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584A - 바둑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584A
KR20010102584A KR1020007003516A KR20007003516A KR20010102584A KR 20010102584 A KR20010102584 A KR 20010102584A KR 1020007003516 A KR1020007003516 A KR 1020007003516A KR 20007003516 A KR20007003516 A KR 20007003516A KR 20010102584 A KR20010102584 A KR 2001010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board
switch
board
checker
not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미찌 구마따
Original Assignee
요시미찌 구마따
오끼하라 마사요시
고미야마 로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미찌 구마따, 오끼하라 마사요시, 고미야마 로꾸로 filed Critical 요시미찌 구마따
Publication of KR2001010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5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43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2Chess; Similar board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43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 A63F2003/00662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with an electric sensor for playing pieces

Abstract

바둑판 본체의 각 바둑판눈의 아래쪽으로, 바둑판눈 상에 바둑돌이 두어졌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대국자가 착수 종료 시에 조작하는 검은 바둑돌 차례와 흰 바둑돌 차례용의 착수 스위치의 조작마다, 상기 착수 스위치에 의한 검은 바둑돌 차례와 흰 바둑돌 차례의 판별 정보와, 상기 바둑판눈 상의 바둑돌의 유무를 검출하는 스위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라, 대국 시나 대국 종료 후에 상기 기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보를 화면 표시시키거나, 기보를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한 바둑 시스템.

Description

바둑 시스템{SYSTEM FOR GAME OF GO}
바둑의 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 자신이 과거에 대국한 알맞은 상대의 순서 또는 다른 고단자(대체로 프로 기사)의 대국 기보를 재배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인터넷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화면을 통한 대국에서는 재현 처리도 가능하겠지만, 통상의 바둑판에서의 대국에서는, 프로 기사는 별도로 하고 자신의 대국 중에 기보 기록을 남기는 것은, 실질적으로 곤란하다.
본 발명은, 본격적인 바둑판을 이용한 대국 중에, 자동적으로 기보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그 기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바둑돌을 배열할 수 있도록 한 바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둑 시스템은,
각 바둑판눈 상의 바둑돌의 유무를 검출하는 바둑돌 검출 수단이 설치된 바둑판 본체와,
착수 종료마다 수동 조작되는 검은 바둑돌 차례용과 흰 바둑돌 차례용의 순서 착수 스위치와,
상기 착수 스위치가 조작될 때마다, 상기 착수 스위치와, 상기 바둑돌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보 데이터 생성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대국자가 착수 종료마다 검은 바둑돌 차례용 또는 흰 바둑돌 차례용의 착수 스위치를 교대로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착수 스위치에 의해 검출되는 검은 돌과 흰 돌의 판별 정보와, 바둑돌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새롭게 둔 바둑돌, 따낸 바둑돌의 위치(바둑판눈)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보 데이터 수단이 기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보를 재현할 수가 있다.
