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736A -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736A
KR20010102736A KR1020000024347A KR20000024347A KR20010102736A KR 20010102736 A KR20010102736 A KR 20010102736A KR 1020000024347 A KR1020000024347 A KR 1020000024347A KR 20000024347 A KR20000024347 A KR 20000024347A KR 20010102736 A KR20010102736 A KR 2001010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bbles
waste water
blade assembly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166B1 (ko
Inventor
최홍복
Original Assignee
김동우
주식회사 환경비젼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우, 주식회사 환경비젼이십일 filed Critical 김동우
Priority to KR102000002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166B1/ko
Priority to AU2001256820A priority patent/AU2001256820A1/en
Priority to US10/275,777 priority patent/US20030106856A1/en
Priority to PCT/KR2001/000743 priority patent/WO2001085623A1/en
Priority to JP2001582229A priority patent/JP2003532533A/ja
Priority to CN01810505A priority patent/CN1431973A/zh
Publication of KR2001010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2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omprising the use of flow guiding elements adjacent or above the gas stream
    • B01F23/23112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omprising the use of flow guiding elements adjacent or above the gas stream the flow guiding elements being baffles, tubes o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01F23/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being at least partially immersed in the liquid, e.g. in a closed circuit
    • B01F23/23231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being at least partially immersed in the liquid, e.g. in a closed circuit the conduits being vertical draft pipes with a lower intake end and an upper exit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3Gas driv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42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 C02F3/1247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comprising circular tanks with elements, e.g. decanters, aeration basins, in the form of segments, crowns or s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15Flow 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오폐수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오폐수 처리장치는 그 내부에 오폐수가 저장되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상기 오폐수가 순환되면서 산소공급과 교반에 의하여 정화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관,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오폐수 중으로 분산시켜 기포를 생성하는 분산판, 그리고 상기 반응조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분산판으로부터 분산된 다수의 기포를 서로 충돌시키고, 상기 기포의 체류시간을 연장시켜서 상부로 배출하므로써 용존률을 높이고, 상기 기포를 소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교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Process and plant for the efficiency solubility of gas and sludge mixing}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경우, 오폐수에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고 교반시키므로써 오폐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는 수중의 오염된 물질을 미생물 또는 화학적인 산화, 환원반응에 의하여 안정화된 물질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오염물질을 안정화시키는 기술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현재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술은 비교적 처리비용이 저렴한 생물학적 처리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물학적 수처리 방식은 자연상태에서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속도에 의존하고 있어 처리속도가 매우 느리고 불안정하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생물학적 폐수처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유리산소 또는 결합산소, 그리고 탄소원의 공급원으로 유기물의 효과적인 공급, 미생물과 유기물 또는 영양물질 사이에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율적 교반에 달려있다.
이러한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식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저농도 폐수의 경우에는 호기성 처리를 하고, 고농도 폐수의 경우에는 혐기성 처리를 한다.
고농도 폐수의 경우 혐기성 처리를 하는 이유는 호기성에 필요한 적정한 용존산소를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순산소폭기법, 가압용존산소법등의 방법이 있으나, 순산소 공급 비용, 가압에 따른 슬러지 폐쇄현상으로 실제로는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에 산소를 용해시키는 용존산소효율을 높이기 어려우며, 용존산소효율을 높이는 경우에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용존산소를 유지하기 위한 포기장치와 교반하기 위한 교반장치가 별도로 설치되며, 효율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농도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생물학적 처리하기 위하여 저비용으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용존산소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암모니아, 이산화탄소등 가스물질의 용해, 탈질을 위한 교반장치를 일체로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제1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4 는 도1 에 도시된 제1 블레이드 조립체의 하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5 는 도2 의 "A-A 선"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6 은 도1 에 도시된 제1 블레이드 조립체를 평면에 전개한 상태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오폐수가 저장되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상기 오폐수가 순환되면서 산소공급과 교반에 의하여 정화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관,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오폐수 중으로 분산시켜 기포를 생성하는 분산판, 그리고 상기 반응조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분산판으로부터 분산된 다수의 기포를 서로 충돌시키고, 상기 기포의 체류시간을 연장시켜서 상부로 배출하므로써 용존률을 높이고, 또는 유체를 소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교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조립체는 부채꼴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의 원주면은 상기 반응조의 내벽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장착되고, 양변은 이웃한 블레이드와 서로 소정거리씩 중첩되어 형성되며, 그 꼭지점은 이웃한 블레이드의 꼭지점과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이웃한 블레이드의 사이에 상기 기포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상기 기포가 하부로부터 상승하여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상기 기포가 상부로 상승하는 유출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 하부 중심부에는 소정면적의 원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 중심부에는 꼭지점이 형성되므로써, 각 블레이드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포가 직선거리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기포의 회전에 의한 산소용존효과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분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조립체의 중간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승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원형부의 저면에 접촉 및 충돌하므로써 다수개의 기포로 분산된다.
