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150A -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150A
KR20010104150A KR1020000025609A KR20000025609A KR20010104150A KR 20010104150 A KR20010104150 A KR 20010104150A KR 1020000025609 A KR1020000025609 A KR 1020000025609A KR 20000025609 A KR20000025609 A KR 20000025609A KR 20010104150 A KR20010104150 A KR 20010104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ion secondary
metal
lithium ion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824B1 (ko
Inventor
김영덕
정근창
전송희
Original Assignee
정근창
한국 파워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근창, 한국 파워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근창
Priority to KR102000002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824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뿐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외장재의 재질 및 구조, 외장재에 삽입되는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을 포함한 적층체의 적층 정렬구조 등을 개량하여 두 전극의 내부 단락 및 모서리 불일치 문제를 제거할 뿐 아니라, 전지 조립성, 생산성, 전지 안정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5㎜ 이하 두께의 박형 리튬 이차전지의 생산성 및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리튬이온 이차전지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질 뿐 아니라 조립이 용이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시장이 확대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재충전이 가능한 전원공급용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는 전력원으로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에너지 저장밀도의 계속적인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충족하기 위한 다년간의 연구결과, 현재 리튬의 가역적인 삽입, 방출이 가능한 탄소음극과 리튬의 가역적인 삽입, 방출이 가능한 양극물질을 채용한 리튬이온 이차 전지가 등장하였다. 이 리튬이온 이차 전지는, 기존의 니켈-카드뮴 및 니켈-수소와 같은 수용액계 이차 전지와 비교할 경우, 단위무게당 에너지 밀도 및 충방전 수명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급속히 기존 전지를 대치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급속한 발전과 다변화에 따라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다양한 규격의 전지 선택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바, 현재 리튬이온 이차 전지는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자기기의 급속한 박형화와 소형화는 얇은 두께의 박형 리튬이온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를 급속히 확대시키고 있는 반면, 기존의 원통형이나 각형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조립방법을 그대로 채용하는 경우, 박형화에 따르는 부피당 에너지 밀도의 하락이 지나치게 큰 편이다. 따라서, 통상 5㎜ 이하의 박형 전지를 휴대전화,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 등의 고성능 휴대용 전자기기에 채용할 경우, 충분한 구동시간을 얻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박형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개발은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를 이룩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고에너지 밀도와 내구성을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한국특허출원 제2000-21513호를 통하여 개시한 바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2000-21513호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외장재의 재질 및 구조, 외장재에 삽입되는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을 포함한 적층체의 적층 정렬구조 등이 개량되기 때문에 두 전극의 내부 단락 및 모서리 불일치 문제를 제거할 뿐 아니라, 생산성, 전지 안정성을 높인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조립과정에서, 다수의 양극판, 음극판, 분리막을 적층, 정렬함에 있어서 정렬봉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성의 측면에서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층 정렬구조를 개선하여 전지 조립성을 높임으로써 대량생산에 적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양극판 및 음극판을 만들기 위한 극판 재료를 나타낸 평면도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양극판 및 음극판에 대한 타발형상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
도 3a 및 3b는 타발된 음극판을 분리막과 일체형으로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적층체의 적층순서 및 적층체 형성을 위한 적층틀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적층체의 일부분만의 평면도;
