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923A -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923A
KR20010103923A KR1020000025209A KR20000025209A KR20010103923A KR 20010103923 A KR20010103923 A KR 20010103923A KR 1020000025209 A KR1020000025209 A KR 1020000025209A KR 20000025209 A KR20000025209 A KR 20000025209A KR 20010103923 A KR20010103923 A KR 2001010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rod
sintered
sintering
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윤종옥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2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923A/ko
Publication of KR2001010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대차내에 담기는 장입원료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결대차내에 장입원료를 적재하는 경우, 장입원료의 적재상황에 따라서 통기봉의 삽입위치와 길이를 조절하여 공극을 형성시킴으로서 장입원료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결 배합원료 공급조로부터 소결대차상에 배합원료를 장입하고, 소결층 상부에서 소결층을 착화시키며, 소결층 하부로부터 주배풍기에 의해서 공기를 흡인하는 소결조업에 있어서, 통기봉을 회전시키면서 배합원료내로 삽입하여 공극을 형성함으로서 통기봉에 부착광의 형성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대차에 장입된 배합원료에 통기봉을 사용하여 소결 조업하는 경우, 통기봉의 부착력 요인을 제거하고, 조업상황에 따라서 통기봉의 삽입길이와 상하위치를 조정하여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하게 되면 생산성 향상과 고품질의 소결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GAP AMONG SINTERING MATERIALS IN SINTER CAR}
본 발명은 소결대차내에 담기는 장입원료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소결대차내에 장입원료를 적재하는 경우, 장입원료의 적재상황에 따라서 통기봉의 삽입위치와 길이를 조절하여 공극을 형성시킴으로서 장입원료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주장입원료로 사용되는 소결광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 저장조에 절출된 철광석(자철광, 적철광, 갈철광)과 부원료(석회석, 규석, 사문암, 생석회) 및 원료가 혼합된 배합원료를 혼합기에서 6-7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물을 첨가시킨 후, 혼합하여 배합원료 저장조(SurgeHopper)(200)에 저장시킨다.
상기 배합원료 저장조(200)에 저장된 배합원료는 그 하부측의 드럼 피더(Drum Feeder)(210)의 회전으로 배사판(212)과 층두께 조절장치(214)를 통하여 장입설비에 절출시키고, 낙하속도에 의한 편석을 유도한 다음, 소결층 상부에 설치된 점화로(220)에 의해서 착화시킨 다음, 소결기 하부로부터 주 배풍기의 공기 흡입으로 소결기 대차(230)내에 장입된 배합원료의 입자를 괴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소결광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장입설비를 이용하여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230)에 장입하는 경우, 공극율을 크게 하여 장입원료의 통기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소결기 대차(230)내의 통기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배합원료의 상,하편석을 유도하여 하층부에는 대립입자(240a)를 위치시키고, 상층부에는 미립입자(240b)를 포집시키며, 생석회 0.8-1.2를 투입시켜 의사입자 붕괴형상을 방지하고, 발열반응으로 부착광의 수분을 증발시켜 입자간의 결합을 강하게 하여야 한다.
