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707B1 -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 Google Patents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707B1
KR101242707B1 KR1020110021474A KR20110021474A KR101242707B1 KR 101242707 B1 KR101242707 B1 KR 101242707B1 KR 1020110021474 A KR1020110021474 A KR 1020110021474A KR 20110021474 A KR20110021474 A KR 20110021474A KR 101242707 B1 KR101242707 B1 KR 10124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
rotating shaft
raw materi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305A (ko
Inventor
최병춘
김선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2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70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20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ing machines with movable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5Charging cars, lift tro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대차 상에 적재된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윈드 박스 내부 부압에 따라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결기 대차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대차에 적재된 배합원료 내부로 삽입되는 원판,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승하강시켜 원판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DEVICE FOR AIR PERMEABILITY OF MIXED RAW MATERIAL IN SINTERING TRAILER}
본 발명은 소결기 대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제어하기 위한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기는 고로의 주원료인 소결광을 생산하는 소결공장의 주설비이다. 다수개로 연결된 소결기 대차는 레일을 따라 일정 속도로 진행한다. 빈 대차가 급광부에 이르면 상부광 호퍼에 저장된 상부광을 대차에 장입하여 바닥에 깔고, 연이어 서지 호퍼로부터 배합원료를 배출하여 장입하게 된다. 상기 상부광과 배합원료가 적재된 대차가 점화로 하부를 지나면서 대차 상에 적재된 배합원료 표면이 점화된다. 상기와 같이 배합원료를 착화시킨 후 대차를 배광부까지 주행시키는 동안 소결공정이 진행되며,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은 파쇄기에서 파쇄하여 배출된다.
상기 소결공정은 소결기 대차의 하부에 마련된 윈드박스에 부압을 형성하여 대차에 흡입력을 가해 이루어진다. 메인 블로워가 구동되면 윈드 박스에 부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부압에 의해 대차에 적재된 배합원료는 착화된 표면에서 하부로 에어가 흡입되면서 하향 소결이 진행된다. 메인 블로워에 의해서 흡입되는 가스는 윈드 박스, 가스 메인덕트를 거쳐서 전기 집진기에서 분진을 포집한 후 연돌(Main Stack)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배합원료 소결이 왕성해지면 배가스 순환팬의 구동을 통해 배가스 소결시 발생된 고열을 회수하여 레일을 따라 진행하는 대차 상부로 순환시켜, 배합원료 내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키고 소성을 활성화하게 된다. 대차가 파쇄기에 도달하게 되면 배합원료와 상부광은 완전 소결된 상태로 배광되며, 배광 후 공 대차는 레일을 따라 다시 급광부로 진행되어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소결과정에서 대차에 장입된 배합원료의 통기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 소결광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상 조업 상태에서는 윈드 박스의 부압에 따라 대차의 이동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데, 배합원료의 통기성이 저하되면 윈드박스 내 부압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대차의 이동 속도를 줄이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따라서 감산 조업이 불가피하여 소결광 샌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대차 상에 적재된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윈드 박스 내부 부압에 따라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소결기 대차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대차에 적재된 배합원료 내부로 삽입되는 원판,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승하강시켜 원판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회전축 양단에 설치되는 베어링블럭과, 설비 상에 수직설치되고 상기 베어링블럭에 연결되는 수직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어링블럭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 선단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원판을 통해 배합원료 내부로 공기를 분출하여 배합원료 내부의 장입 밀도를 낮춰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기분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출부는 상기 회전축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에어홀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에어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관, 상기 에어홀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판 설치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 표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고 상기 원판 중심에서 선단으로 관통 형성되어 원판 선단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출부는 상기 배출홀이 배합원료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만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원판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편과, 상기 배출홀이 배합원료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감지편을 감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감지편을 검출하는 감지센서, 상기 에어관 일측에 설치되어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에 장입함에 있어서 장입밀도를 균일하게 하면서도 소결공정시 통기성이 양호하게 되어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윈드 박스의 부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소결 대차의 진행 속도를 안정화시키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소결 설비에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배합원료 통기장치가 구비된 소결 설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소결기 대차(10)는 다수개의 대차(10)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구조로, 레일(12)을 따라 무한 궤도 형태로 진행하여 배합원료의 적재와 소결 및 배광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소결기 대차(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측에는 대차(10) 내부로 상부광을 장입하기 위한 상부광 호퍼(14)와 배합원료를 장입하기 위한 서지호퍼(16), 배합원료 상부 표면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로(18)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출측에는 소결완료된 소결광을 처리하기 위한 파쇄기(19)가 구비된다. 