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153B1 -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153B1
KR101973153B1 KR1020190005850A KR20190005850A KR101973153B1 KR 101973153 B1 KR101973153 B1 KR 101973153B1 KR 1020190005850 A KR1020190005850 A KR 1020190005850A KR 20190005850 A KR20190005850 A KR 20190005850A KR 101973153 B1 KR101973153 B1 KR 10197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talyst
chemical liquid
stirr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천
김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김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김주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0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3/0410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01F15/02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2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omprising the use of flow guiding elements adjacent or above the gas stream
    • B01F23/23112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omprising the use of flow guiding elements adjacent or above the gas stream the flow guiding elements being baffles, tubes o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B01F2003/041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약액세정 탈취장치에 공급되도록 촉매수를 제조하는 촉매수 발생장치로서, 촉매수에 에어를 공급하여 마이크로버블수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공급부; 상기 마이크로버블공급부에서 마이크로버블수를 공급받고, 유입되는 용수와 에어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교반배출부; 상기 교반배출부에 산화보조제를 공급하는 산화보조제공급부; 및 상기 교반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공급받아 이온화를 유도한 후 탈취장치에 공급하는 촉매탱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는 마이크로버블수와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와 용수 및 에어를 혼합하여, 약액을 형성한 후 촉매(예: 금속산화물 촉매)탱크로 이동시켜 이온화를 시킨 후 탈취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마이크로버블수를 포함한 이온화된 약액에 의해 악취의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게 되고, 교반배출부에 마련되는 교반혼합수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약액이 혼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Catalytic water generator of chemical liquid cleaning and deodorizing apparatus using catalyst and micro bubble water}
본 발명은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버블수와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와 용수 및 에어를 혼합하여, 약액을 형성한 후 촉매(예: 금속산화물 촉매)탱크로 이동시켜 이온화를 시킨 후 탈취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마이크로버블수를 포함한 이온화된 약액에 의해 악취의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게 되고, 교반배출부에 마련되는 교반혼합수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약액이 혼합되도록 하는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취발생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스는 그 종류와 정도를 달리하지만 대표적으로 황화수소, 아민류, 메르캅탄류,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등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들어 이러한 악취가스가 발생되는 시설물은 인간의 생활환경을 파괴하는 환경혐오시설로 분류되어 주거지역을 포함한 인간의 생활환경 주변에 설치되는 것을 기피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혐오시설에 대한 설치기준이 강화되면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동원하여 악취가스를 탈취하는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바, 악취가스 제거의 효율성과 유지관리의 용이성 및 설비투자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에 악취가스를 혼합하여 와류를 형성하면서 탈취하는 기술들이 알려져있다.
그런데 악취가스의 주요성분에 해당하는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등은 수용성이다. 이에 따라 물과 반응시켜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난용성 악취가스라고 하여도 물에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여기에 난용성 악취가스를 혼합하면 산화와 용해 작용을 통해 악취가 제거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악취가스를 정화용액 속으로 분사하고, 악취가스를 정화용액에 흡수시켜 탈취하는 종래의 악취가스 탈취장치는 악취가스와 정화용액을 공급받아 악취가스를 정화하는 반응탑과 반응탑에서 정화된 정화공기에서 액체분리하는 기액분리통, 정화공기에서 액체가 분리된 청정공기를 배출하는 스택 및 정화용액을 저장하는 피드탱크를 구비하고, 포집팬에 의해 악취가스를 포집하여 반응탑에 공급하고, 순환펌프에 의해 반응탑과 피드탱크 사이에서 정화용액을 순환시키는 악취가스 탈취장치가 알려져있다.