또한, 착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기보 데이터의 갱신이 행해지기 때문에, 검은 돌과 흰 돌을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음과 함께, 잘못해서 바둑돌을 떨어뜨리거나, 바둑돌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정확하게 고친 상태에서 데이터가 갱신되어, 정확하게 기보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기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보 데이터 기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국 종료 후에, 기억된 기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보를 재현할 수 있어, 차분히 검토할 수가 있다. 특히, 플로피 디스크 등의 착탈가능한 메모리를 구비하여 보관하면, 언제나 기보의 재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보 데이터는, 화면의 바둑판눈에 착수 순서대로 바둑돌이 배열되어 표시되도록 생성되어도 상관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전과 마찬가지로 바둑돌이 배열되어 표시되므로, 알기 쉽고, 검토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이 방식으로 함으로써 대국의 모습을 화면으로 리얼 타임으로 관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보 데이터를 화면에 화상 표시하는 표시 수단이나 프린트 표시하는 프린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즉, 일반적으로는, 화면 표시나 프린트는 기존의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젼이나 프린터를 이용하면 좋지만, 액정 등의 간이한 표시 수단이나 프린터를 세트로 한 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둑돌 검출 수단은, 바둑판눈의 각각의 아래쪽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자석편과, 상기 자석편마다 설치되고, 자성체를 포함하여 형성된 바둑돌을 대응하는 바둑판눈 상에 두었을 때에 상기 자석편이 상측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바둑돌을 바둑판눈 상에 두면, 자력에 의한 흡인력으로 자석편이 구동하고, 이에 따라, 접점을 온 또는 오프로 하도록 스위칭 동작하여, 바둑돌을 검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소자는, 바둑판눈 상에 두어진 바둑돌과 상기 바둑돌에 흡인되는 자석편 사이에 끼워져 온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자석편의 아래쪽에 접점을 설치하고, 자석편의 상측으로의 구동에의해, 자석편의 중력으로부터 개방된 접점이 온 또는 오프가 되도록 스위칭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바둑돌과 상기 바둑돌에 흡인되는 자석편 사이에 끼워져 온으로 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큰 힘으로 접점을 사이에 둘 수 있으므로, 상기 중력을 이용한 접점 개폐 방식에 비교하여 스위칭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석편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금속성의 파이프 부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자석편의 가로 방향의 자력선이 제한되고, 인접하는 자석편 상호간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어, 각 자석편의 상하 이동이 이웃하는 자석편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바둑판 본체에 상기 자석편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공동의 내주면을, 내마모재로 이루어지는 보호 시트로 피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예를 들면 스위치 소자의 일부를 자석편의 외측에 따라서 배치한 경우 등은, 자석편의 상하 이동에 의한 상기 스위치 소자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자석편이 공동의 안을 순조롭게 상하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바둑돌 검출 수단은, 바둑판눈의 각각의 아래쪽에 부착된 근접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며, 금속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바둑돌을 대응하는 바둑판눈 상에 두었을 때에, 감지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금속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바둑돌을 바둑판눈 상에 두면, 하측의 근접 스위치의 센서부에 접근함으로써, 발진의 정지, 발진 주파수의변화 등에 의해 바둑돌이 있는 것을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바둑돌 검출 수단은, 바둑판눈의 각각의 아래쪽에 부착된 빔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고, 금속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바둑돌을 대응하는 바둑판눈 상에 두었을 때에, 빔 스위치로부터 발광된 광이 바둑판눈 아래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바둑돌에 닿아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바둑돌을 바둑판눈 상에 두면, 하측의 빔 스위치로부터 발광된 광이 바둑판눈 아래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바둑돌에 닿아 반사되는 광을 감지함으로써, 바둑돌이 있는 것을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통상의 바둑돌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둑 시스템에 바둑돌을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기보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 처리할 수 있는 바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판 본체에 있어서의 바둑돌 검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돌 검출부의 스위치 소자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전체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스위치군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6은 바둑돌 검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바둑돌 