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094A - 대기오염 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 - Google Patents

대기오염 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094A
KR20010107094A KR1020000028317A KR20000028317A KR20010107094A KR 20010107094 A KR20010107094 A KR 20010107094A KR 1020000028317 A KR1020000028317 A KR 1020000028317A KR 20000028317 A KR20000028317 A KR 20000028317A KR 20010107094 A KR20010107094 A KR 20010107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rotating plate
amount
catalyst
pel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택
Original Assignee
유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택 filed Critical 유선택
Priority to KR102000002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7094A/ko
Publication of KR2001010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27Powdering
    • B01J37/0045Drying a slurry, e.g. spra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을 일정량이상 함유하는 펠릿형 촉매를 제조한 다음 상기 촉매를 대기오염물질을 제거시 필요한 양만큼 주입하여 유해 산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펠릿형 촉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펠릿타이저내 회전판의 각도를 10∼50도범위내로 그리고 스크래퍼의 각도를 0∼-45도범위내로 조정한 다음 상기 회전판에 다공성 물질을 장입하고 200∼500rpm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판에 준비된 가성소다 수용액을 예비분무한 다음 소석회 분말을 회전판내 스크래퍼 장착면의 반대 방향에서 생성된 펠릿들이 타원을 그리며 넓게 회전할 때까지 장입하다가 상기 펠릿들이 스크래퍼쪽으로 몰리면서 회전할 때까지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을 분무하는 공정을 반복하며, 여기서 회전판에 장입한 다공성 물질이 초기 장입량의 1/5이하가 될 때 반응을 정지시키고 다공성 물질을 총량이 초기 장입량이 되도록 재장입하면서 상기 회전판 하부로 떨어진 펠릿은 포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형 촉매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펠릿형 촉매, 및
제조된 펠릿형 촉매를 펠릿 반응조에 인입되는 풍량 및 유해 산성분의 농도에 따라 적정량을 장입한 다음 이같이 제조된 펠릿 반응조를 적용처의 후단에 장착하고 배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수분을 일정량이상 함유하는 촉매를 펠릿형태로 제조한 다음 필요로 하는 양만큼 반응조에 장입하고 사용함으로써 습식 세정설비 등의 건설 비용을줄이고, 적용시 별도의 염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대기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나아가 촉매수명이 다한 경우에 2차 환경 문제를 유발함없이 직접 매립가능하다.

Description

대기오염 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PELLET TYPE CATALYSTS FOR AIR POLLUTANTS CONTROL}
본 발명은 대기오염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일정량이상 함유하는 펠릿형 촉매를 제조한 다음 상기 촉매를 대기오염물질 처리시 필요량만큼 장입한 반응조를 적용처에 장착하고 배가스를 단순히 통과시킴으로써 유해 산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펠릿형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펠릿형 촉매 및 이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가스에서 질소 산화물, 아황산가스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습식공정 또는 반건식 공정, 전자선을 이용한 배가스 정화 기술을 사용한다.
배가스중 염화수소, 아황산가스 및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반건식 공정은 다음과 같이 (a)보일러 배가스에 소석회 슬러리를 분무기를 통하여 분무하여 아황산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
SO2+ Ca(OH)2→CaSO4+ 2H2O
(b)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부산물을 점진장치에서 제거하고, 촉매반응기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여 배가스중의 질소 산화물과 환원반응시켜 질소 산화물을 제거한다.
4NO + 4NH3→4N2+ 6H2O
이같은 반건식법은 촉매 반응을 위하여 배가스 온도가 250℃이상 유지되어야 하므로 보일러에서 열 회수하는데 한계가 있어 에너지 회수시 손실을 가져오고, 고가의 촉매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하므로 촉매의 유지 보수시 소요되는 비용 부담이 크다. 또한 배가스 온도가 고온이어야 하므로 배가스의 부피가 커져 공정에 사용되는 배관과 집진 장치의 크기가 크며, 고온에서 내구성을 갖는 집진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시설 투자비가 많이 소요된다.