이처럼 액체로 이루어지는 정화용액과 악취가스를 포함하는 기체를 일정 용기에 분사하여 혼합 와류와 미세기포를 형성하고, 미세기포에 포함된 악취를 정화용액에 흡수시켜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악취가스의 제거하기 위해 투입되는 약액은 이온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투입되므로, 악취를 제거하는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악취를 제거하도록 된 약품이 용수와 제대로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탈취장치에 투입되므로 약품이 균일하게 용수에 분포되지 않고 편중되게 분포되어 불균일하게 악취가 제거됨과 아울러 악취제거효율이 재차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5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버블수와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와 용수 및 에어를 혼합하여, 약액을 형성한 후 촉매탱크로 이동시켜 이온화를 시킨 후 탈취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마이크로버블수를 포함한 이온화된 약액에 의해 악취의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게 되고, 교반배출부에 마련되는 교반혼합수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약액이 혼합되도록 하는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약액세정 탈취장치에 공급되도록 촉매수를 제조하는 촉매수 발생장치로서, 촉매수에 에어를 공급하여 마이크로버블수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공급부와, 상기 마이크로버블공급부에서 마이크로버블수를 공급받고, 유입되는 용수와 에어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교반배출부와, 상기 교반배출부에 산화보조제를 공급하는 산화보조제공급부와, 상기 교반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공급받아 이온화를 유도한 후 탈취장치에 공급하는 촉매탱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촉매탱크에는 내부에 금속산화물 촉매가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배출부는 내부에 교반공간을 갖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후면패널에 형성되는 에어공급관과, 상기 하우징본체의 외면패널부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용수공급관과, 상기 하우징본체의 외면패널부의 타측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산화보조제공급관과, 상기 교반공간의 약액을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는 교반혼합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교반혼합수단은 상기 하우징본체의 외면패널 내측면에 설치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패널과, 상기 격벽패널의 관통공과 연통되게 상기 격벽패널의 배면부에 설치되는 확관부와, 상기 후면패널의 내측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확관부의 끝단부와 일정간격유지되게 상기 후면패널에 설치되고, 연결공이 형성된 교반패널과,
상기 확관부가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격벽패널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상기 교반패널의 전면부에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교반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에는 상기 에어공급관과 연통되게 연결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교반패널 사이에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는 마이크로버블수와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와 용수 및 에어를 혼합하여, 약액을 형성한 후 촉매탱크로 이동시켜 이온화를 시킨 후 탈취장치에 공급함으로써, 마이크로버블수를 포함한 이온화된 약액에 의해 악취의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게 되고, 교반배출부에 마련되는 교반혼합수단을 통해 효과적으로 약액이 혼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촉매탱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촉매탱크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촉매탱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교반배출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촉매탱크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촉매수 발생장치'라 명명함)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약액세정 탈취장치(100)에 공급되도록 촉매수를 제조하는 촉매수 발생장치(10)로서, 이에 이와 같은 촉매수 발생장치(10)는 마이크로버블공급부(30)와 교반배출부(20)와 산화보조제공급부(40)와 촉매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버블공급부(30)는 촉매수에 에어를 공급하여 와류 및 충돌 또는 마찰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수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마이크로버블공급부(30)는 상기 교반배출부(20)로 마이크로버블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버블공급부(30)는 버블생성탱크에 촉매수(용수)를 투입함과 아울러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여 마이크로버블수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버블생성탱크에는 내부에 임펠러를 마련하여 마이크로버블를 생성시키거나 촉매수가 버블생성탱크의 일측면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투입시 소용돌이 형태로 이동되면서 내부에서 와류되어 투입된 에어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마이크로버블공급부(30)는 널리사용되고 이용되는 것으로서, 공기방울을 공급하는 것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마이크로버블공급부(30)는 관로에 의해 상기 교반배출부(20)의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공급관(24)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산화보조제공급관에는 마이크로버블공급부와 상기 산화보조제공급부(40)가 관로에 의해 연결되어, 마이크로버블수와 산화보조제를 함께 공급하게 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21)에 유입관을 더 형성하고, 상기 유입관에 마이크고버블공급부를 연결하여 마이크로버블수를 따라 공급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반배출부(20)는 상기 마이크로버블공급부(30)에서 마이크로버블수를 공급받고, 유입되는 용수와 에어를 혼합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교반배출부(20)는 내부에 교반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의 하우징본체(21)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후면패널(212)에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에어공급부(70)와 관로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공급관(22)과,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외면패널(211)부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용수공급부(60)와 관로에 의해 연결되어 용수를 공급받는 용수공급관(23)과,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외면패널(211)부의 타측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산화보조제공급관(24), 약액을 외부로 배출하여 탈취장치(100)에 공급하는 배출관(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면패널(211)부는 