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856A - 통신용 잭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통신용 잭 어셈블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856A
KR20010101856A KR1020017008947A KR20017008947A KR20010101856A KR 20010101856 A KR20010101856 A KR 20010101856A KR 1020017008947 A KR1020017008947 A KR 1020017008947A KR 20017008947 A KR20017008947 A KR 20017008947A KR 20010101856 A KR20010101856 A KR 2001010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jack housing
housing
face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미드트죤디
헤네버거로이리
콥폭데이비드
케슬러블레들리에스
폼마챤챈시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8704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10185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0/00006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42682A1/en
Publication of KR2001010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는 잭에 대한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인서트는 제2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를 가지는 커넥터 마운트를 포함한다. 커넥터 마운트는 커넥터 마운트를 잭에 설치하기 위해서 메인 몸체에 위치된 스냅-핏 연결구조, 메인 몸체의 제1 측면에 위치한 디바이더 그리고 메인 몸체의 제1 측면에 위치한 절연 이송 단자 하우징을 또한 포함한다. 다수의 컨텍트 스프링들은 디바이더에 의해 분리되고, 다수의 절연 이송 단자들은 절연 이송 단자 하우징에 의해 수용된다. 인서트는 절연 이송 단자들과 컨텍트 스프링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들을 제공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메인 몸체의 제2 측면에 설치된다. 혼선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몇몇 전기 커넥터들은 하나의 방법으로 컨텍트들을 위치시킨다. 인서트 어셈블리는 플러그의 컨텍트들과 전기적 접촉을 위해 잭 내부에 스프링 컨텍트들을 위치시킨다. 인서트 어셈블리는 y-축에서 인접 스프링 컨텍트들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엇갈리게 배치하며, 그리고 x-축으로 스프링 컨텍트 피봇 포인트들을 엇갈리게 배치하며, 그러나 플러그의 컨텍트들과 접촉하기 위해서 모든 스프링 컨텍트들에 대한 일반적인 컨텍트 영역은 유지시킨다. 엇갈리는 스프링 컨텍트들의 선단부들은 근접 스프링들 사이에 격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위치된다. 인서트 어셈블리는 격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서트 어셈브리에 설치된 스프링 컨텍트들 사이에 선택된 공기 통로 그리고 혼선을 제거하기 위한 선택된 유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용 잭 어셈블리{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통신 산업에서 다양한 전기/광섬유 커넥터가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인 커넥터 형상은 페이스플레이트 또는 벽과 같은 구조물에 종종 설치되는 아웃렛(outlet)(콘센트)을 포함한다. 페이스플레이트는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는 다수의 입구부들을 가진다. 전형적인 커넥터는 종래의 8개 위치 모듈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포트를 가지는 모듈 잭을 포함한다. 커넥터들의 다른 형태들은 SC 커넥터들, ST 커넥터들, BNC 커넥터들, F 커넥터들 및 RCA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통신 산업에 대한 전기/광섬유 커넥터들을 고려하면, 커넥터들이 쉽게 설치되며, 설치된 후에 쉽게 접근되며 그리고 쉽게 수리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커넥터들이 대응하는 페이스플레이트 안에서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들을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커넥터들은 대응하는 페이스플레이트를 벽으로부터 제거할 필요없이 쉽게 접근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들은 벽에 설치된 잭에 또는 선반이나 캐비닛에 설치된 패널이나통신 장비의 부품에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잭은 잭속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컨텍트들과 접촉하기 위해서 적당한 위치에서 근접한 간격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스프링 컨텍트들을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잭의 스프링 컨텍트들은 종종 인쇄 회로기판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된다. RJ45 플러그와 잭 커넥터 시스템은 근접한 간격으로 위치하는 컨텍트들을 포함하는 잘 알려진 표준이다.
