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042A -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 Google Patents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042A
KR20010109042A KR1020000030173A KR20000030173A KR20010109042A KR 20010109042 A KR20010109042 A KR 20010109042A KR 1020000030173 A KR1020000030173 A KR 1020000030173A KR 20000030173 A KR20000030173 A KR 20000030173A KR 20010109042 A KR20010109042 A KR 20010109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e
acid
poultice
agent
ede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길
김철준
Original Assignee
이영길
건웅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길, 건웅제약(주) filed Critical 이영길
Priority to KR1020000030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042A/ko
Publication of KR2001010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0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로에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그 외에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수분, 흡수촉진제, 기타부형제, 자극완화제, 약효보조제 및 pH 조정제를 함유하여 부종에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는 매우 우수한 부종 억제 작용과 부종 감소 작용을 나타내는 인체에 전혀 무해한 이상적인 진통 습포제로서 신경통, 요산의 축적으로 인한 통풍, 타박상, 염좌 및 근육통의 치료에 매우 유용할 뿐 아니라 알로에 함유 경고제(plaster) 및 패취제(patch) 등으로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A cataplasma containing an aloe concentrate which shows an anti-inflammatory effect}
본 발명은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로에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그 외에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수분, 흡수촉진제, 기타부형제, 자극완화제, 약효보조제 및 pH 조정제를 함유하여 부종에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알로에(aloe,Liliaceae)는 열대 지방이나 강우량이 미소한 아열대 지방의 황야에서 20여년 동안 자라는 열대식물의 일종으로 두툼한 여러줄기의 푸른잎에 가시가 있는 야생식물이다. 알로에는 식물학상으로 백합과의 알로에속(屬) 다년생 초본이며, 상록(常綠) 식물로서 인류가 발견한 최초의 약초로 일컬어지며 기원전 2천년전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약용식물로 이용되어 왔다. 모든 알로에의 원산지는 아프리카와 마드가스칼도로 알려져 있는데, 오늘날 알로에는 열대와 온대 지방에 폭넓게 자생하고 있으며 그 밖의 지역에서도 많이 재배되는 세계적인 약용식물이다. 알로에의 품종은 전세계적으로 약 5백여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아프리카를 비롯 유럽, 중동, 인도, 중국, 동남아 및 남북 아프리카 대륙 등에서 약 8종의 약용 알로에가 재배되고 있다.
알로에는 약 30인치 정도의 크기로 성장하면서 6 내지 10개의 줄기가 한 포기를 이루는 약용식물로서 고대로부터 알려져 왔다. 고대 이집트인이나 로마인 그리고 중국인들이 약용이나 미용재료로 알로에를 사용한 기록이 발견되었고 특히, 클레오파트라 같은 역사적인 미인이 알로에를 사용했다는 것은 무척 흥미로운 일이다. 또한, 알렉산더 대왕이 자신의 휘하에 있는 병정들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하여 알로에를 사용했으며, 많은 양의 알로에를 확보하기 위하여 아프리카 동해안에 위치한 소크로토 섬을 점령하는데 많은 희생을 감수했다는 기록도 발견되었다. 2000년전 당시의 석학 디오스코리데스는 그의 유명한 저서 "그리스의 약초(Greek Herbal)"에서 알로에의 신비한 약효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남북미의 광대한 지역에 분포했던 인디언들이 외상치료에 알로에를 사용했던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처럼 지난 수천년 동안 민간약과 한방약으로 애용되어 온 알로에가 현대 의학계의 주목을 끌기 시작한 이유는 첫째, 알로에는 약해와 부작용이 없으며 둘째, 보편적인 다목적 치료제로 쓰일 수 있고 셋째, 각종 성인병과 X-선 조사로 인한 부작용 등 현대 의학의 어려운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알로에는 인체의 거의 모든 병증에 놀라운 치료 효과를 보이는데, 이러한 알로에의 유효성분을 밝히기 위하여 세계 여러 학자들과 의학자들이 꾸준히 노력한 결과 지금까지 약 300여 종 이상의 유효성분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알로에의 신비한 효능에 비한다면 아직 그 일부 성분만이 밝혀진 것에 불과하고, 앞으로 다수의 경이적인 의약 효능을 갖는 성분이 발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알로에의 유효성분들은 각기 스스로의 효능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다른 성분들과 결합하여 복합적인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진 어떠한 천연 약품에도 이렇게 많은 유효성분이 한꺼번에 들어있는 것은 없으며 어떠한 한약이나 양약도 이렇게 많은 유효성분을 배합 조제한 것은 보고된 적은 없었다. 현재 밝혀진 알로에의 유효성분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들 이외에도 크리삼민산, 크리소판산 및 이소바로인 등 기타 300여 종의 유효성분이 알려져 있다.