원통의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수공급관(23)과 상기 산화보조제공급관(24)과 상기 에어공급관(22)의 위치를 방향이 각기 다르므로, 상기 외면패널(211)부의 양측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상기 용수공급관(23)과 상기 산화보조제공급관(24)으로 통해 유입되는 용수와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가 소용돌이 형태로 하우징본체(21)의 내부에서 와류되어 교반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재차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 재차 버블을 형성하여 교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부에는 교반혼합수단(26)이 더 마련되며, 상기 교반혼합수단(26)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외면패널(211) 내측면에 설치되고 관통공(261a)이 형성된 격벽패널(261)과, 상기 격벽패널(261)의 관통공(261a)과 연통되게 상기 격벽패널(261)의 배면부에 일단이 용접되는 확관부(262)와, 상기 후면패널(212)의 내측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확관부(262)의 끝단부와 일정간격유지되게 상기 후면패널(212)에 설치되고, 연결공(263a)이 형성된 교반패널(263)과, 상기 확관부(262)가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격벽패널(261)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상기 교반패널(263)의 전면부에 상기 연결공(263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교반관(2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21)에 유입되는 용수와 마이크로버블수가 포함된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는 와류, 교반되면서 상기 격벽패널(261)과 상기 교반관(264) 사이에 공간을 지난 후 상기 교반패널(263)과 상기 확관부(262) 사이를 지난 다음 상기 교반패널(263)의 연결공(263a)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확관부(262)를 통해 상기 격벽패널(261)의 관통공(261a)을 관통한 후 상기 배출관(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격벽패널(261), 확관부(262), 교반패널(263) 및 교반관(264)에 의해 상기 교반배출부(20)로 유입되는 마이크로버블수,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 용수 및 에어가 와류되면서 교반되어 교반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균일한 분포로 혼합되어 약액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교반패널(263)은 상기 후면패널(212)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도록 연결바에 의해 상호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확관부(262)는 상기 격벽패널(261)에 고정된 일단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확관부(262)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관통공(261a) 방향으로 이동되는 약액을 가속시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확관부(262)와 상기 교반관(264)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상기 진동기의 진동을 전달받은 상기 확관부(262)와 상기 교반관(264)에 접촉되는 약액에 전동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방울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용수와 마이크로버블수가 포함된 산화보조제(예: 차아염소산소다, 염소가스, 이산화염소 등)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약액에 마이크로버블수 및 공기방울이 포함되어, 마이크로버블수 및 공기방울에 악취가 수용되어 악취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탈취장치(100)에서 노즐로 분사시 버블이 없는 약액에 비해 분포되는 면적을 넓게 유지할 수 있어 약액의 공급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확관부(262) 및 상기 교반관(264)의 외면과 내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진 탄성핀들의 일단을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이동되는 용수가 탄성핀과 마찰되어 공기방울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고,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탄성에 전달되어 재차 공기방울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관부(262) 및 상기 교반관(264)의 외면과 내면에는 스크류형태로 나선의 안내홈을 더 형성하여, 이동되는 액약이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어 소용돌이 형태로 이동함으로써, 교반효유을 재차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확관부(262)에는 임펠러를 더 형성하여, 상기 임펠러의 구동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수와 용수 및 산화보조제의 혼합효율을 높이게 되고, 혼합된 약액을 상기 관통공(261a)을 통해 상기 배출관(25)으로 전달함으로써,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관(26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패널(263)에 고정된 일단에서 자유단인 타단으로 갈 수록 내경이 커지게 형성하여 확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반관(264)의 내측으로 갈수록 교반관(264)과 확관부(26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여, 교반관(264)으로 유입되는 약액이 가속되어 상기 확관부(262)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후면패널(212)에는 상기 에어공급관(22)과 연통되게 연결관(212a)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12a)과 상기 교반패널(263) 사이에는 유입공간(212b)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1)에 용수공급부(60)를 통해 유입된 용수와 마이크로버블공급부(30)를 통해 유입되는 마이크로버블수와 산화보조제공급부(40)를 통해 유입되는 차아염소산소다의 일부가 상기 후면패널(212)과 상기 교반패널(263) 사이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공간(212b)을 통해 상기 확관부(262)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촉매탱크에 수용되는 촉매로는 금속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는 백금, 티탄, 철, 망간, 코발트, 알루미늄 등의 금속산화물을 이용하여 고온(예: 약 1600℃)에서 소결한 세라믹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촉매는 성분 농도가 다른 여러 종의 금속산화물을 혼합한 것으로, 페라이트계 자성체, 철, 몰리브덴, 코발트, 티타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륨, 지르코늄, 규소, 텅스텐, 크롬, 망간, 칼슘, 게르마늄의 금속산화물을 조합하여 고온(예: 약 1600℃)에서 소결한 것으로서 볼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산화물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는, 마이크로버블수와 산화보조제와 용수 및 에어를 혼합하여, 약액을 형성한 후 알갱이 형태의 금속산화물 촉매에 의해 촉매탱크로 이동시켜 이온화를 시킨 후 탈취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약품이 균일하게 용수에 분포되지 않고 편중되게 분포되어 불균일하게 악취가 제거됨과 아울러 악취제거효율이 재차 떨어지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촉매수 발생장치 20 : 교반배출부
30 : 마이크로버블공급부 40 : 산화보조제공급부
50 : 촉매탱크 60 : 용수공급부
70 : 에어공급부