통신 커넥터들에서 컨텍트들 사이의 혼선은 컨텍트들의 근접한 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에 기인한다. 미국 특허 제5399107호; 제5674039호; 및 제5779503호는 혼선의 문제를 다루려고 한 잭들과 플러그들을 포함한 다양한 커넥터들의 예들이다. 높은 주파수들이 커넥터를 통해 전송됨에 따라 혼선 문제가 증가하는 RJ45 커넥터와 같은 전기 커넥터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대체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통신 산업에 사용되는 잭과 같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도록 구성된 잭 어셈블리의 전방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잭 어셈블리의 후방 사시도;
도 2는 도 1a와 도 1b의 잭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3은 도 1a와 도 1b의 잭 어셈블리에 의해 사용된 직선형 잭들 중의 하나에 대한 분해도;
도 4는 도 3의 직선형 잭의 분해 측면도;
도 5는 도 3과 도 4의 직선형 잭에 의해 사용된 잭 하우징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3과 도 4의 직선형 잭에 의해 사용된 커넥터 마운트의 사시도;
도 7a는 잭 하우징과 완전히 조립되고 일렬로 정렬된 잭 인서트를 가진 도 3과 도 4의 직선형 잭의 사시도;
도 7b는 잭 하우징 안에 삽입된 조립 잭 인서트를 가진 도 3과 도 4의 직선형 잭을 후방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1a와 도 1b의 두 개의 잭들을 수직하게 절단한 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절단 라인 9-9를 따르는 횡단면도;
도 10은 도 1a와 도 1b의 각진 잭중의 하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각진 잭의 분해 측면도;
도 12a내지 12e는 도1a와 도 1b에 나타낸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직선형 ST-타입 커넥터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3a내지 13e는 도1a와 도 1b에 나타낸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직선형 RCA-타입 커넥터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4a내지 14e는 도1a와 도 1b에 나타낸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직선형 F-타입 커넥터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5a내지 15e는 도1a와 도 1b에 나타낸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직선형 복식 SC-타입 커넥터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6a내지 16e는 도1a와 도 1b에 나타낸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직선형 SC-타입 커넥터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7a내지 17e는 도1a와 도 1b에 나타낸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각진 복식 SC-타입 커넥터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8a내지 18e는 도1a와 도 1b에 나타낸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직선형 BNC-타입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19a내지 19e는 도 1a와 도 1b의 페이스플레이트 안에 스냅-핏되는 블랭크 또는 커버를 나타내며;
도 20a내지 20e는 도 1a와 도 1b의 페이스플레이트 안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각진 ST-타입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21a내지 21e는 도 1a와 도 1b의 페이스플레이트 안에 스냅-핏되는 지지 구조에 설치된 각진 SC-타입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22는 각각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잭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잭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3은 잭들 중 하나와 수직하게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하는 도 22의 잭 어셈블리의 횡단면 측면도;
도 24는 도 22의 잭 어셈블리에 사용된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단부에서 본 도면;
도 26은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본 도면;
도 27은 도 24의 도면에 대한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반대쪽 단부에서 본 도면;
도 28은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바닥에서 본 도면;
도 29는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30은 도 26의 라인 30-30을 따라 취해진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횡단면 측면도;
도 31은 도 26의 라인 31-31을 따라 취해진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또 다른 횡단면 측면도;
도 32는 도 30과 같은 횡단면 측면도로,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스프링 컨텍트들과 전기 접촉하는 컨텍트를 가진 플러그를 나타내며;
도 33은 도 31과 같은 횡단면 측면도로,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스프링 컨텍트들과 전기 접촉하는 플러그를 나타내며;
도 34는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스프링 커텍트들의 두가지 형상의 측면도로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에서 보여진 도면;
도 35는 도 24의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컨텍트 하우징의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컨텍트 하우징의 단부에서 본 도면;
도 37은 대체적인 잭 어셈블리에 대해서, 수평하게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가지고 사용한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단부에서 본 정면도;
도 39는 도 37의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위에서 본 도면;
도 40은 도 37의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바닥에서 본 도면;
도 41은 도 39의 라인 41-41을 따라 취해진, 도 37의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횡단면 측면도;
도 42는 도 39의 라인 42-42를 따라 취해진, 도 37의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또 다른 횡단면 측면도;
도 43은 도 41과 같은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횡단면 측면도로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스프링 컨텍트들과 전기 접촉하는 플러그를 나타내며;
도 44는 도 42와 같은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또 다른 횡단면 측면도로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스프링 컨텍트들과 전기 접촉하는 플러그를 나타내며;
도 45는 도 37의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스프링 컨텍트의 두가지 형상에 대한 측면도로 가가 상대적인 위치에서 보여진 도며;
도 46은 도 37의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의 컨텍트 하우징의 사시도;
도 47은 도 46의 컨텍트 하우징의 단부에서 본 도면; 그리고
도 48은 도 46의 컨텍트 하우징의 위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후방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방부를 가지는 잭 하우징을 포함하는 잭에 관한 것이다. 전방부는 내부 챔버를 가지며 또한 내부 챔버에 접근하기 위한 전방 입구부와 후방 입구부를 가진다. 전방 입구부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포트를 포함한다. 잭 하우징의 후방부는 전방부로부터 후방쪽으로 연장하는 오픈 채널을 가진다. 잭 하우징은 또한 내부 챔버 안에서 잭 하우징에 고정된 제1 콤(comb)을 포함한다.
