12)의 꺼냄을 실시하게 하여 픽업(2)이 초기위치에 복귀한 후도 슬라이딩기구(10)를 슬라이딩동작시키면서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12)의 꺼냄을 계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2)의 꺼냄개시시기를 앞당겨서 디스크(12)를 신속하게 꺼낼 수 있다.
또 이젝트버튼(18)을 홀딩기구(28)에 의하여 밀어넣음위치에 홀딩하고,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꺼냄동작의 최종과정에서 그 홀딩을 해제하여 전환기어(16)를 웜기어(8)로부터 이반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디스크꺼냄종료와 동시에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과부하흡수기구를 부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둔다.
즉 회전이동판(15)의 일단측에는 전환기어(16)의 외에 이것과 동일 직경의 또 1장의 기어(35)를 겹쳐서 지지시키고, 양 기어(16, 35)간에 마찰판(36)을 끼워서 기어(35)와 마찰판(36)으로 과부하흡수기구(37)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이동판(15)의 회전이동에 동반하여 기어(35)를 웜기어(8)에 대해 이반 또는 맞물리게 한다.
그래서 기어(35)를 웜기어(8)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는 픽업구동모터(4)의 회전은 웜기어(8), 기어(35) 및 전환기어(16)를 통하여 캠기어(13)에 전달되는, 또한 연결레버(32)를 통하여 슬라이드판(29)을 포함하는 디스크꺼냄기구에 전달되게 된다. 그런데 디스크꺼냄 중에 디스크(12)의 꺼냄을 방해하는 무리한 외압이 가해진 경우에는 기어(35)와 마찰판(36)으로 슬라이딩동작하여 웜기어(8)로부터 캠기어(13)로의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과부하흡수기구(37)는 상기 슬라이딩기구(10)보다도 큰 부가에 의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디스크꺼냄 중에 디스크(12)의 꺼냄을 방해하는 무리한 외압이 가해진 경우에는 기어(35)와 마찰판(36)으로 슬라이딩동작함으로써 동력전달경로를 구성하는 각 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이젝트조작시만 픽업구동모터(4)로의 공급전압을 높이는 구성을 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둔다.
즉 도면 중 38a, 38b는 각각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이다. 또 39는 픽업구동모터(4)의 제어스위치(39a, 39b, 39c)는 각각 제어스위치(39)의 제 1 접점, 제 2 접점, 제 3 접점이고, 제 1, 제 2 전원(38a, 38b)과 제어스위치(39)로 고전압공급수단(40)을 구성하고 있다.
픽업구동모터(4)는 제 1 전원(38a)에 제 1 및 제 2 접점(39a, 39b)을 직렬로 통하여 접속하고, 제 3 접점(39c)과 제 2 접점(39b)의 사이에는 제 2 전원(38b)을끼워 통한다.
그리고 디스크재생시에는 제어스위치(39)의 제 1, 제 2 접점(39a, 39b)간을 닫고, 이젝트시에는 이젝트버튼(18)의 밀어넣음동작에 의해 제어스위치(39)의 제 1, 제 3 접점(39a, 39c)간을 닫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크재생시에 있어서도 모터(4)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극성 반전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면 픽업구동모터(4)는 재생시에는 제 1 전원(38a)에만 접속되고, 이젝트시에는 제 1, 제 2 전원(38a, 38b)의 직렬회로에 접속되게 되며, 이젝트시에는 모터(4)가 고속회전하여 이젝트동작이 신속하게 실시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크이젝트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인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호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8은 디스크이젝트장치를 구비한 디스크플레이어의 개략평면도이고, 디스크(12)가 소정의 재생위치에 장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턴테이블(1)의 근처위치에 픽업(2)을 지지한 픽업지지체(3)를 배치하고, 이것을 픽업구동모터(4)에 의해 왕복구동하는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똑같다. 또 픽업구동모터(4)의 회전을 웜(11), 웜기어(8) 및 피니언(7)에 차례차례 전달하고, 또한 랙(5)을 통하여 픽업지지체(3)를 스토퍼(6a, 6b)간의 범위에서 직접적으로 이동하는 구성도 제 1 실시예와 똑같다.