검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바둑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고, 후술하는 바둑돌 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 바둑판 본체(1)와, 페라이트제의 바둑돌(검은 돌 및 흰 돌)이 들어 간 2개의 바둑알 통(2)과, 상기 바둑판 본체(1)의 제어 회로에 접속되고, 착수마다 검은 바둑돌과 흰 바둑돌 순서를 교대로 수동 조작되는 2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한 착수 스위치(3)와, 상기 바둑판 본체(1)의 제어 회로에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4)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4)에 접속된 프린터(5)와, 상기 바둑판 본체(1)의 제어 회로, 퍼스널 컴퓨터(4), 프린터(5) 등의 전원 스위치를 구비한 스위치 조작반(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둑판 본체(1)의 판면에는, 종횡 각각 19줄이 있고, 19×19로 합계 361의 눈(바둑판눈)이 형성되어 있지만, 통상과 달리 바둑판 본체(1)의 내부에 여러가지의 전자 부품, 전기 부품이 실장되고, 측면 혹은 하면에는, 상기 착수 스위치(3),퍼스널 컴퓨터(4), 스위치 조작반(6)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바둑판 본체(1)의 각 바둑판눈에 있어서의 종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부판(11)의 아래쪽에는 스위치 홀더판(12), 고무제의 베이스판(13), 프린트 기판(14), 고무제의 커넥터 보호판(21)이 적층하여 고정되어 있고, 각 바둑판눈의 아래쪽에는 각각 바둑돌 검출 스위치(바둑돌 검출 수단)가 이하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즉, 스위치 홀더판(12)의 각 바둑판눈 하측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공동(15)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공동(15) 내에는, 원반형의 자석편(16)의 하반분 정도를 철제 등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파이프(17)의 상단부에 매립하여 고정한 것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소정의 간극을 갖고 끼워져 있다. 상기 파이프(17)와 공동(l5) 사이에, 내 마모재로 이루어지는 보호 파이프(18)가 끼워져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스위치 소자(19)가 설치된다. 도 3에 있어서, FPC 수지제의 플렉시블 케이블(19A)의 한쪽 표면에 한쌍의 금 도금(9B, 19C)이 대략 평행하게 이격하여 행해지고, 플렉시블 케이블(19A)의 2개의 원 형상 부분이 연결되는 형상의 각 원 형상 부분에, 상기 한쌍의 금 도금(19B, 19C)의 원 형상의 일단부가, 각각 접점(19a, 19b)으로서 형성되고, 한편의 접점(19b)의 중앙부는,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원 형상 부분 사이의 접속 부분이 접점(19a, 19b)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되고, 외압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점(19a, 19b) 상호가 이격하여 오프로 유지되지만, 상기 각 원 형상 부분을 끼우는 방향으로 약간의 외압을 가할 뿐으로, 상기 접점(19b)의 중앙부가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탄성 기능에 힘입어, 용이하게 접점(19a, 19b) 상호가 밀착하여 온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19A)의 상기 2개의 원 형상 부분의 기단부와, 타단부를 상기와 동일측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한 스위치 소자(19)를, 상기 기단부가 상기 자석편(16)의 상측에 천장판(11)의 저면에 따르도록 배치하고, 세로 길이의 중간 부분이 상기 보호 파이프(18)와 공동(15) 사이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절곡된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판(13) 및 프린트 기판(14)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14)의 저면에 고정된 커넥터(20)에 삽입되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바둑판눈에 바둑돌 S를 두면, 자석편(16)은 자력에 의해 자성체인 페라이트제의 바둑돌 S에 흡인되어 상측으로 구동되고, 스위치 소자(19)가 절곡된 상기 한쌍의 원 형상 부분을 가압하므로, 접점(19a, 19b) 상호가 밀착하여 온이 된다.
여기서, 상기 철제의 파이프(17)를 설치함으로써, 자석편(16)의 가로 방향의 자력선이 제한되고, 인접하는 자석편(16) 상호 사이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어, 각 자석편(16)의 상하 이동이 이웃하는 자석편(15)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시트(17)를 설치함으로써, 자석편(16)의 상하 이동에 의한 스위치 소자(19)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석편(16)이 공동(15) 안을 순조롭게 상하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베이스판(13)을 고무제로 한 것으로, 바둑돌이 떼내어져서 파이프 부재(17)가 베이스판(13)에 닿을 때에 생기는 소리를 대국자에게 알아차리게 하지 않을 정도로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프린트 기판(14)의 반전면(半田面)이 보호가 되어 있다.
도 4는, 바둑판 본체(1) 내부에 실장되어 있는 회로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4)에 있어서 사용되는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전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스위치군(31)은 상기 스위치 소자(19)의 각 한쌍의 접점(19a,19b) 및 자석편(16)이 구성하는 스위치가 361눈분이 모인 것이다. 상기 스위치군(31)으로부터는, 소정수의 스트로브선(예를 들면 19개의 스트로브선이 있을 때에는, 361/19=19개)의 신호선이 추출되고, 인터페이스(32)를 통하여 데이터 처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부(33)에는, 이 외에 조작부(34)(도 1의 착수 스위치(3), 스위치 조작반(6) 등으로 이루어진다)가 인터페이스(35)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부(33)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군(31)으로부터의 각 신호선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모든 바둑판눈에 대해 돌의 유무의 판별을 행하게 되어 있다. 메모리(36)는, 이러한 제어에 이용된다.