잭은 또한 잭 하우징에 고정되는 인서트(insert)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인서트 어셈블리는 제2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측면을 가지는 커넥터 마운트를포함한다. 커넥터 마운트는 잭 하우징에 커넥터 마운트를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탄성 로킹 탭들, 커넥터 마운트의 제1 측면에 위치한 제2 콤 및 커넥터 마운트의 제1 측면에 위치한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을 포함한다. 인서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컨텍트 스프링들 및 다수의 절연 이동 단자들을 더 포함한다. 컨텍트 스프링들은 제2 콤에 의해 분리된다. 각각의 컨텍트 스프링은 베이스 단부와 자유 단부를 포함한다. 다수의 절연 이동 단자들은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에 의해 수용된다. 인서트 어셈블리는 또한 절연 이동 단자들과 컨텍트 스프링들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커넥터 마운트의 제2 측면에 설치된다.
인서트 어셈블리는 회로 기판이 오픈 채널 안에 수용되도록 인서트 어셈블리의 방향을 결정하고 인서트 어셈블리를 전방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잭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인서트 어셈블리의 한쪽 단부는 잭 하우징의 후방 입구부를 통해 잭 하우징의 내부 챔버로 이동하며; 로킹 탭들은 잭 하우징과 상호 체결되며; 그리고 컨텍트 스프링의 자유 단부들은 제1 콤 안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잭을 위한 인서트에 관계한다. 인서트는 제2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를 가지는 커넥터 마운트를 포함한다. 커넥터 마운트는 커넥터 마운트를 잭에 고정하기 위해서 메인 몸체에 위치한 스냅-핏(snap-fit) 구조를 포함한다. 커넥터 마운트는 또한 몸체의 제1 측면에 위치한 디바이더(divider)와 몸체의 제1 측면에 위치한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을 포함한다. 다수의 컨텍트 스프링들은 디바이더에 의해 분리되고, 다수의 절연 이동 단자들은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에 의해 수용된다. 회로 기판은 절연 이동 단자들과 컨텍트 스프링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회로 기판은 메인 몸체의 제2 측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후방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방 측면을 가지는 페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하기 위한 잭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플레이트는 일련의 잭 입구부들을 가진다. 잭은 페이스플레이트에 의해 규정된 잭 입구부들 중 제1 입구부 안에 설치되는 잭 하우징을 포함한다. 잭 하우징은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제1 잭 입구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잭 하우징은 제2 유지 구조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유지 구조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은 잭 하우징이 제1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어진다. 제1 및 제2 간격 유지 구조들 중 적어도 하나는 틈에 의해서 분리되는 간격 분리 유지 숄더(shoulder)를 포함한다. 각각의 유지 숄더는 간격 유지 숄더 사이에 위치된 틈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다. 잭은 또한 자유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베이스 단부를 가지는 탄성 외팔보 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단부는 잭 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되고 자유 단부는 간격 분리 유지 숄더들 사이의 틈안에 위치된다. 외팔보 부재는 외팔보 부재의 자유단부 가까이에 위치된 유지 탭을 포함한다. 유지 탭은 잭 하우징이 제1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후방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페이스플레이트가 유지 숄더와 유지 탭 사이에서 잡혀지게 된다. 외팔보 부재는 외팔보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서 규정되는 폭를 가진다. 잭 하우징의 전체 폭은 적어도 폭의 두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페이스 플레이트의 입구부 내에 잭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 외팔보 부재를 포함하는 잭에 관한 것이다. 탄성 외팔보 부재는 메인 몸체와 메인 몸체의 반대 측면들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한 윙(wing)들을 포함한다. 