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584A - 클러치 드럼 - Google Patents

클러치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584A
KR20010107584A KR1020010027011A KR20010027011A KR20010107584A KR 20010107584 A KR20010107584 A KR 20010107584A KR 1020010027011 A KR1020010027011 A KR 1020010027011A KR 20010027011 A KR20010027011 A KR 20010027011A KR 20010107584 A KR20010107584 A KR 20010107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tooth
sectional area
circle arc
clutch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라타이쿠오
Original Assignee
아다치 마사루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치 마사루,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아다치 마사루
Publication of KR2001010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2Clutch-bands; Clutch shoes; Clutch-dru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드럼의 기계적손실을 억제하면서 클러치 드럼을 경량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러치 드럼(15)은, 복수의 클러치플레이트(17)를 수용하고, 원통형부(23)와, 상기 원통형부(23)의 내주측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25)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복수의 톱니(25)는 톱니 정상부(29) 및 회전방향 양측의 톱니 플랭크(31)를 가진다. 상기 원통형부(23)의 내주면에는 톱니(25)의 축방향 사이에 톱니 바닥면(35)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부(23)의 외주면에서 톱니(2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외주오목부(37)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25)의 내주면에는 내주오목부(27)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클러치 드럼 {CLUTCH DRUM}
본 발명은, 클러치 드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클러치플레이트를 수용하는 다판클러치용 클러치 드럼에 관한 것이다.
자동변속기 차량 등에 이용되는 트랜스미션은 습식 다판클러치를 흔히 구비하고 있다. 다판클러치는, 클러치 드럼과, 피스톤과, 복수의 구동 플레이트(drive plates)와, 복수의 종동 플레이트(driven plates), 및 출력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드럼은 일단측이 개방되고 타단측이 실질적으로 폐쇄된 원통형 부재이다. 상기 클러치 드럼은 엔진측으로부터 토크를 입력하는 입력축과 고정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은 클러치 드럼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종동 플레이트는 클러치 드럼 내에 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상대 회전될 수 없는 방식으로 클러치 드럼의 내주부와 결합된다. 상기 종동 플레이트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상대 회전될 수 없는 방식으로 출력부재의 외주부와 결합된다.
이런 종류의 다판 클러치로서는, 클러치가 온(결합)되면, 피스톤에 유압이 공급되어, 상기 피스톤은 작동유체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로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 및 종동 플레이트는 피스톤에 의해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플레이트와 종동 플레이트는 일체로 회전될 수 있고 엔진으로부터의 토크가 트랜스미션에 전달된다. 특히,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토크는 기재된 순서와 같이 다음 구성요소를 통하여 트랜스미션에 전달된다; 입력축, 클러치 드럼, 구동 플레이트, 종동 플레이트 및 출력부재.
이 종류의 다판클러치의 클러치 드럼은, 일반적으로, 원통형부와, 원통형부의 내주부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복수의 톱니는 구동 플레이트의 외주부와 결합한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지만 원통형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종류의 클러치 드럼에서 복수의 톱니가 원통형부의 내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은 톱니가 형성된 위치에서 더 두껍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 드럼전체의 중량은 톱니의 무게에 따라 증가한다. 무거운 클러치 드럼은 클러치 드럼의 회전을 정지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변속시에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해결하기 위하여,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형성하는 재질외에 모든 재질을 제거하여 무게를 줄이도록 한 클러치 드럼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드럼(15')은 톱니부(25')의 외주부에 깊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상기한 클러치 드럼(15')의 무게가 감소될지라도, 클러치 드럼(15')의 회전시에 드럼과 상기 드럼 외주측에 배치된 작동유체의 사이에 교반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기계적손실이 커진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 플랭크만이 클러치 드럼(15")에 형성될 때 클러치 드럼(15")의 전체 중량은 또한 저감된다. 상기 대부분의 각 톱니(25")는 두께가 얇게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클러치 드럼(15")의 기계적강도가저하된다. 특히, 구동 플레이트에 의하여 회전방향으로 받는 응력에 대하여는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상기를 고려하여, 종래기술의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극복하는 클러치 드럼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다른 필요성은 물론 종래 기술의 이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것은 이 공개로부터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치 드럼을 경량화 하지만, 정지시 클러치 드럼의 기계적손실을 억제하는 클러치 드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클러치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클러치 드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드럼은, 원통형부와, 원통형부의 내주측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톱니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톱니는 내주면 및 회전방향 양측의 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원통형부는 회전방향에서 복수의 톱니 사이의 그 내주면에 형성된 바닥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원통형부의 외주면에서 복수의 톱니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1오목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톱니의 내주면에는 제2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클러치 드럼으로서는, 클러치가 온(ON)되면, 복수의 클러치플레이트는 복수의 톱니에 의하여 안내되고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압착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클러치플레이트 사이에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각각 복수의 톱니에 대응하는 제1오목부 및 제2오목부가 원통형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톱니는 종래의 클러치 드럼에서 보다 두께가 얇게 된다.