<표 1> 알로에의 주요 유효성분
유효성분명 효능과 성분의 내용
알로인 고미배당체, 건위, 정장, 솨화기계 내장에 작용
알로에 에모딘 고미, 건위, 완하, 사하
알로에 울신 항궤양, 알칼리, 열에 강함
알로미친 항암(항종양성이 암세포 작용), 항바이러스, 항진균(곰팡이균)
알로에친 항균, 항진균
알로에닌 건위, 완하
알로에 만난 항종양
호모나탈로인 고미질
β-발발로인 완하
오글리코시닌 배당체
사포닌 배당체
우론산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리 화합물
당분 단당 및 가수분해가 가능한 당체
무코 다당류 복합체 글루코사민을 함유한 다당체
밀센 월계수나 호프등에 함유된 기름성분
리모넨 오렌지나 레몬의 껍질에 함유된 단환 텔펜
글루코사민 점액질등에서 얻어지는 침상 결정으로 천연의 아미노산
핵수료산 감귤류에서 분리되는 물질로 우론산의 총칭
콜린 생체조직에 들어있는 비타님 B 복합체
프로테인 단백질 (18 종의 아미노산)
코니페리 알콜 산화하면 바니린이 되는 성분
현재, 약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알로에는 크게 3종으로 구분된다. 일명 "큐라소 알로에"라고 불리는 알로에 베라(aloe vera)는 사막의 백합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알로에 베라는 줄기가 짧고 12 내지 16개의 줄기가 다발 모양으로 겹쳐져 있는데, 길이는 50 내지 60 ㎝ 정도로 자생지에서 반년 정도 뽑아 방치하여도 충분히 살아나갈 수 있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늦가을에서 봄 사이 긴 꽃대가 올라와 노랑 또는 주황색 꽃을 피우며 줄기 밑둥에서 새끼가 돋아나 포기 번식이 잘되고 성장이 매우 빠르다. 알로에 베라의 원산지는 아메리카로서 아메리카 남부가 알로에 베라의 생육적지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잎이 크고 두꺼운 알로에 베라는 표피 아래에 젤리질의 잎살이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외용에 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잎살에 포함된 성분(부친)은 보수력이 뛰어나 거친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유연성을 주기 때문에 여성의 기초 화장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껍질을 벗긴 잎의 젤리질을 직접 피부에 바르면 그 약효 성분이 작용해 햇볕에 탄 거친 피부를 방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알로에 아보레센스(aloe aborescencens)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주 및 트렌스발주의 동부와 남부가 그 원산지로 알려져 있지만, 오늘날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재배되고 있다. 아보레센스라는 말은 작은 나무 모양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일본에서는 목립(木立) 알로에라고도 부른다. 원산지에서는 옛부터 잎을 먹거나 즙을 바르거나 습포를 하는 식으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민간약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초 중의 하나로 특히, 원자 투하된 히로시마 지역에서 내·외용으로 효과를 본 사례가 많이 보고되어 있다. 알로에 아보레센스는 회녹색의 가늘고 긴 잎을 가지며 줄기가 나무처럼 서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지역에 따라 몇 종의 변종이 있으며 노란색 줄무늬가 들어있는 것도 있다. 포기의 밑둥과 줄기에 새끼를 많이 쳐야 꺾꽂이도 잘 되고 증식력도 왕성하며 길이는 큰 것이 2 m나 되고 적등색의 꽃이 가을에서 봄 사이에 핀다. 알로에 아보레센스는 항암 작용이 있는 아크로친 A와 알로미친, 알보란 A와 B, 항알레르기 물질, 화상에 효과적인 울신, 해독과 살균 작용이 있는 알로에친 등 많은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혈액순환 촉진, 혈관 개선, 심장기능 항진 및 만성변비 등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낸다.
알로에 사포나리아(aloe saponaria)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주 전역 및 트렌스발주의 동부 지방이 원산지이며, 미국의 하와이주 및 플로리다주에서 민간약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사포나리아라는 이름은 인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붙여졌으며 실제로 사포나리아 뿌리를 으깨어 냄새를 맡아보면 인삼 냄새가 난다. 알로에 사포나리아는 높이가 30 ㎝ 정도로 줄기가 매우 짧고 적등색의 꽃을 피우며, 알로인의 함량은 적지만 외용에 효과적인 무친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로에 중 약성이 가장 순해서 알로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한편, 최근 몇 년 동안 인간과 동물을 위한 외용약으로서 알로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텍사스 대학의 이반 단 호프(Ivan Danhof) 박사는 섬유아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알로에 겔을 피부에 적용시킨 결과, 콜라겐이 피부세포를 재생할 수 있도록 알로에 겔이 수분을 유지시켜 준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알로에 겔의 뛰어난 보습성을 입증하였다. 레그 맥다니엘(Reg McDanial) 박사는 알로에 베라로부터 에이즈 바이러스인 HIV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아쎄만논(acemannon)을 발견하였고, 캐나다 연구원들은 상기 물질을 알로에 베라로부터 분리하는데 성공하였다. 로버트 H. 데이비스 박사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알로에가 관절염을 예방해주고 통증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처 치료에 고통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염증을 없애주고 뼈의 성장을 도와준다는 사실 및 인체 내의 영양물 수송의 매개체로서 활동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일본의 메드나 화장품의 생화학연구소는 알로에로부터 추출한 물질이 피부의 면역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이 유효성분이 안드라퀴논계의 호모나타로인(homonataloin)임을 규명하였다.
이와 같이, 알로에의 효능은 인간의 모든 병증에 효과적이라고 할 만큼 다양하고 광범위한데, 현재까지 실험을 통하여 밝혀진 알로에의 여러 가지 효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화상, 튼 데, 곤충 자상 등 피부의 상해에 효과가 있다.
보통 화상으로 조직이 손상되면 자기 치유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세균이 침입하여 2차 감염을 일으키기 쉬운데, 알로에는 조직의 결손 부위를 밑에서부터 회생시키는 힘이 강하고 상처에 묻은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므로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2도 이상의 심하고 넓은 범위의 화상일 경우 자가 융해에 의한 독소가 온몸에 퍼져 죽음에 이르게 되는데, 알로에는 이러한 독소를 중화시켜 3도 화상이라도 흉터를 남기지 않으면서 빠른 회복 효과를 나타낸다.
2)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불활성화 작용이 있다.
각종의 세균에 대하여 항생물질처럼 세균의 발육을 극적으로 억제하는 작용은 없으나 은근하게 세균을 죽이는 작용이 있으며 세균이 내는 독소를 중화시킬 수 있다.
3) 위, 십이지장 궤양에 부드럽게 작용하여 회복을 촉진시킨다.
4) 암에 대하여 억제 효과와 예방 효과가 있다.
동물실험 결과, 알로에의 성분은 암 바이러스의 활동을 불활성화 시킬 뿐 아니라 상기 불활성화된 바이러스를 먹은 세포는 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져 다시는 암에 걸리지 않게 된다는 것이 보고되었고, 이러한 항암 효과를 갖는 성분으로 살균작용과 세균의 독소를 중화시키는 알로미친, 알로에틴 및 알로에 울신 등이 분리되었다.
5) 진통제로서 타박상, 염좌, 근육이탈 및 신경통에 효과적이다.