잭은 외팔보 부재가 처음으로 휘어질 때 윙들이 맞물리도록 위치된 휨 제한 표면들을 포함한다. 윙들과 휨 제한 표면들의 접촉은 외팔보 부재가 과도하게 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은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포트를 규정하는 잭 하우징을 포함하는 잭에 관계한다. 잭은 하우징 내에 위치한 다수의 컨텍트 스프링들을 더 포함한다. 컨텍트 스프링들은 베이스 단부들과 자유 단부들을 포함한다. 잭은 스프링들의 자유 단부들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두 개의 분리되고 대치하는 콤 구조들을 더 포함한다. 컨텍트 스프링들의 자유 단부들이 수용되는 끝이 밀폐된 슬롯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대향하는 콤 구조들은 상대적으로 일렬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다수의 전기적 접촉을 가지는 플러그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관계한다.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제1 및 제2 금속 스프링 컨택트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은: 1) 회로 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연결 단부; 2) 제1 길이방향 연장부; 3) 메인 굽힘(bend)부; 그리고 4) 플러그의 컨텍트와 맞물리는 제2 길이방향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1 길이방향 연장부, 메인 굽힘부 및 제2 길이방향 연장부는 대체로 V형상을 가진다. 제1 스프링 컨텍트의 제2 길이방향 연장부는 굽힘부에서 결합되는 두 개의 선형부들을 가진다.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2 길이방향 연장부는 선형적으로 확장한다. 유전성컨텍트 하우징은 스프링 컨텍트를 유지하며, 컨텍트 하우징은 x-축, y-축 및 z-축을 규정한다. 컨텍트 하우징은 x-축 방향으로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은: 1)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이 z-축을 따라 엇갈리며; 2)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는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으로부터 y-축을 따라 이동된 평면에 위치하며; 그리고 3) 제1 스프링 컨텍트의 메인 굽힘들은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메인 벤드로부터 x-축을 따라 이동된다.
인쇄 회로 기판은 회로 기판 연결 단부에서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에 설치된다. 인쇄 회로 기판은 x 및 z-축에 평행한 평면 또는 y 및 z축에 평행한 평면을 규정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텍트 하우징은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각각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베이스는 제1 스프링 컨테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와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 사이에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를 가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텍트 하우징은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디바이더를 가지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디바이더는 다수의 엇갈리는 제1 및 제2 채널들을 가진다. 제1 및 제2 채널들 각각은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 중 하나를 수용한다. 제1 채널들은 x 및 y 축들에 각을 가지고 연장하고 제2 채널들은 x 축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커넥터가 다수의 제1 및 제2 금속 스프링 컨텍터들을 포함하는 다수이 전기 컨텍터들을 가지는 플러그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1 및 제2 스프링 컨택트들 각각은: 1)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연결 단부; 2) 제1 길이방향 연장부; 3) 메인 굽힘부; 그리고 4) 제2 길이방향 연장부를 포함한다. 제1 길이방향 연장부, 메인 굽힘부 및 제2 길이방향 연장부는 대체로 V-형상을 가진다. 유전성 컨텍트 하우징은 스프링 컨텍트들을 유지하고 컨텍트 하우징은 x-축, y-축 및 z-축을 규정한다. 컨텍트 하우징은 x-축 방향으로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 다음과 같이 정렬된다.: 1)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이 z-축을 따라 서로 엇갈리며; 2)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들은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으로부터 y-축을 따라 이동된 평면 안에 위치하며; 그리고 3) 컨텍트 하우징은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들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한다. 