여기서, 오목부가 원통형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의 양면에 형성되기 때문에,제1오목부 및 제2오목부가 각각 비교적 작게 되더라도 원하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더구나, 원통형부의 외주면에서의 기계적손실이 저감되고 원통형부의 내주면에서 클러치 드럼의 기계적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된 클러치 드럼은 바람직하게 톱니의 내주면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2오목부 b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톱니의 두께가 원주방향으로 매끄럽게 변화되기 때문에, 클러치 드럼의 기계적강도는 충분히 보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오목부는 바람직하게 원통형부의 외주면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부 외주면과 작동유체 사이의 교반저항이 보다 작게 되고, 기계적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오목부와 복수의 톱니의 내주면의 원주방향 단부의 최단 거리는 제1오목부와 제2오목부의 최단 거리보다 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준단면적S는 톱니 바닥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한 외주원호와, 복수의 톱니의 최내주 테두리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한 내주원호와, 각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연장시킨 선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구성되며; 단면적S1은 제1오목부와 외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준단면적 S에 대한 단면적 S1의 비는 각 톱니에 대하여 0.05 이상 0.40 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준단면적S는 톱니 바닥면을 원주방향으로 연장시킨 외주원호와, 복수의 톱니의 최내주 테두리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한 내주원호와, 각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연장시킨 선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구성된다; 단면적S2은 제2오목부와 내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2의 비는 각 톱니에 대하여 0.05 이상 0.30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관점 및 장점과 또 다른 목적, 특징, 관점 및 장점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공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러치 드럼을 구비한 다판 클러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드럼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클러치 드럼을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클러치 드럼의 일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클러치 드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 도면의 부호 설명
15: 클러치 드럼 17: 클러치플레이트
23: 원통형부 25: 톱니
27: 내주오목부 29: 톱니 정상부
31: 톱니 플랭크 35: 톱니 바닥면
37: 외주오목부
도 1을 참조하면, 다판클러치(3)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드럼(15)을 구비하여 도시된다. 상기 다판클러치(3)는, 클러치케이스(7) 내에 수용되고, 클러치 드럼(15)과, 복수의 클러치플레이트(17)와,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18)와, 피스톤(28) 및, 출력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드럼(15)은, 일반적으로 일단측이 개구되고 타단측이 실질적으로 폐쇄된 원통형부재이다. 상기 클러치 드럼(15)은 연결부(24), 보스부(20), 원판형방사상벽부(22), 복수의 톱니(25) 및 원통형부(23)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24)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연장되는 입력축(1)의 외주부에 형성된 외부 스플라인과 결합하는 내부 스플라인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보스부(20)는 출력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클러치케이스(7)의 내주부에 형성된 지지부(21) 주위에 임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보스부(20)의 외주부는 스프링 유지부재(45)와 복귀 스프링(47)을 지지한다. 상기 복귀 스프링(47)은 스프링 유지부재(45)와피스톤(28)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톱니(25)는 원통형부(23)로부터 내주측에 돌출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이다. 상기 톱니(25)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클러치플레이트(17)의 외측면 또는 외주부가 원통형부(23)의 톱니(25)와 결합한다.