전자선을 이용한 배가스 정화 기술은 배가스중의 유해성분을 반응성이 높은 라디칼 또는 활성화 형태로 전환시켜 주므로 질소 및 황의 제거율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같은 기술과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미국 특허 제4,294,674호 및 미국 특허4,882,020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미국 특허 제4,294,674호는 전자선 조사반응 이전에 냉각탑에서 물을 분사하여 배가스의 온도를 60∼70℃로 낮춘 조건하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암모니아와의 중화 반응을 일으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배가스 온도가 90℃이상이 되면 질소 산화물(NOx)의 제거율이 60%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황산화물의 제거효율은 65℃에서 반응시킨 경우에 비하여 10∼15%가량 낮아지므로 유해 성분의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별도의 냉각 단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미국 특허 제4,882,020호는 전자선 반응기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한 다음 전자선을 조사하여 암모니아 가스와 반응시켜 아황산 가스와 질소산화물을 동시 제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 경우 또한 냉각수를 분사하거나 혹은 배가스 온도를 60∼70℃로 낮추는 냉각 단계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배가스중 아황산가스 및 질소 산화물 등을 제거하는 습식 공정은 다음과 같이 (a)보일러 배가스를 집진장치로 처리하여 배가스중 분진을 제거하는 단계, (b)암모니아 가스를 배가스에 주입한 다음 촉매반응기에서 질소산화물과 암모니아 가스를 환원반응시켜 제거하는 단계,
4NO + 4NH3→4N2+ 6H2O
(c)배가스를 가성소다 용액이나 석회석 용액과 반응시켜 배가스중 아황산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SO2+ 2NaOH →Na2SO4+ H2O
SO2+ CaCO3+ 1/2H2O →CaSP3ㆍ1/2H2O + CO2
SO2+ CaCO3+ 2H2O + 1/2O2→CaSO4ㆍ2H2O + CO2
상기 습식법은 아황산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폐기물 1톤당 0.7톤의 물로 배가스를 세척하여야 하며, 세척에 사용된 공정폐수는 해수의 3∼5배의 염을 함유하고 있어 직접 폐수처리가 불가능하므로 다시 0.6배의 희석수가 필요하다. 또한 습식법에서는 발생한 폐수를 처리하는 부대시설이 필요하며, 수세척후 배가스의 수분응축 및 백연 방지를 위하여 배가스의 재가열 설비가 필요하므로 폐기물 톤당 약250,000Kcal의 에너지가 부가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배가스내에 함유된 유해 산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배가스를 단순 통과시킴에 따라 배가스중에 포함된 유해한 산성분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펠릿형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후 수처리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도록 수분을 일정량 함유하고 촉매 수명이 다한 다음에는 별도의 처리를 거치지 않고 매립가능하므로 2차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펠릿형 촉매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적용시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촉매 반응시 중간생성물질로서 산성오염물질을 생성하는 장치의 후처리에도 적용가능한 펠릿형 촉매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펠릿형 촉매를 제조하는 펠릿타이저의 정면도이며,
도 1b는 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지지 다이 2... 회전판 3... 모터 4... 스크래퍼(scrapper)
5,6... 레버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펠릿타이저내 회전판의 각도를 10∼50도범위내로 그리고 스크래퍼의 각도를 0∼-45도범위내로 조정한 다음 상기 회전판에 다공성 물질을 장입하고 200∼500rpm으로 회전시키는 제1 단계;
상기 회전판에 준비된 가성소다 수용액을 예비분무하고 소석회 분말을 회전판내 스크래퍼 장착면의 반대 방향에서 생성된 펠릿들이 타원을 그리며 넓게 회전할 때까지 장입한 다음, 상기 펠릿들이 스크래퍼쪽으로 몰리면서 회전할 때까지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을 분무하는 공정을 반복하는 제2단계;
상기 제2 단계를 반복하는 도중에 회전판에 장입한 다공성 물질이 초기 장입량의 1/5이하가 될 때 반응을 정지시키고 다공성 물질을 총량이 초기 장입량이 되도록 재장입하면서 상기 회전판 하부로 떨어진 펠릿은 포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펠릿형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의하면,
상기 제1견지에 의해 제조된 직경이 7∼10mm이고 내부 수분 함량이 10-30%인 펠릿형 촉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의하면,
상기 제2견지에 의해 제조된 펠릿형 촉매를 펠릿 반응조에 유해 산성분의 농도 및 유입공기의 풍량에 따라 적정량을 장입하는 단계; 및
이같이 제조된 펠릿 반응조를 적용처의 후단에 장착하고 배가스를 통과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펠릿형 촉매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촉매를 펠릿형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함과 아울러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여 처리 설비의 건설비용을 줄이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대기오염물질내 유해 산성분들을 제거한다.
