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872A -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872A
KR20010107872A KR1020010069477A KR20010069477A KR20010107872A KR 20010107872 A KR20010107872 A KR 20010107872A KR 1020010069477 A KR1020010069477 A KR 1020010069477A KR 20010069477 A KR20010069477 A KR 20010069477A KR 20010107872 A KR20010107872 A KR 20010107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mposite panel
rectangular frame
composite
build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길
Original Assignee
최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길 filed Critical 최영길
Priority to KR102001006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7872A/ko
Publication of KR2001010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872A/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시키고 이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매립 설치한 후 일측면에는 외장재를 설치하고 타측면에는 보조프레임과 OSB합판을 설치한 구조의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시키고 이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양측방향에 대하여 소정간격으로 돌출되게 타설되며 일측면에는 외장재를 설치하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형성시킨 사각의 틀 내측에 매립 양생되며 외장재가 부착된 타측면에는 보조프레임이 설치되며 이의 전방으로는 OSB합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Composite pannel}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시키고 이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매립 설치한 후 일측면에는 외장재를 설치하고 타측면에는 보조프레임과 OSB합판을 설치한 구조의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틸하우스의 시공방법은 스틱공법과 패널공법으로 분류할수 있으며, 여기에서 스틱공법은 현장에서 상·하 런너를 먼저 설치하고 설치된 런너부재에 스터드를 소정의 간격으로 끼워 피스조립한 후 패널을 시공하는 방법이며, 패널공법은 패널을 현장 또는 공장에서 상·하 런너부재 사이에 스터드를끼워서 조립하여 골조틀을 만들어 시공한 후 현장에서 패널을 시공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공법들은 골조가 완성된 후에 스터드와 스터드 사이에 단열재를 끼우고 그 표면에 석고보드 또는 마감재를 부착하는 과정을 통하여 완성되는데 이 공법들은 스터드 간의 간격이 구조적 조건에 맞추어 결정된다기 보다는 석고보드 또는 마감재의 규격에 맞추어 정해져야 만이 석고보드와 석고보드의 죠인트 처리가 가능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부재를 현장에서 절단 가공 시공하는 관계로 작업 능률의 저하 및 부정확한 가공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며, 자재의 손실 등에 따른 재료비와 작업량의 증가로 인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총 공사비가 증대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뿐만아니라 이러한 기존의 경량철골을 이용한 구조물의 경우에는 단열 및 방음을 위한 단열재와 방음재의 시공시에 경량철골을 조립한후에 스터드와 스터드 부재사이에 단열재 또는 방음재를 충진하여 시공함으로서 그 충진이 불확실하여 방음 및 단열 상의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스터드간의 공간이 밀실하지 못하기 때문에 벽체를 두드릴 경우에 그로 인한 진동음이 발생할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공법들은 단열재 및 방음재로 시공되어지는 암면의 횡력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보장할 수 없기때문에 패널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의 이동이 많거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곳에는 파손에 대한 추가적인 보강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앞에서 언급된 패널공법을 이용하여 공장이나 현장에서 경량철골로 골조를 제작한 후 그 바닥에 패널을 깔아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스터드패널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스터드패널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100)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수직부재(200)와 수평부재(300)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400)을 형성시킨 후 형성된 사각틀(400)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500)를 도면상 소정간격인 λ로 돌출되게 타설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은 양생된 경량기포콘크리트 면의 평탄도가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의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미장 등의 추가적 공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인건비 상승과 공사기간 지연 등의 문제점이발생하였다.
또한, 전기선과 전화선 기타 전선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소정부위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홈을 형성시켜 이 홈에 전기선과 전화선 기타 전선등을 매립 설치함으로서 평탄도를 잡기 위하여 미장과 같은 평탄작업을 행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파손하여야 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 표면에 철물등 기타 구조물을 재료의 특성상 직접 표면에 설치하기가 어렵고, 공사비 절감 등의 이유로 표면의 평탄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닥의 평판도에 따라 패널이 뒤틀리거나 일그러지는 현상으로 시공과정의 패널 조립시 많은 문제점 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사각틀을 형성하는 구조물 내측에 타설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자중경량을 최소화하고 OSB합판이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타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 평활도 유지가 용이하여 평탄도를 잡기 위하여 미장과 같은 별도의 평탄작업 실시를 배제시켜 설치비의 감소 및 공기를 단축시킨다.