상기 클러치플레이트(17) 및 클러치 디스크(18)는 클러치 드럼(15)내에 배치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플레이트(17)의 외주부는 그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가지고 있다. 이 클러치 드럼(15)의 톱니는 클러치 드럼(15)의 톱니(25)와 결합되어 클러치플레이트(17)가 축방향으로 임의 이동 가능하지만 클러치 드럼(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18)의 내측면 또는 내주부는 출력부재(16)의 외주부와 결합되어 클러치 디스크(18)가 축방향으로 임의 이동가능하며, 출력부재(16)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28)은 축방향으로 임의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클러치 드럼(15)의 원판형 방사상벽부(22)와 출력부재(1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28)의 외주부 출력측(도 1의 좌측)에는 인접하는 클러치플레이트(17)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2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28)과 클러치 드럼(15)의 사이에는 작동유체실(30)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유체실(30)은 피스톤(28)을 출력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가압된 작동유체를 수용한다. 상기 작동유체실(30)은 클러치케이스(7)의 내주부에 형성된 유체통로(32)를 통하여 유압제어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출력부재(16)는 바람직하게 클러치플레이트(17) 및 클러치 디스크(18)의 내주측에 배치된 환형부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디스크(18)가 출력부재(16)의 외주부와 결합하고 있다. 출력축(2)의 외주부는 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연장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출력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출력부재(16)의 내주부와 결합하고 있다.
다음에, 클러치 드럼(1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설명은 클러치 드럼(15)의 원통형부(23) 및 톱니(25)에 주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드럼(15)은 원통형부(23)와 클러치플레이트(17)를 결합하기 위한 톱니(25)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톱니(25)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으로 인접하여 정렬되는 방식으로 복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톱니(25)의 내주면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주오목부(27)를 구비한다. 상기 각 내주오목부(27)는 만곡(오목)면을 갖는 축방향으로 연장한 홈이다. 또한 상기 각 내주오목부(27)는 내주오목부(27)에 대응하는 회전방향 양측에 형성된 톱니 정상부(29)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톱니 정상부(29)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목한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각 톱니(25)의 내주오목부(27)와 상기 톱니 정상부(29)는 회전방향으로 서로 매끄럽게(방향에서 임의의 코너 또는 급격한 변화가 없음)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내주오목부(27)의 오목한 상태는 방향에서 임의의 코너, 급격한 변화가 없는 만곡된 변화면, 및/또는 평면에 의하여 톱니 정상부(29)의 오목함과 같이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각 톱니(25)의 회전방향 양단면에는 톱니 플랭크(tooth flanks)(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 정상부(29)가 톱니 플랭크(31)와 교차하는 부분에는 톱니코너(33)가 형성되어 있다. 각 톱니(25)의 회전방향 사이에는 톱니 바닥면(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부(23)의 외주면에는 내주오목부(27)에 대응하는, 외주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외주오목부(37)는 만곡(오목)면을 갖는 축방향으로 연장한 홈이다. 상기 외주오목부(37)는 원통형부(23)의 외주면에 매끄럽게(방향에서 임의의 코너 또는 급격한 변화가 없음)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외주오목부(37)의 오목한 상태는 방향에서 임의의 코너, 급격한 변화가 없는 만곡된 변화면, 및/또는 평면에 의하여 원통형부(23)의 오목함과 같이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도 3에 따라, 이 실시형태의 원통형부(23) 및 톱니(25)의 설계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톱니코너(33)와 외주오목부(37) 사이의 최단 거리(x)는, 내주오목부(27)와 외주오목부(37) 사이의 최단 거리(y) 보다 길다.
