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324A - 공압 및 전기 공급 능력을 가진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공압 및 전기 공급 능력을 가진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324A
KR20010105324A KR1020017008946A KR20017008946A KR20010105324A KR 20010105324 A KR20010105324 A KR 20010105324A KR 1020017008946 A KR1020017008946 A KR 1020017008946A KR 20017008946 A KR20017008946 A KR 20017008946A KR 20010105324 A KR20010105324 A KR 20010105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olley
pair
rod bearing
material han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일러블레이크
하아스개리
오우젠스탄
Original Assignee
쓰리 원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 원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쓰리 원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1010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3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Abstract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는 행거부(70), 본체부(74) 및 플랜지부(72)를 가진 레일(44, 46, 48)를 구비하고, 이 본체부(74)는 레일 길이 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는 그 표면에 트롤리(200, 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하나 이상의 주행면(86)과, 이 주행면에 대해 간격 조정된 관계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킥업면(90)과, 이들 주행면과 킥업면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면(87)을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레일 길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전기 버스(304)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레일은 한 쌍의 대향 프레임 부재(202)와 이들 사이로 뻗어 있는 하우징(204)를 가진 공압 트롤리(200, 400)를 지지하며, 이 레일은 이를 따라 트롤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압 작동 공구(236)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레일은 대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를 지지한다.

Description

공압 및 전기 공급 능력을 가진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LOAD BEARING MATERIAL HANDLING SYSTEM HAVING PNEUMATIC AND ELECTRICAL DELIVERY CAPABILITIES}
다양한 산업 장비 및 부품의 분배 및 심지어 판매를 포함한 산업 환경, 예컨대 경량 및 중량의 제조에는 통상적으로 공압식 및 전기식 중 하나 이상으로 동력이 인가되는 장비 및 재료 취급 장치가 포함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종류의 산업 환경은 공압 장비를 작동시키는 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공장용 공기(shop air)"로서 알려져 있는 공기압 공급원과, 전기 장비를 작동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전력 공급원과, 장비를 지지하면서 공장 또는 플랜트 주위에 재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트롤리를 구비한 레일 및 크레인과 같은 재료 취급 장치를 일반적으로 갖추고 있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공기압은 종종 "블랙 파이프(black pipe)"로 명명된 강제 도관을 통해 공장으로 공급된다. 이 블랙 파이프는 통상적으로 공장 바닥 위에높게 배치되어 플랜트를 교차한다. 이 블랙 파이프에는 복수 개의 분기관이 고정되고, 공장 전체에 걸쳐 공기로 동력을 받는 공구 및 다른 장비에 ½″ID 공기를 공급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 채용된 공기압 공급 장치는 여러가지 단점에 시달리고 있다. 예컨대, 블랙 파이프를 통과하는 공기는 일반적으로 파이프 내에 가끔 응집하여 녹 및 부식을 일으키는 습기를 포함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이러한 부식으로 인하여, 강제 블랙 파이프와 이 파이프로부터 뻗어 나오는 많은 분기관이 때때로 누설되고, 어떤 공업 환경에서는 막대한 금액의 동력 손실에 가끔 이른다. 수 많은 공기 작동 공구 또는 다른 장비가 사용되는 경우, 어떤 공장에서는 오버 헤드식으로 현수되어 있는 스파케티형 배열 구조의 분기관 및 이의 연결 장치가 분산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공구에 공장용 공기를 공급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압 공구를 일반적으로 하나의 분기관으로부터 분리해서 다른 분기관에 다시 연결하는 일없이 하나의 작업 스테이션에서 다른 작업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쉽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 부분적으로 타당하다. 이러한 상황은 주어진 작업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데에 요구되는 복수 개의 분기관과 공압 공구에 원인이 있다. 오버 헤드식 재료 취급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 플랜트 환경은 더욱 심하게 분산된다.
전력이 여러가지 방법으로 공장 전체에 공급된다. 전기 접속구는 플랜트 전체에 걸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동력선과 중간선이 이들 접속구에 다양한 전기 작동 공구 및 장비를 접속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그러나, 많은 전기 작동 공구가 사용되는 경우, 동력선 및 중간선은 통로 및 작업 구역을 혼잡하게 만들어 안전 사고 위험 및 열악한 인체 공학적인 작업 환경을 발생시킨다.
관련 기술에서 이들 상황을 단순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제까지는, 공압 작동 장비에 압력을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 용이한 가동성 및 더 우수한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분기관을 포함하여. 공압 도관을 설치하는 것이 제안된 적이 있었다. 1981년 10월 27일 자로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96,774호, 1981년 10월 27일 자로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96,775호, 1983년 3월 8일 자로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4,375,822호, 1984년 1월 10일 자로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4,424,827호는, 전부 카기(Kagi) 등의 명의로 되어 있으며, 상기의 장치의 예들을 각각 개시하고 있다.
원리적으로, 전술한 특허들에 개시된 장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작동을 개선한 것이지만, 몇가지 단점이 남아 있다. 예컨대, 카기 등의 명의의 특허들에 개시된 장치는 어떤 장치에서는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지원하지 못한다. 또한, 가동 분기관은 이 라인의 공압 능력 때문에 제한되어 있다. 이 외에도, 공구 및 다른 경량의 부품이 공압 도관에 지지될 수 있지만, 카기 등에 의해 개시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통합형 공기압 및 전력 공급원 능력을 포함하여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에 대한 기술상의 요구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광의로는 재료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압능력, 전기 능력 뿐만 아니라, 로드 베어링 능력을 가진 재료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료 취급 장치을 채용한 작업 환경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로드 베어링 트롤리를 예시하는 본 발명의 브릿지 및 주행 장치의 부분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레일에 사용되는 직선형 레일 세그먼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예시된 레일 보다 더 높은 적하 용량을 가진 본 발명의 레일에 사용되는 직선형 레일 세그먼트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레일 보다 더 높은 적하 용량을 가진 본 발명의 레일에 사용되는 직선형 레일 세그먼트에 대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레일에 대한 일 실시 형태의 곡선형 세크먼트의 한쪽 절반의 횡단면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레일의 곡선형 세크먼트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한쪽 절반의 횡단면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레일의 곡선형 세크먼트에 대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한쪽 절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접한 레일 세그먼트 사이에서 사용되는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단부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 선을 따라 취한 스플라이스 커넥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커플링에 대한 일 실시 형태의 단부도이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공기 커플링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공기 커플링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단부도이다.
도 9는 도 8에 예시된 공기 커플링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공기 커플링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레일에 사용되는 단부용 정지부의 일 실시 형태의 단부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예시된 단부용 정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중간 레일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단부용 정지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단부용 정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행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예시된 행거의 단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공압 트롤리에 대한 일 실시 형태의 하우징 뿐만 아니라, 레일을 예시하는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레일에 장착된 본 발명의 공압 트롤리에 대한 일 실시 형태의 단부도이다.
도 19는 레일에 장착된 전기 공급 능력을 가진 공압 트롤리에 대한 일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레일에 장착된 전기 공급 능력을 가진 공압 트롤리에 대한 일 실시 형태의 단부도이다.