상기 공기 유입관은 그 유출부에 그물망을 더 장착하므로써, 공기를 분산시키고 유입공기의 유동의 변화폭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반응조는 상기 반응조 내부의 오폐수에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교반수단을 더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수단은 소정 직경을 갖는 유체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토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폭기조 및 상기 반응조를 관통하여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연장되므로써, 외부의 유체가 상기 유체 토출관을 통하여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기 교반수단은 회전가능한 교반익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익은 상기 폭기조의 덮개 상부에 장착되는 모터 조립체에 회전축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상기 모터 조립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교반익이 회전하므로써 상기 오폐수를 교반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는 원통형상을 갖으며 그 내부에 오폐수가 저장되는 폭기조(曝氣槽;1)와, 상기 폭기조(1)의 내부에 배치되며, 산소공급과 교반에 의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반응조(2)와, 상기 반응조(2)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관(4)과, 상기 공기 유입관(4)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오폐수(9) 중으로 분산하여 기포를 생성하는 분산판(2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산판(20)의 상측으로는 분산된 다수의 기포(8)를 1 차적으로 서로 충돌시키고 기포(8)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므로써 용존률을 높이는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와, 상기 반응조(2)의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폭기조(1) 외부의 유체를 반응조(2)의 내부로 송출하므로써 오폐수(9)의 유동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한 쌍의 유체 토출관(6)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상부에는 기포(8)를 2 차적으로 서로 충돌시키고 상기 기포(8)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므로써 용존률을 높이는 제2 블레이드 조립체(30)가 제공된다.
상기 반응조(2)는 그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써 폭기조(1)의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가 그 내부로 유입 및 유출가능하다. 또한, 적당한 설치높이를 위하여 아래측에 복수개의 다리(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관(4)은 상기 폭기조(1)의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반응조(2)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관(4)은 상기 반응조(2)의 내부에 발생된 기포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는 위치, 즉 반응조(2)의 외부면으로부터 중앙부로 연장된다.
상기 공기 유입관(4)은 송풍기(도시안됨)에 의하여 송출된 공기를 반응조(2)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관의 형상이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관(4)의 단부에는 φ2∼10mm 그물망(5)이 장착되므로써, 배관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일시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산판(20)은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중간부 저면에 일체로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형부(22)와, 이 원형부(22)를 제1블레이드 조립체(10)의 중간부 저면에 일체로 연결시키는 고정축(21)으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축(21)의 길이는 50㎜ 미만이다.
따라서, 공기 유입관(4)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반응조(2)의 내저부로부터 상승하여, 분산판(20)의 원형부(22) 저면에 접촉하므로써, 오폐수(9) 중으로 분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분산판(20)의 원형부(22)에 접촉한 공기는 다수의 기포(8)를 형성하게 되며, 상승하여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는 다수의 블레이드(11)가 서로 원형으로 조립되어 반응조(2)의 내부에 장착된 형상이다.