우선 펠릿타이저내 회전판(2)과 스크래퍼(4)의 각도를 조절한 다음 고정시킨다. 상기 회전판과 스크래퍼의 각도에 따라 성장하는 펠릿의 크기가 결정되며, 경사각이 클수록 떨어지는 펠릿의 크기가 작고 스크래퍼의 각도가 클수록 펠릿 크기가 커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조하려는 펠릿형 촉매의 입자 크기는 펠릿이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며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최대화하도록 7∼10mm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감안할 때, 회전 원판의 경사각은 10∼50도, 바람직하게는 20~30도이고, 스크래퍼의 각도는 0∼-45도, 바람직하게는 -15∼-2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각도가 조절된 회전판에 다공성 물질을 장입하고 회전수를 조정하여 회전시킨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세라믹 펠릿, 다공성 합성 유기물질등도 가능하지만 다수 기공(pore)을 가지므로 수분을 장시간 함습가능한 다공성 물질들인 제올라이트, 활성 알루미나 혹은 실리카 겔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입경이 1mm이하이면 펠릿을 형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되며 펠렛의 제조시 부서지는등 제조공정상 바람직하지 않으며, 5mm이상일 경우에는 중화능력을 나타내는 촉매의 양이 적어 촉매의 교환주기가 빨라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입경이 3∼5mm 범위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조건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전 속도인 200∼500rpm이 적당하며, 고속으로 성장시킨 경우에 그 강도가 우수한 점을 고려할 때 250∼350r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회전판에 준비된 가성소다(NaOH) 수용액을 예비분무하고 소석회 분말을 장입한 다음 가성소다 수용액을 분무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펠릿들의 입자를 성장시킨다.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은 증류수에 접착제와 가성소다를 첨가하고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가능한 접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혹은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MC)와 같이 제조된 펠릿이 깨지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접착력이 우수한 염기성 물질을 사용가능하며, 이중에서도 PVA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사용량은 증류수 100g을 기준으로 할 때 0.5∼1.0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5g이상을 첨가하면 원하는 접착력을 얻기에 충분하며, 1.0g이상에서는 개선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아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접착제와 가성소다를 함께 증류수에 첨가하고 용해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사용량이 미량이므로 접착제가 자체 응결되는 문제를 감안할 때 접착제를 용융시킨 다음 가성소다를 첨가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상기 접착제 용해는 상온에서도 수행가능하나, 반응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60∼8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사용한 접착제를 충분히 용해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증류수 100g을 기준으로 가성소다 10∼30g을 첨가하여 가성소다수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가성소다 첨가량은 많을수록 좋으나, 증류수 100g을 기준으로 할 때 30g을 초과하면 작업성면에서 취급하기 곤란하므로 10∼30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제조된 가성소다 수용액을 예비분무한 다음 소석회 분말을 회전판내 스크래퍼 장착면의 반대방향에서 생성된 펠릿이 타원을 그리며 넓게 회전할 때까지 장입한 다음 상기 펠릿들이 스크래퍼쪽으로 몰리면서 회전할 때까지 가성소다 수용액을 분무한다.