도 21은 레일에 장착된 본 발명의 공압 트롤리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의 단부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예시된 공압 트롤리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예시된 공압 트롤리의 트롤리 하우징의 횡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예시된 트롤리 하우징의 반대 방향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추출 밸브를 예시하는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25A는 도 25의 25A-25A 선을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1 내지 도 24에 예시된 공압 트롤리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트롤리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로드 베어링 트롤리의 단부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예시된 로드 베어링 트롤리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예시된 로드 베어링 트롤리의 반대 방향의 단부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로드 베어링 트롤리의 장착 러그의 배열 관계를 예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압 및 전력 공급 능력 모두를 갖는 브릿지 및 주행 장치 및/또는 공구 레일 상에 모두 지지될 수 있는 공압 트롤리와 로드 베어링 트롤리를 포함하는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에서 관련 기술의 단점을 극복한다. 브릿지 레일, 주행 레일 및 공구 레일은 본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가지며, 단지 레일에 대해 필요한 적하 용량에 따라 치수만 다를 뿐이다. 각 레일은 행거부를 구비하며, 레일은 이 행거부에 의하여 I-비임이나 몇 가지 다른 구조체를 매개로 하여 작업 영역 위에서 지지된다. 아울러, 각 레일은 플랜지부를 구비하는데, 트롤리들은 이 플랜지부에 의하여 플랜지부 위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각 레일은 본체부를 구비한다. 본체부는 도관을 구비하며, 이 도관을 통해서 압축 공기가 공압 작동 공구로 공급된다. 레일과 트롤리는 또한 트롤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전동 공구에 대한 전력 공급 능력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플랜지부는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어 있고 본체에 대해서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주행면을 구비한다. 또한, 플랜지부는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하고 상기 주행면과는 간격 조정된 관계로 배치되어 이 주행면과의 사이에 장착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킥업면(kick up surface)을 형성한다. 장착면은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전기 버스(electric bus)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는 상호 결합되어 레일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레일 세그먼트의 인접한 순차적인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스플라이스 커넥터(splice connector)를 또한 포함한다.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형상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의하여 형성된 도관의 형상에 상응하는 가스킷부를 포함하는데, 이 가스킷부는 인접한 레일 세그먼트 사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또한 가스킷부로부터 도관의 방향으로 뻗은 밀봉부를 구비하는데, 이밀봉부는 상기 도관의 내경부와 밀봉 결합하여 인접한 레일 세그먼트 사이의 기밀(氣密) 밀봉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는 또한 공압 트롤리를 포함한다. 이 공압 트롤리는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와 이들 프레임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트롤리에 의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압 작동 공구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 각각은 레일 상에서 주행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과, 트롤리가 레일로부터 우연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의 주행면의 평면 위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러그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레일의 도관 내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된 레일 밸브를 접속 및 차단하는 능력이 있는 가동 공압 트롤리를 사용하는 관련 공구로 공기압이 청결하고도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레일은 선행 기술의 블랙 파이프와 같이 부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식에 의한 누설이 배제되어 이와 관련된 동력 손실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관련 기술에서와 같은 분기관, 호스 및 분기관에 대한 커넥터의 스파케티형 배열에 기인한 혼잡스런 작업 환경도 배제된다. 이러한 결과는 공압 공구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 흐름과 압력을 제공하는 공압 레일과 트롤리 장치로 달성된다. 아울러, 트롤리가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전력도 역시 동력 공구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통로와 작업 영역을 어지럽히는 동력선과 중간선의 필요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로드 베어링 트롤리는 공압 트롤리와 관련하여 전술한 어떤 공통적인 특징으로 공유한다. 그러나, 로드 베어링 트롤리는 특히 비교적 무거운 화물을 운반하기에 적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로드 베어링 트롤리는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는 관계를 형성하도록 상호 배열된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각 프레임 부재는 대향하는 프래임 부재의 대향하는 방향에 있는 해당 정합면과 맞접촉하게 되어 있는 정합면을 제공한다. 또한, 각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는 레일 상에서 주행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과, 트롤리가 레일로부터 우연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의 주행면의 평면 위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러그를 포함한다. 트롤리에 현수된 화물은 대향하는 러그의 공통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거나, 어떤 이동도 할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로드 베어링 트롤리는 보다 무거운 화물을 레일을 따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기능 및 브릿지 및 주행 장치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는 또 다른 특성을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에 부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한 이하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명세서 중의 용어는 단지 해설용으로 사용된 것이고,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 및 변경도 이하의 교시 사항에 비추어 가능할 것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료 취급 장치은 도면 부호40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가능한 작업 환경에 대한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취급 장치(40)은 도면 부호42에 의해 대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로드 베어링 브릿지 및 주행 장치 뿐만 아니라, 도면 부호44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공압 공구 레일을 포함한다. 이 브릿지 및 주행 장치(42) 및 공구 레일(44) 양자는 공압력 공급 능력을 가지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력 공급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공구 레일(44)은 로드 베어링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인식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릿지 및 주행 장치(42)은 2개의 평행한 주행 레일(46)을 포함하며, 이들 레일 사이에는 브릿지 레일(48)이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현수되어 있다. 이 로드 베어링 트롤리는 도면 부호600에 의해 대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 27 내지 도 30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브릿지 레일(48)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7 내지 도 26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공압 트롤리(200, 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공구 레일(44)은 작업 환경을 횡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작업 스테이션(54)은 브릿지 및 주행 장치(42) 뿐만 아니라 공구 레일(44) 가까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공구 레일(44)은 복수 개의 직선형 세그먼트(56)와 곡선형 세그먼트(58)를 포함하며, 이들 양자의 세그먼트는 또한 도면 부호60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닥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거나, 작업 환경이 내장될 수 있는 구조체와 결합되는 오버헤드 I 빔 또는 다른 로드 베어링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순차적이면서 인접한 직선형 세그먼트(56) 및 곡선형 세그먼트(58) 중 하나 이상은 연속 레일을 형성하기 위해서로 결합된다. 공압 트롤리(200, 400) 또는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는 브릿지 레일(48), 주행 레일(46), 또는 공구 레일(44) 각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들 공압 트롤리(200, 400)는 공압력 공급원과의 사이에서 레일을 통과해서 공압으로 작동되는 공구까지 유체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는 레일을 따라 재료를 이동시키기 위해, 또는 브릿지 및 주행 장치에서 로드 베어링 부재로서 사용된다. 이런 방식으로, 공압 또는 전기 작동 공구와 재료는 작업 스테이션(54)들 사이에서 신속하면서도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브릿지 레일(48)과 주행 레일(46) 뿐만 아니라, 공구 레일(44)은 도 3A 내지 도 3F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브릿지 레일, 주행 레일 및 공압 레일
브릿지 레일(48)과 주행 레일(46) 뿐만 아니라, 공구 레일(44)의 구조는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며, 단지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레일에 요구되는 적하 용량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전술한 각 종류의 레일(44, 46, 48)에 대해서 동일하다.
각각의 직선형 레일 세그먼트(56)는 하나의 부품을 분할한 분할형, 또는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6005T5 ANSI 표준형인 애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한 것이다. 또한, 곡선형 섹션(58)은 압출 애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 6005T5로 제조되지만, 도 3D 내지 도 3F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절반 부품(62)으로 제조된다. 이들 절반 부품은 서로 결합되어 곡선형 레일 세그먼트(58)를 형성하는 내외측의 곡선형 레일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이 곡선형 레일 세그먼트(58)는 전력 공급 능력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이들 세그먼트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공압 공급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곡선형 세그먼트(58)가 공압 공급 능력을 위해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인식할 것이다.
순차적인 레일 섹션은 도 4 및 도 5에서 대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스플라이싱된 연결 장치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이 연결 장치는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접한 레일 섹션들 사이에서 조인트를 기밀식으로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레일에는 공기 커플링(66A-B)(도 6 내지 도 10)을 통해 공장용 공기(shop air)가 공급된다. 이 공기 커플링(66A)은 레일의 최종 단부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압축 공기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는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나사 결합되는 오프닝(65B)을 포함한다. 또한, 이 공기 커플링(66A)은 보스(67A)를 포함하며, 이 보스는 레일에 공기 커플링(66A)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스너(도시 생략)을 수용한다. 선택적으로, 공기 커플링(66B)은 레일의 중간 지점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압축 공기의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나사산을 가진 오프닝(65B)을 포함한다. 또한, 이 공기 커플링(65B)은 보스(67B)를 구비하며, 이 보스는 레일에 공기 커플링(65B)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스너(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기 커플링(66A-B)은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공압력 공급원과 레일을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어떤 주어진 개방 단부를 가진 레일의 최종 단부는 단부용 정지부(68A-B)에 의해 끼워넣어지며, 그 일례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단부용 정지부(68A-B)는 밀봉부로서 역할을 하며, 어떤 주어진 레일에 대해 트롤리(200, 400, 600)를 정지시키거나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면, 레일은 도면 부호70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행거부와, 도면 부호72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이들 사이로 뻗어 있는 본체(74)를 구비한다. 이 행거부(70)는 레일을 지지 구조체에 상호 연결시키기에 적합하다. 이 행거부(70)는 본체(74)에 대해 상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간격 조정 클로(76)에 의해 형성되고, 이 클로(76)는 그 최종 단부(78)에서 서로를 향해 내향으로 연장하여 활모양이 되어 이들 단부 사이에 갭(80)을 제공한다. 이 클로(76)는 연결부(84)에 부착되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복수 개의 역전된 Y형 요크(82)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 요크(82)는 대향 클로(76) 사이의 캡(80)을 관통한다. 이 요크(82)는 운전 영역이 내장되어 있는 구조체와 결합되는 I-빔, 트롤리 또는 기타의 로드 베어링 부재로부터 연결부(84)를 매개하여 현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일이 상기 운전 영역 위에 현수될 수 있다.