도 5는, 상기 스위치군(31)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다. 또, 이 도면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스위치 소자(19), 자석편(16) 및 후술하는 다이오드 (D)는 1개의 스위치·유닛(U)(U1∼U361)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19개의 세로 방향의 구동선(DV)(DV1∼DV19)에 대해, 19개의 가로 방향의 검출선(DET)(DET1∼DET19)이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구동선(DV)와 구동선 (DV)는 상기 프린트 기판(14)에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이들 구동선 (DV)와 검출선 (DET)가 교차하는 각 바둑판눈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선 (DET)에는, 다른 스위치· 유닛 (U)에의 역류 방지용의 다이오드(D)의 캐소드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D)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커넥터(20)를 통해 상기 스위치 소자(19)의 한쪽의 접점(19a 또는 19b)과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19)의 다른쪽의 접점(19b 또는 19a)은, 상기 커넥터(20)를 통해 구동선 (DV)와 접속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각 구동선 (DV)는, 포토·커플러(PCV)(PCV1∼PCV19)의 포토· 트랜지스터를 통해 5V의 전원 레벨에 접속되어 있다. 포토· 커플러(PCV)의 발광 다이오드의 일단은 5V의 전원 레벨에 접속됨과 함께, 스위치 (OUTX)(OUTX1∼OUTX19)를 통해 접지 레벨에 접속되어 있다. 가로 검출선 (DET)는, 다른 포토·커플러(PCD)(PCD1∼PCD19)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접지 레벨에 접속되고, 포토·커플러(PCD)의 포토· 트랜지스터는 5볼트의 전원 레벨에 접속되고, 타단은 검출 레벨의 신호선(IN)(IN1∼IN19)에 접속되고, 또한, 도 4의 인터페이스(32)를 통해 데이터 처리부(33)에 접속된다.
도 5의 구성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돌의 유무를 판별한다. 우선, 컴퓨터의 명령에 의해, 스위치(OUTX1∼OUTX19)를 순차 온으로 한다. 온으로 되어 있는 스위치(OUTXn)(n은 1∼19)에 대응하는(PCVn)이 온 구동되고, 대응하는 세로의 구동선 (DVn)의 레벨이 고레벨로 된다. 이 때 이 구동선 (DVn) 상에 바둑돌이 있으면, 스위치·유닛(Un)이 온으로 되고, 대응하는 검출선(DETm)의 레벨이 고레벨로 된다. 따라서, 스위치(UTXn) 온의 타이밍과 신호선(Nm) 레벨에 따라서 구동선 (DVn) 상의 바둑판눈 상의 바둑돌의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이 판별은 데이터 처리부(53)가 행한다. 그리고, 스위치(UT1∼19) 1회 온 주사하면, 모든 바둑판눈의 바둑돌의 유무를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4의 데이터 처리부(3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처리부(33)는, 착수 후에 검은 바둑돌 차례, 흰 바둑돌 차례에 대응하여 상기 착수 스위치(3)가 조작될 때마다, 상기 스위치(UTX1∼19) 온 주사를 행하고, 어떤 바둑판눈 상에 바둑돌이 있는지를 판별하여, 전회의 판별 결과와 이번의 상태 데이터를 비교하고, 신호선(Nm) 레벨이 저레벨로부터 고레벨로 변화하고 있는 바둑판눈에 대해서는, 「돌을 두었다」라고 판단하고, 신호선(INm)의 레벨이 고레벨로부터 저레벨로 변화하고 있는 바둑판눈에 대해서는, 「돌을 떼내었다」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상의 착수 스위치(3)에 의한 검은 돌, 흰 돌의 구별, 위치 데이터 및「돌을 두었다」,「돌을 떼내었다」의 데이터는, 순번을 부착한 후, 메모리(36)에 저장된다. 또, 떼내어진 우측의 검은 돌, 흰 돌의 구별은, 조작된 착수 스위치(3)에 대응하는 돌과는 다른 돌(예를 들면 검은 바둑 돌 차례[흰 바둑돌 차례]가 착수했을 때에 떼내지는 돌은 흰 바둑돌[검은 바둑돌])로서 구별한다. 또한, 바둑둘을 둔 경우에는, 대국 개시 직후(스위치 조작반(6)의 스타트 스위치 조작으로 그것을 알 수 있다)에 복수의 돌을 두고 있는지를 판별하고, 두어졌으면 그 돌은 검은 돌이라고 판단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두어진 돌, 떼내어진 돌의 흑백별, 바둑판눈의 위치가 순서붙여져 기억되고, 기보 데이터가 작성된다.