기준단면적(S)은 톱니 바닥면(37)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외주원호(p1)와, 톱니 정상부(29)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는 내주원호(P2)와, 톱니 플랭크(31)를 포함하는 한쌍의 연장선(q)에 의해 획정된 영역의 면적으로 형성된다. 단면적(S1)은 외주오목부(37)와 외주원호(P1)에 의해 획정되는 영역의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 때, 각 톱니(25)에 대하여, 기준단면적(S)에 대한 기준단면적(S)의 비율은 바람직하게 0.0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0.40 이하의 범위에 있다.
또, 단면적(S2)은 내주오목부(27)와 내주원호(P2)에 의해 획정되는 영역의 면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 톱니(25)에 대하여, 기준단면적(S)에 대한단면적(S2)의 비율은 바람직하게 0.0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0.30 이하의 범위에 있다.
다음에 클러치 드럼(15)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압제어기구에 의해 유체통로(32)를 통하여 작동유체실(30)에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28)이 작동유체실(30) 내의 작동유에 의해 출력측(도 1의 좌측)으로 가압된다. 상기 피스톤(28)은 복귀 스프링(4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출력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플레이트(17) 및 클러치 디스크(18)를 서로 압착시킨다. 이에 따라, 클러치플레이트(17)와 클러치 디스크(18)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고 엔진으로부터의 토크는 입력축(1), 클러치 드럼(15), 클러치플레이트(17), 클러치 디스크(18), 출력부재(16), 출력축(2)을 경유하여 트랜스미션에 전달된다.
상기 클러치 드럼(15)은 외주오목부(37) 및 내주오목부(27)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각 톱니(25)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클러치 드럼의 톱니 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드럼(15)은 종래의 클러치 드럼 보다 경량화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주오목부(37)는 외주면과 회전방향으로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원통형부(23)의 외주면과 작동유체 사이의 교반저항이 저감됨과 동시에, 기계적손실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가 외주 및 내주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오목부에 비교하여 각 오목부의 크기를 작게 하여 원하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원통형부(23)의 외주측에서 작동유체 대한 교반저항이 보다 저감될 수 있고 원통형부(23)의 내주면에서 클러치 드럼(15)의 기계적강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 원통형부(23) 및 톱니(25)의 설계조건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사용된 조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다른 조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또한 톱니(25) 또는 바닥면(35)에 원통형부(23)의 내주측과 외주측 사이를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작동유체가 원통형부(23)의 내주측으로부터 또는 외주측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부(23)의 외주 및 내주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 오목부를 비교적 작게 하더라도 원하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클러치 드럼(15)의 기계적손실이 억제될 수 있고 클러치 드럼의 기계적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실질적으로', "약", "대략" 과 같은 정도의 용어는 목적 결과가 충분히 변화되지 않는 한정 용어인 변화의 적당한 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이 변화가 한정하는 단어의 의미를 부정하지 않는다면 한정 용어의 적어도 ±5% 의 변화를 포함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예만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었지만, 부가된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화 및 변경이 본 발명에서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은 이 공개로부터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었으며,부가된 항 또는 그 등가물에 의하여 형성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다.

Claims (14)

  1. 복수의 클러치플레이트를 수납하는 클러치 드럼에 있어서,
    입력 토크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고정 연결된 원통형부-여기서 상기 원통형부는 복수의 제1오목부 및 복수의 제2오목부를 갖는 내주면, 및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통형부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바닥면을 가짐-,
    상기 원통형부의 내주 주위에 복수의 바닥면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톱니-여기서 상기 각 복수의 톱니는 제2오목부를 갖는 내주 끝단면 및 상기 내주 단부면의 양 회전방향측에 위치한 복수의 톱니 플랭크를 가지고 있음-,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오목부가 상기 복수의 원통형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복수의 톱니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클러치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톱니 내주 단부면을 따라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클러치 드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부는 상기 원통형부의 외주면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클러치 드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부는 상기 원통형부의 외주면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클러치 드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부와 복수의 톱니 내주면의 원주방향 테두리(edge)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1오목부와 상기 제2오목부 사이의 최단 거리 보다 긴 클러치 드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목부와 복수의 톱니 내주면의 원주방향 테두리(edge)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1오목부와 상기 제2오목부 사이의 최단 거리 보다 긴 클러치 드럼.
