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383A - 발모, 탈모방지제 - Google Patents

발모, 탈모방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383A
KR20010109383A KR1020000029398A KR20000029398A KR20010109383A KR 20010109383 A KR20010109383 A KR 20010109383A KR 1020000029398 A KR1020000029398 A KR 1020000029398A KR 20000029398 A KR20000029398 A KR 20000029398A KR 20010109383 A KR20010109383 A KR 2001010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loss
loss
illite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국
Original Assignee
이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국 filed Critical 이재국
Priority to KR102000002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383A/ko
Publication of KR2001010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3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머리의 탈모부위에 도포하거나 기발모된 머리털 부위에 도포하여 발모되게 함과 동시에 머리털의 탈모를 방지하기 위한 액제로 된 발모, 탈모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종류의 발모제가 출시되었으나 예외 없이 발모의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심지어는 그 배합성분에 의해 피부에 염증을 일으킴으로써 탈모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운모의 일종인 일라이트(Illite) 분말 10∼30wt를 증류수에 첨가·혼합하여 사용자의 두피에 도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액 상태로 제조한 것으로, 이를 탈모부분에 바르기만 하여도 수주내에 모발이 복원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기발모되어 있는 부분에 바르면 탈모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일라이트를 일상적인 소비제 용품인 샴푸, 비누, 젤, 헤어로션, 스프레이, 린스, 발모세척제, 탈모방지세척제, 트리트먼트, 맛사지팩, 오일, 에센스 등의 제조시 적량 첨가하여 제조하면 발모 촉진 및 탈모방지의 효과를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모, 탈모방지제{Liquid Medicine to occur one's hair and to prevent one's hair falling out}
본 발명은 발모, 탈모방지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의 탈모부위에 도포하거나 기발모된 머리털 부위에 도포하여 발모되게 함과 동시에 머리털의 탈모를 방지하기 위한 액제로 된 발모, 탈모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탈모는 주로 유전적인 원인으로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생성이 지나치게 왕성하게 분비되어 모낭세포에 강하게 자극하여 모낭을 위축시키고 그 결과 모발성장을 지연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후천적 환경, 즉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원형 탈모도 흔히 목격되고 있다.
이러한 탈모증상은 사춘기에서부터 발생되므로 감수성이 예민한 사춘기의 청소년에게 외모적으로 굉장한 충격을 줌은 물론 자신감 상실로 인해 사회적 적응을 어렵게 하고, 또래로부터 따돌림을 받게도 하며, 성인이 되어서도 제나이보다 더 들어보이고 심지어 혐오감을 주게 되어 취직, 결혼이 어려워지는 등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탈모된 부위에서 새 모발이 다시 자라게 하여 정상적인 모습을 갖게 함으로써 자신감을 부여할 수 있는 발모의 방법이 많이 연구되었으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많은 수의 발모제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종류의 발모제는 주로 두피의 혈행촉진, 모발 모세포의 활성화, 두피의 지질 분비 억제, 두발의 영양 보급 등을 통해 발모의 효과를 높이고자 한 것이나 예외 없이 발모의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심지어는 그 배합성분에 의해 피부에 염증을 일으킴으로써 탈모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따라, 많은 수의 사람들은 발모제를 외면한 채 두피를 전체적으로 부풀리어 탈모된 두피를 잘라내고 부푼 부분을 재봉합 수술하는 방법, 자신의 모근을 수천개 추출하여 탈모된 두피 부분에 하나씩 이식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이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치료 중에는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못하고, 더욱 중요하게는 많은 비용이 들게 되어 서민들은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운모의 일종인 일라이트(Illite)를 증류수에 적정량 첨가·혼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머리의 탈모부위에 도포하거나 기발모된 머리털 부위에 도포함으로써 머리털을 발모되게 함과 동시에 탈모를 방지하게 하는 발모, 탈모방지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화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예외없이 발모효과가 없다고 판명되었던 발모제와는 차별적인 발모효과를 나타내게 함과 동시에 기발모되어 있던 모발의 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운모의 일종인 일라이트(Illite)를 증류수에 적정량 첨가·혼합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일라이트는 자체적으로 발모의 효과뿐만 아니라 탈취, 방부의 효과를 가지므로 별도의 탈취 보조재료 또는 방부를 위한 보조재료의 첨가가 필요없으며, 다만 세균이 없는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두피의 모근속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증류수에 배합되는 일라이트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배합비율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먼저, 본 출원인은 기취득한 일라이트를 목욕도중 우연히 사용한 결과 털이 쉬이 자라는 것을 발견하고, 주변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발모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일라이트가 발모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보다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삼육대학교에 그 효과 분석을 의뢰하였다.