이때 연속적으로 분사되는 가성소다 수용액의 양이 소석회 분말의 양에 비해 무게로 20%가 넘으면 성장하는 입자끼리 응겨붙게 되므로 가성소다 수용액은 투입되는 소석회의 무게에 대하여 10~15%정도를 유지하도록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하려는 펠릿형 촉매의 입자 크기는 입자크기가 7∼10mm인 것이 바람직한데, 7mm이하에서는 공기 통과 공간이 작아서 대기오염물질 제거용 적용처에 적용시 압력 손실이 커질 뿐만 아니라 제조된 촉매 혹은 촉매를 적용한 적용처내 수분 함량이 클 경우에는 전체가 응결될 수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10mm이상에서는 접촉 면적이 작아져 반응 효율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자를 성장시키는 도중에 회전판에 장입한 다공성 물질이초기장입량의 1/5이하가 되면 반응을 정지시키고 다공성 물질을 그 총량이 초기장입량이 되도록 재장입하면서 상기 공정을 반복하고 회전판 하부로 떨어진 펠릿은 포장한다.
이와같이 제조된 펠릿형 촉매는 760mmAq이상의 압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와같이 제조된 촉매를 사용하여 중화 반응을 수행하는 도중에 어떠한 염도 생성하지 않는다.
또한 이같이 제조된 촉매는 제조된 촉매 자체내의 수분 함량이 10∼30%정도를 유지함으로써 주위 환경에서 수분이 충분할 경우에는 촉매내에 함습한 형태로, 그리고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는 수분을 확산시키는 형태로 어떠한 염도 발생시키지 않은 생태에서 중화 반응을 수행하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제조한 펠릿형 촉매가 저장도중 함수량이 원하는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펠릿형 촉매를 장입한 반응조로의 가스 인입구에 물을 약간씩 분무하여 반응 조건을 최적화할 수도 있다.
또한 이같이 제조된 펠릿은 단순 구형뿐 아니라 오염 물질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서 입체 형태로도 제조가능한데, 예를 들어 별사탕 형태로 제조할 경우에는 성장하는 입자가 완전히 젖도록 먼저 가성소다 용액을 충분히 뿌린 다음 소석회 분말을 투입하는 공정을 반복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펠릿형 촉매는 펠릿 반응조에 인입되는 풍량 및 유해 산성분 농도에 따라 적정량을 장입한다. 예를 들어 15∼30ppm 농도의 H2S를 처리하는데는 풍량 30m3/min하에 30kg정도를 펠릿 반응조에 적하하여 사용하면 충분하다.
한편 이같이 제조된 펠릿 반응조를 보일러의 연소후 배기구 및 기존의 광촉매를 이용한 오염방지장치, 습식세정장치와 같은 적용처의 후단에 장착하고 배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별도의 후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미처리 혹은 처리 곤란한 대기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촉매의 수명이 다한 다음에는 변색되므로 교체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테면 황화수소에 적용시에는 연한 미색에서 옅은 파란색으로 변화하고, 황산이나 질산에 적용한 경우에는 연한 미색에서 진한 미색으로 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사용한 다음 폐기처리할 펠릿형 촉매는 그 pH가 7.5∼8의 중성을 띠므로 큰 문제없이 매립가능하므로 2차적 환경 문제를 전혀 야기하지 않는다는 잇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펠릿형 촉매 제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펠릿형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이기 위한 일례이다.
우측 하단의 레버(6)를 당겨 레버의 눈금을 25도에 맞추어 회전원판(2)의 각도가 25도가 되도록 한 후 레버를 밀어 고정시키고, 상단의 레버(5)를 당겨 스크레퍼(4)를 대략 -15도 정도위치로 이동시킨 후 레버를 밀어 고정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회전원판(2)에 크기 3∼5mm이고, 밀도 0.8톤/m2이고, 정적 흡수(static sorption) 19∼23%인 활성알루미나(LAROCHE Chemical사제) 500g을 장입하고 모터(3)에 전원을 켠 다음 그 회전수를 300rpm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가성소다 수용액을 증류수 12kg에 폴리비닐알코올(화학식 [CH2CH(OH)xㆍ[CH2CH(O2CCH3))y]중 No.217]) 120g을 첨가하고 80℃에서 가열시켜 용해시킨 다음 가성소다 분말 1.2kg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같이 준비된 가성소다 수용액을 일단 20g 정도 예비분무후 소석회 분말을 회전원판(2)내 스크래퍼(4) 장착면의 반대 방향에서 생성된 펠릿들이 타원을 그리며 넓게 회전할 때까지 장입한 다음, 상기 펠릿들이 스크레퍼(4)쪽으로 몰리면서회전할 때까지 가성소다 수용액을 분무하였다.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 분무 및 소석회 분말 장입 과정을 반복하여 펠릿들이 회전원판(2) 하부로 떨어질 때까지 성장시켰으며, 반응도중 투입된 활성알루미나량이 100g이상으로 떨어지면 모터(3)을 끄고 활성알루미나 400g정도를 재장입한 다음 모터(3)를 켜고 반응을 계속 수행하였다.