  7. 제5항에 있어서,
    기준단면적(S)이 외주원호와, 내주원호 및 상기 외주원호와 내주원호를 교차하는 한쌍의 측면선-여기서, 상기 외주원호는 인접한 상기 복수의 바닥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내주원호는 상기 복수의 톱니 최내주테두리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측면선은 상기 각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연장함에 의하여 얻어짐-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단면적(S)이 상기 제1오목부와 상기 외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각 톱니에 대하여 상기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1)의 비는 0.05 이상이고 0.40 이하의 범위인 클러치 드럼.
  8. 제7항에 있어서,
    단면적(S2)은 상기 제2오목부와 상기 내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각 톱니에 대하여 상기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2)의 비는 0.05 이상이고 0.30 이하의 범위인 클러치 드럼.
  9. 제1항에 있어서,
    기준단면적(S)이 외주원호와, 내주원호 및 상기 외주원호와 내주원호를 교차하는 한쌍의 측면선-여기서, 상기 외주원호는 인접한 상기 복수의 바닥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내주원호는 상기 복수의 톱니 최내주테두리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측면선은 상기 각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연장함에 의하여 얻어짐-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단면적(S)이 상기 제1오목부와 상기 외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각 톱니에 대하여 상기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1)의 비는 0.05 이상이고 0.40 이하의 범위인 클러치 드럼.
  10. 제9항에 있어서,
    단면적(S2)은 상기 제2오목부와 상기 내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각 톱니에 대하여 상기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2)의 비는 0.05 이상이고 0.30 이하의 범위인 클러치 드럼.
  11. 제2항에 있어서,
    기준단면적(S)이 외주원호와, 내주원호 및 상기 외주원호와 내주원호를 교차하는 한쌍의 측면선-여기서, 상기 외주원호는 인접한 상기 복수의 바닥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내주원호는 상기 복수의 톱니 최내주테두리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측면선은 상기 각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연장함에 의하여 얻어짐-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단면적(S2)은 상기 제2오목부와 상기 내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각 톱니에 대하여 상기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2)의 비는 0.05 이상이고 0.30 이하의 범위인 클러치 드럼.
  12. 제3항에 있어서,
    기준단면적(S)이 외주원호와, 내주원호 및 상기 외주원호와 내주원호를 교차하는 한쌍의 측면선-여기서, 상기 외주원호는 인접한 상기 복수의 바닥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내주원호는 상기 복수의 톱니 최내주테두리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측면선은 상기 각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연장함에 의하여 얻어짐-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단면적(S2)은 상기 제2오목부와 상기 내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각 톱니에 대하여 상기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2)의 비는 0.05 이상이고 0.30 이하의 범위인 클러치 드럼.
  13. 제4항에 있어서,
    기준단면적(S)이 외주원호와, 내주원호 및 상기 외주원호와 내주원호를 교차하는 한쌍의 측면선-여기서, 상기 외주원호는 인접한 상기 복수의 바닥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내주원호는 상기 복수의 톱니 최내주테두리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측면선은 상기 각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연장함에 의하여 얻어짐-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단면적(S2)은 상기 제2오목부와 상기 내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각 톱니에 대하여 상기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2)의 비는 0.05 이상이고 0.30 이하의 범위인 클러치 드럼.
  14. 제5항에 있어서,
    기준단면적(S)이 외주원호와, 내주원호 및 상기 외주원호와 내주원호를 교차하는 한쌍의 측면선-여기서, 상기 외주원호는 인접한 상기 복수의 바닥면을 원주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내주원호는 상기 복수의 톱니 최내주테두리를 원주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측면선은 상기 각 톱니의 톱니 플랭크를 연장함에 의하여 얻어짐-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단면적(S2)은 상기 제2오목부와 상기 내주원호에 의해 획정되는 단면의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각 톱니에 대하여 상기 기준단면적(S)에 대한 단면적(S2)의 비는 0.05 이상이고 0.30 이하의 범위인 클러치 드럼.