즉, 각각의 블레이드(11)는 부채꼴 형상이며, 서로 소정거리씩 중첩되어 조립된다. 이러한,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를 도3 및 도4 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며, 도4 는 도1 에 도시된 블레이드 조립체의 하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5 는 도2 의 "A-A 선"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레이드(11)들은 그 원주면(12)은 반응조(2)의 내벽면에 용접등에 의해 장착되며, 이들 블레이드(11)들의 꼭지점들은 반응조(2)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11)는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조(2)의 내벽면(2a)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바람직하게는 10도 내지 70도 범위로 기울어져 장착된다.
따라서, 블레이드(11)의 후단부(11a)와 이웃한 블레이드(11)의 선단부(11a)는 서로 소정거리씩 중첩되며, 바람직하게는 중첩부(P)가 2㎝ 이상, 면적비로는 1/3 이상 중첩된다.
상기 블레이드(11)는 소정각도(∝)로 경사지므로써 이웃한 블레이드(16)와의 사이에 유입구(17) 및 유출구(18)로 구성되는 유로(19)가 형성된다.
상기 분산판(20)에 의하여 분산된 기포(8)는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유로(19), 즉 유입구 (17)및 유출구(18)를 통하여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를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기포(8)가 유입구(17) 및 유출구(18)를 통과하는 동안 다수개의 기포(8)는 서로 충돌하게 되어 또 다른 기포(8)를 형성하게 되며, 블레이드(11)의 표면을 따라 보다 긴 시간동안 용해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의 하부면에는 분산판(20)의 고정축(21)이 고정되기 위한 원형부(22)가 형성되며, 이 원형부(22)는 일정한 면적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부의 면적은 최소화된다. 이러한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의 각각 블레이드 상부는 가능한 작은 한 점에서 만나고 하부의 블레이드는 일정한 면적을 유지하도록 하여 블레이드 중심으로 통과한 기포가 최대 직선거리로 신속하게 상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블레이드 중심으로 통과한 기포를 중심으로 기포는 토네이도(tornado)형태를 이루며 수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여 공기와 폐수의 접촉을 최대화시켰다.
다시, 도1 및 도2 를 참조하면,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소정거리 상부, 반응조(2)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유체 토출관(6)이 일체로 각각 연결된다. 한 쌍의 유체 토출관(6)은 상기 폭기조(1)의 외부로부터 상기 반응조(2)의 관통홀(7)을 통하여 반응조(2)의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유체 토출관(6)을 통하여 유체(6a;도4)를 송출하므로써,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를 통과한 기포(8)와 오폐수(9)를 원주방향으로 회전력을 주게 되므로 이 오폐수(9)는 교반효과를 얻게된다.
상기 교반된 기포(8)는 상승하여 제2 블레이드 조립체(30)에 도달한다. 제2 블레이드 조립체(30)는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블레이드 조립체를 2 개 장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그 이상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기포(8)와 오폐수(9)를 교반시키는 경우, 유체 토출관(6)을 대신하여 교반익(51;도6)이 장착가능하다.
도7 에는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 처리장치의 폭기조(1) 내부에는 교반익(5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교반익(51)은 연결축(55)에 의하여 폭기조(58)의 상부에 장착되는 덮개(도시안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이 연결축(55)은 모터 조립체(도시안됨)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므로써 교반익(5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블레이드 조립체(52)를 통하여 상승한 기포(57)는 교반익(51)에 의하여 교반되어 제2 블레이드 조립체(53)를 통하여 폭기조(1)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익(51)이 장착된 오폐수 처리장치는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단순히 오폐수를 교반익(51)에 의해서만 교반할 수 있는 경우 적절하게 사용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의 생물학적인 처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시 이산화 탄소, 암모니아등 각종 가스도 용이하게 용질에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7 을 참조하면, 오폐수를 처리하는 경우, 먼저 공기 유입관(4)을 통하여 폭기조(1) 외부의 공기를 반응조(2)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유입된 공기는 오폐수 중에 기포(8)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기포(8)는 오폐수(9)와의 밀도차이에서 발생하는 위치에너지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어, 분산판(20)의 원형부(22)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유입된 공기는 공기 유입관(4)의 단부에 장착된 그물망(5)에 의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분산되며 일시적으로 방출되는 공기량을 제어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산판(20)의 원형부(22)에 접촉한 기포(8)는 사방으로 분산되어 다수개의 기포(8)를 형성하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에 도달한 기포(8)는 유입구(17)로 인입되어 유로(19)를 따라 상향으로 흐르게 되며, 유출구(18)를 통하여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의 상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의 하부 중심은 일정한 공간의 면적(23)을 유지하는 반면에 상부의 면적(13)은 점의 형태로 그 면적을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는 유입되는 기포(8)의 수가 유출되는 기포(8)의 갯수보다 적고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보다 긴 시간동안 기포가 폐수중에 머무를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수개의 블레이드(11)는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므로써, 상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를 통과한 기포(8)는 일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고 상승하게 된다. 