[참고자료1]
제 출 문
Ⅰ.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연구과제명 : Illite 분제 원액의 육모효과 시험
중심단어 : Illite, 육모효과, C57BL/6
주관연구기관 : 삼육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일부에서 목욕 등에 활용한 결과 육모효과가 있다고 제기된 Illite를 명진상사(출원인의 형이 운영)로부터 의뢰받아, Illite 분제를 피부에 도포하거나 복용하였을 때 육모효과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7주령 SPF 웅성 C57BL/6 생쥐를 무균-항온조건의 Micro-barrier system에서 1주일간 안정화시킨 후 시험물질 적용 24시간 전에 각 개체의 등부위를 약 2×2.5㎝ 넓이로 제모기와 제모제(에바크린, 삼공제약)을 사용하여 제모하여, 제모한 다음 날부터, 경구 투여 또는 국소 도포한 후 투여 7일 후부터 21일까지 2일∼6일 간격으로 Hair growth score(자라난 털 길이 × 털이 자라나는 면적 )를 측정함으로써 육모효과를 검정하였다.
10Illite도포군의 경우 제모 7일 후, 9일 후 및 15일 후의 hair growth score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으며, 30Illite도포군의 경우 7일 후, 9일 후, 10일 후, 13일 후 및 15일 후의 hair growth score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10와 30Illite 도포에 의해 육모효과가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육모효과는 Illite의 농도가 높은 30처치군에서 더욱 강하게 발현되었다. Minoxidil 도포군과 Illite 처치군과의 비교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hair growth score의 평균값이 Illite 도포군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도포군에서는 21일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인 반면 Minoxidil 도포군에서는 일부영역에서만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냈고 개체간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Illite 도포에 의한 육모 효과는 현재 도포용 발모제로 시판중인 Minoxidil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Illite는 도포에 의해 육모효과를 나타내며, 그 육모효과는 10와 30의 경우 Minoxidil보다 강한 것으로 여겨진다.
Ⅱ. 연구목적
Illite(운모 KAL4(ALSi7O20))는 접촉열수변성점토질 광물로서 한국과 캐나다 퀴백주의 것이 맥상광체로서 불순물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성분이 SiO2, Al2O3및 K2O로서 황백색(백색, 적색)의 혼합 광물이다. 상온에서 3∼25마이크론 파장의 원적외선을 89∼92방사하고, 탈취력이 매우 강하며, 수중에서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고 양이온 유기질을 흡착하고 음이온(141 ions/cc)을 발산한다. 이러한 작용을 바탕으로 농·축산 분야에서 방충, 성장촉진, 냉해방지, 탈취, 육질개선 및 균에 의한 피해방지 등에 활용되어 왔다. 향약집성방에서는 먹거나 피부 접촉을 통해 멀미치료, 기를 보하고, 신경기능을 강화시키는 데 사용하였다. 이상의 작용에 근거하여 일부에서 목욕 등에 활용한 결과 육모효과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명진상사로부터 의뢰받아 Illite 분제를 피부에 도포하거나 복용하였을 때 육모효과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Ⅲ. 연구 방법
1. 육모효과 평가 시험
1) 시험물질
본 연구의 시험물질인 Illite는 명진상사로부터 수령받아 사용하였으며 모든 시험물질들은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생리식염수에 현탁시켜 경구 투여하고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증류수에 현탁시켜 도포하였다. 정상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도포하였고,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1와 10(w/w) 현탁액을 10㎖/㎏ 용량을 투여하였고, 도포의 경우에는 10및 30(w/w) 현탁액을 도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에는 minoxidil 2액(중외제약)을 도포하였다.