베이스는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들과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들 사이에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가진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잭 어셈블리(20)의 예를 나타낸다. 잭 어셈블리(20)는 벽과 같은 구조에 고정되는 페이스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페이스플레이트(22)는 페이스플레이트(22)가 볼트결합, 나사겹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벽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부(23)를 포함한다. 도 1a는 벽으로부터 멀리 향하게 하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을 나타내며, 그리고 도 1b는 벽쪽으로 면하기 위해 적용된 페이스플레이트(22)의 후방 측면을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페이스플레이트(22)는 두 개의 사각 입구부(24)를 가지고 이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위치한다. 입구부들(24)의 각각은 높이그리고 폭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페이스플레이트(22)의 입구부(24)들 각각에 설치된 두 개의 모듈 잭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직선형 잭들(26) 하부의 입구부(24)에 설치되고, 두 개의 각진 잭들(26')은 상부 입구부(24)에 설치된다. 잭들(26,26')은 플러그(32)(도 2에 도시됨)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각각의 포트들(30,30')을 가지는 전방 면들(28,28')을 포함한다. 다수의 컨텍트 스프링들은 각각의 포트들(30,30') 내부에 위치된다. 플러그들(32)은 탄성 래칫들(33)을 포함한다. 플러그들(32)이 포트들(30,30')에 삽입될 때, 래칫들(33)은 포트들(30, 30') 안에 플러그들(32)을 유지하기 위해서 잭들(26,26')의 전방 탭들(35,35')과 서로 맞물린다. 플러그들(32)를 제거하기 위해서, 래칫들(33)은 끌어내어지고 이에 따라 플러그들(32)은 포트들(30,30')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잭들(26,26')과 플러그들(32)은 8개의 컨텍드 타입(즉 4개의 꼬여진 쌍) 커넥터들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은 특히 모듈 커넥터들에 유용하며, 다른 타입의 커넥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3, 4 및 7a를 참조하면, 직선형 잭들(26) 중 하나가 보여진다. 대체로, 직선형 잭(26)은 두 개의 기본적인 요소들: 전방 잭 하우징(36); 그리고 후방 인서트 어셈블리(38)를 포함한다. 잭 하우징(36)은 페이스플레이트(22)의 입구부(24)중의 하나에 스냅-핏된다. 인서트 어셈블리(38)는 잭 하우징(36) 안에 스냅-핏된다. 페이스플레이트(22) 안에 잭(26)을 설치하기 위해서, 인서트 어셈블리(38)는 먼저 잭 하우징(36)에 연결되고, 그리고 나서 잭(26)은 페이스플레이트(22)의 전방측면으로부터 입구부(24)들 중 하나에 삽입된다.
잭 하우징(36)은 후방부(42)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방부(40)를 포함한다. 잭 하우징(36)의 전방부(40)는 잭(26)을 페이스플레이트(22)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전방부(40)는 제2 유지 구조(46)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유지 구조(44)를 포함한다. 각각의 유지 구조(44,46)들은 틈(50)에 의해서 분리된 간격-분리 유지 립들/숄더들(48)을 포함한다. 각각의 유지 숄더들(48)은 바람직하게는 폭을 가지고, 각각의 틈들은 바람직하게는 폭을 가진다. 각각의 폭들은 각각의 폭들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들은 잭 하우징(36)의 전체 폭을 규정하기 위해 합쳐진다. 잭 하우징(36)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44,46) 사이에 규정된 높이를 포함한다. 높이는 페이스플레이트(22)에 의해 규정되는 입구부(24)들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유지 구조(44)는 제1 유지 구조(44)의 유지 숄더들(48)들 사이에 위치한 제1 탄성 외팔보 부재(52)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유지 구조(46)는 제2 유지 구조(46)의 유지 숄더(48)들 사이에 위치한 탄력 외팔보 부재(54)를 포함한다. 