플랜지부(72)는 행거부(70)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공압 트롤리(200, 400) 또는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때 이들 트롤리는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된다. 이 플랜지부(72)는 레일의 본체(74)에 대해 측방향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의 레일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주행면(86)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킥업면(90)이 적어도 일부의 레일 길이에 걸쳐 뻗어 있고, 상기 주행면(86)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 킥업면과 주행면 사이에 위치하는 장착면(87)을 형성한다. 이 장착면(87)은 도 20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레일 길이를 따라 전기 버스(electrical bus)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72)는 주행면(86)과 킥업면(90)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면(88)을 더 포함하며, 이 롤러면은 레일 길이 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부(72)는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본체(74)의 마주보는 측면에 대해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평행한 주행면(86)을 형성한다. 이 한 쌍의 주행면(86)은 또한 레일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활 모양으로 형성된 안내 롤러면(88)과 연속한다. 한 쌍의 안내 롤러면(88) 각각은 한 쌍의 장착면(87)을 형성하기 위해 주행면(86)에 대해 거의 평행하지만 간격을 두고 내향으로 연장하는 킥업면(90)과 연속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내 롤러면(88)은 안내 롤러에 의해 맞접촉하게 되며, 킥업면(90)은 트롤리의 킥업 롤러에 의해 맞접촉하게 된다.
레일의 본체(74)는 한 쌍의 간격 조정 측벽(92), 하나의 상부벽(94) 및 하나의 하부벽(96)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벽(92, 94, 96)은 모두 레일 길이 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채널 또는 도관(98)을 형성하며, 이 도관은 레일 세그먼트(56)의 인접한 순차적인 세그먼트에 놓인다. 따라서, 벽(92, 94, 96)은 도관(98)의 내경을 형성한다. 이 도관(98)은 적절한 커플링(66A-B)을 통해 레일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압력 공급원(도시 생략)으로부터 깨끗한 공기를 이송한다(도 6-10).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커넥터(64)는 레일 세그먼트(56)의인접한 순차적인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플라이스 커넥터(64)는 형상에 있어서 도관(98)의 형상에 대응하고, 레일 세그먼트(56)의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에서 클램핑되기에 적합한 가스킷부(69)를 포함한다. 또한, 이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가스킷부(69)로부터 도관(98)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밀봉부(71)를 포함한다. 게다가, 이 밀봉부(71)는 도관(98)의 내경부와 밀봉 결합하는 상태로 배치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가스킷부(69)는 성형 스테인리스강제 판(73)에 의해 보강된다. 더군다나, 가스킷부(69) 및 밀봉부(71)는 부나-n-70(buna-n-70)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연할 뿐만 아니라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플라이스 커넥터(64)는 인접한 레일 세그먼트(56) 사이로 뻗어 있는 도관의 기밀 밀봉체를 형성한다. 이 스플라이스 커넥터(64)는 도 5의 단면도에는 과장되어 있는 얇은 프로파일을 가진다. 부분적으로는, 커넥터(64)에 채용된 이러한 얇은 프로파일 및 유연한 부나-n 고무 재료로 인하여, 스플라이스 커넥터(64)는 유지 보수 중에, 또는 그렇지 않는 경우 레일 장치의 기타의 부품을 분해하는 일없이 인접한 레일 세그먼트(56) 사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라이스 커넥터964)는 본 발명의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한다.
도 3A∼3C, 및 도 3D∼3F에 단면도로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74)의 크기는 어떤 주어진 장치의 적하 용량에 주로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로드가 클수록, 레일의 본체(74)는 더 커진다. 보다 큰 적하 용량에서, 본체(74)는 또한 강도 증가를 위해 상부벽(94) 및 하부벽(96) 사이에 배치되고 측벽(92)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 분할벽(100)(도 3A∼3C)을 포함한다. 또한, 이 내부 분할벽(100)은 도관(98)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도관의 크기는 공구에 동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도관 내의 공압을 발생시키는 데에 필요한 동력을 제한한다. 따라서, 보다 큰 본체(74)를 가진 레일은 브릿지 및 주행 장치(42)의 경우에서와 같이 보다 무거운 로드 베어링 장치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공압 레일 밸브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102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 개의 공압 레일 밸브는 레일의 도관(98) 내에서 간격을 두고 예정된 위치에 지지되어 있고,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공압 트롤리(200, 400)에 의해 지지되는 대응 트롤리 하우징(204, 404)을 통해 도관(98)의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들 공압 레일 밸브(102) 각각은 도면 부호106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밸브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도관(98)의 하부벽(96)에 있는 오프닝(108)을 통과한다. 이를 위해,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하부벽(96)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 개의 오프닝(108)이 위치한다. 각각의 하우징(106)은 레일 하부벽(96)의 하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밸브 판(110)에 안착된다. 이 밸브 하우징(106)은 밸브 본체(114)에 장착되는 캡(112)를 포함한다. 이 캡(112)과 밸브 본체(114)는 함께 카운터 압력실(116)을 형성한다. 중량 조정 리테이너(124)와 접속하는 코일 스프링(122)의 영향 때문에, 밸브 부재(118)가 편향되어 밸브 본체(114)에 의해 제공된 밸브 시트(120)와 맞접촉하게 된다. 이 밸브 부재(118)는하우징(106) 내의 인입구(126)에서 주 밸브 통로(128) 속으로 주변 레일 압력의 공기 흐름을 제어한다. 이때, 이 공기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밸브판(110)의 배출 포트(130)를 지나서 공압 트롤리(200, 400) 속으로 유동한다.
카운터 압력실(116)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구(126)에 대향 배치된 짧은 연결 포트(134)를 경유하여 경사진 채널(132)과 유체로 연통하게 된다. 이 경사진 채널(132)은 이(132)의 좁은 단부에 있는 소형 유량 조절 오리피스(136)에 의해 도관(98) 내의 주변 레일 압력을 받는다. 또한, 도면 부호138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제어 밸브는 경사진 채널(132)로부터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며, 따라서 제어 오리피스(140)를 통해 카운터 압력실(116)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이 제어 밸브(138)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포트(130)의 좌측까지 밸브판(110)을 관통하는 계단형 수직 방향의 보어(142) 내에 지지된다. 이 제어 밸브(138)는 강자성체 헤드(144)와 샤프트(146)를 포함한다. 이 샤프트(146)는 제어 오리피스(140)의 오프닝에 안착되는 플런저(148)로 종결된다. 상기 제어 밸브(138)는 이(138)의 샤프트(146)를 둘러싸는 리테이닝 링(152)과 밸브판(110) 사이에서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150)의 영향 하에서 제어 오리피스(140)를 밀봉하는 플런저(148)와 함께 폐쇄 위치로 연속적으로 편향된다. 그러나, 제어 밸브(138)은 또한 제어 오리피스(140)의 오프닝으로부터 플런저(148)를 탈착시키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이 일어나는 경우, 카운터 압력실(116)의 압력은 즉시감소되는데, 이때 공기는 압력실(116)에서 제어 오리피스(140)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션트(shunt; 153)를 경유하여 배출 포트(130)로 유동한다. 또한, 이는 인입구(126)에 의해 레일 압력을 받는 밸브 부재(118)에 작용하는 압력 불균형을 발생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밸브 하우징(106)의 인입구(126)를 통해 밸브 부재(118)에 작용하는 주변 레일 압력은 코일 스프링(122) 및 중량 조정 리테이너(124)의 편향력에 반발하여 밸브 부재(118)를 탈착시킨다. 이때, 주변 레일 압력을 가진 공기는 도관(98)에서 하우징(106) 속으로 밸브 통로(128)를 통해, 그리고 배출 통로(130)를 경유하여 공압 트롤리(200, 400) 속으로 유동한다. 공기 압력은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압 트롤리(200, 400)에서 공구까지 공급된다.