여기서, 착수 스위치(3)의 조작에 의해 기보 데이터의 갱신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검은 돌과 흰 돌을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잘못하여 바둑돌을 떨어뜨리거나, 바둑돌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한 경우에도, 정확하게 고친 상태에서 데이터가 갱신되어, 정확하게 기보를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기보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기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구동부를 제어하여, 퍼스널 컴퓨터(4)의 화면에 순차 표시시키면 좋다. 기보 데이터가 메모리(36)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대국 후에 메모리(36)로부터 판독하여재현함으로써, 차분히 검토할 수가 있다. 일시 정지 기능이나 후 복귀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33)의 출력에 기초하여 리얼 타임으로 화면 표시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대국자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제3자(해설자 등)가 관전할 수가 있다. 특히, 퍼스널 컴퓨터측의 처리에 의해 복수의 대국을 대화면에서 동시에 또는 화면을 전환하여 관전하는 일도 가능하고, 여럿이 참가하는 바둑 경기 대회에서의 관전이나 바둑 교실에서의 복수의 대국자에게 대한 지도(대국자측과 지도자에게 각각 퍼스널 컴퓨터를 설치하여 차트를 이용한 상호 통신 지도 등도 가능) 등에도 이용할 수가 있어, 개개의 대국을 텔레비젼 카메라 촬영하는 등의 설비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운영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대국 종료 후에 기보 데이터를 프린터(5)로 프린트 아웃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린트에서의 표시로서는, 간행물에서의 표시와 마찬가지로, 바둑판눈을 좌표(1의 1 등)로 나타내거나, 바둑판눈 상의 돌에 착수 번호를 붙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보 데이터는 플로피 디스크 등의 착탈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후일 재현하거나, 기보 데이터를 관리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둑 경기 대회의 예선 등 다수의 대국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대국자에게 기보 데이터를 플로피 디스크 등으로 기억시키고, 대국 종료 후에 프린트된 기보를 제출시키는 등의 셀프서비스 방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기록계를 붙일 필요가 없게 된다.