한편, 소결광 자원의 고갈에 따라서, 저품위광의 사용비 증가로 인하여 일반 철광석에 비해 평균입도가 1.0-1.5mm 크게 입자를 형성한 후, 다음 공정에서 원하는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소결기 대차(230)내에서 장입원료중의 공극을 감소시키고, 생석회를 다량 투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생석회를 다량 투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소결광의 통기성이 악화되는 문제를 갖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소결기 대차(230)의 하층부 위치에 층두께 검출봉(233)에 인접하여 통기봉(250)을 위치시키고, 장입 원료(252)중에 350-400mm깊이로 통기봉(250)을 삽입하여 강제로 장입원료내부에 공극을 형성시킴으로서 통기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기봉(2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봉형상의 통기봉(250)을 소결기의 일측에서 폭방향으로 배치한 것이어서, 장입원료층으로의 삽입길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없고, 통기봉(250)에는 항상 부착광이 형성되어 장입원료에 일정한 공극을 형성하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즉, 통기봉(250)에 부착광(254)이 형성되지 않으면, 도 3a)와 같이 균일한 적열층을 이루지만, 종래와 같이 통기봉(250)의 끝단에 과다한 부착광(254)이 형성되면, 장입원료중에 과다한 공극이 형성되고, 연료의 부분편석이 발생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봉(250)의 삽입영역에는 배합원료 부족으로 조기에 소성되고, 통기봉(250)의 비삽입영역에는 배합원료 과다로 연소가 늦어 과다한 열을 함유하게 된다. 그리고, 부착광의 형성부위만큼 배합원료의 장입량이 줄어 과도한 통기성 형성과 입자와 입자사이의 공극증대로 소결속도는 증가하지만, 회수율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낙하강도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봉(250)에 부착광이 증가되면 소결대차(230)내 배합원료의 체적율이 감소되고 과도한 통기성이 형성되어 소결 속도는 1.0-1.5m/min로 증가되지만, 회수율은 -0.4 내지 0.5로 감소되어 전체적으로는 생산성이 -0.4 내지 0.5T/D/m2저하되고, 그리고 소결광 낙하강도가 0.3-0.5악화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항상 2-3시간마다 통기봉(250)의 부착광을 제거하여야, 표 1의가),마)와 같은 정상적인 조업실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통기봉 부착광 형성시 조업변화 요인
구 분 장입 밀도(T/m3) 소결기 속도(M/min) 부 압(-mmAq) 생산성(T/D/m2) 회수율() 강 도()
1.75-1.80 3.30-3.35 1730-1750 31.5-32.0 80.0-80.5 91.5-92.0
1.73-1.78 3.37-3.42 1710-1730 31.3-31.8 79.8-80.3 91.3-91.8
1.71-1.76 3.39-3.44 1690-1710 31.1-31.6 79.6-80.1 91.1-91.6
1.70-1.75 3.40-3.45 1660-1690 31.0-31.5 79.5-80.0 91.0-91.5
1.75-1.80 3.30-3.35 1730-1750 31.5-32.0 80.0-80.5 91.5-92.0
그리고, 소결기 대차(230)에서는, 배합원료의 소성시 상,중층에서는 조기 연소되고, 하층에서는 상,중층에서 연소되는 열을 전달받고, 또한 배광될 때까지 일부의 열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층 및 중층보다 낙하강도가 15-20양호하다.
그러나, 종래의 통기봉(250)은 일정한 높이와 길이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소결기 대차(230)내 배합원료의 장입밀도를 1.75 -1.80T/m3로 조성하고, 소결기 대차(230) 층두께를 아래의 표 2와 같이 551-600mm 로 유지하면, 소결광 생산과 품질면에서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층 두께 500-550mm로 유지시켜 작업하는 경우, 층 두께의 감소로 인하여 과도한 통기성이 형성되어 소결 속도 1.0-1.5m/min는 증가되지만, 회수율은 1.0-1.5감소되어 오히려 생산성이 0.7-1.0T/D/m2저하되고, 소결광 낙하강도는 0.5-0.7악화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통기봉 사용으로 층후변동시 조업변화 요인
층 후(mm) 구 분 장입밀도(T/m3) 소결기속도(m/min) 부 압(-mmAq) 생산성(T/D/m2) 회수율() 강 도()
500-550 1 1.76-1.78 3.41-3.42 1700-1710 31.1-31.3 78.5-78.8 90.7-91.0
2 1.75-1.77 3.42-3.44 1710-1720 31.3-31.5 78.6-78.9 90.8-91.1
3 1.78-1.80 3.43-3.45 1700-1720 31.0-31.3 78.8-78.9 90.5-90.8
4 1.77-1.79 3.40-3.42 1700-1720 31.2-31.4 78.7-78.0 90.6-90.9
551-600 A 1.77-1.79 3.31-3.33 1740-1750 31.8-32.0 80.1-80.3 91.5-91.7
B 1.76-1.78 3.32-3.34 1730-1740 31.7-31.9 80.2-80.4 91.6-91.8
C 1.75-1.77 3.33-3.35 1730-1740 31.5-31.7 80.3-80.5 91.8-92.0
D 1.78-1.80 3.30-3.32 1740-1750 31.6-31.9 80.8-80.2 91.7-91.9