공압 트롤리
공압 트롤리(200)는 도 17 내지 도 20에 예시되어 있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공압 트롤리(200)는 한 쌍의 대향하지만 불일치하는 프레임 부재(202)를 포함한다. 이 프레임 부재(202)는 6005T5 ANSI 표준인 압출된 애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플라스틱, 사출 가능한 폴리머 또는 다른 어떤 적합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폴리머로 제조되는 경우, 듀퐁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20% 유리 충전 보강 아세탈인 UV 안정화된 Delrin 577이 이러한 목적에 잘 부합한다는 것을 본 발명의 발명자가 알아냈다. 대향 프레임 부재(202)는 이들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베이스 판(205)에 의해 프레임 부재(202)의 하측 연부에서, 그리고 레일의 하측에서 상호 연결된다. 이 베이스 판(205)은 도면 부호206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적합한 파스너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 부재(20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202)는 레일과 구름 접촉을 위해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202)는 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 플랜지부(72)의 대응 주행면(86)과 구름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208)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트롤리 휠(208)은 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샤프트는 프레임 부재(202)의 상보적인 홀을 관통하여, 이 홀에 잠금 너트(212)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파스닝 기구에 의해 고정되는 스터드(210)로 종결된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 부재(202)는 하나 이상의 안전 러그(lug; 214)를 제공하며, 이 러그는 레일 플랜지부(72)의 관련 주행면(86)의 평면 위로 돌출한다. 이와 달리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208)이 대량 파괴되는 경우, 안전 러그(214)는 주행면(86)을 파지하여 트롤리(200)가 레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트롤리 휠(208)로 인하여, 각각의 프레임 부재(202)는 일반적으로 레일의 플랜지부(72)의 외형을 따른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216)는 구름 핀으로 결합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플랜지부(72)의 안내 롤러면(88)에 대향하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202)에 장착된다. 각각의 안내 롤러(216)는 안내 롤러면(880과 구름 접촉하기에 적합하고, 레일에 대해 트롤리(200)를 안정화하는 것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 롤러(216)는 관련 프레임 부재(202)에 지지된 트롤리 휠(208)의 회전 축선에 대해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트롤리는 레일 플랜지부(72)의 킥업면(90)에 맞접촉하는 킥업 롤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킥업 롤러는 트롤리 휠(208)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킥업 롤러는 통상적으로 도 27 내지 도 30에 예시되어 있는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와 연계하여 사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트롤리 휠(208)은 듀퐁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20% 유리 충전 보강 사출 아세탈인 Delrin 570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안내 롤러도 역시 Delrin 570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홰히스트 셀라네제(Hoechst Celanese)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지만 역시 사출 아세탈인 심지어 Celcon M90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트롤리 휠(208), 안내 롤러(216) 및 사용될 수 있는 정도까지는 킥업 롤러는 모두 레일을 따라 공압 트롤리(200)의 부드러운 직선 운동을 촉진시킨다.
공기 본체(218)는 베이스 판(20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 베이스 판 아래로 현수된다. 이 공기 본체(218)는 첵 밸브 본체(222)가 결합되는 클레비스 (clevis; 220)를 포함한다. 공기는 클레비스(220)에서 첵 밸브 본체(22) 내의 첵 밸브를 지나서 엘보우(224)를 통과하여 장착구(228)를 경유하여 폴리우레탄 호스(226) 속으로 유동한다. 이 호스(226)는 공압 트롤리(200)와 공압 공구(도시 생략) 사이를 유체로 연통시킨다. 선택적으로, 첵 밸브는 도 22에 대해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어떤 편리한 지점에서 트롤리(200)의 하우징(204) 속에 합체될 수 있다.
요크(230)는 공기 본체(218)와 지지체(234) 사이를 연장하는 로드 핀(232)로부터 현수되어 있다. 이 요크(230)는 밸런서, 관련 호이스트 장비, 또는 유사한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 장비는 도면 부호236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공압 또는 전기 작동 공구는 당업자라면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 부호236에서 은선으로 예시된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요크(230)는 이(230)의 분기부 사이에서 로드 볼트(240) 및 너트(242)에 의해 포획되는 스풀(238)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어떤 다른 종류의 지지 구조 및 파스닝 기구도 트롤리(200)로부터 기타 장비를 현수하기 위해 요크(23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공압 트롤리(200)는 베이스 판(205)에 지지되어 대향 프레임 부재(2020) 사이에서 뻗어 있는 하우징(204)을 포함한다. 이 트롤리 하우징(204)의 내부 작동부는 작동해서 레일 밸브(1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압을 공구에 각각 공급 및 차단한다. 이를 위해, 트롤리 하우징(204)은 레일 밸브(102)를 통해 도관(98)으로부터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실(244)을 포함한다. 이 공기실(244)로부터 호스(226)까지, 최종적으로는 트롤리 하우징(204) 냉의 축류 통로(246)와 클레비스(220)을 통과하는 S형 포트(도시 생략)를 경유하여 공압 작동 공구까지 유체가 연통한다. 또한, 공압은 축류 통로(246) 내의 2차 포트(250)를 통해 어떤 장치(도시 생략)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2차 포트(250)는 도면 부호252에 끼워넣어진다.
공기실(244)로의 공기의 유동은 이 공기실(244)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256)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편향 부재에 의해 상기공기실(244)의 최상부를 향해 편향되는 마그네트 헤드(254)와 같은 액츄에이터의 운동에 의해 제어된다. 이 마그네트 헤드(254)는 트롤리 하우징(20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가스킷 또는 다른 적합한 밀봉 장치(25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마그네트 헤드(254)는 그 내부에 지지되어 있는 자석(260)을 포함한다. 이 자석(260)은 제어 밸브(138)의 강자성 헤드(144)를 당김으로써 제어 밸브(138)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제어 오리피스(140) 내의 오프닝으로부터 플런저를 탈착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관(98)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기실(244) 속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부재(118)를 개방시킨다.
상기 마그네트 헤드(254)는 도면 부호262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코일 스프링(256)의 편향력에 반발하여 제어 밸브(138)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밸브 부재(118)가 밸브 시트(120)에 안착될 수 있게 하는 제어 밸브(138)를 폐쇄하며, 이에 의해 트롤리(200) 속으로 공기의 유동을 차단시킨다.
상기 레버(262)는 마그네트 헤드(25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재(264)와, 노치(27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26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재(266)를 포함한다. 이들 제1 및 제2 부재(264, 266) 양자는 핀(272)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레버(262)는 부재(264, 266) 및 핀(272)로부터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레버(262)는 마그네트 헤드(254)에 선형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핀(272)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일체형인 일부품 플라스틱 소자이다. 상기 슬라이드(268)는 파스너(274)를 통해 밸브 하우징(20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파스너는 상기 슬라이드(268)의 슬롯(276) 속에 수용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 및 슬라이드(262, 268) 각각은 도 18 내지 도 20에서 도면 부호278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해제 기구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이 해제 기구(278)는 상부 아암(280) 및 하부 아암(2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아암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서로에 대해 작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들 도면에 개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 아암(282)은 상부 아암(280)의 평면에 대해 거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하부 아암(282)은 그 원위 단부(286)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향 연장하는 호스 리테이닝 링(284)을 포함한다. 이 링(284)은 목적상 공압 호스(226)의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될 것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어떤 주어진 레일 밸브(102)로부터 트롤리(200)의 해제 또는 분리 및 이 트롤리의 레일을 따르는 운동은 작동자가 호스(226)에 대해 당김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케이블 또는 일부의 다른 적합한 소자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없이 호스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 호스(226)는 이러한 힘을 하부 아암(282)로부터 상부 아암(280)으로 이동시키는 리테이닝 링(284)에 맞물려 있다. 도 1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아암(280)은 L자 형상을 가지고, 프레임 부재(202)들 중 하나에 볼트 체결된 클레비스(290)에 장착된 핀(288)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아암(280)은 샤프트(294)에 장착되는 은선(隱線)으로 도시된 롤러(292)를 지지한다. 도면 부호296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삼각형 모양의 해제 캠은 슬라이드(268)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 캠(296)은 각도를 두고 배치된 2개의 캠면(298, 300)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 아암(280)에 의해 지지된 롤러(292)는 이 해제 캠(296)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상부 아암(280)이 핀(288)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경우에 캠면(299, 300) 중 어느 하나에 맞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롤러(292)가 캠면(299, 300) 중 하나에 맞접촉하는 경우, 슬라이드(26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이동된다. 이 슬라이드(268)의 하향 운동에 의해, 레버(262)는 도 17에 도시된 핀(272)을 중심으로 피봇하고, 이어서 코일 스프링(256)의 편향력에 반발하여 마그네트 헤드(254)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어 밸브(138)는 폐쇄되어 레일 밸브(102) 내의 압력을 균일하게 만든다. 그때, 밸브 부재(1180는 밸브 시트(120)에 안착되고, 트롤리(200)를 통과하는 공압 흐름은 차단된다. 이제, 트롤리(200)는 작동자가 원하는 대로 다른 레일 밸브(102)와 선택적인 공압 연결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트롤리는 레일을 따라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한다.