이때, 소정의 교반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반응조(2)의 외부면에 연결된 유체 토출관(6)은 유체(6a)를 소정압력으로 반응조(2)의 내부로 토출하게 된다. 토출된 유체는 반응조(2)의 내부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므로써, 슬러지 또는 오폐수(9)를 교반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를 통과한 기포(8)는 상승하여 상기 소용돌이에 합류되므로써 같이 교반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익에 의하여도 교반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유체 토출관(6)을 통하여 교반된 기포(8)는 계속 상승하여 제2 블레이드 조립체(30)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블레이드 조립체(10)에서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므로써 정화되며, 정화된 오폐수는 반응조(2) 상부의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폭기조(1)의 내부로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폐수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 의하여 생물학적으로 정화 처리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수도물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진다.
다음 실험조건은 수도물을 사용하였으며, 동일 온도, 용량, 동력을 사용한다. 용존산소 0.2㎎/L인 시점에서 포기시간 경과에 따라 DO가 증가하는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Na₂SO₃를 사용한다. 그리고, 효율성 비교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디스크 형태의 산기장치를 사용한다. 용존산소효율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조건:수온20℃, 사용된 물량 1.5㎥, 유입공기량 250ℓ/min)
구 분 본 발명 디스크형 산기장치
공기주입량(ℓ/min)/소모동력(W) 1.3 1
DO 4㎎/L까지 증가시 소요되는 시간(min) 5 10
DO 8㎎/L까지 증가시 소요되는 시간(min) 20 30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오폐수에 용해시키는 경우, 용존산소효율면에 있어서, 디스크형 산기장치에 비하여 월등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일반 산기관이 아닌 공기 유입관의 공기의 자연적인 공기 이동에 의해서 용존산소농도를 충분히 공급하므로 보다 낮은 동력이 요구되어 동력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반응조에 공급된 기포가 별도의 에너지 공급 없이 오폐수와의 밀도차이에 의하여 상승하여 블레이드 조립체를 통과하면서, 다수의 기포가 서로 충돌하게 되고 또한 용존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므로 용존산소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유체 토출관을 장착하여 반응조의 내부로 유체를 토출시키므로써 오폐수를 교반시키고, 또한 블레이드 조립체에 의하여도 소정의 교반효과가 기대되므로 소모되는 동력에 비하여 교반효율이 상승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단순한 구조의 공기 유입관을 이용하여 공기를 반응조의 내부로 공급하므로, 공기 유입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오폐수 처리장치는 유체 토출관을 장착하여 교반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용해장치 이외에 교반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8)

  1. 그 내부에 오폐수가 저장되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의 내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로 상기 오폐수가 순환되면서 산소공급과 교반에 의하여 정화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관;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오폐수 중으로 분산시켜 기포를 생성하는 분산판; 그리고
    상기 반응조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분산판으로부터 분산된 다수의 기포를 서로 충돌시키고, 상기 기포의 체류시간을 연장시켜서 상부로 배출하므로써 용존률을 높이고, 상기 기포를 소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교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조립체는 부채꼴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의 원주면은 상기 반응조의 내벽면에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장착되고, 양변은 이웃한 블레이드와 서로 소정거리씩 중첩되어 형성되며, 그 꼭지점은 이웃한 블레이드의 꼭지점과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이웃한 블레이드의 사이에 상기 기포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오폐수 처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기포가 하부로부터 상승하여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상기 기포가 상부로 상승하는 유출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 하부 중심부에는 소정면적의 원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의 상부 중심부에는 꼭지점이 형성되므로써, 각 블레이드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포가 직선거리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기포의 회전에 의한 산소용존효과를 상승시키는 오폐수 처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조립체의 중간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승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원형부의 저면에 접촉 및 충돌하므로써 다수개의 기포로 분산되는 오폐수 처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관은 그 유출부에 그물망을 더 장착하므로써, 공기를 분산시키고 유입공기의 유동의 변화폭을 감소시키는 오폐수 처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상기 반응조 내부의 오폐수에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교반수단을 더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소정 직경을 갖는 유체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토출관의 일단부는 상기 폭기조 및 상기 반응조를 관통하여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연장되므로써, 외부의 유체가 상기 유체 토출관을 통하여 상기 반응조의 내부로 토출되는 오폐수 처리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회전가능한 교반익을 포함하며, 상기 교반익은 상기 폭기조의 덮개 상부에 장착되는 모터 조립체에 회전축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므로써, 상기 모터 조립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교반익이 회전하므로써 상기 오폐수를 교반시키는 오폐수 처리장치.