웜기어(8)의 상면측에는 중간기어(41)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기어(41)와 피니언(7)의 사이에는 도 9와 같이 마찰판(9)을 끼워 통하여 피니언(7)과마찰판(9)으로 슬라이딩기구(10)를 구성하고 있다. 이 슬라이딩기구(10)는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픽업(2)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제 1 동력전달경로) 속에 개재한다.
웜기어(8)의 근처에는 동축 또는 일체화된 대소기어(42, 43)가 배치되고, 그 대기어(42)를 중간기어(41)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또 대소기어(42, 43)의 축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이동 자유로운 회전이동판(44)에, 개폐기구로서의 전환기어(45)를 지지시키고, 이 전환기어(45)를 소기어(43)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또한 소기어(43)와 회전이동판(44)의 사이에는 마찰판(46)이 끼워 통해지고, 회전이동판(44)이 대소기어(42, 43)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동일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축(47)에는 디스크꺼냄기구로서의 디스크되밀음판(48)이 회전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되밀음판(48)의 회전이동중심부에는 선형기어(49) 및 산형돌기부(50)가 각각 형성되고, 선형기어(49)의 근처에는 캠홈(51)이 형성되며, 또한 되밀음판(48)의 회전이동단부에는 디스크(12)의 외주에 맞닿는 맞닿음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캠홈(51)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점차 되밀음판(48)의 회전이동중심에 가까워지는 형상을 이루지만 캠홈(51)의 타단부는 회전이동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경사한 경사부(53)로 되어 있다.
선형기어(49)에는 기어(54)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이동판(44)의 회전이동에 의해 전환기어(45)를 기어(54)에 대하여 이반 또는 맞물리게 하도록 하고 있다.
축(55)에는 디스크밀어넣음판(56)이 회전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밀어넣음판(56)에 형성된 캠핀(57)을 상기 캠홈(51)에 걸어맞추게 하여 되밀음판(48)과 밀어넣음판(56)을 연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밀어넣음판(56)의 회전이동단부에는 디스크(12)의 외주에 맞닿는 맞닿음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59는 홀딩레버이다. 이 레버(59)는 일단에 눌러내림부(60)를 갖고, 축(61)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이동 자유로우며, 또한 스프링(62)에 의해 눌러내림부(60)를 상기 산형돌기부(50)에 눌러붙이고 있다. 따라서 되밀음판(48)의 회전이동에 동반하여 산형돌기부(50)에 대한 눌러내림부(60)의 맞닿음위치가 변화하고, 눌러내림부(60)가 산형돌기부(50)의 정점을 경계로 하여, 도 8과 같이 산형돌기부(50)의 왼쪽의 경사면에 맞닿아 있을 때는 되밀음판(48)을 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눌러내림부(58)가 도 10과 같이 산형돌기부(50)의 오른쪽의 경사면에 맞닿아 있을 때는 되밀음판(48)을 반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도면 중 63은 이젝트버튼이다. 이젝트버튼(63)의 선단에는 떼어냄레버(64)의 일단이 연결되고, 떼어냄레버(64)의 타단은 상기 전환기어(45)의 축(65)에 대향시키고 있다. 떼어냄레버(64)는 축(66)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이동 자유롭고, 스프링(67)으로 한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 탄성지지의 방향은 이젝트버튼(63)을 복귀시키고, 또한 전환기어(45)를 기어(54)로부터 떼어내는 방향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10과 같이 디스크(12)의 외주에서 되밀음판(48)의 맞닿음부(52)를 밀면서 디스크(12)를 삽입해가면 되밀음판(4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밀어넣음판(56)도 되밀음판(48)에 추종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곧 홀딩레버(59)의 눌러내림부(60)가 도 11과 같이 산형돌기부(50)의 정점에 달하여 다시 디스크(12)를 삽입해가면 되밀음판(48)은 스프링(62)의 탄성력을 산형돌기부(50)의 왼쪽의 경사면에서 받고 한꺼번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한다. 이 때 밀어넣음판(56)의 맞닿음부(58)에서 디스크(12)의 외주를 밀어서 디스크(12)를 장치내에 밀어넣어간다. 그리고 캠핀(57)이 캠홈(51)의 경사부(53)로 이행하면 밀어넣음판(56)은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이동하고, 도 8과 같이 맞닿음부(58)가 디스크(12)로부터 이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재생동작이 실시되고 있는 도중에 도 12와 같이 이젝트버튼(63)을 밀어넣으면 모터(4)의 회전이 슬라이딩기구(10)를 통하여 피니언(7)에 전달되고, 픽업(2)이 초기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또 대소기어(42, 43)의 회전에 의해 회전이동판(4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전환기어(54)를 기어(54)에 맞물리게 한다.