해제 기구(278)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롤러(292)는 캠면(298, 300)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해제 기구(278)도 역시 도면 부호 302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카운터 밸런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밸런스는 하부 아암(282)이 호스(226) 및 어떤 공압 공구(도시 생략)을 지지할 때 하부 아암(282)의 중량에 대항하기 위해 하부 아암(282)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상부 아암(280)으로부터외팔보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9 및 도 2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200)은 또한 작업 환경 전체에 걸쳐 전기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력 공급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기 버스(304)는 레일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버스 클립(306)에 의해 플랜지부(72) 상측의 레일에 지지된다. 각각의 버스 클립(306)은 도면 부호308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파스닝 기구를 포함하며, 레일의 행거부(70)에 맞물려 있다. 이 파스닝 기구(308)는 나사산을 가진 파스너(310)와, 레일의 행거부(70)에 각각의 버스 클립(306)을 클램핑하기 위해 협동하는 너트 판(3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트롤리(200)는 트롤리 휠(208)들 사이에 있는 프레임 부재(202) 중 하나 이상에 볼트 체결되는 전기 마운트(314)를 포함한다. 이 전기 마운트에 의해 각각의 버스(304)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도체(316)가 지지된다. 각각의 도체(316)는 관련 버스(304)에 수용되는 접점(318)을 가진다. 각각의 접점(318)은 나사산을 가진 스크류(320)에 접속된다. 각각의 스크류(320)에는 도 19에서 도면 부호322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에 전선이 버스(304)에서 어떤 전기 작동 장비로 전압을 보내기 위해 절곡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480 볼트의 동력을 공급하는 4개의 버스(304)가 있다.
이 외에, 또는 선택적으로, 레일은 도 20에서 도면 부호324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10 볼트의 동력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레일은 주행면, 안내 롤러면 및 킥업면에 대향하는 플랜지부(72)의 내측 곡선형 장착면(87)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러그(326)를 지지한다. 다음에, 이 러그(326)는 3개의 110 볼트 버스(330)를 지지한다. 도체 판(332)은 트롤리 하우징(204)의 외측에 볼트 체결되고, 관련 버스(330) 속에 상보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3개의 접점(334)을 지지한다. 그때, 110 볼트 동력은 심지어 트롤리(200)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어떤 종래의 방식으로 도체 판(332)을 통해 어떤 전기적으로 동력을 받는 소자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버스(330)는 60 암페어 단상 동력을 트롤리(200)를 통해 적절하게 동력을 받는 소자로 공급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버스(330)는 레일의 주행면과 킥업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레일의 양측면에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압력은 레일의 도관(98) 내에서 소정 간격으로 지지된 레일 밸브(102)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가동 트롤리(200)를 이용하여 관련 공구로 완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레일은 종래 기술의 블랙 파이프 처럼 부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식으로 인한 누출은 제거되며, 이에 의해 관련 동력 손실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관련 기술 분야 처럼 분기관 및 이 분기관의 도체에 대한 스파게티형 배열에 따른 분산형 작업 환경도 역시 제거된다. 이들 결과는 공압 공구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에 요구되는 충분한 공기 흐름 및 압력을 제공하는 공압 레일 및 트롤리 장치에서 달성된다. 그리고, 관련 기술 분야에서의 어떤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레일 및 트롤리 장치은 어떤 호환성 공구에 전력을 공급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로 및 작업 영역을 통상적으로 분산시키는 동력선 및 중간선에 대한 요구를 크게 감소시킨다.
도 21 내지 도 26을 개략적으로 참조하는 가운데, 도 21 및 도 22을 세부적으로 참조하면, 다른 실시 형태의 공압 트롤리는 도면 부호400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공압 트롤리(200)와 유사하게, 이 공압 트롤리(400)는 대향하면서 동일한 한 쌍의 프레임 부재(402)를 포함한다. 이 프레임 부재(402)는 6005T5 ANSI 표준형인 압출된 애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플라스틱, 사출 가능한 폴리머, 또는 다른 어떤 적합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12)와 같이, 폴리머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자는 듀퐁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20% 유리 충전 보강 아세탈인 UV 안정화된 Delrin 577이 프레임 부재(402)에 대해 효과가 좋다는 것을 밝혀냈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402)는 레일과 구름 접촉하기 위해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402)는 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 플랜지부(72)의 댕으하는 주행면(86)과 구름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408)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트롤리 휠(408)은 프레임 부재(402)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41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 부재(402)는 플랜지부(72)의 관련 주행면(86)의 평면 위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러그(414)를 제공한다. 이와 달리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408)이 대량 파괴되는 경우, 안전 러그(414)는 주행면(86)을 파지하여 트롤리(400)가 레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트롤리 휠(408)로 인하여, 각각의 프레임 부재(402)는 레일의 플랜지부(72)의 외형을 일반적으로 따른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416)는 구름핀으로 결합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플랜지부(72)의 안내 롤러면(88)에 대향하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402)에 장착된다. 각각의 안내 롤러(416)는 안내 롤러면(88)과 구름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레일에 대해 트롤리(400)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이 외에도, 이 트롤리는 플랜지부(72)의 킥업면(90)에 맞접촉하여 마모를 최소화시키는 킥업 패드(41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트롤리 휠(408)은 듀퐁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20% 유리 충전 보강 사출 아세탈인 Delrin 570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안내 롤러(416)도 역시 Delrin 570으로부터, 또는 사출 아세탈이지만 홰히스트 셀라네제(Hoechst Celanese)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심지어 Celcon M90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트롤리 휠(408), 안내 롤러(416) 및 사용될 수 있는 정도까지는 킥업 롤러는 모두 레일을 따라 공압 트롤리(400)의 부드러운 직선 운동을 촉진시킨다.
또한, 이 트롤리(400)는 프레임 부재(402)들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하우징(404)을 포함한다. 도 21 및 도 2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트롤리 하우징(404)은 플라스틱이며, 프레임 부재(402)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이 프레임 부재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 판(405)을 포함한다.
도 23 및 도 2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 하우징(404)는 한 쌍의 대향 클레비스(420, 422)를 구비한다. 각각의 클레비스(420, 422)에는 핀(도시 생략)이 내부로 수용되는 보어(424, 4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보어(424, 426) 속에는 각각의 핀이 롤 핀(428, 430) 또는 다른 어떤 적합한 파스닝 기구에 의해 고정된다. 클레비스(420, 422) 및 관련 핀은 각각 링(432, 434)을 지지한다.다음에, 이 링(432, 434)은 도 18 내지 도 20에 예시된 트롤리(200)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밸런서, 관련 호이스트 장비, 공구 등을 지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4)은 강도 보강을 위해 하우징(404) 전체에 걸쳐 전략적으로 배치된 성형 리브(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하우징(404)에는 프레임 부재(402)에 하우징(404)를 장착하기 위한 파스너(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플라스틱제 보스(446)가 마련될 수 있다.
이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이 트롤리 하우징(404)의 내부 작동부는 레일 밸브(1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구에 대해 공압을 각각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해 작동한다. 이를 위해, 트롤리 하우징(404) 내부에는 레일 밸브(102)를 통해 도관(98)으로부터의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실(444)이 있다. 이 공기실(444)로부터 호스(226)까지, 최종적으로는 트롤리 하우징(404)을 관통하는 축류 통로(446)를 통해 공압 작동 공구까지 유체가 연통한다. 이 트롤리 하우징(404)은 3개의 포트(436, 438, 442) 중 하나를 통해 공압 공구까지 유체를 실질적으로 연통시킨다. 이 포트(436, 438)는 트롤리 하우징(404)의 전후방에 형성되고, 포트(442)는 하우징(404)의 바닥에 형성된다. 각각의 포트(436, 438, 442)는 축류 통로(446)와 직접 유체로 연통하는 상태이다.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이들 포트(436, 438, 442) 중 어느 하나가 막힐 수 있다.