KR1020000024347A 2000-05-08 2000-05-08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35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347A KR100352166B1 (ko) 2000-05-08 2000-05-08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U2001256820A AU2001256820A1 (en) 2000-05-08 2001-05-08 Process and plant for the efficiency solubility of gas and sludge mixing
US10/275,777 US20030106856A1 (en) 2000-05-08 2001-05-08 Process and plant for the efficiency solubility of gas and sludge mixing
PCT/KR2001/000743 WO2001085623A1 (en) 2000-05-08 2001-05-08 Process and plant for the efficiency solubility of gas and sludge mixing
JP2001582229A JP2003532533A (ja) 2000-05-08 2001-05-08 気体の効率的溶解とスラッジ攪拌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01810505A CN1431973A (zh) 2000-05-08 2001-05-08 用于气体和污泥混合效率溶解度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347A KR100352166B1 (ko) 2000-05-08 2000-05-08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736A true KR20010102736A (ko) 2001-11-16
KR100352166B1 KR100352166B1 (ko) 2002-09-12

Family

ID=1966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347A KR100352166B1 (ko) 2000-05-08 2000-05-08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06856A1 (ko)
JP (1) JP2003532533A (ko)
KR (1) KR100352166B1 (ko)
CN (1) CN1431973A (ko)
AU (1) AU2001256820A1 (ko)
WO (1) WO200108562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812B1 (ko) * 2001-04-18 2004-09-10 (주)에코데이 일체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생물 반응조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703943B1 (ko) * 2005-10-25 2007-04-09 박현린 산소 용해 장치
KR100789955B1 (ko) * 2007-09-18 2008-01-02 이은관 고농도 오폐수처리장치
KR100809610B1 (ko) * 2006-12-07 2008-03-07 (주)에코데이 수평형 수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00885T1 (de) * 2003-10-29 2011-03-15 Anemos Company Ltd Luftverteilervorrichtung
WO2007110972A1 (ja) * 2006-03-27 2007-10-04 Yasuhiko Masuda 気液混合装置
JP4907258B2 (ja) * 2006-03-27 2012-03-28 泰彦 増田 気液混合装置
US7622040B2 (en) 2006-06-30 2009-11-24 Tekni-Plex, Inc. Fine bubble airlift device
US7954791B2 (en) 2006-06-30 2011-06-07 Tekni-Plex, Inc. Fine bubble airlift device
US8813686B2 (en) * 2010-06-01 2014-08-26 AquaManf Aquaculture Technologies, Ltd. Modular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US9497941B2 (en) 2010-06-01 2016-11-22 Dakota Fisheries, Inc. Modular aqacul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270706B1 (ko) 2011-05-27 2013-06-03 한국전력공사 가스 포집 장치
WO2014008336A1 (en) * 2012-07-03 2014-01-09 Atmi Bvba Driven fluid mixer and related methods
US10486120B2 (en) * 2017-04-12 2019-11-26 John T. Vlahogeorge Floating horizontal aerator for a body of water
FI128391B (en) * 2019-01-14 2020-04-15 Solar Foods Oy Bioreactors for the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CN110255817A (zh) * 2019-06-18 2019-09-20 浙江千尧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生活废水处理装置
CN111715169A (zh) * 2020-07-06 2020-09-29 大唐环境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脱硫废水处理用药剂配比装置