그래서 모터(4)의 동력이 기어(45)를 통하여 되밀음판(48)에 전달되고 되밀음판(4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도 11과 같이 맞닿음부(52)에서 디스크(12)를 되민다. 그리고 맞닿음부(52)가 산형돌기부(50)의 오른쪽의 경사면을 밀게 되면 되밀음판(48)은 한꺼번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도 10과 같이 맞닿음부(52)에서 디스크(12)를 되민다.
디스크(12)가 되밀어진 것을 감지하여 모터(4)가 정지하면 떼어냄레버(64)가 전환기어(45)를 기어(54)로부터 떼어내면서 스프링(67)에 의해 복귀한다.
또한 디스크되밀음판(48)에 의한 디스크(12)의 꺼냄동작은 픽업(2)이 초기위치에 달한 후는 슬라이딩기구(10)를 슬라이딩동작시키면서 계속된다.
이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똑같이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픽업(2)에 이르는 제 1 동력전달경로 속에 슬라이딩기구(10)를 개재시키고,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디스크되밀음판(48))에 이르는 제 2 동력전달경로 속에는 해당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디스크되밀음판(48))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이젝트조작에 의해 개폐기구를 닫음으로써 상기 픽업구동모터(4)의 동력으로 픽업(2)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12)의 꺼냄을 실시하게 하고, 픽업(2)이 초기위치에 복귀한 후도 슬라이딩기구(10)를 슬라이딩동작시키면서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12)의 꺼냄을 계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2)의 꺼냄개시시기를 앞당겨서 디스크(12)를 신속하게 꺼낼 수 있다.
또 이젝트버튼(18)을 홀딩기구(28)에 의하여 밀어넣음위치에 홀딩하고,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꺼냄동작의 최종과정에서 그 홀딩을 해제하여 전환기어(16)를 웜기어(8)로부터 이반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디스크꺼냄종료와 동시에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디스크이젝트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3 내지 도 15는 디스크재생장치의 기구부분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고, 도 13은 디스크삽입전의 상태, 도 14는 디스크(12)를 삽입하는 도중상태, 도 15는디스크(12)가 재생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재생장치본체(70)의 내부에는 재생기판(71)이 본체(70)에 대하여 뜬 상태로 탄성지지되고, 본체(70)의 외측면에는 이젝트레버(72)가 진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재생기판(71)에는 디스크반송장치(73)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반송장치(73)는 디스크삽입구(70a)로부터 삽입된 디스크(12)를 재생위치까지 밀어넣는 밀어넣음레버(74)와, 디스크(12)를 재생위치로부터 삽입구(70a)를 향하여 되미는 되밀음레버(75)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되밀음레버(75)는 디스크꺼냄기구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 되밀음레버(75)에는 캠벽(76)이 형성되고, 이 캠벽(76)의 외면에 캠롤러(77)를 탄성적으로 밀어붙여서 되밀음레버(75)를 중립위치로부터 한방향 또는 다른방향으로 회전이동 탄성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되밀음레버(75)는 곡선상의 캠홈(78)을 갖고, 밀어넣음레버(74)는 이 캠홈(78)에 삽입하는 캠핀(79)을 갖고 있다. 또한 도면 중 80은 되밀음레버(75)의 회전이동지점축을 나타내고 있다. 또 되밀음레버(75)에는 대기어(81)가 동축일체로 형성되고, 이 대기어(81)를 중간기어(82)에 항상 맞물리게 하고 있다. 되밀음레버(75)는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때 그 되밀음부(75a)에서 디스크(12)를 재생위치로부터 삽입구(70a)를 향하여 되민다.
