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471A -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471A
KR20010104471A KR1020000023130A KR20000023130A KR20010104471A KR 20010104471 A KR20010104471 A KR 20010104471A KR 1020000023130 A KR1020000023130 A KR 1020000023130A KR 20000023130 A KR20000023130 A KR 20000023130A KR 20010104471 A KR20010104471 A KR 2001010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eiling
type air
indoor uni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2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4471A/ko
Publication of KR2001010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471A/ko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천정면 하측에 위치하고, 실내기의 측방향으로 냉기가 토출되는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캐비닛 내에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된 실내기가 천정면 하측에 위치하도록 천정벽에 고정되고, 상기 실내기의 캐비닛 저면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천정면 하측에 위치하고, 측방향으로 냉기가 토출되는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천정측에서 실내로 냉기를 토출하도록 천정벽과 천정면 사이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의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의 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2)과, 상기 캐비닛(12)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16)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실내로 불어주는 송풍팬(14)과,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아주는 드레인팬(18)과, 상기 캐비닛(12)의 저면에 연결되는 프론트 패널(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비닛(12)은 천정벽(A)에 앵커볼트(3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천정면(B)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노출되며, 그 중앙에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4)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외측에는 토출구(28)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24)측에는 흡입그릴(22)이 설치되고, 토출구(28) 측에는 루버(26)가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흡입그릴(22) 사이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한 후 토출구(28)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한다.
그러나, 종래의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천정면(B)과 천정벽(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작은 경우 실내기의 하부가 천정면(B)에 형성된 홀 하측에 돌출되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프론트 패널과 천정면사이에 형성되는 틈 사이로 토출구를 통해 나온 열교환된 공기가 들어가게 되므로 공기조화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천정벽과 천정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작은 장소에 실내기를 설치할 수 있고, 실내기의 측방향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 내의 유로구조를 변경한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실내기 51: 캐비닛
56: 베이스 패널 58: 프론트 패널
62: 송풍모터 64: 송풍팬
66: 열교환기 68: 드레인상자
72: 흡입그릴 74: 흡입구
76: 루버 78: 토출구
90: 앵커볼트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된 캐비닛이 천정면 하측에 위치하도록 천정벽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은 저면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66)와 송풍팬(64)이 내장된 실내기(50)가 천정면(B) 하측에 위치하도록 천정벽(A)에 고정되고, 상기 실내기(50)는 저면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74)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열교환기(66)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4개의 토출구(78)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기(50)의 캐비닛(51)은 천정면(B)에 접하도록 천정벽(A)에 앵커볼트(90)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 패널(56)과, 상기 베이스 패널(56)이 상측에 부착되고 저면에 흡입그릴(72)과 흡입구(74)가 형성되고 4각 상자모양의 프론트 패널(58)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58)의 측면에는 토출구(78)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78)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루버(76)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기가 작동되면 상기 프론트 패널(58)의 저면에 설치된 흡입그릴(72) 사이로 형성된 흡입구(74)를 통해 실내기(50)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66)에서 열교환된 후 상기 토출구(78)를 통해 실내기(50)의 측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천정벽과 천정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공기조화기를 그 사이에 설치하기 곤란하거나 천정면이 따로 구비되지 않은 건물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기의 측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를 균일하게 냉방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된 캐비닛이 천정면 하측에 위치하도록 천정벽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은 저면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루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1020000023130A 2000-04-29 2000-04-29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20010104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130A KR20010104471A (ko) 2000-04-29 2000-04-29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130A KR20010104471A (ko) 2000-04-29 2000-04-29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471A true KR20010104471A (ko) 2001-11-26

Family

ID=4581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130A KR20010104471A (ko) 2000-04-29 2000-04-29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44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63B1 (ko) * 2001-05-22 200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63B1 (ko) * 2001-05-22 200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8725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9990070390A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케이싱
KR101156295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KR1006528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
KR20010104471A (ko)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100360424B1 (ko)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JP4417101B2 (ja) 天吊型空気調和装置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JPH11287474A (ja)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KR20020002101A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0334459Y1 (ko) 천장카세트형 에어컨용 펜더 플레이트 구조
KR10043274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조
KR2002001747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JP2706383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059856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0093370A (ko) 배리어의 응축수 처리 장치
KR1004327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유동구조
KR20050052142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272518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블로워 고정구조
KR20020096319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JP2911251B2 (ja) 空気調和機
JP2010243049A (ja) 空気調和装置
KR20050074131A (ko) 천장카세트형 공기조화기
JPH08261499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