또, 도 4에 도시한 시스템 전체의 회로에 있어서, 스위치군(31)은 바둑판 본체(1)에 설치되지만, 데이터 처리부(33), 메모리(36)에 대해서는 바둑판 본체(1) 측, 퍼스널 컴퓨터측 중 어디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데이터 처리부(33), 메모리(36)를 바둑판 본체(1) 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국 중의 화면 표시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4)와의 접속은 불필요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기보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면, 퍼스널 컴퓨터(4)를 대신하여 텔레비젼의 비디오 단자에 접속하여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둑판 본체(1)에 상기 플로피 디스크 등의 메모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해 놓으면, 재생은 퍼스널 컴퓨터(4)만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33), 메모리(36)를 퍼스널 컴퓨터(4)측에 설치하는 경우에서도, 기존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도록 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부(33)는 플로피 디스크나 CD 등에 기억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착수 스위치(3)에는, 시간 제한이 있는 대국에 이용되는 검은 바둑돌 차례, 흰 바둑돌 차례마다 착수 시간을 계측하는 대국 시계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시계를 퍼스널 컴퓨터(4)의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착수 스위치와 스위치 조작판을 일체화하고, 또한, 이들 조작 스위치를 바둑판 본체(1)에 설치하여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바둑돌은, 전체를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로 형성하는 것 외에, 수지재의 내부에 자성체를 매립한 것, 자성체 가루를 혼입시킨 것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자석 기능에 의한 바둑돌 검출 수단과는 다른 구성의 바둑돌 검출 수단을 갖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근접 스위치(기계식의 접점을 갖지 않은 비접촉형 스위치)를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바둑판 본체(1)를 구성하는 상부판(11) 아래에 적층되는 스위치 홀더판(12)의 각 바둑판눈 하측 부분에 공동을 설치하여, 각각, 근접 스위치(41)를 배치한다. 상기 근접 스위치(41)는, 상단의 검출 코일로 구성되는 센서 헤드(41A), 발진 회로(41B), 검출 회로(41C), 출력 회로(41D)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검출 대상인 바둑돌(S')는, 금속제 내지 금속재를 포함한 것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둑돌(S')를 바둑판눈 상에 두면, 하측의 근접 스위치(41)에 있어서는, 발진 회로(41B)에 의해 센서 헤드(4lA)에 발생하는 고주파 자계에 금속을 포함하는 바둑돌(S')가 근접함에 따라 전자 유도에 의해, 바둑돌(S')에 유도 전류(와전류)가 흘러, 상기 유도 전류에 의해 센서 헤드(41A)의 검출 코일의 임피던스가 변화하여, 발진이 정지한다. 이것을 검출 회로(41C)로부터 검출하여 출력 회로(4lD)의 출력이 고레벨로 된다. 또, 바둑돌(S')의 금속으로서 알루미늄 등의 비자성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바둑돌(S')를 두면(비자성 금속이 접근하면) 고주파 발진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발진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검출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근접 스위치(41)를 도 4의 스위치·유닛(U)로서 배치함으로써,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센서 헤드(41A)와 발진 회로(41B), 검출 회로(41C), 출력 회로(41D)를분리한 구성의 근접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센서 헤드(41A)가 소형화된다.
도 7은, 빔 센서를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바둑판 본체(1)를 구성하는 상부판(11)에 각 바둑판눈 부분을 관통하는 소직경(0.4㎜ 정도)의 구멍(11a)을 형성하고, 그 하측의 스위치 홀더판(12)에 공동을 설치하여, 빔 센서(51)를 배치한다. 상기 빔 센서(51)는 반사형이고, 상단에 설치되는 송수광 소자(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일체로 되어 있다)(51A)의 발광 소자로부터 상측에 발광된 광이, 바둑돌 (S'')이 두어질 때에는, 상기 구멍(1la)을 통해서 상측으로 방출되지만(적외선 등의 비가시광이 이용되기 때문에, 대국자에게 영향은 없다), 바둑돌 (S")를 두면, 바둑돌 (S")의 저면에서 반사하여 구멍(11a)을 통과하고, 송수광 소자(51A)의 수광 소자에 수광된다. 이것을, 광전 변환 소자로 구성되는 수광 소자가 광전 변환하여 온이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빔 센서(51)를 도 4의 스위치·유닛(U)로서 배치함으로써,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용의 바둑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바둑돌을 제외한 세트로서 판매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고급의 바둑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둑돌 검출 수단은,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한하지 않고, 바둑돌의 중력만으로 온이 된 스위치(압전 소자 등을 포함)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마츄어의 바둑 애호가뿐만 아니라 프로기사의 대국에도 이용할 수 있어, 나아가서는 대국을 행하는 경기 대회나 바둑 교실 등에도 폭 넓게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게임기 산업에 크게 공헌하는 것이다.