재생기판(71)의 이면측에는 도 16과 같이 픽업(2), 픽업구동모터(4), 제 1 동력전달경로(83), 제 2 동력전달경로(84), 제 2 동력전달경로(84)를 개폐하는 개폐기구(85), 제 1, 제 2 및 제 3 제어스위치(86, 87, 88)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제어스위치(86)는 삽입구(70a)로부터 삽입된 디스크(12)가 재생위치까지 반송되었을 때 모터기동신호를 발생한다. 제 2 제어스위치(87)는 픽업(2)이 디스크(12)의 리드인영역에 있는 것을 검출하여 픽업위치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제 3 제어스위치(88)는 디스크(12)가 삽입구(70a)로부터 꺼냄 가능한 위치까지 되밀어졌을 때 모터정지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도면 중 11a는 웜(11)의 축방향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동력전달경로(83)는 도 16과 같이 웜(11)에 맞물리는 제 1 기어(89), 이것과 동축일체의 제 2 기어(90), 제 2 기어(90)에 맞물리는 제 3 기어(91), 이것에 맞물리는 제 4 기어(92) 및 이것과 동축을 이루는 제 5 기어(93)로 구성되어 있다. 제 5 기어(93)는 픽업지지체의 랙(5)에 맞물려 있다. 제 4, 제 5 기어(92, 93)간에는 제 1 슬라이딩기구를 구성하는 제 1 마찰판(94)이 끼워 통해져 있다.
제 2 동력전달경로(84)는 제 3 기어(91)와 동축의 제 6 기어(95), 결치대기어(96) 및 이것과 동축일체의 결치소기어(9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치대기어(96)는 보통은 결치부(96a)를 제 6 기어(95)에 대향시켜서 제 6 기어(95)와는 비맞물림상태로 홀딩되어 있으나, 약간 회전함으로써 그 유치(有齒)부를 제 6 기어(95)에 맞물리게 한다. 또 결치소기어(97)는 보통은 결치부(97a)를 상기 중간기어(82)에 대향시켜서 중간기어(82)와는 비맞물림상태로 홀딩되어 있으나, 약간 회전함으로써 그 유치부를 중간기어(82)에 맞물리게 한다. 제 3 기어(91)와 제 6 기어(95)의 사이에는 제 2 슬라이딩기구를 구성하는 제 2 마찰판(98)이 끼워 통해져 있다. 또한 결치대기어(96)에는 스위치조작캠(99) 및 제 1, 제 2 걸어맞춤부(100a, 10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기구(85)는 회전이동 자유로운 레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폐기구(85)는 회전이동중심으로부터 4개의 아암(101, 102, 103, 104)을 방사상으로 연장돌출하게 하고, 제 1 아암(101)의 단부에는 걸림고정핀(101a), 제 2 아암(102)의 단부에는 캠핀(102a)을 각각 갖고 있다. 그리고 걸림고정핀(101a)을 상기 제 1 걸어맞춤부(100a) 또는 제 2 걸어맞춤부(100b)에 걸어맞추게 하고 결치대기어(96) 및 결치소기어(97)의 각 결치부(96a, 97a)를, 각각 제 6 기어(95) 및 중간기어(82)에 대향시키는 동시에, 캠핀(102a)을 상기 캠벽(76)의 내면에 맞닿게 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제 3 아암(103)에서 상기 제 1 제어스위치(86)를 ON, OFF조작하고, 제 4 아암(104)은 상기 이젝트레버(72)에 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치대기어(96)의 하면에는 도 17에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원통부(105)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편심원통부(105)에는 봉스프링(106)을 눌러붙여서 결치대기어(96)에 회전이동력을 부여하고, 제 1 아암(101)의 걸림고정핀(101a)이 제 1 걸어맞춤부(100a) 또는 제 2 걸어맞춤부(100b)로부터 빠졌을 때에 결치대기어(96) 및 결치소기어(97)의 각 유치부를, 각각 제 6 기어(95) 및 중간기어(82)에 맞물리게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봉스프링(106)은 개폐기구(85)의 회전이동지지축에 장착되고 개폐기구(85)를 도 16 및 도 18에 있어서의 시계둘레방향(화살표방향)으로 항상 탄성지지하고 있으나, 되밀음레버(75)가 디스크(12)를 되민 위치에 있을 때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벽(76)을 캠핀(102a)에 맞닿게 하여 걸림고정핀(101a)을 제 1 걸어맞춤부(100a)와 걸어맞추는 위치에 홀딩하고 있다.