알로에는 자극된 신경을 온화하게 진정시키면서 전혀 해독이 없는 이상적인 진통제라 할 수 있으며, 신경통, 요산의 축적으로 생기는 동풍, 근육통 등에도 알로에를 내복과 함께 외용하면 진통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 특히, 알로에는 신경통 전반에 여러 효과를 나타내는데, 일단 신체를 안정화 시키는 작용이 있어 복용과 동시에 신경통 부위를 마사지하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고, 항염효과도 있어서 신경의 염증으로 시작되는 신경통에 뛰어난 약리효과를 보인다. 상처나 염증부위에서는 브래디키닌이나 히스타민 등이 방출되어 열이나 발진, 통증 등이 일어나는데, 알로에 겔은 이렇게 염증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히스타민의 생성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알로에는 염증 방지 및 염증제거 작용이 있어 퇴행 또는 염증반응으로 인한 관절염 환자의 관절 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상처나 염증이 있는 부위에서는 브래디키닌이라는 성분이 다량 방출되어 여러증상을 나타내는데 알로에는 이 브래디키닌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훌륭한 항염작용을 해내는 것이다.
이외에도 알로에는 좀처럼 효과가 없는 무좀, 특히 건성의 무좀에 효능이 있으며, 여드름에도 뛰어난 치유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알로에는 만병통치약이라고 할 만큼 그 효능 면에서 뛰어나며 외용 및 내용으로 함께 복용이 가능하고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어 보편적인 다목적 치료제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다양한 효능 중에 알로에의 진통 및 진정 작용을 나타내는 항염증 효과에 관심을 두고 알로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습포제를 개발하였다. 알로에는 오래전부터 습포(찜질)라는 형식으로 사용되어져 왔는데, 손가락을 삐거나 근육 이탈과 염좌를 일으켰을 때 또는 부딪쳐서 푸른 멍이 들었을 때 알로에를 갈아서 연고상태로 만들어 습포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개인이 스스로 알로에를 강판에 갈은 후 소맥분 등을 섞어 연고 형태로 만들어 가제 등에 발라서 환부에 대고 붕대로 감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알로에 추출물에 여러 가지 약효보조제를 배합한 알로에 습포제를 개발하였고, 동물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알로에 습포제가 강한 부종 억제 작용 및 항염증 작용을 나타냄을 입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알로에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그 외에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물, 흡수촉진제, 기타부형제, 자극 완화제 및 pH 조정제를 함유하며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습포제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함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인 알로에는 알로에 베라로부터 추출한 겔 농축액(gel concentrate)을 사용하였다.
상기 약효성분인 알로에 추출물의 습포제의 총량에 대한 배합비율은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6 중량%이며, 이들의 배합비율은 약효발현성이란 점에서 크게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는 동일한 알로에 추출물을 사용하여 경고제(plaster) 및 패취제(patch)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기제성분인 수용성고분자로는 천연고분자, 반합성고분자 혹은 합성고분자로부터 선택된다.
천연 고분자로는 젤라틴(gelatin)·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또는 그의 염, 콜라겐(collagen), 잔사 고무, 아카시아 고무, 구어 고무, 카라기산, 아르긴산(alginic acid), 아르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한천(agar), 아라비아 고무, 토라간 고무, 카라야 고무, 펙틴(pectin) 및 녹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합성 고분자로는 메틸셀룰로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ydroxy 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가용성 녹말(soluble starch), 카르복시메틸녹말(carboxylmethyl starch) 및 디알데히드 녹말(dialdehyde starch)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합성 고분자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ollidone),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polyacrylic acid copolymer, 카르복시비닐폴리 등),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methyl vinylether-anhydrousmaleic acid copolymer) 및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iosbutylene-anhydrousmaleic acid copolym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수용성 고분자에는 공지의 가교제 또는 중합체로 처리된 것도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의 수용성 고분자는 처방에 따라서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할 수가 있고, 특히 젤라틴과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습포제의 총량에 대해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이며, 상기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의 배합처방 및 비율에서는 특히, 수분 함량의 유지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경피(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개선된다. 또한, 기제에 있어서의 끈적거림이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로부터 습포제의 박리시 통증을 완화시키고 기제가 피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습제로는 글리세린(glycerin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
lene glycol) 및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처방에 따라 상기 재료를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보습제의 배합량은 습포제의 총량에 대해서 3 내지 60 중량 %가 바람직하고, 5 내지 5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45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 있어서, 알로에 함유 습포제는 적당한 습윤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냉각의 지속적인 유지 및 수분의 휘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습포기제로서 불가결한 물의 배합량은 습포제의 총량에 대해서 1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 중량%이며, 이 물의 배합비율에 의해서 습포기제의 안정성, 냉각효과, 약효성분의 기제속으로부터의 방출성 및 경피흡수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습포제는 흡수촉진제를 적당히 배합함으로써 경피에의 흡수촉진 또는 약효의 지속작용 등이 향상된 습포제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흡수촉진제로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diisopropyladipa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lene glycol), 레시틴(recitin),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
-xide),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스쿠왈렌, 말기름, 크로타미톤, n-옥틸-β-D-글루코시드(OG), n-옥틸-β-D-티오글루코시드(OTG), 에이존, 1-[2-(데실티오)에틸] 아자시클로펜탄-2-온(HPE-|0|로 약칭함), 1-멘톤, 1-멘톨(mentol), 박하유, 유칼리유, 1-리모넨, d-리모넨, d1-리모넨 또는 기타의 정유, 혹은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EO)소르비탄(상품명 :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POE로 약칭함), 경화피마자유, POE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POE노닐페닐에테르, POE라우릴에테르, POE(40)스테아레이트, POE(20)모노스테아레이트,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로마크로골 또는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등 또는 기타공지의 흡수촉진제가 사용된다. 상기의 흡수촉진제는 적당히 단독 또는 조합해서 배합한다.