도 6a 및 6b는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의 전기적 연결방식을 나타낸 도면들; 및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적층체의 금속 캔 수납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인 리튬 또는 리튬 금속 복합 산화물의 코팅층 및 제1 무지 돌출부를 그 각각이 가지는 동일 형상의 다수의 양극판들과, 상기 리튬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탄소질 음극활물질 코팅층 및 제2 무지 돌출부를 그 각각이 가지는 동일 형상의 다수의 음극판들과, 상기 양극판들의 각각을 상기 제1 무지 돌출부만이 노출되도록 포케팅하여 상기 음극판들로부터 분리하되 비수 유기용매와 리튬염으로 이루어진 전해액을 함유하는 다수의 분리막들이, 정렬 적층되어 이루어진 적층체와; 상기 제1 무지 돌출부들은 제1 무지 돌출부들끼리, 상기 제2 무지 돌출부들은 제2 무지 돌출부들끼리,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 제1 및 제2 연결부들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을 격리하는 절연체와; 상기 적층체를 자신의 내부에 삽입하되, 그 꼭지점이 곡률을 갖도록 처리된 곡률 각형의 금속 캔과; 상기 금속 캔의 상부에 크림핑(crimping)되어 그 내부를 밀봉하는 금속 캡과; 상기 제1 연결부와 금속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양극탭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금속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음극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다공성 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은 각각 양극탭 및 음극탭에 용접 또는 리벳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 캔에 삽입되는 적층체는: 단면코팅 음극판, 분리막에 포케팅된 양면코팅 양극판, 양면코팅 음극판, 분리막, 단면 코팅 양극판의 순서로 적층되되, 상기 분리막에 포케팅된 양면코팅 양극판과 양면코팅 음극판은 적어도 1회 이상 반복 적층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양면코팅 양극판을 포케팅한 분리막의 테두리와, 상기 음극판들 각각의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 무지 돌출부들 및 제2 무지 돌출부들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층체를 구성하는 극판 및 분리막 등의 적층요소들의 적층면이 상기 금속 캔 및 캡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하며, 상기 적층요소들이 상기 금속 캔의 내측벽에 의해 정렬 및 가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캔은 1∼5㎜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양극판 및 음극판을 만들기 위한 극판 재료를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양극활물질(102)이 양극판 재료(100)의 양면에 일치되게 줄무늬 형상으로 코팅되어 있다. 코팅은 통상의 코터(coater)를 통해 이루어지며, 코팅 후 기존 전지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압착기(presser)를 사용하여 코팅된 양극판 재료(100)를 압착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양극판 재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판 재료(110)에도 음극활물질(112)이 양면에 일치되게 줄무늬 형상으로 코팅된다. 그러나, 양극에서 방출되는 리튬이온을 안정적으로 흡장시키기 위해, 음극판 재료의 코팅면적을 양극판 재료의 코팅면적보다 크게 한다. 한편, 적층될 전극판들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에는 단면 코팅된 양극판 및 단면 코팅된 음극판을 사용한다. 그 이유는 최외측의 양극 또는 음극은 마주보는 반대 전극이 없기 때문에 전지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낭비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양극판 및 음극판에 대한 타발형상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양극활물질(102)이 코팅된 양극판 재료(100) 또는 음극활물질(112)이 코팅된 음극판 재료(110)를 점선에 따라 타발함으로써 양극판 또는 음극판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타발된 양극판 또는 음극판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N)와 이로부터 돌출된 무지 돌출부(104)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동일하게 도시하였는데, 이는 타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적으로 음극판의 활성물질 코팅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양극판의 활성물질 코팅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길어야 하며, 양극판의 크기도 음극판의 크기보다 작도록 타발형상이 결정되야 한다. 이는 양극에서 방출되는 리튬이온을 안정적으로 흡장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다.
도 3a 및 3b는 타발된 음극판을 분리막과 일체형으로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조립공정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 3a를 참조하면, 도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타발된 양면코팅(300)의 양극판(301)이 분리막(302)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분리막(302)의 테두리가 고온 융착기(304)에 의해 융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단면은 양극판(301)을 그 단축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양극판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무지 돌출부는 나타나지 않는다.