도 19는 디스크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107은 제 1 내지 제 3 제어스위치(86, 87, 88)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디스크재생장치의 동작상태를 판별하는 연산회로, 108은 연산회로(10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디스크재생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회로, 109는 제어회로(108)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픽업구동모터(4)를 제어하는 구동회로이다.
제 1 제어스위치(86)가 ON으로 되면 연산회로(107)가 제어회로(108)를 통하여 구동회로(109)를 작동시키고, 픽업구동모터(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픽업(2)을 디스크(12)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어회로(108)는 픽업(2)에 의한 디스크재생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 1 제어스위치(86)가 OFF로 되면 연산회로(107)가 제어회로(108)를 통하여 구동회로(109)를 작동시키고, 픽업구동모터(4)에 고전압을 공급하여 모터(4)를 고속으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픽업(2)이 디스크(12)의 리드인영역을 향하여 고속이동하는 동시에 제어회로(108)에 의해 재생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 3 제어스위치(88)가 OFF로 되면 모터(4)는 정지한다.
다음에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스크삽입전은 도 13과 같이 밀어넣음레버(74) 및 되밀음레버(75)가 디스크(12)를 받아들이는 위치에 있고, 또한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벽(76)이 캠핀(102a)을 눌러내려서 개폐기구(85)의 걸림고정핀(101a)을 제 1 걸어맞춤부(100a)에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이 때 제 1 제어스위치(86) 및 제 3 제어스위치(88)는 OFF이고, 픽업구동모터(4)는 정지하고 있지만 제 2 제어스위치(87)는 랙(5)에 눌려서 ON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디스크(12)를 디스크삽입구(70a)로부터 삽입하면 되밀음레버(75)가 디스크(12)에 눌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캠롤러(77)가 캠벽(76)의 정점을 넘은 후는 캠롤러(77)의 눌러내림력에 의하여 되밀음레버(75)가 시계방향으로 크게 회전이동하여 도 20과 같이 캠벽(76)을 캠핀(102a)으로부터 이반시킨다. 또 밀어넣음레버(74)도 되밀음레버(75)에 연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디스크(12)를 재생위치까지 밀어넣어 간다.
캠벽(76)이 캠핀(102a)으로부터 이반함으로써 개폐기구(8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걸림고정핀(101a)이 제 1 걸어맞춤부(100a)로부터 빠져서 제 2 걸어맞춤부(100b)의 궤도상에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결치대기어(96) 및 결치소기어(97)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하는데 각각의 유치부를 대응하는 기어에 맞물리게 하기까지는 이르지 않고 제 2 걸어맞춤부(100b)를 걸림고정핀(101a)에 맞닿게 하여 정지한다. 또 제 1 제어스위치(86)가 제 3 아암(103)에 눌려서 ON으로 되고 픽업구동모터(4)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모터(4)의 회전력이 제 1 동력전달경로(83)를 통하여 랙(5)에 전달되고, 픽업(2)이 디스크(12)의 리드인영역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이동하여 디스크재생이 실시된다.
디스크재생동작 중에 이젝트레버(72)를 밀어넣으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레버(72)가 제 4 아암(104)을 누르고 개폐기구(8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걸림고정핀(101a)을 제 2 걸어맞춤부(100b)로부터 빼어서 제 1 걸어맞춤부(100a)의 궤도상에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 3 아암(103)이 제 1제어스위치(86)로부터 이반하여 동일 스위치(86)가 OFF로 되고 모터(4)가 고속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걸림고정핀(101a)이 제 2 걸어맞춤부(100b)로부터 빠짐으로써 결치대기어(96) 및 결치소기어(97)의 각 유치부가 각각 제 6 기어(95) 및 중간기어(82)에 맞물리고, 모터(4)의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은 제 1 동력전달경로(83) 및 랙(5)을 통하여 픽업(2)에 전달되는 동시에 제 2 동력전달경로(84) 및 중간기어(82)를 통하여 대기어(81)에도 전달된다. 모터(4)의 회전력이 대기어(81)에 전달됨으로써 되밀음레버(7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고 그 되밀음부(75a)에 의해 디스크(12)를 디스크삽입구(70a)를 향하여 되민다. 또 결치대기어(96)와 일체의 스위치조작캠(99)의 회전에 의해 제 3 제어스위치(88)는 일단 ON으로 되지만, 제 1 걸어맞춤부(100a)가 걸림고정핀(101a)에 맞닿아서 결치대기어(96) 및 스위치조작캠(99)이 정지하기 직전에 다시 OFF로 되고 모터(4)가 정지한다.