흡수촉진제의 배합량은 습포제의 총량에 대해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되고, 이 비율에서 경피에의 흡수촉진 또는 약효의 지속작용 등이 향상된 습포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습포제는 필요에 따라서 부형제, 자극완화제, 약효보조제 및 pH 조정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먼저, 부형제로서, 고령토, 황토, 숯, 산화아연, 티탄, 활석, 벤토나이트 및 함수규산 알루미늄 등의 충진제; 치몰(thimo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e), 염화벤자르코늄(benzalkonium chloride) 및 에틸파라벤(ethylparabene) 등의 방부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스테아르산에스테르, 에테르산2나트륨,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dibutylhydroxy toluene), 부틸히드록시아리솔(butylhydroxy arisol) 및 몰식자산에스테르 등의 항산화제;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텔린알킬에테르 등의 유화제;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글리콜, 파라아미노벤조산메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놀,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놀-5-술폰산 등의 자외선 흡수제; 염화칼슘·탄산칼슘·염화마그네슘 등의 알카리토류금속, 칼리명반·암모니아명반·수산화알루미늄의 알루미늄 화합물, 포르말린·글리옥사졸·글루타르알데히드 디알레히드녹말의 알데하이드류, 에폭시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등의 가교제 또는 중합제; 또는 폴리부텐, 천연라텍스, 아세트산비닐 에멀젼 및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 등의 점착부여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의 각종 부형제는 적당히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습포제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습포제의 피부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염산디펜히드라민, 타닌산디펜히드라민, d1-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d-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등의 항히스타민제; 안렉사녹스, 이브시라스트, 아젤라스틴, 옥사토미드, 크로모글리크산나트륨, 타자노라스트, 테르페나딘, 토라니라스트, 푸마르산케토티펜, 레피리나스토 등의 항알레르기제, 또는 스테로이드제; 기타 글리틸리틴산, 글리틸레틴산, α, β, γ의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시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유도되는 화합물 등의 자극완화제를 적당히 배합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약효보조제(NSAID :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로서 1-멘톨(mentol), 캄파(camphor), 유칼리유, 고추엑스, 캅사이신, 비타민 E, 플라토닌, 로트엑스, 황백나무분말, 서양칠엽수엑스, 베라돈나엑스, 노닐산와닐아미드, 테레빈유 또는 니코틴산벤질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1-멘톨이나 유칼리유는 흡수촉진제로서도 기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약효보조제로서 캄파(camphor), 멘톨(mentol)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pH 조정제로서 시트르산(citric acid)·주석산·아세트산(ace-
tic acid)·말산(malic acid)·숙신산(succinic acid)·타르타르산(tartaric acid)의 유기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 amine)·디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 amine) 또는 디에탄올아민(diethanol amine)의 수용성 유기아민류 등을 사용하여 습포제의 pH를 4 내지 8,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5의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피부자극성의 완화, 기제로부터의 약물방출성, 경피에 대한 흡수성, 기제의 안정성의 향상 또는 점착성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pH 조정제의 배합량은 pH의 농도에 따라서 적당히 사용한다.
한편, 기재층은 소정의 통기성 및 가요성(유연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다공성 재료를 사용한다. 다공성 재료는 비섬유성 또는 섬유성 다공성 재료로 나뉘는데, 비섬유성 다공성 재료로는 막질필터(membrane filter),발포체(발포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발포 폴리에틸렌, 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등), 각 종 다공성 필름 및 메시(mesh)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섬유성 다공성 재료로는 직편물, 부직포, 종이류 및 단섬유의 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직편물이란 직포와 같은 직물이나 편물 또는 이것에 필적하는 것을 포함하며, 직물 조직은 실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모든 종류의 것, 예를 들면 평직, 사문직(斜文織) 및 주자직(朱子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편물조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된 것은 없으며, 횡편(weft knit, 평면), 종편(warp knit, 트리콧[tricot]), 환편(round braid), 평직(falt barid) 및 메리야스 뜨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섬유의 충전밀도(부피밀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류도 통상의 종이재(서양종이, 일본종이) 또는 그 적충체 또는 각종 잡성종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섬유성 다공성 재료를 구성하는 섬유는 예컨대, 셀룰로오스섬유(cellulose fiber), 면, 린터(linter), 카복(kapok), 아마, 대마, 모시(ramie), 큐프라(cupra), 아세테이트(acetate), 비닐론, 아크릴(acry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화학섬유 또는 이들 천연 및 화학섬유 중 2종 이상을 조합한 혼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섬유의 굵기는 그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0.1 내지 5.0 데니어(denier)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두께는 그 재질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되지만, 통상은 0.05 내지 1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5 mm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알로에 함유 습포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ⅰ) 알로에 추출물을 필요에 따라서 흡수촉진제에 혼합하여 균일하게 제조하는 단계 ;
ⅱ) 수용성 고분자를 물과 보습제로 혼합분산한 후 필요에 따라 부형제 및 기타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균일한 연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
ⅲ) 단계 ⅰ)의 혼합물에 단계 ⅱ)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균일한 연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 및
ⅳ) 상기 연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기재층 위에 얇게 바른 후 그 위에 박리피복물을 붙이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조법에 있어서 각 약제, 약효성분 또는 기타성분을 배합하는 순서는 그 일례를 설명한데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습포제의 제조방법이 상기 배합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로에 함유 습포제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습포제의 기제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다. 본 발명의 습포제 기제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로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고 보습제로 농-글리세린을, 부형제로 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을, pH 조정제로 주석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젤라틴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정제수와 함께 혼합기에 넣어 약 60℃에서 용해시켜 균일한 분산액을 제조한 후 상기 분산액에 미리 조제한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분산액, 정제수, 주석산, 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카올린 및 D-솔비톨액의 용해액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균일한 습포제 기제액(시료 A)을 조제하였다. 상기 습포제 기제액에 알로에 추출물(aloe vera gel concentrate, 40 : 1 declodized, ALOECORP)을 0.5, 1, 2, 4, 8 및 16% 농도로 첨가·배합하여 균일한 알로에 함유 습포제 기제액(시료 B, C, D, E, F 및 G)을 제조하였다(표 2). 또한, 알로에 추출물의 함량이 0.5 및 1.0%이고 약효보조제로서 캄파(camphor), 멘톨(mentol)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함유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기제액(시료 H 및 I)을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두께 0.75 mm)를 기재층으로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조성의 습포제 기제액을 140 ㎠당 10 g이 되도록 전사코팅 방법에 의해 소정의 부직포에 도포한 후 폴리프로필렌필름으로 씌우고, 냉동드럼과 냉동실을 통과시켜 냉각시킨 후 10 ×14 ㎝ 당 10g 크기로 절단하여 제품화하였다.
