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036A - 호흡기감염증 예방제 - Google Patents

호흡기감염증 예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036A
KR20010108036A KR1020017007854A KR20017007854A KR20010108036A KR 20010108036 A KR20010108036 A KR 20010108036A KR 1020017007854 A KR1020017007854 A KR 1020017007854A KR 20017007854 A KR20017007854 A KR 20017007854A KR 20010108036 A KR20010108036 A KR 20010108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ection
respiratory
carbocysteine
moraxella
branhame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825B1 (ko
Inventor
츠요시 나가타케
Original Assignee
츠요시 나가타케
오기하라 이쿠오
교린 세이야꾸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요시 나가타케, 오기하라 이쿠오, 교린 세이야꾸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츠요시 나가타케
Publication of KR2001010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2Mucoly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1)
로 표시되는 카르보시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감염증 예방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호흡기감염증 예방제는, 호흡기감염에 대하여 감염 이전의 단계, 즉 기도에 대한 세균의 부착단계에 있어서 감염증 예방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약제로서, 만성질환환자의 급성증악회수경감이나, 면역저하자에서의 세균감염방지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서는 항균제의 범용에 의한 내성균의 증가방지에 도움이 됨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흡기감염증 예방제{PREVENTIVE FOR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종래, 호흡기감염증에 대해서는 항균제에 의한 살균, 항염증약에 의한 소염, 거담약에 의한 가래의 배출촉진 등, 감염성립 후의 대처방법에 있어서 널리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감염성립 자체를 방지하는 바와 같은 예방적인 방법에 있어서는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에 대해서만 접착억제약이 개발되고 있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세균의 부착억제에 관해서는 전혀 연구되어 있지 않은 현재상황에서 하물며 그와 같은 목적으로서 효과를 가지는 약제에 대해서도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는다.
한편 호흡기감염증의 5대 기염균(起炎菌)의 하나로서 알려지는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는, 그 인두상피(상기도점막)에 대한 접착능과 하기도감염의 성립에 강한 상관을 확인할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무바키 N(Mbaki N., et a1), 도호쿠저널(Tohoku J. Exp. Med.), 153, 111-121, 1987).
이에 의하여 상기도 점막에 대한 호흡기감염의 부착방지가, 하기도 감염성립의 예방에 대한 제 1보가 되는 것이 예측되어 살균제로의 양치질 등에 의한 감염방지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증명되어 왔다. 그러나 호흡기감염균의 상기도점막부착에 대하여 직접 저해하는 것 같은 약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 져 있지 않다.
호흡기감염증은 그 치료에 있어서 항균제를 범용하기 때문에 오늘날 내성균의 증가 등,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 만성적인 호흡기감염증 환자 및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는 끊임없이 감염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와 같은 환자군에 대한 유효한 감염예방법의 확립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호흡기감염의 원인균이 인체에 감염되기 전에 예방할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호흡기감염균의 부착을 저해하는 호흡기감염증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실시예 2의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자는 호흡기감염증이 그 질환을 야기하는 원인세균의 기도에 대한 부착을 제 1 단계로 해서 발증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그들 원인세균의 기도에 대한 부착을 억제하는 것이 호흡기감염증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미 거담제로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카르보시스테인에 대하여 세균의 기도에 대한 부착억제효과를 검토한 바, 현저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은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카르보시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감염증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카르보시스테인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시스테인유도체의 거담제로서, 프랑스의 래보라토리즈 쥴리(Laboratories Joulie)사에 의해 개발되어, 1965년 판매명「리나티올(Rhinathio1)」로서 발매되었다. 그 후 영국에서는 1972년에 베르크 파머슈티칼즈(Berk Pharmaceuticals)사가「무코다인(Mucodyne)」으로서 발매하여 현재에는 세계 14개국에서 판매되고 있기 까지에 이르렀다.
일본국내에서도 교린제약에 의해 개발되어 1981년에 일본국 후생성의 제조승인을 얻어 판매명「무코다인」으로서 발매한 이래 안정성이 높은 거담제로서 널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카르보시스테인의 작용으로서 객담(喀痰)의 물성을 개선하여 배출을 신속하게 하는 [브라운(Brown D. T.), 드럭 인텔리전스 크리니컬 파머콜로지(Drug lntelligence Clin. Pharmacol.), 22, 603-608, 1988], 섬모의 수복을 촉진하여 수송능을 개선하는 [오지하라 마사오(Ogihara M.) 등, 기관지학, 4, 235-,1982] 것 등이 알려져 있으나, 세균의 부착억제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호흡기감염증 예방제로서의 카르보시스테인은, 종래 약학적으로 잘 알려진 형태 및 투여경로를 적용하여 인간에게 투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산제, 정제, 캡슐제, 세립제, 과립제, 시럽제 등에 의해 경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호흡기감염증 예방제로서의 카르보시스테인의 투여량은 연령, 체중, 증상 등에 따라서도 다르나, 경구투여에서는 1회 250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250 내지 1000 mg을 하루 3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호흡기감염균의 하나인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 [Moraxella (Branhamela) catarrhalis]에 대하여 인간의 인두상피세포에의 부착에 대한 카르보시스테인의 억제효과를 시험관내에서 평가하였다.
(1) 인두상피세포
충분한 동의를 얻은 다음에 28 내지 54세의 정상인 2명 및 53 내지 75세의 만성폐질환환자 19명의 인두부를 면봉으로 찰과하여 채취하였다.
(2)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
호흡기감염증 환자의 객담으로부터 분리, 배양하였다.
(3) 부착시험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현탁액, 인두상피세포 현탁액을 혼합하고 카르보시스테인 원말(元末)을 용해하여 최종농도 1 내지 100㎍/m1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일정시간방치 후, 원심분리에 의해 인두상피세포에 부착하지 않은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 (Branhamela) catarrhalis]를 제거하였다. 남은 인두상피세포를 사이트스핀에 의해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고정시키고, 그램염색하여 광학현미경에 의해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가 부착되어 있는 인두상피세포수를 세었다. 카르보시스테인 비첨가의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4) 평가
랜덤하게 카운트한 인두상피세포(50) 셀 중,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가 부착되어 있는 세포수를, 대조구를 100%로 하였을 때의 부착율로 환산하였다.
(5) 결과
정상인 및 환자의 인두상피세포에 있어서, 카르보시스테인은 농도의존적으로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의 부착을 억제하였다(도 1).
[실시예 2]
호흡기감염균의 하나인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 (Branhamela) catarrhalis]에 대하여 인간 인두상피세포에의 부착에 대한 카르보시스테인의 경구투여에 의한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1) 대상
충분한 동의를 얻은 다음에 30 내지 54세의 정상인 5명 및 50 내지 75세의 만성폐색성 폐질환환자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투여방법
1회 500 mg, 하루 3회, 7일간 경구투여하였다.
(3) 부착시험
카르보시스테인 투여전, 투여 2시간, 3일, 7일 후, 투여종료 7일 후에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두상피세포를 채취하였다. 각각의 인두상피세포현탁액을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 현탁액과 혼합하여 일정시간 방치 후, 원심분리에 의해 인두상피세포에 부착하고 있지 않은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를 제거하였다. 남은 인두상피세포를 사이트스핀에 의해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고정시키고, 그램염색하여 광학현미경에 의해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 [Moraxella (Branhamela) catarrhalis]가 부착되어 있는 인두상피세포수를 세었다. 카르보시스테인 투여전의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4) 평가
랜덤하게 카운트한 인두상피세포(50) 셀 중, 모락셀라(브란하멜라)·카타랄리스[Moraxella(Branhamela) catarrhalis]가 부착되어 있는 세포수를, 대조구를 100%로 하였을 때의 부착율로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5) 결과
카르보시스테인의 복용에 의해 부착율은 저하하였다. 부착율은 카르보시스테인의 투여 중,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하여, 7일 후에 가장 낮아졌다. 또 카르보시스테인의 투여종료 7일 후에는 100%에 가까운 값까지 다시 상승하였다 (도 2).
발명자들은 카르보시스테인이 시험관내 및 생체내(경구투여)에 있어서, 인두상피세포에 대한 호흡기감염균의 부착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의하여 카르보시스테인이 호흡기감염에 대하여 감염 이전의 단계, 즉 기도에 대한 세균의 부착단계에 있어서 감염증 예방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약제로서 만성질환환자의 급성증악회수경감이나, 면역저하자에서의 세균감염방지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서는 항균제의 범용에 의한 내성균의 증가방지에 도움이 됨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카르보시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감염증 예방제.
KR10-2001-7007854A 1998-12-22 1998-12-22 호흡기감염증 예방제 KR100523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5810 WO2000037070A1 (fr) 1998-12-22 1998-12-22 Substance prophylactique pour les maladies infectieuses respiratoi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036A true KR20010108036A (ko) 2001-12-07
KR100523825B1 KR100523825B1 (ko) 2005-10-25