2) 실험동물
대한실험동물에서 공급받은 7주령 SPF 웅성 C57BL/6 생쥐를 무균-항온조건의 Micro-barrier system에서 1주일간 안정화시킨 후 시험물질 적용 24시간 전에 각 개체의 등부위를 약 2×2.5㎝ 넓이로 제모기와 제모제(에바크린, 삼공제약)를 사용하여 제모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들은 23±2℃, 습도 55±10, 명암 12시간주기의 사육환경에서 무균 처리된 사육상자에 10마리씩 사육하고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은 오전 10시에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3) 육모효과 실험
제모한 다음 날부터,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매일 오전 10시경에 1회/1일 경구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투여하고, 국소 도포하는 경우에는 매일 10시경에 1회/1일 도포하였다. 투여 7일 후부터 21일까지 2일∼6일 간격으로 Hair growth score(자라난 털 길이 ×털이 자라나는 면적 )를 측정함으로써 육모효과를 검정하였다(Kim etal., 1999; Shin et al., 1999). 자라난 털 길이 는 제모 이전 동일 부위의 털 길이에 대한 제모 후 실험기간 동안 자라난 털 길이의 로, 털이 자라나는 면적 는 제모 면적에 대한 제모 후 털이 자라나는 부위의 면적 를 측정함으로써 판정하였다.
2. 통계처리
본 실험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ANOVA 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Illite의 육모효과에 대한 결과를 Table 1에 정리하였다. Illite를 경구 투여한 경우에는 1투여군과 10투여군 모두에서 hair growth score가 증류수만을 도포한 정상 대조군(control)에 비해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경구 투여에 의한 육모효과는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Illite를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정상대조군에 비해 hair growth score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0Illite 도포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Illite도포군의 경우 제모 7일후, 9일 후 및 15일 후의 hair growth score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으며, 30Illite도포군의 경우 7일 후, 9일 후, 10일 후, 13일 후 및 15일 후의 hair growth score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10와 30Illite 도포에 의해 육모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나타났고, 그 육모효과는 Illite의 농도가 높은 30처치군에서 더욱 강하게 발현되었다. Minoxidil 도포군과 Illite 처치군과의 비교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hair growth score의 평균값이 Illite 도포군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도포군에서는 21일을 제외한 전영역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인 반면 Minoxidil 도포군에서는 일부영역에서만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냈고 개체간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Illite 도포에 의한 육모 효과는 현재 도포용 발모제로 시판중인 Minoxidil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Illite는 도포에 의해 육모효과를 나타내며, 그 육모효과는 10와 30의 경우 Minoxidil보다 강한 것으로 여겨진다.
치료제 Hair growth score(자라난 털 길이×자라난 털의 면적 ×100)
7일 9일 10일 13일 15일 21일
control 35.86±2.52 37.81±2.13 47.01±4.79 71.98±5.91 83.34±5.44 97.63±2.33
Minoxidil 36.41±9.21 40.18±9.47 51.16±9.21 76.30±5.02 89.60±2.99 99±0.76
1경구투여 31.56±11.24 35.71±12.90 43.74±10.13 67.33±13.37 87.05±5.25 97.71±2.21
10경구투여 38.41±9.71 46.23±16.61 54.80±10.22 71.29±7.94 88.39±5.13 98±3.46
10도포 45.45±6.24 49.34±5.69 53.90±7.78 74.44±10.75 90.58±4.65 99.13±1.0
30도포 39.50±2.04 45.82±5.07 54.65±3.15 80.44±7.32 92.61±5.65 99.38±0.92
상기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운모의 일종인 일라이트는 확실히 발모의 효과가 탈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어떠한 성분에 의해 발모의 효과를 발현하는 것인지를 알기위해 서울대학교에 일라이트의 성분 분석을 의뢰하였다.
