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492A -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492A
KR20070054492A KR1020050112548A KR20050112548A KR20070054492A KR 20070054492 A KR20070054492 A KR 20070054492A KR 1020050112548 A KR1020050112548 A KR 1020050112548A KR 20050112548 A KR20050112548 A KR 20050112548A KR 20070054492 A KR20070054492 A KR 20070054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wall
dry panel
dry
pane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범구
강길호
조금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11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4492A/ko
Publication of KR2007005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된 건식벽체를 손쉽게 설치(시공)하기 위한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에 관련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식벽체를 현장에서 조립해왔던 기존방식을 배제하는 대신 건식벽체 자체를 설치전에 미리 묘듈화하므로써 설치시에는 묘듈화된 건식벽체 자체를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벽체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벽체의 철거 및 재설치가 용이토록 한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실내 바닥면에 상부 개구형의 하부런너를 고정 설치하고, 이 하부런너의 개구부에 모듈화된 건식패널을 끼워넣고, 상기 건식패널의 상부 일측은 천정과 건식패널의 상부 일면을 결합하는 제 1 상부런너에 의해 고정하고, 아울러 건식패널의 상부 타측은 천정과 건식패널의 상부 타면을 결합하는 제 2 상부런너에 의해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이다.
건식벽체, 건식벽체 설치구조