소결기 대차(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윈드박스(2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대차(10) 하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합원료를 소결시키게 된다. 상기 윈드박스(20)는 대략 25개가 구비되는 데, 입측에서부터 18번째까지는 흡입챔버(22)를 통해 메인블로워(24)에 연결된다. 이에 메인블로워(24) 구동에 따라 윈드박스(20)에 부압이 걸려 대차(1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윈드박스(20)는 배가스의 고열 회수를 위해 배가스덕트(26)에 연결된다. 상기 배가스덕트(26)는 대략 입측에서 5번째부터 11번째 윈드박스(20)를 주행하는 대차(10) 상부로 연장된다. 이에 배가스덕트(26)에 연결된 배가스순환 팬(28)이 구동되면 소결시 발생되는 고열이 배가스덕트(26)로 회수되어 배가스덕트(26)를 따라 대차(10) 상부로 복사된다. 따라서 대차(10)로 되돌려진 배가스의 고열에 의해 대차(10)에 적재된 배합원료 내 함유된 수분이 건조되고 배합원료의 소성을 더 활성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통기장치(30)는 대차(10) 상에 적재된 배합원료의 장입밀도를 낮춤으로써 윈드박스(20)에 의한 공기 흡입시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높이게 된다. 본 통기장치(30)는 상기 소결기 대차(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측에 구비된 서지호퍼(16)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서지호퍼(16)에서 대차(10) 내부로 배합원료의 장입이 완료된 후 바로 본 장치에 의해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장치는 상기 설치 위치 외에 소결기 대차(10)의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 통기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장치(30)는 소결기 대차(10)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대차(10)에 적재된 배합원료 내부로 삽입되어 배합원료 내부에 통기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원판(34), 상기 회전축(32)에 베어링블럭(38)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축(32)을 승하강시켜 원판(34)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수직실린더(36)를 포함한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베어링블럭(38)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32) 선단에 연결되는 구동모터(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32)을 회전구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원판(34)은 원형의 판구조물로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설치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2)에 설치되는 원판(34)의 설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원판(34)은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배합원료 표면에서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판(34)은 그 두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배합원료 내부로 삽입시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판(34)은 설치구멍에 외측으로 플랜지(35)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35)에 체결되는 볼트(37)를 매개로 상기 회전축(32)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2)은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10)의 진행방향에 대해 대차(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32)의 양 선단에는 회전축(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위한 베어링블럭(3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베어링블럭(38)의 하단에 수직실린더(36)의 피스톤로드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수직실린더(36)는 대차(10) 양 측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설비 상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베어링블럭(38)과 피스톤로드 상단은 핀(39)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되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수직실린더(36)가 신축작동되면 베어링블럭(38)을 매개로 연결된 회전축(32)이 대차(10) 상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32)에 설치된 원판(34)이 이동되어 대차(10)에 적재된 배합원료에 대한 삽입 깊이가 가변된다.
상기 원판(34)이 배합원료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차(10)가 진행하게 되면 대차(10)에 적재된 배합원료에 원판(34)에 의한 홈 형태로 파여진 라인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홈형태의 라인으로 보다 용이하게 공기가 흡입되어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40)는 회전축(32)의 일측단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베어링블럭(38)에서 연장된 브라켓(41) 상에 설치된다. 이에 수직실린더(36)의 신축 구동시 베어링블럭(38)과 같이 이동되어, 회전축(32)에 계속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면 부호 (42)는 구동모터(40)와 회전축(32)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이다.