[참고자료2]
제 출 문
일라이트는 칼륨을 주요한 양이온으로 하는 함수 규산알루미늄 광물로, 실리카층의 Si를 Al이 치환하고 있으며, 각 층 사이에 K+와 약간의 OH-, Fe, Mg 등이 들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라이트 검체 중의 각종 성분을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건조 감량 측정
검체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의약품 일반시험법에 따라 건조하여 감소되는 검체중의 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1) 실험 방법
미리 105℃에서 함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 도가니에 검체 0.9959g을 넣고 105℃로 가열하여 매 시간마다 꺼내어 데시케이터에서 방냉한 후 측정 전후의 무게 차가 0.1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2) 결과
1) 시간당 무게의 변화
시간 0 1 2 3
시료의 무게(g) 0.9959 0.9907 0.9895 0.9890
2) 검체의 건조감량(수분 함량)
건조감량 = (0.9959-0.9890)÷0.9959×100 = 0.69
2. 원소분석
검체에 함유된 C, H, N, S의 양을 알아보기 위해 원소분석을 하였다.
1) 원소분석 시스템
·CE Instrument사의 EA 1100
2) 원소분석결과
원호 carbon hydrogen nitrogen sulfur
함량() 0.0367 0.5146 0 0
3. 무기금속의 정량
검체에 함유된 무기금속(Al, Ca, Co, Cu, Cr, Fe, K, Li, Mg, Mn, Na, Ni, P, Si, Zn)을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1) 실험 방법
1) 표준액의 조제
ICP용 표준액 Al, Ca, Co, Cu, Cr, Fe, K, Li, Mg, Mn, Na, Ni, P, Si, Zn(각각 1000ppm)을 DDW(Distilled deionized water)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다음과 같은 농도로 조제한 액을 표준액으로 하였다.
성분 표준액의 농도(ppm)
Al 10, 30, 50
Ca 10, 30, 50
Co 10, 30, 50
Cu 10, 30, 50
Cr 10, 30, 50
Fe 10, 30, 50
K 10, 30, 50
Li 10, 30, 50
Mg 10, 30, 50
Mn 10, 30, 50
Na 10, 30, 50
Ni 1.0, 3.0, 5.0
P 10, 30, 50
Si 10, 30, 50
Zn 0.1, 0.5, 1.0
① 일반 금속성분 분석을 위한 검액의 조제
105℃에서 3시간 건조 후 항량으로 된 검체 5.0920g을 취하여 500㎖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후, 질산 약 80㎖와 과염소산 약 20㎖를 가하고 가열한 후, 다시 염산 40㎖를 가하고 가열하여 산 가수분해시켰다. 잔류물을 물에 녹인 후 여과하여 100㎖로 한 다음 분석하고자 하는 금속에 따라 각각 다음과 같이 희석한 액을 검액으로 하였다.
각 무기금속 희석배수 조제법(단위:㎖)
Al 100배 0.1→10 용량 플라스크
Ca 2배 5→10 용량 플라스크
Co 1배 원액 그대로
Cu 1배 원액 그대로
Cr 1배 원액 그대로
Fe 100배 0.1→10 용량 플라스크
K 50배 0.2→10 용량 플라스크
Li 1배 원액 그대로
Mg 5배 2→10 용량 플라스크
Mn 1배 원액 그대로
Na 50배 2→10 용량 플라스크
Ni 1배 원액 그대로
P 1배 원액 그대로
Si 50배 0.2→10 용량 플라스크
Zn 1배 원액 그대로
② Si 분석을 위한 검액의 조제
105℃에서 3시간 건조 후 항량으로 건조된 검체 0.1056g을 polypropylene tube에 넣고 염산 1㎖와 불산 5㎖를 넣고 수욕중에서 가열한 후 붕산 40㎖를 넣고 수욕상에 가열하여 산 가수분해한 액을 여과하여 20㎖로 한 액을 검액으로 하였다.