이 공기실(444)로의 공기의 유동은 이 공기실(444)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456)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편향 부재에 의해 상기 공기실(444)의 최상부를 향해 편향되는 마그네트 헤드(454)와 같은 액츄에이터의운동에 의해 제어된다. 이 마그네트 헤드(454)는 트롤리 하우징(40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가스킷(458) 또는 다른 적합한 밀봉 장치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마그네트 헤드(454)는 그 내부에 지지되는 자석(460)을 포함한다. 이 자석(460)은 제어 밸브(138)의 강자성 헤드(144)를 당김으로써 제어 밸브(138)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제어 오리피스(140) 내의 오프닝으로부터 플런저(148)를 탈착시키고, 도 17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관(98)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기실(444) 속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부재(118)를 개방시킨다.
상기 마그네트 헤드(254)는 도 23에서 도면 부호462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코일 스프링(456)의 편향력에 반발하여 제어 밸브(138)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밸브 부재(118)가 밸브 시트(120)에 안착될 수 있게 하는 제어 밸브(138)를 폐쇄하며, 이에 의해 트롤리(400) 속으로 공기의 유동을 차단시킨다.
상기 레버(462)는 마그네트 헤드(45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재(464)와, 노치(470)를 통해 도면 부호 468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재(466)를 포함한다. 이들 제1 및 제2 부재(464, 466) 양자는 핀(472)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레버(462)는 부재(464, 466) 및 핀(472)으로 개별 제조될 수도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레버(262)는 마그네트 헤드(454)에 선형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핀(472)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수 있는 일체형의 일부품 플라스틱 소자이다. 상기 슬라이드(468)는 파스너(474)에 의해 밸브 하우징(40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파스너는 상기 슬라이드(468)의 슬롯(476) 속에 수용된다. 도 23 및 도 2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슬라이드(468)는 트롤리 하우징(404) 내의 슬롯(480)을 관통하며, 하우징(404)의 보스(486) 내에 장착된 핀(48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외팔보식 아암(482)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 및 슬라이드(462, 468)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8 내지 도 20에서 도면 부호278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해제 기구의 일부를 형성한다.
마그네트 헤드(454) 외에도, 상기 슬라이드(468)는 도면 부호 488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추출 밸브(bleed valve)를 작동시킨다. 이 추출 밸브(488)는 하우징(404)의 바닥으로부터 연장하는 나사산을 가진 보어(490) 속에 장착되며,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442)와 결합된다. 이 추출 밸브(488)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출 오리피스(492)를 통해 공기실(44)의 압력 저하를 제어한다.
이제, 도 23 및 도25를 참조하면, 상기 추출 밸브(488)는 플랫폼(496)으로부터 연장하여 안내 통로(498) 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 부재(494)를 포함한다. 이 밸브 부재(496)는 추출 오리피스(492)를 밀봉하는 원추형 플러그(500)으로 종결된다. 상기 보어(490) 속에는 스프링 세트(502)가 나사 결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스프링 세트(502)와 플랫폼(496) 사이에서 스프링(504)이 밸브 부재(494)를 추출 오리피스(492)와 밀봉 결합되는 상태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밸브 부재(494)의 직선 운동을 안내 통로(498)에 형성된 안내부(506)가 지원하며, 이 안내부는 밸브 부재(494)(도 25A)에 형성된 슬롯(508) 속에 상보적으로 수용된다. 도 2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468)에는 핀(484)과 대체로 마주보는 아암(482)에 배치된 텅(510)이 제공된다. 이 텅(510)은 플랫폼(496)에 맞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 부재(494)를 이동시켜 추출 오리피스(492)와 밀봉 결합을 해제시킨다. 따라서, 공기실(44)에 대한 유체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슬라이드(468)의 이동은 동시에 추출 밸브(488)를 이동시켜 추출 오리피스(482)를 개방시키며, 이에 의해 추출 오리피스(492)를 거쳐 포트(442)를 매개하여 대기로의 안내 통로(498)를 통해 공기실(444)을 감압시킨다.
또한, 하우징(404)는 도 22 및 도 24에서512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첵 밸브를 지지한다. 이 첵 밸브(512)는 공기실(444)과 축류 통로(446) 사이에 배치된다. 이 첵 밸브(512)와 축류 통로(446) 사이에는 공급 통로(514)가 연장된다. 이 첵 밸브(512)는 공기실(44)의 감압 중에 공압 공구 또는 호스(226)로부터 트롤리 하우징(404) 속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며, 이에 의해 마그네트 헤드(454)에 작용하는 역압 급상승을 방지한다. 또한, 이 첵 밸브(512)는 트롤리 하우징(404)으로부터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한 통제기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압 공구의 회전수를 제한한다.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재료 취급 장치과 결합하여 보다 소형의 공구를 이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첵 밸브(512)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의 첵 밸브 챔버(516) 속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환형 헤드(518)와 이로부터 연장하는 바늘 모양의스템(520)을 포함한다. 이 스템(520)은 첵 밸브 챔버 단부 캡(524) 내에 형성된 바늘 시트(522)에 수용될 수 있다. 코일 부재(526)와 같은 편향 부재는 환형 헤드(518)에 형성된 시일을 편향시켜서 공기실(44)과 첵 밸브 챔버(516)를 상호 연결시키는 포트(530)과 밀봉 결합 상태로 만든다. 도 2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첵 밸브 챔버(516)에는 서로에 대해 환형으로 간격을 둔 3개의 안내 탭(53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안내 탭(532)은 밸브 헤드(518)와 맞물려 이 헤드의 부드러운 직선 운동을 보장한다.
단부 캡(524)은 파스너(534)를 이용하여 트롤리 하우징(404)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O-링(536)은 상기 첵 밸브 챔버(516)가 밀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단부 캡(524)은 분리될 수 있어서, 첵 밸브(512)가 수리될 수 있거나, 또는 코일 스프링(526)이 교환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의 직경이 커질수록, 첵 밸브(512)를 지나는 흐름은 더 줄어들며, 따라서 공압 공구에서 발생하는 회전수도 더 적어진다.
추출 밸브(488) 및 첵 밸브(512)는 모두 레일 밸브(102)로부터 분리되는 동안에는 공압 트롤리(400)의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연동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분리 중에는 추출 밸브(488)가 개방되어 공기실(444)이 감압된다. 이는 첵 밸브(512)의 균형을 파괴하여 이 첵 밸브를 폐쇄시킨다. 이 첵 밸브(512)의 폐쇄는 첵 밸브(512)의 하류로부터 감압된 공기실(444)로 복귀하는 압축 공기의 급상승을 방지한다. 따라서, 슬라이드(468)의 작동은 이하의 순차적인 동작에 이른다. 즉, 마그네트 헤드(454)가 코일 스프링(456)의 편향력에 반발해서 이동되며, 제어밸브(138)가 폐쇄되며, 이어서 레일 밸브 부재(118)가 폐쇄되고, 공기실(444)을 감압시키는 추출 밸브(488)가 개방되고, 첵 밸브(512)가 폐쇄된다. 전술한 구조는 트롤리 하우징(404)이 어떤 주어진 레일 밸브(102)와 부드럽게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촉진시킨다.