또한, 표면이 평활하므로 모든류의 마감제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단열성 방음성 및 차음성이 향상되고 종래의 패널공법에 입해 경량기포콘크리트량이 최소화됨으로 자중경감, 양생 시간단축 및 뒤틀림, 팽창 수축등에 의한 균열을 철구조물과 시멘트 및 목재의 특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와 합판등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증대되며, 전기선과 전화선 기타 전선 및 배관의 설치가 용이한 잊점이 있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터드패널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복합판넬을 이용하여 벽면을 형성시킬 때의 연결부위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b는 복합판넬을 이용하여 벽면을 형성시킬 때의 다른 연결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부재 20 : 수평부재
30 : 사각의 틀 40 : 경량기포콘크리트
50 : 외장재 60 : 보조프레임
70 : OSB합판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시키고 이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양측방향에 대하여 소정간격으로 돌출되게 타설되며 일측면에는 외장재를 설치하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사각틀 내측에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 양생되며, 사각틀의 일측으로는 외장재가 부착되고 이의 타측면에는 ㄷ형의 보조프레임이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매설되며 이의 전방으로는 OSB합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의 분해사시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1)은 수직부재(10)와 수평부재(20)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30)을 형성시키고 이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40)가 상기 사각의 틀(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에 매립 양생되며 일측면에는 외장재(50)가 부착되며 타측면에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모양이 "ㄷ"형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60)이 경량기포콘크리트(40)에 매립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보조프레임(6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조프레임(60)을 ⊃형으로 매립 설치하며 이의 전면으로는 OSB합판(70)가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같는 단위판넬 즉, 복합판넬을 첨부도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좌우로 연속 결합하여 벽면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첨부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판넬 즉, 복합판넬(1)의 사이에 연결부재(80)를 사용하여 결합시켜 벽면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판넬(1)을 형성시킬 때에는 종래의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의 설치방법과 동일하며, 상기 벽면을 구성한 판넬에 외장재와 내장재를 설치시를 살펴보면 먼저 외장재(50)의 경우에는 사각 틀(30)을 형성하는 각 수직부재(10)와 수평부재(20)에 바로 고정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각 부재에 바로 고정이 가능한 이유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40)가 사각 틀(30) 내측에 양생되어 있으므로 경량기포콘크리트(40)의 표면을 다듬는 평활도 유지 작업 없이 바로 각 부재에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상기 외벽을 이루는 외장재(50)를 몰타미장으로 대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장재(40)가 설치되는 타측면으로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보조프레임(60)이 설치되며 이의 전방으로는 두께가 10㎜ ∼ 15㎜ 정도 갖는 OSB합판(70)이 설치된다.
상기 내벽을 이루는 OSB합판(70)이 10㎜ ∼ 15㎜의 뚜께를 갖는 이유는 무게를 갖는 부착물 예를 들면 시계, 액자 및 달력등을 경량기포콘크리트(40)에 직접 못을 박으면 경량기포콘크리트(40)의 특성상 고정되지 않게 되어 떨어짐으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40)가 아닌 OSB합판(70)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60)의 설치구조에 따른 단면 구성이 "ㄷ"형으로 형성됨으로 전선과 배관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종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일부를 전선과 배관의 설치방향과 동일하게 홈을 형성시키기 위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조프레임(60)의 내측으로 입설시켜 용이하게 설치가 된다.