이와 같은 현상은 소결대차(230)내 층두께의 감소시 통기봉(250)의 위치가 중층에서 공극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서, 연료의 조기 연소등 품질 악화와 회수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층두께의 감소시에는 통기봉(250)을 도 4의 마)위치로 이동시키고, 삽입길이를 줄여야 과도한 통기성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소결광의 품질을 유지시키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기봉(250)을 사용하여 장입원료중에 공극형성을 조절하는 경우, 통기봉(25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그 삽입길이와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합원료에 통기봉을 삽입하여 조업하는 경우, 통기봉에 부착광의 형성을 방지하고, 층두께의 변동등 조업상황의 변동에 따라서 삽입위치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생산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설비에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입원료 공극형성장치를 구비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입원료 공극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통기봉에 부착광이 형성됨에 따른 소결원료의 소성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통기봉에 부착광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구성도;
b)도는 통기봉에 부착광이 형성되는 경우의 구성도;
도 4는 소결대차의 배합원료층을 단면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입원료 공극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입원료 공극형성장치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입원료 공극형성장치의 주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통기봉 10..... 장입원료 공극형성장치
15.... 통기봉 회전수단 20..... 기어박스
30.... 이동대 32..... 안내홈
34.... 안내레일 36..... 이동대
40.... 전,후진 이동수단 50..... 상,하이동수단
200... 배합원료 저장조 210.... 드럼피더(Drum Feeder)
220... 착화기 230.... 소결대차
252... 배합원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결 배합원료 공급조로부터 소결대차상에 배합원료를 장입하고, 소결층 상부에서 소결층을 착화시키며, 소결층 하부로부터 주배풍기에 의해서 공기를 흡인하는 소결조업 방법에 있어서, 통기봉을 회전시키면서 배합원료내로 삽입하여 공극을 형성함으로서 통기봉에 부착광의 형성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통기봉의 위치와 삽입깊이는 소결대차내의 배합원료의 층두께에 따라서 가변되어 배합원료내에서 공극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결 배합원료 공급조로부터 소결대차상에 배합원료를 장입하고, 소결층 상부에서 소결층을 착화시키며, 소결층 하부로부터 주배풍기에 의해서 공기를 흡인하는 소결조업에서 배합원료내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한 통기봉을 구비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봉을 회전시키면서 배합원료내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한 통기봉 회전수단을 구비함으로서 통기봉에 부착광의 형성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통기봉과 통기봉 회전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통기봉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통기봉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 이동수단등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 배합원료 공급조(200)로부터 소결대차(230)상에 배합원료를 장입하고, 소결층 상부에서 소결층을 착화시키며, 소결층 하부로부터 주배풍기에 의해서 공기를 흡인하는 소결조업 방법에서, 통기봉(5)을 회전시키면서 배합원료(252)내로 삽입하여 공극을 형성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통기봉(5)은 배합원료(252)상에서의 그 위치와 삽입깊이를 소결대차(230)내의 배합원료의 층두께에 따라서 가변시키면서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소결대차(230)상의 배합원료(252)의 층두께를 551-600mm로 유지하는 경우, 통기봉(5)의 위치를 도 4의 라) 높이에서 삽입길이 350-400mm로 조정하고, 층두께를 500-550mm 로 유지시키는 경우, 통기봉(5)의 위치를 도 4에서 마) 의 높이로 이동시키며, 또한 삽입길이를 300-350mm로 조정하면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소결대차(230)내 층두께를 551-600mm에서 유지한 상태로 1730-1750 -mmAq의 조성으로 과도한 통기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소결대차(230)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10)가 도 5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장치(10)는 소결 배합원료 공급조(200)로부터 소결대차(230)상에 배합원료(252)를 장입하고, 소결층 상부에서 소결층을 착화시키며, 소결층 하부로부터 주배풍기에 의해서 공기를 흡인하는 소결조업에서 배합원료(252)내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한 통기봉(5)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봉(5)을 회전시키면서 배합원료(252)내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한 통기봉 회전수단(15)을 구비하며, 상기 통기봉(5)과 통기봉 회전수단(15)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7)을 갖는다. 