로드 베어링 트롤리
또한, 본 발명의 재료 취급 장치은 도 2 및 도 27 ∼ 30에서 도면 부호600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로드 베어링 트롤리를 포함한다. 이 로드 베어링 트롤리는 공압 트롤리(200, 400)에 대하여 전술한 어떤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는 비교적 무거운 로드를 운반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이를 위해, 이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는 대향하지만 동일한 한 쌍의 프레임 부재(602)를 포함하며, 이들 프레임 부재는 서로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는 대응하는 표면(604)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맞접촉하기에 특히 적합한 편평한 정합면(604)을 제공하기 위해 주조된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535)으로 될 수 있다. 이 프레임 부재(602)는 볼트(606)를 이용하거나, 이 볼트가 상기 정합면(604)에 도달하도록 나사산을 가진 구멍(도시 생략) 속에 수용되는 다른 어떤 적합한 파스너를 이용하여 함께 체결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는 레일과 구름 접촉을 위해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는 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 플랜지부(72)의 대응하는 주행면(86)과 구름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휠(608)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에는 하나 이상의 안전 러그(61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러그는 레일 플랜지부(72)의 관련 주행면(86)의 평면 위로 돌출한다. 이와 달리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608)이 대량 파괴되는 경우, 안전 러그(614)는 주행면(86)을 파지하여 트롤리(600)가 레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트롤리 휠(608)로 인하여,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는 레일의 플랜지부(72)의 외형을 일반적으로 따른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616)가 구름 핀으로 결합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플랜지부(72)의 안내 롤러면(88)에 대향하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에 장착된다. 각각의 안내 롤러(616)는 안내 롤러면(88)과 구름 접촉하기에 적합하고, 레일에 대해 트롤리(600)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지원한다. 추가적으로, 이 트롤리는 플랜지부(72)의 킥업면(90)에 맞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킥업 롤러(6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 롤러(616)는 관련 프레임 부재(602)에 지지된 트롤리 휠(608)의 회전 축선에 대해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킥업 롤러(620)는 트롤리 휠(608)의 회전 축선에 대해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트롤리 휠(608)은 듀퐁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으며, 20% 유리 충전 보강 사출 아세탈인 Delrin 570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안내 롤러(616)도 역시 Delrin 570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홰히스트 셀라네제(Hoechst Celanese)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지만 역시 사출 아세탈인 심지어 Celcon M90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트롤리 휠(608), 안내 롤러(216) 및 사용될수 있는 정도까지는 킥업 롤러(620)는 모두 레일을 따라 공압 트롤리(600)의 부드러운 직선 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는 리브(6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리브는 상기 프레임 부재(60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 프레임에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전략적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는 그(602)의 하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러그(624, 626)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러그(624, 626)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구멍(628, 6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0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구멍(628)은 도면 부호632로 표시되는 축선을 가진다. 각각의 구멍(630)은 도면 부호634로 표시되는 축선을 가진다. 이들 러그(624, 626)는 구멍(628, 630)을 지나는 축선(632, 634)이 서로에 대해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프레임 부재(602)에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2개의 프레임 부재(602)가 서로 체결된 경우에, 이들 프레임 부재 각각의 러그(624, 626)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을 형성한다. 어떤 핀(도시 생략) 또는 다른 파스닝 소자가 대향 러그(624)들 사이로, 또는 대향 러그(626)들 사이로 연장할 수 있다. 이 핀 또는 파스닝 소자로부터 현수되는 로드는 단지 하나의 핀 또는 파스닝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에만 러그(624) 또는 러그(626)의 공통 축선을 중심으로 진자식 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러그(624, 626) 사이에서 로드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는 브릿지 및 주행 장치(42) 또는 심지어 공압 레일(44)을 따라 로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 외에도, 전력이 공압 트롤리(200)에 대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되어 설명된 거의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로드 베어링 트롤리(60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사용되었던 용어는 단어의 성격상 제한이 보다는 해설하려는 의도로 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수 많은 변형 및 변경은 상기의 교시 사항에 비추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 외에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8)

  1.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로서,
    레일을 포함하고, 이 레일은 이것을 지지 구조체에 연결하게 되어 있는 행거부와, 상기 레일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은 도관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트롤리를 표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어 있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고, 측방향으로는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주행면과, 상기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고, 상기 주행면에 대하여 간격 조정된 관계로 배치되어 상기 주행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장착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킥업면(kick up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면은 상기 레일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전기 버스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주행면과 킥업면 사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장착면 상에 지지된 복수 개의 러그를 포함하고, 이들 러그는 상기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전기 버스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주행면과 킥업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는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면을 포함하는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주행면을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서로 평행하게 뻗은 한 쌍의 킥업면을 포함하고, 이 킥업면은 관련된 쌍의 상기 주행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주행면과 킥업면 사이에서 평행하게 뻗는 한 쌍의 장착면을 형성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한 쌍의 안내 롤러면을 포함하고, 이 한 쌍의 롤러면은 상기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한 쌍의 주행면과 상기 킥업면의 사이에서 이들 중 관련된 것과 평행하게 하나씩 배치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주행면은 상기 한 쌍의 안내 롤러면 중 하나에 하나씩 합체되고, 상기 한 쌍의 안내 롤러면은 상기 한 쌍의 킥업면 중 하나에 하나씩 합체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행거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 쌍의 간격 조정된 측벽과, 상부벽 및 하부벽을 포함하고, 이들 벽은 함께 상기 도관을 형성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은 상기 레일의 길이를 따라 서로에 대하여 간격 조정된 관계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오프닝과, 이들 오프닝을 관통하여 상기 도관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밸브와, 상기 도관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압축 공기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상기 압축 공기 공급원과 상기 복수 개의 밸브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벽 사이에서 뻗고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에 강도를 추가로 제공하는 내부 분할벽을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뻗은 한 쌍의 간격 조정된 클로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클로 각각은 서로에 대하여 내측으로활모양으로 뻗어 사이에 갭을 제공하는 종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부는 작업면 위에 있는 상기 레일을 지지하도록 복수 개의 요크와 맞물려 있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함께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레일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세그먼트는 직선형 섹션과 곡선형 섹션을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섹션 각각은 내외측 레일 부분을 형성하는 절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외측 레일 부분은 함께 결합되어 상기 레일 세그먼트의 각각의 곡선형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레일 세그먼트의 순차적인 세그먼트들 사이에 스플라이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도관을 공압 공급원에 연결시키게 되어 있는 공기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종단부와 이 레일의 종단부에 배치된 단부용 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19.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로서,
    함께 결합되어 연속된 레일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레일 세그먼트와,
    상기 복수 개의 레일 세그먼트 중의 순차적으로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스플라이스 커넥터를 포함하고,
    각 상기 레일 세그먼트는 이들 레일 세그먼트를 지지 구조체에 연결하게 되어 있는 행거부와, 내경부를 갖는 도관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트롤리를 표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어 있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상기 레일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뻗어 상기 복수 개의 레일 세그먼트의 순차적으로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에 걸쳐 있고, 상기 도관은 상기 레일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유체 연통시키며,
    상기 스플라이스 커넥터는 형상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형상에 상응하고 상기 레일 세그먼트의 인접한 세그먼트들 사이에 고정되게 되어 있는 가스킷부와, 상기 가스킷부로부터 상기 도관의 방향으로 뻗고 상기 도관의 내경부와 밀봉 결합하게 되어 있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부는 성형된 강판으로 보강되어 있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부와 상기 밀봉부는 부나-n-70(buna-n-70)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2.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로서,