<표 1> 습포제의 기제 조성물
구 분 조 성 (%)
젤 라 틴 1.75
폴리비닐알코올 0.88
폴리아크릴산나트륨 4.1
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2.25
카 올 린 4
지 당 0.5
주 석 산 0.88
농-글리세린 18.5
D-솔비톨액 17.14
정 제 수 50
<표 2> 알로에 습포제의 약효보조제 함유량(단위 : %)
시료유효성분 A B C D E F G H I J
알로에 추출물 - 0.5 1.0 2.0 4.0 8.0 16.0 0.5 1.0 -
글리콜살리실산 - - - - - - - - - 0.5
캄파 - - - - - - - 0.2 0.2 0.2
멘톨 - - - - - - - 0.3 0.3 0.3
토코페롤 - - - - - - - 0.3 0.3 0.3
염산디펜하이드라민 - - - - - - - - - 0.05
<실험예 1> 알로에 함유 습포제의 항염증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강타 후 지부종법(肢浮腫法)에 의한 항염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동물은 체중 130 g 전후의 위스터계(Wister, 삼육동물) 스프라그 다우레이 랫트(Sprague Dawley Rat)를 군당 10 마리씩 분배하여 25℃ ± 2℃의 실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은 항염증 실험에 들어가기 전 18 내지 19시간 전부터 물은 자유롭게 주면서 절식시켰다. 실험 중의 실내 온도는 22℃ ± 2℃를 유지하였다. 부종을 일으키기 전의 족용적(足容積)을 측정한 후 실험동물을 에테르로 마취시켰다. 내경 25 ㎜, 높이 1 m의 플라스틱관에 고정시킨 직경 24 mm,무게 100 g의 접시 저울추를 상기와 같이 마취시킨 실험동물의 후지족(後肢足) 안쪽에 낙하시켜 부종(浮腫)을 야기하였다.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의 부종 억제 및 부종 유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강타한 후 바로 처치한 무리와 강타한 후 부종이 최대로 일어난 뒤 처치한 무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강타 직후 처치 무리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습포제 기제(A), 알로에 함유 습포제(B, C, D, E, F 및 G), 알로에 및 약효보조제 함유 습포제(H 및 I) 및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습포제(J)를 4.5 내지 5 ㎝ 크기로 잘라 실험동물의 후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붙이고 그 위에 습포제를 보호하기 위한 밀착포를 붙인 후 밀착포 전체에 반창고를 붙였다. 강타 후 처치 무리는 부종을 일으킨 후 2 시간째부터 상기와 동일한 습포제를 부착하고 이로부터 6 시간 동안 매시간 마다 족용적을 측정하였다.
상기의 습포제를 처치한 실험동물에서의 부종율(S)과 부종억제율(I)은 하기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이때, a는 강타 전의 족용적(㎖)을 나타내고, b는 강타 후의 족용적(㎖)을 나타낸다.
<수학식 2>
이때, A는 약물 비처치군의 부종율(%)을 나타내고 B는 약물 처치군의 부종율(%)을 나타내며, 유의차 검정(실험결과 수치)은 t 검정을 적용하였다.
<1-1> 알로에 추출물 함량에 따른 항염증 효과 비교
(1) 부종야기 직후 처치에 의한 효과
상기 실시예1 에서 제조된 알로에 함유 습포제에서 알로에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알로에 추출물 함량이 각각 0.5, 1.0, 2.0, 4.0, 8.0 및 16.0%인 알로에 함유 습포제(시료 B, C, D, E, F 및 G)를 부종야기 직후에 처치하여 시간에 따른 부종의 감소 여부를 관찰하였다.
약물을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 무리는 부종야기 직후 1 시간째에 약 70%의 부종율을 나타내다가 그 후부터 약간씩 감소하여 8 시간째에는 약 55%의 부종율을 나타낸 반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추출물이 함유된 습포제를 처치한 경우에는 알로에 함량이 0.5 내지 2%인 농도 범위(시료 B, C 및 D)에서 농도 의존적인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부종야기 8 시간째에 알로에 함량이 0.5%인 습포제(시료 A)의 부종 억제율은 25%(P < 0.05)이고, 1%인 습포제(시료 C)는 40%(P< 0.01), 2%인 습포제는 50%(P < 0.001)의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알로에 함량이 2%인 습포제(시료 D)는 부종야기 후 1 시간째에서 60%(P < 0.001), 2 시간째에서 54%(P < 0.001)라는 강한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알로에 함량이 4 내지 16%의 모든 습포제에서 부종 야기후 1 시간째부터 8 시간째까지 유의한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었는데, 각각 34%(P < 0.001), 35%(P < 0.001) 및 40%(P < 0.001)의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표 3> 부종야기 직후 처치에 의한 효과(단위 : %)
시간시료 1 2 4 6 8
B 44(P<0.001) 36(P<0.001) 34(P<0.001) 28(P<0.05) 25(P<0.05)
C 50(P<0.001) 48(P<0.001) 44(P<0.001) 43(P<0.001) 40(P<0.01)
D 60(P<0.001) 50(P<0.001) 49(P<0.001) 52(P<0.001) 50(P<0.001)
E 40(P<0.001) 36(P<0.001) 33(P<0.01) 34(P<0.001) 34(P<0.001)
F 45(P<0.001) 42(P<0.001) 38(P<0.01) 36(P<0.001) 35(P<0.001)
G 48(P<0.001) 43(P<0.001) 41(P<0.001) 40(P<0.001) 40(P<0.001)
(2) 부종야기 2 시간후부터의 처치에 의한 효과
알로에 추출물 함량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부종야기 2 시간후에 각각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를 처치하여 부종 감소를 관찰하였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종야기 2 시간후부터 처치한 모든 무리에서 처치 시간의 연장에 따라 부종 억제 효과가 지속되었고, 상기의 부종야기 직후 처치 결과와 같이 알로에 함량이 2%인 습포제(시료 D)에서 처치후 1 시간째(부종야기 후 3 시간째)에서 39%(P < 0.001) 2 시간째(부종야기 후 4 시간째)에서 52%(P < 0.001), 4 시간째(부종야기 후 6 시간째)에서 51%(P < 0.001)의 부종 감소 효과를보여 최대의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표 4> 부종야기 2시간후부터의 처치에 의한 효과(단위 : %)