KR1020010027011A 2000-05-26 2001-05-17 클러치 드럼 KR20010107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5614A JP4054512B2 (ja) 2000-05-26 2000-05-26 クラッチドラム
JP2000-155614 2000-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584A true KR20010107584A (ko) 2001-12-07

Family

ID=1866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011A KR20010107584A (ko) 2000-05-26 2001-05-17 클러치 드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23663B2 (ko)
JP (1) JP4054512B2 (ko)
KR (1) KR20010107584A (ko)
DE (1) DE1012361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5868B2 (ja) * 2001-08-24 2004-11-04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クラッチアウタ
JP2005024014A (ja) * 2003-07-03 2005-01-27 Nsk Warner Kk 湿式多板クラッチ
US7235029B2 (en) * 2004-05-21 2007-06-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ted motor clutch for electrically variable transmissions
JP2006064124A (ja) * 2004-08-30 2006-03-09 Nsk Warner Kk クラッチ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77888A (ja) * 2004-09-09 2006-03-23 Nsk Warner Kk クラッチハブ
JP4648237B2 (ja) * 2006-04-18 2011-03-09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多板クラッチ用クラッチアウタ
WO2010097931A1 (ja) * 2009-02-26 2010-09-02 トヨタ自動車 株式会社 湿式多板クラッチ
US11536321B2 (en) * 2018-01-31 2022-12-27 Aisin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tooth part, tooth part, and processing device of tooth par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5225A (ja) * 1982-06-21 1983-12-27 Nissan Motor Co Ltd クラツチドラム
JPH04125317A (ja) * 1990-09-13 1992-04-24 Nissan Motor Co Ltd 湿式多板締結装置
JP3389593B2 (ja) * 1997-03-25 2003-03-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ドラムの製造方法および歯形成形装置
JP2000205294A (ja) * 1999-01-11 2000-07-25 Exedy Corp クラッチドラムの製造方法
JP2000218334A (ja) * 1999-01-28 2000-08-08 Fukutoku Dia:Kk クラッチドラムのリング溝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23613B4 (de) 2006-09-21
JP2001336545A (ja) 2001-12-07
US20010047917A1 (en) 2001-12-06
DE10123613A1 (de) 2001-12-06
JP4054512B2 (ja) 2008-02-27
US6523663B2 (en)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6679B2 (ja) 摩擦係合装置
US6612961B2 (en) Forward-reverse rotation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S6319742B2 (ko)
US6397997B2 (en) Friction engaging device
KR100783674B1 (ko) 자동변속기용 피스톤
KR20010107584A (ko) 클러치 드럼
US6938747B2 (en) Transmission with a rattle-free connection between the clutch basket and the driving disc
US6824494B2 (en) Planetary gear unit
JP4073749B2 (ja)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7403702B1 (ja) クラッチ装置
US5916056A (en) Splined ring gear having a thicker radial portion at one axial portion of the ring gear
JP2020197256A (ja) 自動変速機
JPH04107324A (ja) 湿式多板クラッチ
JP3696664B2 (ja) 多板クラッチ構造
JP3909727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EP4310351B1 (en) Clutch device
EP3869050A1 (en) An arrangement for a shifting brake device
JPH1151180A (ja)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WO2024009771A1 (ja) クラッチ装置
JPH04191530A (ja) 湿式多板クラッチ装置
JPH07145828A (ja) 自動変速機用湿式多板クラッチまたはブレーキ
JP4214182B2 (ja) 密封装置
JPH09329209A (ja) 油圧アクチュエータ
JP4026828B2 (ja) コネクティングシェルの結合構造
JP2000205300A (ja) 自動変速機用クラッチド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