CN113184980B (zh) * 2020-12-29 2022-11-15 中海油天津化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强化炼化废水生化混合传质反应过程的内构件
KR102479712B1 (ko) * 2021-04-27 2022-12-21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조리용 오일 가열장치
CN114177718A (zh) * 2021-12-06 2022-03-15 茹亚军 一种中和式的空气除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29073A (de) * 1971-09-02 1972-10-15 Kaelin J R Verfahren zur Eintragung und Umwälzung von Sauerstoff oder sauerstoffhaltigem Gas in eine zu klärende Flüssigkeit und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2507698C2 (de) * 1975-02-22 1984-10-25 Linde Ag, 6200 Wiesbaden Vorrichtung zum Begasen einer Flüssigkeit
US4290885A (en) * 1977-12-22 1981-09-22 Dochan Kwak Aeration device
US4272461A (en) * 1979-03-06 1981-06-09 Franklin Jr Grover C Apparatus for mixing gases with liquids
JPS592553B2 (ja) * 1980-03-17 1984-01-19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掻寄機
JPS6467300A (en) * 1987-09-08 1989-03-13 Toshiba Corp Combustion dryer
JP2818112B2 (ja) * 1994-06-14 1998-10-30 株式会社ダイワ総業 赤水防止装置
KR200172329Y1 (ko) * 1998-04-09 2000-03-02 조문관 폭기식 폐수처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812B1 (ko) * 2001-04-18 2004-09-10 (주)에코데이 일체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생물 반응조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703943B1 (ko) * 2005-10-25 2007-04-09 박현린 산소 용해 장치
KR100809610B1 (ko) * 2006-12-07 2008-03-07 (주)에코데이 수평형 수처리 장치
KR100789955B1 (ko) * 2007-09-18 2008-01-02 이은관 고농도 오폐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166B1 (ko) 2002-09-12
JP2003532533A (ja) 2003-11-05
CN1431973A (zh) 2003-07-23
AU2001256820A1 (en) 2001-11-20
WO2001085623A1 (en) 2001-11-15
US20030106856A1 (en)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166B1 (ko)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1001840B1 (en) Gas-liquid venturi mixer
EP0952886B1 (en) Improved gas-liquid vortex mixer
KR20020071432A (ko) 미세화 기포수 생성 장치
US20030057163A1 (en) Diffuser/emulsifier for aquaculture applications
KR20000047823A (ko) 가스 용해 장치
KR20060049219A (ko) 수처리 공정 및 장치
JP2000288568A (ja) 汚水処理装置
JP2009247927A (ja) 曝気攪拌機
KR101127077B1 (ko)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US20140197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and purification of liquid through aeration
KR100547199B1 (ko) 기체의 용해 및 혼합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20210042540A (ko) 고도산화기반의 수처리장치
KR102350547B1 (ko) 개량된 오존가스 용해 처리구조를 갖는 고도 산화 수처리 시스템의 오존가스 용해 처리장치
JP3900997B2 (ja) 旋回流曝気装置
KR20150141406A (ko) 산소공급기능을 갖는 수중 폭기기
JP2002273451A (ja) 浄化装置
KR101973153B1 (ko)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JPH11156148A (ja) 湿式オゾン脱臭装置
KR20220144121A (ko) 가스 용해장치
KR20240044052A (ko) 폐수처리시설의 미세기포산기장치
KR102562116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고도산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고농도 유기성 수처리시스템
JP2009136794A (ja) 散気装置ならびに散気方法
KR102450808B1 (ko) 대기 오염 방지장치용 수조의 기포 발생장치
JP2002035784A (ja) 攪拌曝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