Claims (14)

  1. 각 바둑판눈 상의 바둑돌의 유무를 검출하는 바둑돌 검출 수단이 설치된 바둑판 본체와,
    착수 종료마다 수동 조작되는 검은 바둑돌 차례용과 흰 바둑돌 차례용의 착수 스위치와,
    상기 착수 스위치가 조작될 때마다, 상기 착수 스위치와, 상기 바둑돌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보 데이터 생성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기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보 데이터 기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보 데이터는, 화면의 바둑판눈에 착수 순서대로 바둑돌이 배열되어 표시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보 데이터를 화면에 화상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보 데이터를 프린트 표시하는 프린트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둑돌 검출 수단은, 바둑판눈의 각각의 아래쪽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자석편과, 상기 자석편마다 설치되고, 자성체를 포함하여 형성된 바둑돌을 대응하는 바둑판눈 상에 두었을 때에 상기 자석편이 상측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는, 바둑판눈 상에 두어진 바둑돌과 상기 바둑돌에 흡인되는 자석편 사이에 끼워져 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편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금속성의 파이프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둑판 본체에 상기 자석편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공동의 내주면에 내마모재로 이루어지는 보호 시트가 피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둑돌 검출 수단은, 바둑판눈의 각각의 아래쪽에 부착된 근접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며, 금속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바둑돌을 대응하는 바둑판눈 상에 두었을 때에, 감지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둑돌 검출 수단은, 바둑판눈의 각각의 아래쪽에 부착된 빔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고, 금속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바둑돌을 대응하는 바둑판눈 상에 두었을 때에, 빔 스위치로부터 발광된 광이 바둑판눈 아래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바둑돌에 닿아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둑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 시스템.
  13.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둑 시스템에 이용되고, 자성체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돌.
  14. 상기 제10항에 따른 바둑 시스템에 이용되고, 금속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돌.
KR1020007003516A 1999-11-01 1999-11-01 바둑 시스템 KR20010102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6081 WO2001032277A1 (fr) 1999-11-01 1999-11-01 Systeme de jeu de g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584A true KR20010102584A (ko) 2001-11-16

Family

ID=1423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516A KR20010102584A (ko) 1999-11-01 1999-11-01 바둑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10102584A (ko)
WO (1) WO2001032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983152U (zh) * 2012-08-09 2013-06-12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可自动记录对弈过程的棋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25B2 (ja) * 1980-05-21 1985-05-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刷用棋譜コ−ド作成装置
JPH0354680U (ko) * 1989-09-29 1991-05-27
JPH06285209A (ja) * 1993-04-06 1994-10-11 Sansei Shokai:Kk 囲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2277A1 (fr) 200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397A (en) Computer interface apparatus for an amusement device
CN101815978B (zh) 游戏终端及其控制方法和通信系统
TWI277021B (en) Interactive multi-sensory reading system electronic teaching/learning device
US20080146329A1 (en) Move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6815599B2 (en) Musical instrument
US20060175753A1 (en) Electronic game board
JP4760163B2 (ja) 遊技機
JP2017099730A (ja) 遊技機
JPWO2006107103A1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入力装置
US6979245B1 (en) Puzzle apparatus with audible sounds
US20050231470A1 (en) Cordless poin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20010102584A (ko) 바둑 시스템
JP7310840B2 (ja) カード型遊技媒体
US20080128989A1 (en) Electronic game board and control unit
JP398525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入力装置
JP6207169B2 (ja) 遊技システム、遊技機及び遊技用装置
JP2003310975A (ja) 遊技機
JP2009225847A (ja) 将棋ゲーム機
WO2020013202A1 (ja) ゲーム機および遊技媒体
KR20020003244A (ko) 바둑돌 검출 장치 및 바둑 시스템
KR100883688B1 (ko) 스위치형 알에프 아이디 태그가 내장된 스마트 북 및 이를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JP2006198025A (ja) 遊技機及び遊技システム
KR200200127Y1 (ko) 자동 기보작성 바둑판
JP2006180914A (ja) 遊技機及び遊技システム
JP7382500B2 (ja) ダーツ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