이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회전원판(2) 하부로 떨어지는 펠릿은 수분이 날라가지 않도록 비닐팩에 포장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촉매량은 100kg정도이었으며, 제조된 촉매내 수분 함량은 20∼25%였다.
이와같이 제조된 펠릿형 촉매를 콤프레셔를 사용하여 그 강도를 측정한 결과 760mmAq이상의 압력에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펠릿형 촉매을 사용한 경우 대기오염물질의 제거 효율 개선 효과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펠릿형 촉매를 사용한 경우에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 황산, 질산, 황화수소(H2S) 제거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우선 황산 및 질산 제거용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황산과 질산을 각각 20ml씩 끓이면서 가스를 발생시켰다.
그런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펠릿형 촉매를 Φ50mm × H 350mm 크기의 STS재질의 펠릿 반응조에 각각 400g씩 장입한 다음 황산, 질산 가스를 1㎥/min의 풍량으로 통과시키고 배출구는 증류수 200㎖를 넣은 비이커를 통하게 하여 pH미터로 증류수의 p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황산 및 질산 가스가 완전 소모될 때까지 pH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펠릿형 촉매를 상기 STS재질의 반응조에 30kg 장입하고 축산폐수처리장 또는 분뇨처리시설의 후단에 적용후 30㎥/min 풍량에서 10일동안 가동시켰다.
그런 다음 반응기 인입구 및 배기구에서 황화수소를 각각 샘플링하고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그 농도를 측정한 결과, 인입구에서 황화수소의 농도가 30ppm인데 반하여 배기구에서는 0.06ppm으로써 99.8%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또한 상기 축산폐수처리장에 적용된 촉매를 관찰한 결과, 45일만에 전체의 2/3정도가 초기 연한 미색에서 연한 파란색으로 변색되었다. 따라서 별도의 처리를 거치지 않고도 색상 변화를 관찰하는 단순 작업에 의해 그 교체시기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때 황산이나 질산 처리에 적용한 경우에는 색변화가 연한 미색에서 진한 미색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변색된 촉매와 증류수를 각각 100g씩 비이커에 넣고 60℃로 가열 및 교반하면서 슬러리 형태로 pH를 측정한 결과, pH 7.5~8을 띠었다. 따라서 매립 또는 재처리 이용 등에 전혀 문제가 없어 2차 환경 문제를 야기하지 않음을 유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수분을 일정량이상 함유하는 펠릿형 촉매를 제조한 다음 필요로 하는 양만큼 반응조에 장입하고 이같이 제조된 반응조를 적용처에 장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배가스를 통과시키는 단순 조작에 의해 유해 산성분의 제거 효율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별도의 염을 형성하지 않으며, 습식세정장치 등의 설치에 소요되는 과도한 투자비용을 절감하고 나아가 2차 환경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직접 매립가능하다.