Description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ESTABLSHMENT STRUCTURE FOR A NONSTRUCTURAL DRY W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된 건식패널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널의 설치과정으로서, 1 단계과정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널의 설치과정으로서, 2 단계과정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널의 설치과정으로서, 3, 4 단계과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널의 설치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식패널 11 : 제 1 표면보드
12 : 제 1 내면보드 13 : 스터드
14 : 흡음재 15 : 제 2 표면보드
16 : 제 2 내부보드 20 : 하부런너
31 : 제 1 상부런너 32 : 제 2 상부런너
본 발명은 모듈화된 건식벽체를 손쉽게 설치(시공)하기 위한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에 관련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식벽체를 현장에서 조립해왔던 기존방식을 배제하는 대신 건식벽체 자체를 설치전에 미리 묘듈화하므로써 설치시에는 묘듈화된 건식벽체 자체를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벽체의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벽체의 철거 및 재설치가 용이토록 한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택, 공동주택, 오피스텔, 상가건물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벽돌, 블록을 쌓은 후 시멘트 몰탈로 미장 마감하는 습식 조적공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습식 조적공법은 공기(공사기간)가 길 뿐만 아니라, 무거운 자중으로 인해 요구되는 구조강도 보강을 위한 비용이 발생하고, 매립되어 있는 노후설비(전선, 급수관, 배수관, 가스관 등)의 보수 및 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입주자의 구조 변경 요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건식패널을 이용한 건식공법이 시도되고 있다. 건식공법은 크게 시공현장에서 건식패널의 제작, 재단,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식과, 공장에서 건식패널을 제작한 다음 시공현장에서는 설치만 이루어지는 방식의 두가지 형태로 나뉘어진다.
시공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가 모두 이루어지는 방식은 석고보드 패널을 이용 한 방식이 대표적이며, 공장에서 제작후 시공현장에서는 설치만 이루어지는 방식은 ALC 패널(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Panel), 시멘트, 압출성형 패널, 경량콘크리트 패널 등을 이용한 방식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석고보드 패널을 이용하는 방식은 패널의 제작, 재단 및 조립의 대부분의 공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고, 공임이 증가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품질이 결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ALC 패널, 시멘트 압출성형 패널, 경량콘크리트 패널 등을 이용하는 방식은 현장에서는 조립설치만 이루어져 공기 및 공임을 어느 정도 단축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 패널 자체의 구조상 차음성능, 경량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건식패널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구조체(구조용 내력벽체, 바닥 슬라브, 천정)와의 고정은 브라켓류의 철재 고정구를 이용하지만, 건식패널 상호간의 접합부, 그리고 건식패널과 건축물 구조체(구조용 내력벽체, 바닥 슬라브, 천정)의 접합부 등에 형성된 모든 틈새는 습식 몰탈로 충진하는 반습식공법으로 마무리 하고 있다. 이러한 몰탈의 사용은 몰탈 경화에 따른 공기가 소요되고, 입주자의 구조변경 요구가 발생하였을 때 해체가 용이하지 못하여 리모델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몰탈의 충진불량이나 균열은 차음성, 내화성 및 기밀성과 직결되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비내력 벽체를 완전 건식화 된 방법으로 구현하되, 건식패 널을 시공전에 미리 모듈화하여 현장에서는 건식패널을 설치만 하면 되도록 하므로써 건식벽체의 시공용이, 시공시간 단축, 철거 및 재설치가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실내 바닥면에 상부개구형의 하부런너를 고정 설치하고, 이 하부런너의 개구부에 모듈화된 건식패널을 끼워넣고, 상기 건식패널의 상부 일측은 천정과 건식패널의 상부 일면을 결합하는 제 1 상부런너에 의해 고정하고, 아울러 건식패널의 상부 타측은 천정과 건식패널의 상부 타면을 결합하는 제 2 상부런너에 의해 고정하여서 되는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건식패널은 적층상태의 제 1 표면보드 및 제 1 내부보드; 상기 제 1 표면보드 및 제 1 내부보드로 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제 2 표면보드 및 제 2 내부보드; 상기 제 1 내부보드와 제 2 내부보드 사이에 개입되는 복수의 스터드; 상기 스터드의 사이사이에 개입되는 흡음재; 상기 각 보드와 흡읍재, 스터드를 일체로 결합하는 기능을 하며, 나사, 피스, 타카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된 건식패널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 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널의 설치과정으로서, 1 단계 과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널의 설치과정으로서, 2 단계 과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널의 설치과정으로서, 3,4단계 과정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패널의 설치순서도를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보듯이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건식패널(10)은 제 1 표면보드(11) 및 제 1 내부보드(12), 스터드(13) 및 흡음재(14), 제 2 표면보드(15) 및 제 2 내부보드(16)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나열된 각 구성요소들은 나사, 피스, 타카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결합부재(17)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므로써 일체화된 모듈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17)에 의해 각 구성요소를 결합함에 있어서 유의사항은, 건식패널(10)의 두께가 약 80 ~ 160cm임을 감안하여 - 예컨데 결합부재를 피스로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 피스를 건식패널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게끔 하는 결합방법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하나의 피스는 제 1 표면보드(11) 및 제 1 내부보드(12), 스터드(13)를 결합하게끔 하고, 다른 피스로는 제 2 표면보드(15) 및 제 2 내부보드(16), 스터드(13)를 결합하게끔 하는 결합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음재(14)는 스터드(13)의 사이사이에 개입되는데, 스터드와 흡음재의 결합관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터드(13)는 대략 'ㄷ'자형 단면을 이루도록 하고, 이 스터드의 내부 공간부로 흡음재(14)가 끼워지도록 하여 흡음재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음재(14)는 글라스 울(Glass Wool) 또는 미네랄 울(Mineral Wool) 또는 PE계 흡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건식패널(10)을 설치할 때는 다음의 수순에 따른다.
1 단계로, 실내 바닥면(1) 상에 상부 개구형의 하부런너(20)를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실내 바닥면은 슬라브 층(1)과, 이 슬라브 층에 적층되는 방통층(보일러 배관 및 방음재가 내장된 채 미장마감되는 온돌바닥)(1b)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부런너(20)는 방통층(1b) 상에 시멘트 못 등으로 고정된다.
또, 상기 하부런너(20)는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면서 형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전체 길이에 맞도록 길다란 바(bar) 형태를 취하고 있다.
2 단계로, 고정이 완료된 하부런너(20)의 개구부(21)를 통해 상기한 모듈화된 건식패널(10)을 끼워넣는다.
상기한 하부런너(20)는 'ㄷ'자를 눕혀놓은 형태로 되기 때문에 윗방향으로 개구부(21)를 갖게 되는데, 이 개구부에 건식패널(10)의 하단부를 끼워넣는다. 다음, 하부런너(20)의 양쪽 측면과 건식패널(10)의 하단부를 나사나 또는 다른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마감한다.
3 단계로, 건식패널(10)의 상부 일측을 제 1 상부런너(31)에 의해 천정에 고 정한다.
상기한 제 1 상부런너(31)는 'ㄱ'자를 뒤집어 놓은 단면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건식벽체와 천정사이의 모서리 형상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상부런너를 설치하게 되면 천정과 건식패널(10)의 상부면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천정과 건식벽체와 맞닿고 있는 부분을 역시 나사나 또는 다른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마감한다.
4 단계로, 건식패널(10)의 상부 타측을 제 2 상부런너(32)에 의해 천정(2)에 고정한다.
상기한 제 2 상부런너(32)는 'ㄱ'자형의 단면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건식벽체와 천정사이의 모서리 형상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상부런너를 설치하게 되면 천정과 건식패널(10)의 상부면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천정과 건식패널 맞닿고 있는 부분을 나사나 또는 다른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마감하므로써 모든 결합과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식패널을 모듈화함에 따라 실제 현장에서의 조립과정이 상기한 4 단계 공정에 불과하므로 시공시간이 상당히 단축되고, 시공작업성도 간편하다.
또한, 설치된 건식패널을 철거함에 있어서도 상부런너와 하부런너를 제거할 경우 손쉬운 철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이유로 건식패널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벽체를 이동할 경우에도 작업이 수월한 장정이 있다.