시간시료 3 4 6
B 30(P<0.05) 41(P<0.001) 37(P<0.05)
C 32(P<0.05) 42(P<0.001) 45(P<0.001)
D 39(P<0.001) 52(P<0.001) 51(P<0.001)
E 45(P<0.01) 53(P<0.01) 50(P<0.01)
F 47(P<0.001) 53(P<0.001) 51(P<0.001)
G 49(P<0.001) 56(P<0.001) 53(P<0.001)
<1-2> 알로에 추출물을 함유한 습포제(시료 D)와 알로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습포제 기제(시료 A)의 항염증 효과 비교
(1) 부종야기 직후 처치에 의한 효과
상기 실험예 <1-1>에서 가장 우수한 부종 억제율을 나타낸 2% 알로에 추출물 함유 습포제(시료 D)와 알로에를 함유하지 않고 기재 조성물만을 포함하고 있는 습포제(시료 A)를 부종야기 직후 처치하여 이들의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습포제 기제(시료 A)만으로도 처치 후 1 시간째부터 8 시간째까지 상당한 부종 감소가 관찰되었는데, 1 시간째에는 38%, 2 시간째에는 36%, 4 시간째에는 39%, 6 시간째에는 38%, 8 시간째에 는 37%의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상기 습포제 기제에 알로에 추출물이 2% 배합된 습포제(시료 D)의 부종 억제율은 습포제 기제의 부종 억제율보다 2배 이상의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1 시간째에서 64%, 2 시간째에서 66%, 4 시간째에서 68%, 6 시간째에서 72%, 8 시간째에서 71%의 강한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로에 추출물을 함유한 알로에 함유 습포제가 강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5> 2% 알로에 함유 습포제(시료 D)와 습포제 기제(시료 A)의 부종야기 직후 처치에 의한 효과(단위 : %)
시간시료 1 2 4 6 8
A 38(P<0.001) 36(P<0.001) 39(P<0.001) 38(P<0.001) 37(P<0.001)
D 64(P<0.001) 66(P<0.001) 68(P<0.001) 72(P<0.001) 71(P<0.001)
(2) 부종야기 2 시간후부터의 처치에 의한 효과
2% 알로에 추출물 함유 습포제(시료 D)와 알로에를 함유하지 않은 습포제 기제(시료 A)를 부종야기 2 시간후에 처치하여 이들의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습포제 기제만의 부종 억제 효과보다 알로에가 함유된 습포제의 부종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습포제 기제 단독의 부종 억제 효과는 10 내지 20% 안팎의 부종 억제율을 나타낸 반면, 알로에 추출물이 2% 배합된 습포제는 처치 후 1 시간째에서 31%, 2 시간째에서 43%, 4 시간째에서 55%의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어 시간에 따라 강한 부종 감소 효과를 보였다.
<표 6> 2% 알로에 함유 습포제(시료 D)와 습포제 기제(시료 A)의 부종야기 2 시간후부터의 처치에 의한 효과(단위 : %)
시간시료 3 4 6
A 11(P<0.05) 15(P<0.01) 17(P<0.01)
D 31(P<0.01) 43(P<0.001) 55(P<0.001)
<1-3> 알로에 추출물 및 약효보조제를 함유하는 습포제(H, I) 및 시판 제품(J)의 항염증 효과 비교
알로에 추출물과 약효보조제로 캄파, 멘톨 및 토코페롤이 배합된 습포제(시료 H 및 I)와 알로에 대신 살리실산 글리콜이 배합된 시판 제품(시료 J)를 선택하여 이들의 부종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 H와 I는 알로에 추출물의 함량이 각각 0.5%와 1%이고 캄파, 멘톨, 토코페롤이 동일한 양으로 배합되어 있으며, 시판 제품인 시료 J는 살리실산 글리콜을 0.5% 함유하고 있고 이외 약효보조제의 함량은 상기 시료 H 및 J와 동일하게 제조되었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종야기 직후 시료 I의 습포제를 처치한 무리에서 가장 우수한 부종 억제율이 나타났는데, 1 시간째의 부종 억제율을 다른 시료의 습포제와 비교하면 H, I 및 J가 각각 36%, 56% 및 45%의 부종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부종 억제 효과의 특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8 시간째의 부종 억제율을 비교한 결과 H, I 및 J가 각각 23%, 45% 및 40%의 부종 감소율을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가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습포제보다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특정성(特積性)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표 7> 알로에 및 약효보조제를 함유한 습포제(시료 H 및 I)와 시판 제품(시료 J)의 부종야기 직후처치에 의한 효과(단위 : %)
시간시료 1 2 4 6 8
H 36(P<0.001) 32(P<0.001) 23(P<0.05) 21(P<0.05) 23(P<0.05)
I 56(P<0.001) 54(P<0.001) 47(P<0.001) 44(P<0.001) 45(P<0.01)
J 45(P<0.001) 44(P<0.001) 37(P<0.001) 32(P<0.001) 40(P<0.001)
<1-4> 알로에 추출물을 함유한 습포제(시료 D)와 알로에 추출물 및 약효보조제를 함유한 습포제의 항염증 효과 비교
(1) 부종야기 직후 처지에 의한 효과
약효보조제로 습포제에 함유된 캄파, 멘톨 및 토코페롤이 알로에의 항염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알로에 추출물 함량이 2%인 습포제(시료 D)와 알로에 추출물 외에 상기 약효보조제이 배합된 습포제(시료 I)를 부종야기 직후에 처치하여 이들의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료 D 및 I의 습포제 모두 처치후 1 시간째부터 8 시간째까지 강한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매시 경과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면서 8 시간째에서 가장 우수한 부종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각각 71% 및 65%), 대부분 비슷한 정도의 부종 억제율과 함께 부종 억제 효과의 특정성을 나타내었다.