한편 모터(4)의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제 1 동력전달경로(83) 및 랙(5)을 통하여 픽업(2)에 전달됨으로써 픽업(2)은 디스크(12)의 리드인영역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픽업(2)이 리드인영역에 달했을 때 랙(5)이 제 2 제어스위치(87)를 눌러내려서 동일 스위치(87)를 ON으로 한다.
픽업구동모터(4)는 제 3 제어스위치(88)가 스위치조작캠(99)에 의해 OFF로 전환되기까지 계속 회전하고 되밀음레버(75)에 의한 디스크(12)의 이젝트동작을 완료시킨다. 단 픽업(2)이 리드인영역에 달한 후는 제 1 회전전달경로(83) 속에 끼워 통해진 제 1 슬라이딩기구(제 1 마찰판(94))를 슬라이딩동작시키면서 되밀음레버(75)에 의한 디스크(12)의 이젝트동작히 실시되게 된다.
또한 되밀음레버(75)로 디스크(2)를 되밀고 있는 도중에 오조작 또는 쓸데없는 조작 등에 의해 되밀음레버(75)의 움직임이 무리하게 저해된 경우에는 제 2 회전전달경로(84) 속에 끼워 통해진 제 2 슬라이딩기구(제 2 마찰판(98))가 슬라이딩동작하여 디스크(2), 모터(4) 그 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저해된 상태가 해제되면 그 시점으로부터 되밀음레버(75)에 의한 디스크되밀음동작이 재개되므로 디스크(2)를 삽입구(70a)로부터 확실히 꺼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픽업구동모터로부터 픽업꺼냄기구에 이르는 경로 속에 슬라이딩기구를 개재시킴으로써 픽업을 초기위치에 복귀시키면서 디스크의 꺼냄동작을 개시시키고, 픽업이 초기위치에 복귀한 후는 슬라이딩기구를 슬라이딩동작시키면서 디스크의 꺼냄동작을 계속할 수 있어서 디스크를 신속하게 꺼낼 수 있다.
또 픽업구동모터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 속에 상기 슬라이딩기구보다도 큰 부하에 의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흡수기구를 개재시킴으로써 디스크의 꺼냄을 무리하게 멈추고자한 경우이어도 과부하흡수기구에서 픽업구동모터의 동력을 흡수하여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픽업구동모터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에 이르는 동력전달경로 속에 개폐기구를 개재시키고, 이 기구를 이젝트조작에 의하여 닫도록 하며, 또한 이 개폐기구를 닫힘상태로 홀딩하는 홀딩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꺼냄동작의 최종과정에서 해당 홀딩을 해제하여 개폐기구를 열도록 함으로써 디스크꺼냄완료후 제 2 동력전달경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젝트조작에 동반하여 상기 픽업구동모터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공급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이젝트조작시에는 해당 모터를 고속회전시켜서 디스크를 보다 빠르게 꺼낼 수 있다.