한편, 상기 수평부재(10)와 수직부재(20) 및 경량기포콘크리트(40)로만 이루어진 판넬일 경우 외부조건에 따른 변경 예컨데 하절기와 동절기의 기후에 따른 재료의 변형이 발생되는데, 이를 보조프레임(60)과 OSB합판(70)의 설치로 종방향과 횡방향 모두 인장강도가 증가되어 변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합판넬(1)을 상하좌우 연속으로 결합시켜 벽면을 형성시 복합판넬(1)과 복합판넬(1) 사이에 단면모양이 +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재(80)를 설치하여 복합판넬(1)의 고정력을 극대화시켜 벽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시키고 이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매립 설치한 후 일측면에는 외장재를 설치하고 타측면에는 보조프레임과 OSB합판을 설치하여 평활도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평탄도를 잡기 위하여 미장과 같은 별도의 평탄작업 실시를 배제시켜 설치비의 감소 및 공기를 단축시킴과, 또한, 표면이 평활하므로 모든류의 마감제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단열성 방음성 및 차음성이 향상되고 종래의 패널공법에 입해 경량기포콘크리트량이 최소화됨으로 자중경감, 양생 시간단축 및 뒤틀림, 팽창 수축등에 의한 균열을 철구조물과 시멘트 및 목재의 특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와 합판등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증대되며, 전기선과 전화선 기타 전선 및 배관의 설치가 용이한 잇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 및 볼트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시키고 이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양측방향에 대하여 소정간격으로 돌출되게 타설되며 일측면에는 외장재를 설치하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사각틀 내측에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 양생되며, 사각틀의 일측으로는 외장재가 부착되고 이의 타측면에는 ㄷ형의 보조프레임이 경량기포콘크리트에 매설되며 이의 전방으로는 OSB합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판넬을 상하좌우 연속으로 결합시켜 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형으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판넬을 상하좌우 연속으로 결합시켜 벽면을 형성시 복합판넬과 복합판넬 사이에 단면모양이 +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KR1020010069477A 2001-11-08 2001-11-08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KR20010107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477A KR20010107872A (ko) 2001-11-08 2001-11-08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477A KR20010107872A (ko) 2001-11-08 2001-11-08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872A true KR20010107872A (ko) 2001-12-07

Family

ID=4581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477A KR20010107872A (ko) 2001-11-08 2001-11-08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78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07B1 (ko) * 2002-05-09 2005-02-21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101297342B1 (ko) * 2013-05-30 2013-08-14 대우산업 주식회사 보강배관이 설치된 경량철골벽체와 이를 이용한 강도보강장치가 내장된 모바일화장실
KR102086111B1 (ko) * 2019-08-07 2020-03-06 (주)에코이노텍 외장재 합체형 프리캐스트 패널과 프리캐스트 접합부 개량에 대한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07B1 (ko) * 2002-05-09 2005-02-21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101297342B1 (ko) * 2013-05-30 2013-08-14 대우산업 주식회사 보강배관이 설치된 경량철골벽체와 이를 이용한 강도보강장치가 내장된 모바일화장실
KR102086111B1 (ko) * 2019-08-07 2020-03-06 (주)에코이노텍 외장재 합체형 프리캐스트 패널과 프리캐스트 접합부 개량에 대한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291B2 (en) Stronger wall system
AU2018271283B2 (en) A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 a prefabricated wall panel and a prefabricated floor panel thereof
KR101277751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보-기둥 건물의 리모델링 보강공법
KR100830241B1 (ko) 어댑터를 이용한 경량 합성구조 시스템의 상하층 경량합성벽체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의 복합화방법
KR20150060107A (ko)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79264B1 (ko) 골판지소재의 거푸집패널을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US20080289286A1 (en) Method of constructing foundation substructure and a building
CN103452209B (zh) 双层复合条板现浇内隔墙结构
KR20010107872A (ko)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KR100768081B1 (ko) 무주식 공동주택 구조물
JP7115922B2 (ja) 断熱構造及び建物
JP403998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躯体を用いた建築物並びにその建設工法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CN111255059A (zh) 一种装配式混凝土房屋结构及其节点连接方法
JP3909488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202840B1 (ko) 건축물의 외벽면 시공구조
CN220318861U (zh) 预设砖墙与预制窗的预制式组合结构
KR102231973B1 (ko) 세라믹 외장재의 결합장치
JP2000282602A (ja) 建物の構造用壁体
US20230417052A1 (en) Timber-concrete composite slab with notched plywood shear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74833B1 (ko) 시멘트 사이딩, 세라믹 사이딩 또는 외부마감재로 마감되는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벽 단열 구조
JP4836565B2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JP3738783B2 (ja) 外壁改修構造
KR20070054492A (ko)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JPH10266334A (ja) 建造物構築パネル組合せ体及びそれを用いた建造物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