<표 8> 알로에 함유 습포제(시료 D)와 알로에 및 약효보조제 함유 습포제(시료 I)의 부종야기 직후처치에 의한 효과(단위 : %)
시간시료 1 2 4 6 8
D 52(P<0.001) 53(P<0.001) 62(P<0.001) 64(P<0.001) 71(P<0.001)
I 46(P<0.001) 48(P<0.001) 60(P<0.001) 62(P<0.001) 65(P<0.001)
(2) 부종야기 2 시간후부터의 처지에 의한 효과
상기 시료 D 및 I의 습포제를 부종야기 2시간후에 처치하여 이들의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시료의 습포제 모두 상기의 부종야기 직후 처치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에 배합된 캄파, 멘톨 및 토코페롤 등의 약효보조제는 알로에의 항염증 효과에 아무런 영항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표 9> 알로에 함유 습포제(시료 D)와 알로에 및 약효보조제 함유 습포제(시료 I)의 부종야기 2 시간후부터의 처치에 의한 효과(단위 : %)
시간시료 3 4 6 8
D 37(P<0.001) 49(P<0.001) 59(P<0.001) 63(P<0.001)
I 43(P<0.001) 49(P<0.001) 61(P<0.001) 66(P<0.001)
상기의 실험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는 부종에 대한 항염증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강타후 지부종법에 의해 부종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는 부종야기 직후에 처치한 경우 뿐 아니라 부종야기 2 시간후에 처치한 경우에도 모두 우수한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가장 우수한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낸 알로에 추출물의 함량은 2%로 조사되었다.
또한, 알로에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습포제 기제는 상당한 부종 억제 효과를 보였지만, 이는 습포제 기제 자체가 수용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함수량이 매우 높고 냉각 효과가 우수하여 부종에 대해 어느 정도의 찜질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속적인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반면, 동일한 습포제 기제에 알로에 추출물이 2% 배합된 습포제는 부종야기 직후 처치 뿐 아니라 부종야기 2시간후 처치에도 현저한 부종 감소 효과를 나타내면서 효과의 특정성을 보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는 기존의 염좌 및 타박상 등에 효능을 나타내는 살리실산 글리콜 함유의 진통 소염 습포제와 대등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진통 습포제로서 신경통, 요산의 축적으로 인한 통풍, 타박상, 염좌 및 근육통의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로에 함유 습포제는 부종 억제 작용과 부종 감소 작용이 매우 뛰어나 인체에 전혀 무해한 이상적인 진통 습포제로서 신경통, 요산의 축적으로 인한 통풍, 타박상, 염좌 및 근육통의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알로에 함유 경고제(plaster) 및 패취제(patch) 등에도 응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cataplasma).
  2. 제 1항에 있어서, 알로에 추출물은 습포제 총량에 대해 0.5 내지 16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3. 제 1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수분, 흡수촉진제, 부형제, 자극완화제, 약효보조제 및 pH 조정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4. 제 3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는 젤라틴(gelatin)·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또는 그의 염, 콜라겐(collagen), 잔사 고무, 아카시아 고무, 구어 고무, 카라기산, 아르긴산(alginic acid), 아르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한천(agar), 아라비아 고무, 토라간 고무, 카라야 고무, 펙틴(pectin) 및 녹말 중에서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 메틸셀룰로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ydroxy 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가용성 녹말(soluble starch), 카르복시메틸녹말(carboxylmethyl starch) 및 디알데히드 녹말(dialdehyde starch) 중에서 선택되는 반합성 고분자; 또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ollidone),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polyacrylic acid copolymer, 카르복시비닐폴리 등),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methyl vinylether-anhydrousmaleic acid copolymer) 및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iosbutylene-anhydrousmaleic acid copolymer) 중에서 선택되는 합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5. 제 4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는 습포제의 총량에 대해서 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6. 제 3항에 있어서,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및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glycol)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7. 제 6항에 있어서, 보습제는 습포제의 총량에 대해서 3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8. 제 3항에 있어서, 수분은 습포제의 총량에 대해서 10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9. 제 3항에 있어서, 부형제는 고령토, 황토, 숯, 산화아연, 티탄, 활석, 벤토나이트 및 함수규산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충진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치몰(thimo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e), 염화벤자르코늄(benzalkonium chloride) 및 에틸파라벤(ethylparabene)으로 이루어진 방부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스테아르산에스테르, 에테르산2나트륨,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dibutylhydroxy toluene), 부틸히드록시아리솔(butylhydroxy arisol) 및 몰식자산에스테르으로 이루어진 항산화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텔린알킬에테르로 이루어진유화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글리콜, 파라아미노벤조산메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놀,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놀-5-술폰산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흡수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염화칼슘·탄산칼슘·염화마그네슘 등의 알카리토류금속, 칼리명반·암모니아명반·수산화알루미늄의 알루미늄 화합물, 포르말린·글리옥사졸·글루타르알데히드 디알레히드녹말의 알데하이드류, 에폭시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로 이루어진 가교제 또는 중합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폴리부텐, 천연라텍스, 아세트산비닐 에멀젼 및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점착부여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상기 그룹들로부터 2종 이상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10. 제 3항에 있어서, pH 조정제는 습포제의 pH가 4 내지 8로 유지되도록 하며, 시트르산(citric acid)·주석산·아세트산(acetic acid)·말산(malic acid)·숙신산(succinic acid)·타르타르산(tartaric acid)의 유기산, 트리에탄올아민(trietha
    -nol amine)·디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 amine) 또는 디에탄올아민(dietha
    -nol amine)의 수용성 유기아민류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11. 제 3항에 있어서, 흡수촉진제는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diisopropyladipa-
    t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lene glycol), 레시틴(recitin), 디메틸술폭시드
    (dimethylsulfoxide),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스쿠왈렌, 말기름, 크로타미톤, n-옥틸-β-D-글루코시드(OG), n-옥틸-β-D-티오글루코시드(OTG), 에이존, 1-[2-(데실티오)에틸] 아자시클로펜탄-2-온(HPE-|0|로 약칭함), 1-멘톤, 1-멘톨(mentol), 박하유, 유칼리유, 1-리모넨, d-리모넨, d1-리모넨 또는 기타의 정유, 혹은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EO)소르비탄(상품명 :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POE로 약칭함), 경화피마자유, POE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POE노닐페닐에테르, POE라우릴에테르, POE(40)스테아레이트, POE(20)모노스테아레이트,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로마크로골 또는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12. 제 3항에 있어서, 자극완화제는 염산디펜히드라민, 타닌산디펜히드라민, d1-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d-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말레산클로로페닐아민 등의 항히스타민제; 안렉사녹스, 이브시라스트, 아젤라스틴, 옥사토미드, 크로모글리크산나트륨, 타자노라스트, 테르페나딘, 토라니라스트, 푸마르산케토티펜, 레피리나스토 등의 항알레르기제, 또는 스테로이드제; 기타 글리틸리틴산, 글리틸레틴산, α,β, γ의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시클로덱스트린으로부터 유도되는 화합물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13. 제 3항에 있어서, 약효보조제(NSAID ;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는 1-멘톨(mentol), 캄파(camphor), 유칼리유, 고추엑스, 캅사이신, 비타민 E, 플라토닌, 로트엑스, 황백나무분말, 서양칠엽수엑스, 베라돈나엑스, 노닐산와닐아미드, 테레빈유 또는 니코틴산벤질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14. ⅰ) 알로에 추출물을 필요에 따라서 흡수촉진제에 혼합하여 균일하게 제조하는 단계 ;
    ⅱ) 수용성 고분자를 물과 보습제로 혼합분산한 후 필요에 따라 부형제 및 기타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균일한 연합물로 제조하는 단계 ;
    ⅲ) 단계 ⅰ)의 혼합물에 단계 ⅱ)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균일한 연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 및
    ⅳ) 상기 연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기재층 위에 얇게 바른 후 그 위에 박리피복물을 붙이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의 제조방법.