상기 통기봉 회전수단(15)은 프레임(17)의 상부일측에 장착된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15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20)의 내부측으로 연장되어 다수의 베벨기어군에 연결된다. 상기 베벨기어군들은 각각 그 입력기어(22a)가 상기 회전축(15a)에 연결된 것들이고, 그 출력기어(22b)는 상기 기어박스(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통기봉(5)의 후단에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가 작동되어 그 회전축(15a)이 정역회전되면, 이는 각각의 베벨기어군들을 통하여 다수의 통기봉(5)들을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기봉 회전수단(15)과, 기어박스(20) 및 다수의 통기봉(5)들은 상기 프레임(17)의 상부측에서 전,후진이 가능한 이동대(30)상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이동대(30)의 상부면에는 ⊥형 단면의 안내홈(32)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7)의 상부 지지대 하부면에는 상기 ⊥홈(32)에 대응하여 일치하는 ⊥형의 안내레일(34)이 다수개 하부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대(30)는 프레임(17)의 상부 지지대(36)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레일(34)과 안내홈(32)을 따라서, 전후진이동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17)의 상부 지지대(36)에는 상기 이동대(30)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전,후진 이동수단(40)이 구비되는 바, 상기 전,후진 이동수단(40)은 복수의 전,후진 실린더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진 실린더는 유압 혹은 공압실린더 이거나 전기적으로 그 로드가 전,후진하는 전동실린더일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의 몸체부(40a)는 상부지지대(36)의 하면에 고정되고, 그 로드(40b)는 이동대(30)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후진 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대(30)가 전,후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7)에는 통기봉(5)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50)이 갖춰지는 바, 상기 상하이동수단(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7)의 사방모서리의 하부에 위치된 다수개의 승하강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으며, 그 몸체부(50a)는 지면에 지지되고, 그 로드(50b)는 프레임(17)의 사방 하단모서리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프레임(17)이 승하강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프레임(17)의 이동대(30)에 장착된 통기봉(5)들의 상하이동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기봉(5)들은 도 6에서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면에 요철형상의 돌기(5a)가 형성되어 배합원료(252)내에서 공극의 형성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중에는 그 외측면으로 부착광(254)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배합원료(252)가 적재된 소결대차(230)상에서 전,후진 이동수단(40)에 의해서 통기봉(5)들은 0-400mm의 범위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삽입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하이동수단(40)에 의해서 도 4의 나)내지 마)위치에서 상하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기봉(5)은 그 외측면에 다수의 돌기(5a)가 형성되어 배합원료(252)에 공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통기봉 회전수단(15)에 의해서 회전되어 부착광의 형성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도록 한다.
[실시예 1]
유효 화상면적 400m2인 대형 소결기에서 생석회 1.2, 연료 사용비 3.65를 첨가하여 층두께 580mm로 유지하고, 조업을 실시하였다.
배합원료(252)가 장입된 소결 대차(230)에 도 4의 라)위치에 통기봉(5) 380mm를 삽입시키고, 18rpm의 속도로 통기봉(5)을 회전시켜 배풍되는 부압을 1740-mmAq로 유지하는 가운데 소결기 속도 3.33m/min으로 진행시켜 소결광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아래의 표 3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기봉(5)의 회전으로 부착광이 통기봉(5)에 형성되지 않음으로서 소결기 대차(230)에 장입되는 배합원료(252)의 밀도변화가 거의 없었고, 소결 속도와 부압이 일정하여 종래의 방법보다 소결광 회수율이 0.5향상되어 생산성이 0.6T/D/m2향상되었고, 소결광 낙하강도가 0.4향상되어 소결광의 품질이 확보된 가운데 생산성이 양호한 소결광을 제조할 수 있었다.