    공압 트롤리를 포함하고, 이 트롤리는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와 이들 사이에서 뻗어 레일을 따라 상기 트롤리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공압 작동 공구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게 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는 레일 상의 주행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과, 상기 트롤리가 상기 레일로부터 우연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의 주행면의 평면 위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러그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 각각은 상기 레일 상의 안내 롤러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 각각은 상기 레일 상의 킥업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킥업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 각각은 상기 레일 상의 킥업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킥업 패드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전기 작동 공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상기 프레임 부재는 그것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기적인 장착부와, 이 전기적인 장착부에 의하여 지탱되는 복수 개의 도체를 포함하고, 이들 도체는 상기 트롤리가 레일을 따라 변위됨에 따라 상기 레일에 의하여 지지된 관련 전기 버스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기 작동 공구에 동력을 공급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도체 각각은 상기 레일에 의하여 지탱되는 버스를 통하여 전원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하는 접점을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제조 취급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공기실과 이 공기실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압축 공기 공급원과 상기 공기실 사이의 유체 연통을 확립 및 차단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실은 상기 공압 작동 공구와 유체 연통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해제 기구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기실로의 유체 연통을 차단하며, 상기 해제 기구는 레버와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레버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롤리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대기로 배기되는 안내 통로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추출 밸브와, 상기 공기실과 상기 안내 통로 사이를 유체 연통시키는 추출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밸브는 상기 추출 오리피스를 폐쇄시키도록 편향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공기실로의 유체 연통을 차단하도록 상기 슬라이드가 이동하면 상기 추출 밸브도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추출 오리피스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추출 오리피스 및 상기 안내 통로를 통해 상기 공기실을 감압시키도록 상기 추출 밸브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아암을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외팔보식으로 핀을 중심으로 피벗하여 상기 추출 오리피스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추출 밸브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밸브는 밸브 부재와 상기 안내 통로 내에 이동 가능하게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추출 오리피스에 안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나사산을 가진 구멍과, 이 구멍 속에 지지되어 상기 밸브 부재를 편향시켜 상기 추출 오리피스와 맞물리게 되는 스프링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팔보형 아암은 상기 플랫폼과 맞물려,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공기실과의 유체 연통을 차단하도록 이동되는 경우, 동시에 상기 밸브 부재를 상기 추출 오리피스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시키게 되어 있는 텅(tang)을 제공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실과 유체 연통하는 축류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 통로를 통해서 압축 공기가 공압 공구로 공급되며, 상기 공기실과 상기 축류 통로 사이에는 첵 밸브가 배치되며,
    상기 첵 밸브는 니들 밸브 스템 시트를 구비한 니들 밸브 챔버와, 이 니들 밸브 챔버 내에서 개폐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첵 밸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첵 밸브 부재는 환형 헤드와, 이 헤드로부터 뻗어, 상기 첵 밸브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니들 밸브 스템 시트 내에 수용되게 되어 있는 니들형 스템과, 상기 첵 밸브 부재를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첵 밸브 부재는 상기 공기실 내의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공압 작동 공구로 상기 압축 공기가 유체 연통될 수 있게 하고, 상기 공기실이 감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유체가 상기 축방향 유체 통로로부터 상기 공기실 내로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3.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로서,
    로드 베어링 트롤리를 포함하고, 이 트롤리는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는 관계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각 프레임 부재는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의 상기 대향하는 방향의 해당 정합면과 맞접촉하게 되어 있는 정합면을 제공하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 각각은 주행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트롤리 휠과, 상기 트롤리가 상기 레일로부터 우연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의 주행면의 평면 위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러그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 각각은 상기 레일 상의 안내 롤러면과 구름 접촉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안내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 각각은 상기 레일 상의 킥업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게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킥업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부재 각각은 이 프레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에 향상된 강도를 제공하도록 전략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 각각은 상기 프레임 부재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러그 각각은 이들을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며, 이들 구멍은 각각의 프레임 부재의 관련 쌍의 러그를 통해 이들 각각을 관통하는 각각의 축선이 서로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있는 대향 쌍의 상기 러그는 상기 화물이 현가될 수 있는 관련 쌍의 상기 구멍 내에 고정 장치를 수용하게 되어 있는 것인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KR1020017008946A 1999-01-14 2000-01-14 공압 및 전기 공급 능력을 가진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KR20010105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05099P 1999-01-14 1999-01-14
US60/116,050 1999-01-14
PCT/US2000/000961 WO2000041923A1 (en) 1999-01-14 2000-01-14 Load bearing material handling system having pneumatic and electrical delivery capab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324A true KR20010105324A (ko) 2001-11-28

Family

ID=2236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946A KR20010105324A (ko) 1999-01-14 2000-01-14 공압 및 전기 공급 능력을 가진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324989B1 (ko)
EP (1) EP1140600A4 (ko)
JP (1) JP2002534341A (ko)
KR (1) KR20010105324A (ko)
AU (1) AU2506900A (ko)
BR (1) BR0008898A (ko)
CA (1) CA2359329A1 (ko)
WO (1) WO20000419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490A (ko) * 2016-10-12 2018-04-2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0138A1 (en) * 2002-08-02 2004-02-05 Grearson Kenneth R. Modular platform system
ATE407029T1 (de) * 2005-11-11 2008-09-15 Rosenheimer Foerderanlage Schiene für ein hängendes fahrzeug
US20080035010A1 (en) * 2006-08-14 2008-02-14 Mckay Douglas Mcgregor Trapezoidal strong back beam system
DE102006054682A1 (de) * 2006-11-17 2008-05-21 Stahl Cranesystems Gmbh Lasergeschweißte Kranschiene für Hängekatzen
DE102006058422A1 (de) * 2006-12-08 2008-06-26 Stahl Cranesystems Gmbh Schienenstoßverbinderanordnung
FR2938800B1 (fr) * 2008-11-21 2010-12-24 Alstom Transport Sa Support isolant de pistes d'alimentation
JP5765549B2 (ja) * 2010-10-04 2015-08-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US9533691B2 (en) * 2013-08-16 2017-01-03 Jeremiah David Heaton Overhead rail guidance and signaling system
EP2944599B1 (en) * 2014-05-14 2017-11-01 VHT Varese Hoisting Technology Srl Hoisting and handling apparatus
CN106608595A (zh) 2015-10-26 2017-05-03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构造成用于输送各种尺寸的对象的运输器
CN106956940A (zh) 2015-10-26 2017-07-18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高架式运输和路线管理系统
US11942738B2 (en) 2021-01-12 2024-03-26 Rockwell Collins, Inc. Assembly for chassis electrical and mechanical right-angle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5471A (en) * 1964-04-27 1967-10-03 Insul 8 Corp Portable trolley system
US3772482A (en) * 1971-03-04 1973-11-13 Us Safety Trolley Corp Multiple trolley conductor unit
US3834315A (en) * 1971-04-13 1974-09-10 W & H Conveyor Syst Inc Pneumatic control system for a trolley dispatch network
GB1477132A (en) * 1973-09-24 1977-06-22 Rizzi Ltd Trolleys
RO63928A2 (ro) * 1976-07-20 1980-03-15 Institutul National Pentru Creatie Stiintifica Si Tehnica,Ro Conteiner de mare capacitate, pentru transport pneumatic
DE2933115C2 (de) 1978-08-25 1985-04-11 Bachofen AG, Uster Kupplungsvorrichtung zum lösbaren Anschluss einer Zweigleitung an eine Versorgungsleitung
DE2933056C2 (de) 1978-11-27 1983-06-30 Bachofen AG, 8610 Uster Kupplungsvorrichtung zum lösbaren Anschluss der Mündung einer Zweigleitung an eine ein Druckmedium führende Versorgungsleitung
US4289076A (en) * 1979-05-29 1981-09-15 Miller John F Self aligning carrier head and truck assembly
CH644914A5 (de) * 1979-12-12 1984-08-31 Inventio Ag Trag- und fuehrungsprofil fuer flurfreie materialflusssysteme.
DE3030929C2 (de) * 1980-08-16 1983-01-05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Laufkatze
CH656925A5 (de) 1981-06-18 1986-07-31 Bachofen Ag Druckmediumbetriebene linear-antriebsvorrichtung.
JPS5893661A (ja) * 1981-11-27 1983-06-0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台車コンベヤ用トロリ−の格納装置
US4531460A (en) * 1982-03-10 1985-07-30 Litton Systems, Inc. Material handling system
US4768442A (en) * 1986-10-01 1988-09-06 Phillips Industries, Inc. Crane apparatus
FI84579C (fi) * 1990-05-18 1991-12-27 Tampella Oy Ab Stroemmatningsanordning foer elektriska anordningar samt koppling foer stroemmatningsanordningen.
WO1995018889A1 (en) * 1994-01-03 1995-07-13 Symorex Ltd. Track for sortation handl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490A (ko) * 2016-10-12 2018-04-2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1923A1 (en) 2000-07-20
US6324989B1 (en) 2001-12-04
AU2506900A (en) 2000-08-01
EP1140600A4 (en) 2003-05-28
CA2359329A1 (en) 2000-07-20
JP2002534341A (ja) 2002-10-15
US20020066388A1 (en) 2002-06-06
EP1140600A1 (en) 2001-10-10
BR0008898A (pt)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5324A (ko) 공압 및 전기 공급 능력을 가진 로드 베어링 재료 취급 장치
JP5087126B2 (ja)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US9310003B2 (en) Fluid transfer system having transfer device and dry break coupler
JP5710692B2 (ja)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KR100367771B1 (ko) 전자밸브집합체용 유체전환장치
CN107716148B (zh) 具有可容易替换部件的密相泵
US20150184764A1 (en) Multiport severe service ball valve
US20040041324A1 (en) Clamp apparatus
US6546947B2 (en) Safety system for fluid conduit
US6260569B1 (en) Safety system for fluid conduit
JP2008537988A (ja)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CN105485375A (zh) 三路直通气动阀
MXPA01007189A (en) Load bearing material handling system having pneumatic and electrical delivery capabilities
US11577946B2 (en) Fail-safe pneumatic lift system
CN111344529B (zh) 截止滑阀
EP0685670A2 (en) Slide valve
CN102369381B (zh) 致动器安装板
US6105615A (en) Control valve
US4798225A (en) Seperable valve assembly including a valve mount and a valve body
EP1700801A1 (en) A diverter valve for pneumatic transport lines
JP2841234B2 (ja) 複数配管の同時自動接続装置
EP1053429A1 (en) Fluid distribution system and a junction element therefor
GB2290124A (en) Fluid flow control v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