이에 상기 구동모터(40)가 회전작동되면 회전축(32)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축(32)에 설치된 원판(34)이 배합원료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통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터(40)에 의한 회전축(32)의 회전방향은 상기 대차(10)의 진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이다.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터(40)는 소결기 대차(10)의 주행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 제어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모터(40)는 인버터와 적절한 감속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와 감속기구에 의한 구동모터(40) 제어 구조에 대해서는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장치는 상기 원판(34)을 통해 배합원료 내부로 공기를 분출하여 배합원료 내부의 장입 밀도를 낮춰 통기성을 높이기 위한 공기분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분출부는 상기 회전축(32)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에어홀(50)과, 상기 회전축(32)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에어홀(5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관(52), 상기 에어홀(50)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판(34) 설치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32) 표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54), 상기 연결홀(54)에 연결되고 상기 원판(34) 중심에서 선단으로 관통 형성되어 원판(34) 선단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56)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홀(50)은 회전축(32)의 일측 선단에서 중심을 따라 형성되며, 각 원판(34) 체결 위치에서 연결홀(54)과 연통된다. 상기 배출홀(56)은 원판(34)의 중심에서 선단으로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홀(56)은 원판(34)에 하나만 형성되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56)은 내측 선단이 연결홀(54)과 연결되어 공기 유입구 역할을 하며, 외측 선단은 원판(34) 선단에서 공기의 배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회전축(32)에 원판(34)을 끼우고 회전축(32)에 형성된 연결홀(54)과 원판(34)에 형성된 배출홀(56)을 맞춘 상태에서 원판(34)을 볼트(37)로 고정함으로써, 에어홀(50)과 연결홀(54) 및 배출홀(56)을 연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홀(50)은 회전축(32) 선단에 설치되는 회전조인트(58)를 매개로 에어관(52)과 연결된다. 상기 회전조인트(58)는 회전축(3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며 관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관 연결 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홀(56)은 원판(34)의 일측으로만 공기를 분출하게 되므로, 상기 배출홀(56)이 배합원료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만 에어를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공기분출부는 상기 원판(34)에 형성된 배출홀(56)이 배합원료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원판(34)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편(60)과, 상기 배출홀(56)이 배합원료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감지편(60)을 감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감지편(60)을 검출하는 감지센서(62), 상기 에어관(52) 일측에 설치되어 감지센서(62)의 신호에 따라 에어관(52)을 개폐하는 밸브(64)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편(60)은 원판(34) 중심에 대해 배출홀(56)과 반대방향에 설치된다. 상기 감지편(60)은 복수개의 원판(34) 중 어느 하나의 원판(34)에만 설치되면 충분하다. 상기 감지편(60)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원판(34)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판(34)의 회전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어, 회전축(32)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감지편(60)을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62)는 감지편(60)과 근접하여 설비 상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62)의 설치 위치는 배출홀(56)의 외측 선단이 배합원료 내에 깊속이 위치하였을 때의 감지편(60)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용 및 제어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결 설비가 구동되면 대차(10)가 레일(12)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진행되고, 윈드 박스(20)에 걸린 부압에 의해 공기는 대차(10) 상부에서 윈드박스(20)로 흡입되어 소결 공정이 진행된다. 설비 제어부에 의해 윈드박스(20)의 적정 부압이 설정되고, 소결 과정에서 윈드박스(20)의 실제 부압에 따라 본 장치가 구동되어 대차(10)에 적재된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윈드박스(20)의 적정부압이 -17Kpa로 설정되면, 제어부는 윈드박스(20)내의 실제 부압이 상기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확인하여 본 장치를 제어 구동하게 된다.
대차(10)가 이동하게 되면 그 이동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 구동모터(40)가 회전축(32)을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축(32)이 회전되면 회전축(32)에 설치된 원판(34)이 대차(10)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대차(10)에 적재된 배합원료가 원판(34)을 지나면서 배합원료의 상부 표면에서 일정 깊이로 원판(34)에 의한 홈 형태의 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홈형태의 라인을 통해 공기가 배합원료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어,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원판(34)이 회전하면서 원판(34)에 설치된 감지편(60)이 감지센서(62)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감지센서(62)는 감지편(60)을 검출하게 된다. 감지센서(62)의 검출신호에 따라 에어관(52)에 설치된 밸브(64)가 개방작동된다. 이에 에어관(52)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회전축(32)의 에어홀(50)로 유입되고, 에어홀(50)과 연결홀(54)을 매개로 연통되어 있는 원판(34)의 배출홀(56)로 공급된다.
배출홀(56)로 공급된 공기는 배출홀(56)을 통해 원판(34) 선단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원판(34)에 형성된 배출홀(56)의 외측 선단은 현재 배합원료 내부에 묻혀져 있는 상태이므로, 배출홀(56)을 통해 공기는 배합원료 내부로 토출된다.
배출홀(56)을 통해 토출된 압축공기는 배합원료 내부로 분사되어 조밀하게 적재된 배합원료 적재층에 미세 공기층을 형성하여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원판(34)이 계속 회전되어 원판(34)에 설치된 감지편(60)이 감지센서(62)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감지센서(62)는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에 따라 밸브(64)가 폐쇄작동되어 에어관(52)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원판(34)의 회전에 따라 배출홀(56)의 선단이 배합원료 내부에 있을 때만 압축공기가 분사되며, 배출홀(56)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면 압축공기는 분사되지 않는다.
한편, 소결 설비에 의해 검출된 윈드박스(20)의 부압이 설정값보다 더 내려가게 되면, 예를 들어 -17.5Kpa가 되면 배합원료의 통기성을 더 높일 필요가 있으며, 본 장치의 수직실린더(36)가 수축작동하게 된다.