구 분 장입밀도(T/m3) 소결기속도(m/min) 압 력(-mmAq) 생산성(T/D/m2) 회수율() 강 도()
종래 예 1.75 3.37 1710 31.4 79.8 91.3
1.74 3.40 1700 31.2 79.7 91.1
1.72 3.42 1690 31.3 79.6 91.0
1.70 3.44 1670 31.0 79.5 91.2
발명 예 1.77 3.34 1740 31.7 80.2 91.6
1.79 3.35 1750 32.0 80.4 91.8
1.80 3.32 1730 31.6 80.3 91.6
1.78 3.30 1750 31.9 80.4 91.7
[실시예 2]
소결대차(230)에 장입되는 배합원료(252)의 층두께를 520mm로 유지하고, 배합원료(252)의 장입밀도를 1.75-1.80T/m3로 조성하며, 도 4의 마)위치에서 통기봉(5)을 310mm 삽입시키며, 배풍되는 부압을 1735-mmAq로 유지하는 가운데 소결 속도를 3.37m/min으로 진행시켜 소결광을 제조하였다.
종래의 방법에 따라서 도 4의 라)위치에 통기봉(5)을 380mm 삽입하는 경우, 조직이 취약한 중간층에 공극이 발생하여 과도한 통기성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서 소결속도는 증가되지만, 상층과 중층에는 하층에 비해 낙하강도가 15-20취약하여 품질악화와 회수율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전후, 좌우로 조정가능한 통기봉(5)을 이용하여 소결광의 품질과 생산에 맞는 삽입위치 및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 아래의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보다 회수율이 0.4상승되고, 생산성이 0.5T/D/m2향상되며,소결광 낙하강도가 0.4향상되어 양호한 소결광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었다.
통기봉 십입길이, 위치조정을 통한 실시예 2
층 후 구 분 장입밀도(T/m3) 소결기속도(m/min) 압 력(-mmAq) 생산성(T/D/m2) 회수율() 강 도()
520mm 종래 예 1.77 3.40 1700 31.2 78.7 91.0
1.75 3.42 1710 31.3 78.6 90.9
1.76 3.41 1700 31.1 78.5 90.6
1.78 3.43 1700 31.0 78.8 90.8
발명 예 1.77 3.36 1740 32.0 79.6 91.5
1.75 3.38 1730 32.4 79.8 91.3
1.78 3.37 1740 32.3 79.7 91.2
1.79 3.39 1740 32.3 79.9 91.1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결대차(230)에 장착된 배합원료(252)에 통기봉(5)을 사용하여 소결 조업함에 있어서, 통기봉(5)의 부착력 요인을 제거하고, 조업상황에 따라서 통기봉(5)의 삽입길이와 상하위치를 조정하여 배합원료(252)의 통기성을 확보하게 되면 생산성 향상과 고품질의 소결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소결 배합원료 공급조(200)로부터 소결대차(230)상에 배합원료(252)를 장입하고, 소결층 상부에서 소결층을 착화시키며, 소결층 하부로부터 주배풍기에 의해서 공기를 흡인하는 소결조업 방법에 있어서,
    통기봉(5)을 회전시키면서 배합원료(252)내로 삽입하여 공극을 형성함으로서 통기봉(5)에 부착광의 형성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봉(5)의 위치와 삽입깊이는 소결대차(230)내의 배합원료(252)의 층두께에 따라서 가변되어 배합원료(252)내에서 공극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3. 소결 배합원료 공급조(200)로부터 소결대차(230)상에 배합원료(252)를 장입하고, 소결층 상부에서 소결층을 착화시키며, 소결층 하부로부터 주배풍기에 의해서 공기를 흡인하는 소결조업에서 배합원료(252)내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한 통기봉(5)을 구비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봉(5)을 회전시키면서 배합원료(252)내에 공극을 형성하기 위한 통기봉 회전수단(15)을 구비함으로서 통기봉(5)에 부착광의 형성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봉(5)과 통기봉 회전수단(15)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7)을 갖추고, 상기 통기봉(5)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수단(50)과, 상기 통기봉(5)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진 이동수단(40)등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봉(5)은 그 외측면에 요철형상의 돌기(5a)가 형성되어 배합원료(252)내에서 공극을 용이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장치.