도 3b는 도 3a에 설명된 공정 결과물의 평면도이다. 명확화를 위해, 분리막(302) 내의 양극판(301)을 투시하여 나타내었다. 도 3b를 참조하면, 양면 코팅층(300)을 갖는 양극판(301)이 분리막(30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빗금으로 표시된 4개의 테두리 부분이 분리막(302)의 융착부위인데, 이 융착부위는 전극 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제1 무지 돌출부(104)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둘러싸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조립을 포케팅(pocketing)이라 하는데, 이는 유연성이 커서 정렬하기 어려운 분리막을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진 양극판과 일체형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이후 전극 적층 공정의 속도와 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음극과 양극의 활성면 간의 모서리 불일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조립방법이다. 포케팅에 의해 형성된 양극판-분리막 조립체는 음극판의 크기와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양극판-분리막 조립체와 음극판의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게 하여, 양극을 대향하는 모든 면이 음극으로 덮여야 하는 조건이 자동적으로 만족되게 한다. 포케팅에 사용되는 기기는 통상의 진공포장기와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기기이다. 이 기기는 양극판(301)의 아래, 위에 두 장의 분리막(302)을 위치시킨 후 제1 무지 돌출부(104)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적절한 압력과 온도를 가해 분리막(302)을 융착시킨다. 이 때 사용되는 압력은 통상 0.5㎏/㎝2이하의 어떤 압력도 사용가능하며, 온도는 분리막(302)의 융점을 기준으로 ±20℃ 이내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접착시간은 통상 수 초 정도이면 충분하며 바람직하게는 0.1∼3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적층체의 적층순서 및 적층체 형성을 위한 적층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면 코팅된 음극판(403a)이 적층체의 최하부에, 단면 코팅된 양극판(404a)이 적층체의 최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그 사이에는 분리막에 의해 포케팅된 양극판(400) 및 양면 코팅된 음극판(403)이 교대로 적어도 1회 이상 반복 적층된다. 한편, 적층체의 최상부의 단면 코팅 양극판(404a)의 바로 아래에는 한 장의 분리막(402)만이 놓여져, 단면 코팅 양극판(404a)과 양면 코팅된 음극판(403)을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순서로 적층되는 적층체는, 자신의 3면이 상기 적층체를 최종 수납하게 될 금속 캔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적층틀(420) 내에서 정렬된다. 적층틀(420)의 3면은 막혀 있고, 후술할 전극 탭 및 전극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1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적층체의 일부분만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분리막(302)에 의해 포케팅된 양극판(301) 및 양면 코팅된 음극판이다. 음극판은 분리막(302)에 의해 포케팅된 양극판(301)에 의해 가려져 제2 무지 돌출부(104b)만이 나타나 있다. 제1 무지 돌출부(104a)와 제2 무지 돌출부(104b)는 적층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다수의 분리막-양극판 조립체와 다수의 음극판이 적층되더라도 돌출부들(104a, 104b)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정렬되게 된다.
도 6a 및 6b는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의 전기적 연결방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a에서는 분리막에 의해 포케팅된 양극판들끼리의, 도 6b에서는 음극판들끼리의 전기적 연결방식을 나타내었다. 도시의 명확화를 위해, 도 6a에서 음극판의 존재를 생략하였다. 분리막(302)에 의해 포케팅된 모든 양극판들의 제1 무지 돌출부(104a)들은 통상 종래기술에서 사용하는 용접방식인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 한 점 용접(spot welding),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 등의 방법에 의해 레이저 열 전기적 저항열 또는 초음파에 의한 계면 구조 교란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합된다. 이렇게 용접된 제1 무지 돌출부(104a)들은 다시 최상단에놓인 양극탭(304a)과 용접 또는 리벳팅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합된다. 이 양극탭은 후술할 금속 캔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부를 향해 반으로 접힌 후, 금속 캡과 용접되어 금속 캡을 양극단자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시의 명확화를 위해, 도 6b에서도 분리막과 양극판을 생략하고 음극판들만 나타내었다. 적층된 음극판(403)들의 제2 무지 돌출부(104b)들도 도 6a에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용접된 후, 최하단에 놓인 음극탭(304b)과 다시 전기적으로 접합된다. 이후의 공정에서 이 음극탭(304b)을 금속 캔의 바닥과 용접하면 금속 캔이 음극단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적층체의 금속 캔 수납상태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7a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적층되어 일체형이 된 적층체가 금속 캔(700) 내에 삽입된다. 이 때, 양극판-분리막 조립체들, 즉 분리막에 의해 포케팅된 양극판들과, 음극판들은 그 3면이 캔의 내측벽에 완전히 밀착, 삽입되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단면 코팅된 양극판(404a)은 적층체의 최상층에 있기 때문에 노출되어 있으며, 제1 무지 돌출부(104a)들과 제2 무지 돌출부(104b)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정렬되어 있다. 양극탭(304a)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무지 돌출부(104a)들의 최상부에, 음극탭(304b)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무지 돌출부(104b)들의 최하부에 각각 위치한다. 도 7a에서, 양극탭(304a) 및 제1 무지 돌출부(104a)들을 음극탭(304b) 및 제2 무지 돌출부(104b)들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절연체는 도시의 명확화를 위해 생략하였다.