Claims (8)

  1. 펠릿타이저내 회전판의 각도를 10∼50도범위내로 그리고 스크래퍼의 각도를 0∼-45도범위내로 조정한 다음 상기 회전판에 다공성 물질을 장입하고 200∼500rpm으로 회전시키는 제1 단계;
    상기 회전판에 준비된 가성소다 수용액을 예비분무하고 소석회 분말을 회전판내 스크래퍼 장착면의 반대 방향에서 생성된 펠릿들이 타원을 그리며 넓게 회전할 때까지 장입한 다음, 상기 펠릿들이 스크래퍼쪽으로 몰리면서 회전할 때까지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을 분무하는 공정을 반복하는 제2단계;
    상기 제2 단계를 반복하는 도중에 회전판에 장입한 다공성 물질이 초기 장입량의 1/5이하가 될 때 반응을 정지시키고 다공성 물질을 총량이 초기 장입량이 되도록 재장입하면서 상기 회전판 하부로 떨어진 펠릿은 포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펠릿형 촉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각도는 20~30도범위내로 그리고 스크래퍼의 각도는 -15∼-20도범위내로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직경이 3∼5mm정도인 세라믹 펠릿, 다공성 합성 유기 물질, 제올라이트, 활성 알루미나 및 실리카 겔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은 증류수 100g 기준으로 폴리비닐알콜 혹은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0.5∼1.0g을 첨가하고 용해시킨 다음 가성소다 10∼30g을 용해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의 분사량은 투입되는 소석회 분말의 무게대비 10-15% 정도를 유지하는 양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경이 7∼10mm이고 내부 수분 함량이 10-30%인 펠릿형 촉매
  7. 제6항에 의해 제조된 펠릿형 촉매를 펠릿 반응조에 유해 산성분의 농도 및 유입공기의 풍량에 따라 장입하는 단계; 및
    이같이 제조된 펠릿 반응조를 적용처의 후단에 장착하고 배가스를 통과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펠릿형 촉매를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처로는 보일러 연소후 배기구 및 광촉매를 이용한 오염방지장치, 습식세정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28317A 2000-05-25 2000-05-25 대기오염 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 KR20010107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317A KR20010107094A (ko) 2000-05-25 2000-05-25 대기오염 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317A KR20010107094A (ko) 2000-05-25 2000-05-25 대기오염 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094A true KR20010107094A (ko) 2001-12-07

Family

ID=1967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317A KR20010107094A (ko) 2000-05-25 2000-05-25 대기오염 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709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43A (ko) * 1998-09-05 2000-04-06 이호경 저온용 황 산화물 흡착제의 제조방법
KR200238075Y1 (ko) * 1996-05-02 2001-11-22 이구택 펠렛의품질및회수율증대를위한다기능펠렛타이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075Y1 (ko) * 1996-05-02 2001-11-22 이구택 펠렛의품질및회수율증대를위한다기능펠렛타이저
KR20000018843A (ko) * 1998-09-05 2000-04-06 이호경 저온용 황 산화물 흡착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6297B (zh) 从气流去除二氧化碳的方法
EP3272413B1 (en) Desulfurization and denitration agent
US10213733B2 (en) Gas denitration process and apparatus
CN1843575B (zh) 一种烟气光催化氧化同时脱硫脱硝的方法及装置
CN101157005B (zh) 一种燃煤烟气的处理方法
CA2718725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removal of co2 from a mixed gas stream via use of a catalyst
CN202113765U (zh) 锅炉烟气处理系统
CN114452796A (zh) 一种选择性非催化还原脱硝工艺
CN1736559A (zh) 一种氨-硫酸铵干式烟气脱硫脱氮的设备及工艺方法
JPH08108042A (ja) 排煙の脱硫、脱硫・脱硝、脱硫・脱硝・二酸化炭素除去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る触媒、吸収剤
CN108458351B (zh) 固废物焚烧烟气净化处理方法及其系统
CN101972593B (zh) 一种钠-锌法烟气脱硫联产二氧化硫工艺
CN217220931U (zh) 一种烟气脱酸系统
KR20010107094A (ko) 대기오염 물질 처리용 펠릿형 촉매
CN105396594A (zh) 一种低温同步脱硫脱硝催化剂的制备方法
CN102614768A (zh) 脱硫反应器装置
KR100342696B1 (ko) 산성가스처리용 칼슘계 흡수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75740B (zh) 一种半干法脱硫灰制备高纯石膏的系统及方法
CN111701437A (zh) 一种烟气脱硫剂
CN112546825A (zh) 脱硫废水减量化及零排放并减排酸性气体的装置和方法
KR20210015999A (ko) 배기가스 정화제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CN1345621A (zh) 氨再生循环法脱除工业废气中的二氧化硫
CN110252124A (zh) 一种全干法脱硫工艺及系统
CN110898641A (zh) 一种烟气脱酸除尘系统
CN216654035U (zh) 工业烟气高分子干法脱硝深度净化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