Claims (4)

  1. 픽업구동모터(4)로부터 픽업(2)에 이르는 제 1 동력전달경로와, 상기 픽업구동모터로부터 디스크꺼냄기구(29, 48)에 이르는 제 2 동력전달경로를 구비하고, 픽업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는 디스크이젝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전달경로 속에 부하가 일정값을 넘으면 슬라이딩동작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슬라이딩기구(10)를 개재시키고,
    상기 제 2 동력전달경로 속에 해당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17)를 개재시키고,
    이젝트조작에 의해 상기 픽업구동모터를 기동시켜서 픽업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개폐기구를 닫아서 상기 디스크꺼냄기구에서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게 하고, 픽업이 초기위치에 복귀한 후는 상기 슬라이딩기구를 슬라이딩동작시키면서 상기 디스크꺼냄기구에서 디스크의 꺼냄을 실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이젝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력전달경로 속에는 상기 슬라이딩기구보다도 큰 부하에 의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과부하흡수기구(37)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이젝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를 닫힘상태로 홀딩하는 홀딩기구(28)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꺼냄기구에 의한 디스크꺼냄동작의 최종과정에서 해당 홀딩을 해제하여 개폐기구를 열림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이젝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이젝트조작에 동반하여 상기 픽업구동모터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공급수단(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이젝트장치.
KR1020010029881A 2000-06-01 2001-05-30 디스크이젝트장치 KR200101101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3852A JP2001344860A (ja) 2000-06-01 2000-06-01 ディスクイジェクト装置
JP2000-163852 2000-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120A true KR20010110120A (ko) 2001-12-12

Family

ID=1866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881A KR20010110120A (ko) 2000-06-01 2001-05-30 디스크이젝트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63778B2 (ko)
JP (1) JP2001344860A (ko)
KR (1) KR20010110120A (ko)
DE (1) DE101266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9153A (ja) * 2001-08-21 2003-02-28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3077200A (ja) 2001-09-03 2003-03-14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搬送装置
JP2003109275A (ja) * 2001-09-28 2003-04-11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搬送装置
JP2006244068A (ja) * 2005-03-02 2006-09-1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T503139B1 (de) 2006-02-08 2009-02-15 Blum Gmbh Julius Ausstosser mit rutschkupplung
TW200841327A (en) * 2007-04-04 2008-10-16 Quanta Storage Inc Emergency ejection device for a slot-in optical drive
TWI342549B (en) * 2007-06-22 2011-05-21 Asustek Comp Inc Disc drive
KR20240063139A (ko) * 2021-10-05 2024-05-09 가부시키가이샤 망요 절단기의 재료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80B1 (en) * 1985-01-23 1990-05-03 Sanyo Electric Co Disc player
US5473593A (en) * 1994-01-06 1995-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disk transport tray moved by a disk reading mechanism
KR0137539B1 (ko) * 1994-12-29 1998-05-15 배순훈 광디스크플레이어의 트레이이송장치(disc tray loading mechanism of optical disc player)
US6266311B1 (en) * 1997-10-09 2001-07-24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k player
JP3588713B2 (ja) 1999-04-12 2004-1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63778B2 (en) 2003-05-13
US20020015375A1 (en) 2002-02-07
DE10126620A1 (de) 2002-01-17
JP2001344860A (ja) 200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5914B2 (en) Optical disc device
KR20010110120A (ko) 디스크이젝트장치
JP3867692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6330216B1 (en) Recording medium transfer apparatus
KR20010112067A (ko) 디스크이젝트장치
US6711114B2 (en) Disc transfer apparatus with toggle mechanism
JP262233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トレー移送装置及び該トレー移送装置を有するディスクプレーヤ
KR970001667B1 (ko) 트레이 구동장치
US6563667B1 (en) Cassette deck mechanism for mounting/discharging different size cassettes using a pivoted arm
JP3901138B2 (ja) 再生装置
JP3989185B2 (ja) 駆動装置
KR100300198B1 (ko) 자동차용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언로딩 장치
JPH11167758A (ja)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搬送装置
JP4356734B2 (ja) 再生装置
KR20030077115A (ko) 슬로트인 방식의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데크 장치
JP3363972B2 (ja) 初期位置復帰装置
JP293659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その駆動装置
KR20000027477A (ko) 차량용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장치
JP2700723B2 (ja) カセット装填装置
KR870002046Y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스위치기구
JP398890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とその駆動源制御方法
KR100363424B1 (ko) 디스크 재생기의 트레이 취출장치
JPS6396766A (ja) 光学式デイスク再生装置
JPS6338439Y2 (ko)
KR850001166B1 (ko) 오오토 체인져(auto changer)부착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