  15.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로에 함유 경고제(plaster) 및 패취제(patch).
KR1020000030173A 2000-06-01 2000-06-01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KR20010109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173A KR20010109042A (ko) 2000-06-01 2000-06-01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173A KR20010109042A (ko) 2000-06-01 2000-06-01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042A true KR20010109042A (ko) 2001-12-08

Family

ID=4585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173A KR20010109042A (ko) 2000-06-01 2000-06-01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04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55A (ko) * 2002-03-22 2002-04-13 장감용 천연재료 파스 제조법
KR20030058870A (ko) * 2002-01-02 2003-07-07 김익현 목초액을 이용한 혈액 순환 촉진용 접착 시트의 제조방법및 접착시트
KR100741654B1 (ko) * 2005-02-07 2007-07-23 한웅코텍 주식회사 피부적용 유성 소프트 겔 시트
KR100772027B1 (ko) * 2007-05-28 2007-10-31 자연과 숯(주) 찜질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찜질용 팩
WO2010143827A2 (ko) * 2009-06-09 2010-12-16 한웅코텍 주식회사 피부부착용 오일-겔 소프트 패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0424B1 (ko) * 2019-06-05 2020-03-17 김철준 기능이 개선된 플라스터제
WO2021261679A1 (ko) * 2020-06-22 2021-12-30 허인숙 부목 파스
KR20220055032A (ko) * 2020-10-26 2022-05-03 허인숙 부목 파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870A (ko) * 2002-01-02 2003-07-07 김익현 목초액을 이용한 혈액 순환 촉진용 접착 시트의 제조방법및 접착시트
KR20020027455A (ko) * 2002-03-22 2002-04-13 장감용 천연재료 파스 제조법
KR100741654B1 (ko) * 2005-02-07 2007-07-23 한웅코텍 주식회사 피부적용 유성 소프트 겔 시트
KR100772027B1 (ko) * 2007-05-28 2007-10-31 자연과 숯(주) 찜질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찜질용 팩
WO2008147100A1 (en) * 2007-05-28 2008-12-04 Nature & Charcoal Co., Ltd. Composition for cataplasmas and cataplasmas comprising the same
WO2010143827A2 (ko) * 2009-06-09 2010-12-16 한웅코텍 주식회사 피부부착용 오일-겔 소프트 패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0143827A3 (ko) * 2009-06-09 2011-03-17 한웅코텍 주식회사 피부부착용 오일-겔 소프트 패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0424B1 (ko) * 2019-06-05 2020-03-17 김철준 기능이 개선된 플라스터제
WO2021261679A1 (ko) * 2020-06-22 2021-12-30 허인숙 부목 파스
KR20220055032A (ko) * 2020-10-26 2022-05-03 허인숙 부목 파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wla et al. Asparagus racemosus (Willd): biological activities & its active principles
WO2017206758A1 (zh) 皮肤多种损伤创面治疗的外用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0404054C (zh) 一种煮散型中药抗菌消炎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062289A (zh) 治疗痛风的外用药物组合物
EP2344173A1 (en) New synergic association for the treatment of deep skin or mucosa injuries
KR100946605B1 (ko) 소염 진통 첩부제
KR20140097095A (ko)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KR20010109042A (ko) 항염증 효과를 갖는 알로에 함유 습포제
Udobre et al. The wound heal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the stem bark of Nauclea latifolia
CN105381499A (zh) 具有促进伤口愈合功效的医用膜及其制备工艺
CN102784299A (zh) 促进伤口愈合不留瘢痕色素的外用膏及其制备方法
EP1965817A2 (en) Compositions containing cotinus coggygria extract and use thereof in treating wounds
KR20070101660A (ko) 자작나무 수액과 대황 및 애기수영의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물티슈 조성물
CN109731040A (zh) 一种外伤修复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363021A (zh) 促进创面愈合的凝胶
CN105560620A (zh) 一种用于外伤处理的中药制剂
CN113616774B (zh) 一种含植物干细胞的抑菌组合物、养护抑菌液及其制备方法
Satish et al. Evaluation of Wound Healing Activity of Catharanthus Roseus Aqueous Extract in Adult Albino Rats.(2021)
Salim et al. The effectiveness of extract the seed of pomegranate in healing the wound induced inrabbits skin
CN105536028A (zh) 促进皮肤创面修复的敷料及制备方法
KR20120090123A (ko) 여성의 생리통 완화용 피부도포형 필름형성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othari et al. Evaluation of wound healing activity and preliminary phytochemical screening of Thespesia populnea Bark Extracts
KR102534261B1 (ko)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35757A (ko) 피부의 볼륨 증가 촉진용 조성물
Rathod et al. A CASE REPORT OF SKIN GRAFT IN MANAGEMENT OF DIABETIC WOUND ALONG WITH PANCHVALKAL KASHAY DHAV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