3) ICP system
·Perkin-Elmer사의 ICP/5500B
·Perkin-Elmer사의 Plasma Torch Controller
4) ICP 측정
검액 및 표준액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ICP 측정하여 표준액의 검량선으로부터 검액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성분 파장(㎚) 성분 파장(㎚)
Al 309.22 Li 669.78
Ca 318.63 Mg 278.78
Co 229.50 Mn 258.40
Cu 325.65 Na 588.59
Cr 206.55 Ni 231.10
Fe 238.20 P 214.30
K 769.31 Si 251.61
Zn 214.56
(2) 결과
1) Al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90
intensity 136521 95528 49112 23117
검액의 농도는 31.90ppm이었다.
2) Ca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97
intensity 123625 82016 28780 45
검액의 농도는 18.0ppm이었다.
3) Co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91
intensity 138687 80950 32191 0
검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4) Cu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73
intensity 139693 93883 30854 940
검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5) Cr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90
intensity 146860 81909 27607 0
검액의 농도는 1.05ppm이었다.
6) K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17
intensity 130409 109414 94398 77540
검액의 농도는 12.2ppm이었다.
7) Fe
농도(ppm) 50 30 10 blank R=1.0000
intensity 147424 93654 39878 12123
검액의 농도는 14.1ppm이었다.
8) Li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91
intensity 123669 70195 25757 1498
검액의 농도는 6.15ppm이었다.
9) Mg
농도(ppm) 50 30 10 blank R=1.0000
intensity 130645 90496 50832 31855
검액의 농도는 17.5ppm이었다.
10) Mn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86
intensity 146967 80782 27815 0
검액의 농도는 13.27이었다.
11) Na
농도(ppm) 50 30 10 blank R=0.9983
intensity 137210 103539 66138 42960
검액의 농도는 25.5ppm이었다.
12) Ni
농도(ppm) 5 3 1 blank R=0.9977
intensity 123167 66886 25974 539
검액의 농도는 0.13ppm이었다.
13) P
농도(ppm) 50 30 10 blank R=1.0000
intensity 173942 109759 43737 11990
검액의 농도는 16.11ppm이었다.
14) Si
농도(ppm) 50 30 10 blank R=0.9115
intensity 146553 122894 97418 28476
검액의 농도는 14.29ppm이었다.
15) Zn
농도(ppm) 5.0 1.0 0.5 blank R=0.9628
intensity 142639 65237 14096 5826
검액의 농도는 1.15ppm이었다.
16) 각 무기금속의 함량
이상의 결과로부터 계산한 검체 중의 미네랄 성분의 함량은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성분 함량()
Al 6.265 Li 0.012
Ca 0.071 Mg 0.172
Co - Mn 0.026
Cu - Na 0.250
Cr 0.002 Ni 0.0002
Fe 2.77 P 0.032
K 1.198 Si 14.29
Zn 0.023
4. 시험결과(요약)
(1) 검체의 건조감량 : 0.69(105℃, 3시간)
(2) 원소분석
C : 0.037, H : 0.51
N, S는 검출되지 않음
(3) 무기 성분 분석 결과
성분 함량() 성분 함량()
Al 6.265 Li 0.012
Ca 0.071 Mg 0.172
Co - Mn 0.026
Cu - Na 0.250
Cr 0.002 Ni 0.0002
Fe 2.77 P 0.032
K 1.198 Si 14.29
Zn 0.023
상기의 실험 결과와 같이 일라이트는 다종의 무기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그 성분중에 특히 알루미늄과 실리콘이 가장 많이 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무기물질이 단일 또는 다종의 복합체로써 두피에 작용하여 모낭세포를 활성화함으로써 죽어있던 모발을 다시 발생시킬 수 있었던 것이며, 또한 기발모되어 있는 모발의 모근을 튼튼히 할 수 있어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모, 탈모방지제를 제조함에 있어 삼육대학교의 실험결과와 마찬가지로 일라이트를 증류수에 10∼30정도로 첨가하여 혼합 제조함이 바람직한데, 일라이트의 양이 10미만이면 수분이 너무 많아 효과가 적게 나타나며, 30이상이면 너무 뻑뻑하여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두피의 모근에까지 스며들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본 출원인은 주위의 모발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모, 탈모방지제를 시험(두피에 도포)하였으며, 그 결과 발모, 탈모방지제 도포후 일주일이 지나면 솜털이 자라기 시작하여 한달이 지나면 어느 정도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모발이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누구도 두피의 염증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모, 탈모방지제가 죽어있던 모발을 다시 발생시키고,그 생육을 촉진하며, 생육되어 있는 모발의 모근을 튼튼히 하여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효과를 가짐은 물론 운모의 일종인 일라이트가 인체에 무해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발모, 탈모방지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모의 일종인 일라이트(Illite)를 분말 상태로 증류수에 적정량 첨가·혼합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탈모부분에 바르기만 하여도 수주내에 모발이 복원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기발모되어 있는 부분에 바르면 탈모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운모의 일종인 일라이트(Illite) 분말 10∼30wt를 증류수에 첨가·혼합하여 사용자의 두피에 도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액 상태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탈모방지제.