도 7b를 참조하면, 음극탭(304a)은 금속 캔(700)의 바닥면에 용접되어 있다. 절연체(710)를 삽입한 후 꺾여 있었던 양극탭(304a)과 제1 무지 돌출부(104a)들을 절연체(710) 쪽으로 펼친다. 반으로 접혀 있던 양극탭(304a)은 금속 캡(미도시)에 용접된다. 금속 캡이 금속 캔(700) 위에 덮힐 때, 양극탭(304a)이 반으로 접히면서 캡과의 용접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금속 캔(700)은 음극단자로, 금속 캡은 양극단자로 각각 이용될 수 있다. 제1 무지 돌출부(104a)들과 제2 무지 돌출부(104b)들은 각각 같은 극성끼리 리벳팅 혹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극탭(304a) 및 제1 무지 돌출부(104a)들을 음극탭(304b) 및 제2 무지 돌출부(104b)들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그 중간에 절연성 고분자로 제작된 절연체(710)가 설치된다. 금속 캔(700)의 재질로는 통상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스틸이나,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되며, 캡의 재질로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또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이용하는 캔은 종래기술의 캔과는 달리 캔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종래의 각형 전지의 캔 제조에 비하여 그 제조가 용이하며 그 제조 단가가 싸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 1∼7㎜, 바람직하게는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 정도의 캔 높이가 좋다. 따라서, 이와 같은 캔은 그 제조가 단순하며 캔의 두께를 종래기술의 경우에 비해 더 얇게 할 수 있는데, 사용되는 캔의 두께는 통상 0.1∼0.3㎜, 바람직하게는 0.1∼0.2㎜,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2㎜가 좋다. 이와 같이 금속 캔(700)에 적층체가 삽입된 후에는 금속 캡을 덮고 크림핑 밀봉하여 전지를 완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곡률 각형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성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 예]
두께 3.6㎜, 단직경 30㎜, 장직경 48㎜의 곡률각형으로 제조된 각형전지의 경우, 가역용량은 520mAh이었다. 이는 부피당 에너지 밀도로 환산하면 355Wh/liter에 해당하는 것이다.
[제2 예]
두께 2.0㎜, 단직경 80㎜, 장직경 90㎜의 곡률각형으로 제조된 각형전지의 경우, 가역용량은 1650mAh이었다. 이는 부피당 에너지 밀도로 환산하면 405Wh/liter에 해당하는 것이다.
[제3 예]
두께 3.0㎜, 단직경 53㎜, 장직경 85㎜의 곡률각형으로 제조된 각형전지의 경우, 가역용량은 1600mAh이었다. 이는 부피당 에너지 밀도로 환산하면 420Wh/liter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내부구조, 외장재 및 적층방식을 통해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우수한 저온/고온 성능, 그리고 종래의 전지보다 안정성이 향상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8)

  1. 양극 활물질인 리튬 또는 리튬 금속 복합 산화물의 코팅층 및 제1 무지 돌출부를 그 각각이 가지는 동일 형상의 다수의 양극판들과,
    상기 리튬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탄소질 음극활물질 코팅층 및 제2 무지 돌출부를 그 각각이 가지는 동일 형상의 다수의 음극판들과,
    상기 양극판들의 각각을 상기 제1 무지 돌출부만이 노출되도록 포케팅하여 상기 음극판들로부터 분리하되 비수 유기용매와 리튬염으로 이루어진 전해액을 함유하는 다수의 분리막들이, 정렬 적층되어 이루어진 적층체와;
    상기 제1 무지 돌출부들은 제1 무지 돌출부들끼리, 상기 제2 무지 돌출부들은 제2 무지 돌출부들끼리,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 제1 및 제2 연결부들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을 격리하는 절연체와;
    상기 적층체를 자신의 내부에 삽입하되, 그 꼭지점이 곡률을 갖도록 처리된 곡률 각형의 금속 캔과;
    상기 금속 캔의 상부에 크림핑되어 그 내부를 밀봉하는 금속 캡과;
    상기 제1 연결부와 금속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양극탭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금속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음극탭을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이 폴리올레핀 계열의 다공성 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들이 각각 양극탭 및 음극탭에 용접 또는 리벳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에 삽입되는 적층체가:
    단면코팅 음극판, 분리막에 포케팅된 양면코팅 양극판, 양면코팅 음극판, 분리막, 단면 코팅 양극판의 순서로 적층되되, 상기 분리막에 포케팅된 양면코팅 양극판과 양면코팅 음극판은 적어도 1회 이상 반복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코팅 양극판을 포케팅한 분리막의 테두리와, 상기 음극판들 각각의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지 돌출부들 및 제2 무지 돌출부들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구성하는 극판 및 분리막 등의 적층요소들의 적층면이 상기 금속 캔 및 캡의 바닥면과 평행하며, 상기 적층요소들이 상기 금속 캔의 내측벽에 의해 정렬 및 가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이 1∼5㎜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20000025609A 2000-05-13 2000-05-13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36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09A KR100365824B1 (ko) 2000-05-13 2000-05-13 리튬이온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609A KR100365824B1 (ko) 2000-05-13 2000-05-13 리튬이온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150A true KR20010104150A (ko) 2001-11-24
KR100365824B1 KR100365824B1 (ko) 2002-12-26

Family

ID=4581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609A KR100365824B1 (ko) 2000-05-13 2000-05-13 리튬이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824B1 (ko)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391B1 (ko) * 2004-03-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0858794B1 (ko) * 2001-12-31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KR101048690B1 (ko) * 2009-10-27 2011-07-12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리튬이온 이차전지
US8003252B2 (en) 2007-04-05 2011-08-23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US8349484B2 (en) 2007-06-04 2013-01-08 Sk Innovation Co., Ltd. Stacking method of high power lithium battery