KR1020000025209A 2000-05-12 2000-05-12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KR20010103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09A KR20010103923A (ko) 2000-05-12 2000-05-12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09A KR20010103923A (ko) 2000-05-12 2000-05-12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923A true KR20010103923A (ko) 2001-11-24

Family

ID=4581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209A KR20010103923A (ko) 2000-05-12 2000-05-12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39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857B1 (ko) * 2002-04-30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장입장치의 회전식 통기바
KR100931177B1 (ko) * 2002-09-26 2009-12-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입층내의 통기도 균배제어장치
KR100942110B1 (ko) * 2007-08-27 2010-02-12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용 윈드박스의 압력 제어장치
KR101242707B1 (ko) * 2011-03-10 2013-03-1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293U (ja) * 1991-10-21 1993-05-18 日新製鋼株式会社 焼結配合原料装入検出棒の塊鉱除去装置
KR19980058171A (ko) * 1996-12-30 1998-09-25 백병열 소결기(燒結機)의 수평 장입(裝入) 및 통기공 장치
KR19990008832U (ko) * 1997-08-12 1999-03-05 이구택 소결기 장입부의 가변식 통기바
KR19990080981A (ko) * 1998-04-24 1999-11-15 이구택 소결기의 원료 장입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39999A (ko) * 1998-12-16 2000-07-05 이구택 소결기의 통기성 향상장치 및 그 방법
JP2000213878A (ja) * 1999-01-22 2000-08-02 Toray Eng Co Ltd 熱交換セグメント及びそれを積層した気体対気体用熱交換素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6293U (ja) * 1991-10-21 1993-05-18 日新製鋼株式会社 焼結配合原料装入検出棒の塊鉱除去装置
KR19980058171A (ko) * 1996-12-30 1998-09-25 백병열 소결기(燒結機)의 수평 장입(裝入) 및 통기공 장치
KR19990008832U (ko) * 1997-08-12 1999-03-05 이구택 소결기 장입부의 가변식 통기바
KR19990080981A (ko) * 1998-04-24 1999-11-15 이구택 소결기의 원료 장입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39999A (ko) * 1998-12-16 2000-07-05 이구택 소결기의 통기성 향상장치 및 그 방법
JP2000213878A (ja) * 1999-01-22 2000-08-02 Toray Eng Co Ltd 熱交換セグメント及びそれを積層した気体対気体用熱交換素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857B1 (ko) * 2002-04-30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장입장치의 회전식 통기바
KR100931177B1 (ko) * 2002-09-26 2009-12-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입층내의 통기도 균배제어장치
KR100942110B1 (ko) * 2007-08-27 2010-02-12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용 윈드박스의 압력 제어장치
KR101242707B1 (ko) * 2011-03-10 2013-03-1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87103352A (zh) 用屏蔽件来制造异形陶瓷复合体的方法
KR20010103923A (ko)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JP3930570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焼結機
JP3721068B2 (ja) 排ガス循環方式焼結操業方法
JPH0814763A (ja) 焼結鉱製造方法
JP2520203B2 (ja) 焼結鉱製造方法
CN106583733B (zh) 一种高致密钼合金板材的制备方法
KR100384126B1 (ko) 소결베드의 수평통기장치
KR100396073B1 (ko) 소결광제조시스템
KR20140069543A (ko) 소결광 제조장치
JP7384268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
JP4639436B2 (ja) 焼結機用パレット
CN207600211U (zh) 一种坭兴陶窑炉的扬灰设备
KR200254431Y1 (ko) 소결 장입 원료의 통기성 조정장치
KR100388046B1 (ko) 소결기 대차내 장입밀도 조정방법
JP2001064732A (ja) 排ガス循環焼結操業方法
JPH0547604B2 (ko)
KR101403092B1 (ko) 통기성 공극 형성 장치
JPS5456005A (en) Operating method for sintering
JPH02301525A (ja) 焼結機への原料装入方法
JPH0354393Y2 (ko)
KR20200057462A (ko) 열팽창 계수가 개선된 디젤 입자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디젤 입자 필터
JPH0791857A (ja) 回転体を使用した焼結原料装入装置
KR19990051478A (ko) 초기 소결광의 제조방법
JPH05295456A (ja) 焼結原料層の通気性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