KR1020000029398A 2000-05-30 2000-05-30 발모, 탈모방지제 KR20010109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398A KR20010109383A (ko) 2000-05-30 2000-05-30 발모, 탈모방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398A KR20010109383A (ko) 2000-05-30 2000-05-30 발모, 탈모방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83A true KR20010109383A (ko) 2001-12-10

Family

ID=4202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398A KR20010109383A (ko) 2000-05-30 2000-05-30 발모, 탈모방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3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632A1 (en) * 2006-03-21 2007-09-27 Hyeong Geun Choi Natural oriental medicinal composition for the promotion of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034559B1 (ko) * 2008-07-23 2011-05-12 안만수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나노 Potassium 화합물 제조방법
KR20160079173A (ko) 2014-12-26 2016-07-06 삼봉기업(주) 복합 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용 조성물
KR101663285B1 (ko) * 2015-08-13 2016-10-06 정정임 한방 샴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632A1 (en) * 2006-03-21 2007-09-27 Hyeong Geun Choi Natural oriental medicinal composition for the promotion of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034559B1 (ko) * 2008-07-23 2011-05-12 안만수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나노 Potassium 화합물 제조방법
KR20160079173A (ko) 2014-12-26 2016-07-06 삼봉기업(주) 복합 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용 조성물
KR101663285B1 (ko) * 2015-08-13 2016-10-06 정정임 한방 샴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2212C2 (ru) Лосьон для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роста волос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потери волос, связанной с андрогенной алопецией
EP1874689B1 (en) Mineral salt gel compositions
DE69733086T2 (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welche kukui nuss öl enthalten
EP3445325B1 (en) Taurine and aloe synergistic anti-irritant compositions and methods
ATE292951T1 (de) Magnesium-angereicherter extrakt aus der blaualge spirulina und seine verwendung in kosmetischen mitteln zur haut- und körperpflege
JP3223404B2 (ja) 育毛・養毛剤
JP2004513905A (ja) 抗真菌爪用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CN109310724A (zh) 一种用于皮肤和/或头发护理和/或治疗的组合物
KR20010109383A (ko) 발모, 탈모방지제
KR20070014988A (ko)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US6960348B2 (en) Goya derived cosmetic compositions for face and body
CA2408702A1 (en) Shaving cream formulations
JP6996775B2 (ja) 個体の毛髪の成長を促進する、毛髪の抜けを予防する、または個体の毛包幹細胞の生成を促進する薬物の調製における組成物の用途
JP4586178B2 (ja) 火傷による損傷皮膚改善用外用剤
KR20090059444A (ko) 카페인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RU2124363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CN115581642B (zh) 一种具有抑菌功效的香体露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762506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аппликации полости рта и нос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в составе комплексной терапии инфекционно-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носовой и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KR101970111B1 (ko) 흑운모를 이용한 피부병 치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병 치료제
US20030091650A1 (en) Ratite oil as a topical adjuvant and transdermal carrier
WO2006136540A2 (en) Human skin regenerating ointment comprising annelid extracts
JP2000178128A5 (ko)
JPH05501250A (ja) 育毛刺激のための組成物
JPH0227965B2 (ja) Yomoryo
CN116602879A (zh) 一种除螨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除螨添加剂及其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