Claims (2)

  1. 실내 바닥면에 상부 개구형의 하부런너를 고정 설치하고, 이 하부런너의 개구부에 모듈화된 건식패널을 끼워넣고, 상기 건식패널의 상부 일측은 천정과 건식패널의 상부 일면을 결합하는 제 1 상부런너에 의해 고정하고, 아울러 건식패널의 상부 타측은 천정과 건식패널의 상부 타면을 결합하는 제 2 상부런너에 의해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패널은,
    적층상태의 제 1 표면보드 및 제 1 내부보드; 상기 제 1 표면보드 및 제 1 내부보드로 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제 2 표면보드 및 제 2 내부보드; 상기 제 1 내부보드와 제 2 내부보드 사이에 개입되는 복수의 스터드; 상기 스터드의 사이사이에 개입되는 흡음재; 상기 각 보드와 흡음재, 스터드를 일체로 결합하는 기능을 하며, 나사, 피스, 타카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KR1020050112548A 2005-11-23 2005-11-23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KR20070054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548A KR20070054492A (ko) 2005-11-23 2005-11-23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548A KR20070054492A (ko) 2005-11-23 2005-11-23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492A true KR20070054492A (ko) 2007-05-29

Family

ID=3827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548A KR20070054492A (ko) 2005-11-23 2005-11-23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44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85B1 (ko) * 2017-10-13 2018-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수명 주택의 내벽체 구조
CN115059216A (zh) * 2022-06-30 2022-09-16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装配墙体及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385B1 (ko) * 2017-10-13 2018-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수명 주택의 내벽체 구조
CN115059216A (zh) * 2022-06-30 2022-09-16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装配墙体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368B1 (ko)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US20080104913A1 (en) Lightweight Concrete Wall Panel With Metallic Studs
US20140123583A1 (en)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 said block
US20080196349A1 (en) Connected structural panels for buildings
CN216713468U (zh) 一种建筑模板及采用该建筑模板的墙体
GB2478844A (en) A prefabricated wall panel with a structural support frame comprising concrete.
KR20090003503U (ko) 레실리언트 채널을 이용한 건식벽체
CN114351905A (zh) 一种建筑模板及采用该建筑模板的墙体
US10676923B2 (en) Waterproofing assemblies and prefabricated wall panels including the same
BG65765B1 (bg) Топлоизолационен композитен панел, метод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му и строителна конструкция от такива панели
KR20090098729A (ko) 빌딩용 개선된 구조물 시스템
KR20070054492A (ko) 비내력 건식벽체의 설치구조
JP2010112090A (ja) 仮設材を必要としない連結部材と連結方法
KR200373829Y1 (ko) 비내력 건식벽체 조립세트
JP4928405B2 (ja) 壁断熱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592466B1 (ko) 패널 조립식 지하 이중벽 구조
RU2204664C1 (ru) Наружн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стена здания и способ её возведения
JP2010059630A (ja) 打ち込み型枠と仮設材を使用しない連結方法
EP1669503A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modular shuttering method
KR20160100773A (ko) 조립식 벽체유닛의 결합구조
KR200421529Y1 (ko) 육상건축물 및 해양구조물의 건축용 조립식 객실의 일체형구조
JP362792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KR100829954B1 (ko) 모듈러 주택용 유틸리티 시스템
EA034682B1 (ru) Модуль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