Family

ID=1420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854A KR100523825B1 (ko) 1998-12-22 1998-12-22 호흡기감염증 예방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59959A4 (ko)
KR (1) KR100523825B1 (ko)
AU (1) AU1685799A (ko)
CA (1) CA2359603A1 (ko)
WO (1) WO2000037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9547B1 (en) * 2000-11-21 2002-11-12 Arthur Vanmoor Method of treating an infection b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 immune system
DE102015103291A1 (de) * 2015-03-06 2016-09-08 Ferton Holding S.A. Pulverstrahl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00A (zh) * 1993-06-10 1995-07-05 广州白云山制药股份有限公司 复方苯哌丙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9959A4 (en) 2005-01-12
EP1159959A1 (en) 2001-12-05
WO2000037070A1 (fr) 2000-06-29
CA2359603A1 (en) 2000-06-29
AU1685799A (en) 2000-07-12
KR100523825B1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9731B2 (en) Material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mucosa related disease
US20190298714A1 (en) Use of levocetirizine and montelukast to treat rhinosinusitis and nasal polyposis
ES2390226T3 (es)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fecciosas
US20170143674A1 (en) Use of Glutaryl Histamine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Tract Diseases
EA022879B1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CN110300593B (zh) 用于咳嗽的组合物
KR100523825B1 (ko) 호흡기감염증 예방제
MXPA04002066A (es) Farmacos contra influenza.
WO2021191904A1 (en)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viral infection
JP5364330B2 (ja) アゼラスチンとアンブロキソールと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JP2009108044A (ja) アゼラスチン類と消炎酵素剤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JP2010111667A (ja) フェキソフェナジン又はエバスチンを含有する鎮咳及び/又は去痰のための医薬組成物
JP2009007332A (ja) アゼラスチン類とエフェドリン類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WO2022241303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covid-19
DESAI et al. Hydroxychloroquine-A Saviour from The Past-A Review
CN117940129A (zh) 视网膜变性的治疗方法
JP5463019B2 (ja) エピナスチン類とエフェドリン類とを含有する気道杯細胞過形成を抑制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
JP2010150242A (ja) アンレキサノクスとエフェドリン類を含有する経口用医薬組成物
Betts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NZ613779B2 (en) Material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mucosa related disease
JP2010111666A (ja) セチリジンを含有する鎮咳及び/又は去痰のための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