21 : 하우징본체 211 : 외면패널
212 : 후면패널 212a : 연결관
212b : 유입공간
22 : 에어공급관
23 : 용수공급관 24 : 산화보조제공급관
25 : 배출관 26 : 교반혼합수단
261 : 격벽패널 261a : 관통공
262 : 확관부 263 : 교반패널
263a : 연결공 264 : 교반관
51 : 금속산화물 촉매
100 : 탈취장치

Claims (5)

  1.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약액세정 탈취장치에 공급되도록 촉매수를 제조하는 촉매수 발생장치로서,
    촉매수에 에어를 공급하여 마이크로버블수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공급부;
    상기 마이크로버블공급부에서 마이크로버블수를 공급받고, 유입되는 용수와 에어를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교반배출부;
    상기 교반배출부에 산화보조제를 공급하는 산화보조제공급부; 및
    상기 교반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공급받아 이온화를 유도한 후 탈취장치에 공급하는 촉매탱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교반배출부는 내부에 교반공간을 갖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후면패널에 형성되는 에어공급관과, 상기 하우징본체의 외면패널부의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용수공급관과, 상기 하우징본체의 외면패널부의 타측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산화보조제공급관과, 상기 교반공간의 약액을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에는 교반혼합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교반혼합수단은 상기 하우징본체의 외면패널 내측면에 설치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격벽패널과, 상기 격벽패널의 관통공과 연통되게 상기 격벽패널의 배면부에 설치되는 확관부와, 상기 후면패널의 내측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확관부의 끝단부와 일정간격유지되게 상기 후면패널에 설치되고, 연결공이 형성된 교반패널과, 상기 확관부가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격벽패널과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상기 교반패널의 전면부에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교반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탱크에는 내부에 금속산화물 촉매가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에는 상기 에어공급관과 연통되게 연결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교반패널 사이에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KR1020190005850A 2019-01-16 2019-01-16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KR10197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50A KR101973153B1 (ko) 2019-01-16 2019-01-16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50A KR101973153B1 (ko) 2019-01-16 2019-01-16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153B1 true KR101973153B1 (ko) 2019-04-29

Family

ID=6628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50A KR101973153B1 (ko) 2019-01-16 2019-01-16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989B1 (ko) * 2020-03-11 2020-09-16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303A (ko) * 2003-02-10 2004-08-18 보성환경산업(주)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KR20160002064A (ko) * 2014-06-30 2016-01-07 다이텍연구원 촉매산화수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 중 입자상물질을 분해하는 전처리 방법
KR101587597B1 (ko) 2015-12-17 2016-01-21 (주)이화에코시스템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50028B1 (ko) * 2016-06-15 2016-08-22 계룡환경주식회사 와류 발생 노즐과 이를 포함한 정체수 없는 물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303A (ko) * 2003-02-10 2004-08-18 보성환경산업(주)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KR20160002064A (ko) * 2014-06-30 2016-01-07 다이텍연구원 촉매산화수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 중 입자상물질을 분해하는 전처리 방법
KR101587597B1 (ko) 2015-12-17 2016-01-21 (주)이화에코시스템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50028B1 (ko) * 2016-06-15 2016-08-22 계룡환경주식회사 와류 발생 노즐과 이를 포함한 정체수 없는 물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989B1 (ko) * 2020-03-11 2020-09-16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6468B2 (ja) 空気オゾン混合器及びオゾンフォグ発生装置
KR102076856B1 (ko)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JP5106982B2 (ja) 悪臭処理方法、悪臭処理システムおよび飼育システム
JPS5912334B2 (ja) 基液を他の媒体と混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352166B1 (ko) 기체의 효율적 용해와 슬러지 교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834909B1 (ko)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KR101973153B1 (ko) 촉매와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약액세정 탈취장치의 촉매수 발생장치
KR101845909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유해가스 처리시스템
KR101792157B1 (ko) 기체 용존율을 증가시키며 초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체용존장치
KR101718434B1 (ko) 기액 급속 교반식 탈취기
KR101733375B1 (ko) 단계식 약액탈취장치
KR101963765B1 (ko) 촉매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세정장치를 구비한 약액세정탈취장치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101824240B1 (ko) 미세기포 발생용 기체용해장치를 포함한 고밀도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2094708B1 (ko) 복합악취 제거 다기능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040072303A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JP2007319830A (ja)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排ガス処理システム
JP2007309864A (ja) 除染方法、除染装置および原子力施設
JP3792378B2 (ja) 湿式オゾン脱臭装置
KR101955158B1 (ko) 캐비테이션 기포발생기를 이용한 친환경 악취제거장치
KR101997186B1 (ko) 촉매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세정장치
PL183241B1 (pl) Urządzenie do mieszania powietrza i wody w oczyszczalniku wody
KR101915170B1 (ko) Throat형 폭기증폭관과 원료폐수를 공급받는 챔버를 포함하는 수직형 폭기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와 폭기장치
JP2002273451A (ja) 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