KR101387617B1 (ko) * 2012-09-11 2014-04-24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4042397A3 (ko) * 2012-09-11 2014-05-08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래핑 전극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073751A1 (ko) * 2012-11-09 2014-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지팩 및 디바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WO2014077468A1 (ko) * 2012-11-13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
US8802300B2 (en) 2006-11-17 2014-08-1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8808918B2 (en) 2006-11-20 2014-08-1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8808915B2 (en) 2006-11-20 2014-08-1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8815454B2 (en) 2007-12-14 2014-08-26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WO2015065090A1 (ko) * 2013-10-31 2015-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분리막 복합체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분리막 복합체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9093702B2 (en) 2009-09-03 2015-07-28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battery,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ithium battery
US9203058B2 (en) 2012-03-16 2015-12-01 Lg Chem, Ltd.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9225034B2 (en) 2012-05-29 2015-12-29 Lg Chem, Ltd. Stepwise electrode assembly having variously-shaped corner and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9252452B2 (en) 2012-03-20 2016-02-02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composite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US9299988B2 (en) 2012-11-21 2016-03-29 Lg Chem, Ltd. Electrode sheet including notching portion
US9300006B2 (en) 2012-04-05 2016-03-29 Lg Chem, Ltd. Battery cell of stair-like structure
US9318733B2 (en) 2012-12-27 2016-04-19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US9484560B2 (en) 2013-02-13 2016-11-01 Lg Chem, Ltd. Electric device having a round corner and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US9620789B2 (en) 2012-03-08 2017-04-11 Lg Chem, Ltd. Battery pack of the stair-like structure
US9786874B2 (en) 2013-03-08 2017-10-10 Lg Chem, Ltd. Electrode having round corner
US9954203B2 (en) 2013-03-08 2018-04-24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KR102205425B1 (ko) * 2019-08-13 2021-01-20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298A (ko) 2016-05-02 2017-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KR102231583B1 (ko) * 2019-07-16 2021-03-24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2231584B1 (ko) * 2019-07-23 2021-03-24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5178A (ja) * 1983-11-10 1985-06-10 Toyota Motor Corp 電池
US5487958A (en) * 1993-12-06 1996-01-30 Tura; Drew Interlocking frame system for lithium-polymer battery construction
JPH07335244A (ja) * 1994-06-06 1995-12-22 Sony Corp 密閉型角形電池の電極集積構造及び方法
JP3355948B2 (ja) * 1996-08-12 2002-12-09 新神戸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法
JPH1064509A (ja) * 1996-08-20 1998-03-0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電 池
JPH10340739A (ja) * 1997-06-04 1998-12-22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
DE19857638A1 (de) * 1998-12-14 2000-06-15 Varta Geraetebatterie Gmbh Elektrischer Akkumulator in Form einer Knopfzelle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94B1 (ko) * 2001-12-31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KR100589391B1 (ko) * 2004-03-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US8802300B2 (en) 2006-11-17 2014-08-1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8808915B2 (en) 2006-11-20 2014-08-1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8808918B2 (en) 2006-11-20 2014-08-1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8003252B2 (en) 2007-04-05 2011-08-23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US8349484B2 (en) 2007-06-04 2013-01-08 Sk Innovation Co., Ltd. Stacking method of high power lithium battery
US8815454B2 (en) 2007-12-14 2014-08-26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9093702B2 (en) 2009-09-03 2015-07-28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battery,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ithium battery
KR101048690B1 (ko) * 2009-10-27 2011-07-12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리튬이온 이차전지
US9620789B2 (en) 2012-03-08 2017-04-11 Lg Chem, Ltd. Battery pack of the stair-like structure