수직실린더(36)가 수축작동되면 수직실린더(36)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회전축(32)이 대차(10) 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에 회전축(32)에 설치된 원판(34)이 더 밑으로 내려와 배합원료 내부로 더 깊속이 파고들게 된다. 따라서 배합원료 내부로 원판(34)이 더 깊이 삽입되어 배합원료 내부에 통기용 라인을 보다 깊게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가 배합원료 내부로 더 깊게 들어갈 수 있어 통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배합원료의 통기성이 더 좋아짐에 따라 윈드박스(20)의 부압은 설정치로 높아지게 되고, 부압에 따른 소결기 대차(10)의 진행 속도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윈드박스(20)의 부압이 설정값보다 더 올라가게 되면 수직실린더(36)가 신장작동되어 회전축(32)을 상승시키게 된다. 회전축(32) 상승에 따라 회전축(32)에 설치된 원판(34)이 대차(10) 상에서 위로 올라가 배합원료에 대한 삽입깊이가 얕아지게 된다. 따라서 배합원료에 대한 통기성이 줄어 윈드박스(20)의 부압을 정상치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대차 30 : 통기장치
32 : 회전축 34 : 원판
36 : 수직실린더 38 : 베어링블럭
40 : 구동모터 50 : 에어홀
52 : 에어관 54 : 연결홀
56 : 배출홀 60 : 감지편
62 : 감지센서 64 : 밸브

Claims (6)

  1. 소결기 대차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대차에 적재된 배합원료 내부로 삽입되는 원판,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승하강시켜 원판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부
    상기 원판을 통해 배합원료 내부로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공기분출부
    를 포함하는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회전축 양단에 설치되는 베어링블럭과, 설비 상에 수직설치되고 상기 베어링블럭에 연결되는 수직실린더를 포함하는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선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출부는 상기 회전축 내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에어홀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에어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관, 상기 에어홀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판 설치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 표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고 상기 원판 중심에서 선단으로 관통 형성되어 원판 선단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출부는 상기 원판 일측에 설치되는 감지편과, 상기 배출홀이 배합원료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감지편을 감지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감지편을 검출하는 감지센서, 상기 에어관 일측에 설치되어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배출홀이 배합원료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만 에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KR1020110021474A 2011-03-10 2011-03-10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KR10124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74A KR101242707B1 (ko) 2011-03-10 2011-03-10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74A KR101242707B1 (ko) 2011-03-10 2011-03-10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305A KR20120103305A (ko) 2012-09-19
KR101242707B1 true KR101242707B1 (ko) 2013-03-18

Family

ID=4711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474A KR101242707B1 (ko) 2011-03-10 2011-03-10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166B1 (ko) * 2014-10-15 2016-09-23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기의 통기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923A (ko) * 2000-05-12 2001-11-24 이구택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KR100793568B1 (ko) * 2001-08-24 2008-01-14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장치
KR100931177B1 (ko) 2002-09-26 2009-12-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입층내의 통기도 균배제어장치
KR20100122956A (ko) * 2008-08-13 2010-11-23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소결원료 투입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923A (ko) * 2000-05-12 2001-11-24 이구택 소결대차에서 장입원료의 공극형성방법 및 장치
KR100793568B1 (ko) * 2001-08-24 2008-01-14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제조장치
KR100931177B1 (ko) 2002-09-26 2009-12-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장입층내의 통기도 균배제어장치
KR20100122956A (ko) * 2008-08-13 2010-11-23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소결원료 투입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305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707B1 (ko)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통기장치
KR101442983B1 (ko) 소결기용 통기성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합원료 통기성 조절방법
KR101378078B1 (ko) 소결 장치
JP6688396B2 (ja) 焼結装置及び焼結方法
KR101300163B1 (ko) 소결설비의 배기가스 순환장치 및 순환장치 제어방법
US6413471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reduced iron
KR101461479B1 (ko) 소결기 풍량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기 풍량 조절 방법
CN107289734A (zh) 一种化工生产用切料烘干系统
KR101596149B1 (ko) 소결 장치
KR100793568B1 (ko) 소결광 제조장치
KR101527856B1 (ko) 냉각 보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각 장치
CN206905404U (zh) 一种化工生产用切料烘干系统
CN105712162A (zh) 一种轿厢节能设备
KR100942110B1 (ko) 소결기용 윈드박스의 압력 제어장치
JP2001240864A (ja) ビール粕の炭化処理システム
CN107337775B (zh) 一种密胺罩光粉的制备工艺
CN206982363U (zh) 一种机械产品表面磨削装置
KR20140042038A (ko) 소결광 제조용 원료 장입 장치
CN107328183A (zh) 一种甲醛‑三聚氰胺合成树脂烘干用柜式烘箱
KR200330475Y1 (ko) 통기량조절수단을 구비한 소결 배합원료 장입장치
CN220489720U (zh) 铺底料事故料合一布料系统及带式焙烧机
CN110726306B (zh) 一种高利用率带式烧结机
KR100568366B1 (ko) 소결대차 원료장입부의 가변형 기공 확보장치
KR101518556B1 (ko) 소결광 균일 냉각장치
JP5037200B2 (ja) 乾燥設備及び乾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