US9203058B2 (en) 2012-03-16 2015-12-01 Lg Chem, Ltd.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9478773B2 (en) 2012-03-16 2016-10-25 Lg Chem, Ltd.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9252452B2 (en) 2012-03-20 2016-02-02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and composite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US9300006B2 (en) 2012-04-05 2016-03-29 Lg Chem, Ltd. Battery cell of stair-like structure
US9548517B2 (en) 2012-04-05 2017-01-17 Lg Chem, Ltd. Battery cell of stair-like structure
US9685679B2 (en) 2012-05-29 2017-06-20 Lg Chem, Ltd. Stepwise electrode assembly having variously-shaped corner and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9225034B2 (en) 2012-05-29 2015-12-29 Lg Chem, Ltd. Stepwise electrode assembly having variously-shaped corner and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428541B1 (ko) * 2012-09-11 2014-08-12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래핑 전극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042397A3 (ko) * 2012-09-11 2014-05-08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래핑 전극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042399A3 (ko) * 2012-09-11 2014-05-08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387617B1 (ko) * 2012-09-11 2014-04-24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10128526B2 (en) 2012-11-09 2018-11-13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having step,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US10923758B2 (en) 2012-11-09 2021-02-16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having step,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WO2014073751A1 (ko) * 2012-11-09 2014-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지팩 및 디바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WO2014077468A1 (ko) * 2012-11-13 201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
US9196898B2 (en) 2012-11-13 2015-11-24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assembly
US10026994B2 (en) 2012-11-13 2018-07-17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assembly
CN104604011A (zh) * 2012-11-13 2015-05-06 株式会社Lg化学 阶梯式电极组件
US9299988B2 (en) 2012-11-21 2016-03-29 Lg Chem, Ltd. Electrode sheet including notching portion
US9318733B2 (en) 2012-12-27 2016-04-19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US10115996B2 (en) 2013-02-08 2018-10-30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US9484560B2 (en) 2013-02-13 2016-11-01 Lg Chem, Ltd. Electric device having a round corner and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US9786874B2 (en) 2013-03-08 2017-10-10 Lg Chem, Ltd. Electrode having round corner
US9954203B2 (en) 2013-03-08 2018-04-24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WO2015065090A1 (ko) * 2013-10-31 2015-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분리막 복합체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분리막 복합체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450925B2 (en) 2013-10-31 2022-09-20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separator composite, electrode-separator composit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205425B1 (ko) * 2019-08-13 2021-01-20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824B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824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JP4276102B2 (ja) 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8993148B2 (en) Rechargeable lithium ion button cell battery
JP5329862B2 (ja) 保護回路基板、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5175265B2 (ja) 安全性及び容量が改善されたリチウム二次電池
EP1999805B1 (en)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US6881233B2 (en) Pocketed electrode plate for use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EP2038942B1 (en) Safety kit for secondary battery
EP3451416B1 (en) Second battery
JP2007019017A (ja) 二次電池
KR100329855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EP3067958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assembly
WO2023241234A1 (zh) 电化学装置及用电设备
US7754376B2 (en)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15832B1 (ko)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
JP2016162755A (ja) カバーを有する二次電池
KR20080016047A (ko) 이차 전지
US20230307802A1 (en) Energy storage cell
EP3506408B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050110459A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집전판
KR102471745B1 (ko) 이차 전지
CN217933932U (zh) 电芯结构和电池
KR100329854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277638B1 (ko)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전극 조립체 및 이 전극 조립체를 이용한 전지
KR100393484B1 (ko) 코인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