각각의 외팔보 부재들(52,54)는 잭 하우징(36)과 함께 집합적으로 형성된 베이스 단부, 그리고 잭(26)의 전방면(28)에 근접하게 위치된 자유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팔보 부재들(52,54)의 자유 단부들은 전방면(28)에 대해서 충분히 또는 약간 후퇴된다. 각각의 외팔보 부재들(52,54)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팔보 부재들(52,54)의 자유 단부들에서 측정된 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잭(26)의 전체 폭은 적어도 폭의 2배만큼 크다. 이러한 크기 관계는 외팔보 부재들(52,54)이 쉽게 굽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탄성 외팔보 부재(54)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하는 후방 탭(56)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외팔보 부재(52)는 또한 페이스플레이트(22)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후방 탭(58)을 포함한다. 외팔보 부재(52)는 또한 페이스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전방 탭(60)을 포함한다. 게다가 외팔보 부재(52)는 잭(26)의 포트(30)의 일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한다. 결과적으로 잭 하우징(36)의 어떤 부분도 외팔보 부재(52)가 과도하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서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외팔보 부재(52)는 외팔보 부재(52)의 메인 몸체로부터 바깥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한 한 쌍의 윙들(62)(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윙들(62)은 잭 하우징(36) 위에 형성된 오목한 휨 제한면들(64) 위에 위치된다. 외팔보 부재(52)가 소정의 양만큼 아래방향으로 굽혀질 때, 윙들(62)은 외팔보 부재(52)가 과도하게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휨 제한면들(64)과 맞물린다.
도 8은 페이스플레이트(22)의 하부 입구부(24)안에 스냅-핏된 잭(26)을 나타낸다.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유지 숄더들(48)의 세트들은 잭 하우징(36)이 입구부(24)를 통해 완전히 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페이스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과 맞물린다. 유사하게, 외팔보 부재(52)의 전방 탭(60)은 또한 페이스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과 맞물린다. 외팔보 부재들(52,54)의 후방 탭들(56,58)은 잭(26)이 입구부(24)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페이스플레이트(22)의 후방 측면과 맞물린다. 잭(26)을 입구부(24)에 설치하기 위해서, 잭의 후방부는 입구부(24)에 삽입된다. 잭(26)이 입구부(24)로 밀려짐에 따라, 후방 탭들(56,58)의 경사진 면들은 후방 탭들(56,58)이 입구부(24)를 통과할 때까지 외팔보 부재들(52,54)을 안쪽으로 굽혀지도록 한다. 일단 후방 탭들(56,58)이 입구부(24)를 통과하면, 외팔보 부재들(52,54)은 바깥방향으로 스냅되어 후방 탭들(56,58)이 페이스플레이트(22)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게 또는 마주보게 한다. 전체 잭(26)은 외팔보 부재들(52,54)을 안쪽으로 굽혀지게 함으로써 페이스플레이트(22)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잭(26)을 입구부(24)로부터 잡아당기게 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잭 하우징(36)의 전방부(40)는 컨텍트 스프링(34)들을 구비하기 위한 내부 챔버(66)를 가진다. 내부 챔버(66)는 포트(30)에 의해 잭 하우징(36)의 전방을 통해 접근될 수 있으며, 또한 인서트 어셈블리(38)의 적어도 한 부분이 내부 챔버(66) 속으로 삽입될 수 있게 후방 입구부(68)을 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콤(70)은 내부 챔버(66) 안에서 잭 하우징(36)에 고정되어 있다. 콤(70)은 다수의 슬롯들을 가지는 다수의 디바이더들을 포함한다. 슬롯들은 컨텍트스프링(34)들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 컨텍트 스프링들(34)가 서로 분리된다. 가이드 레일들(72)은 콤(70)과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된다. 가이드 레일들(72)은 잭 하우징(36)의 측벽으로부터 내부 챔버(66)로 돌출한다. 가이드 레일들(72)은 내부 챔버(66)의 후방 측면과 비교해서 내부 챔버(66)의 전방 측면에 더 두껍게 근접하는 각각 테이퍼진 수직 두께를 가지고 있다. 래칫 입구부(74)들은 가이들 레일(72)들 위에 위치에서 잭 하우징의 측벽들에 의해 규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잭 하우징(36)의 후방부(42)는 전방부(40)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하는 오픈 채널 또는 홈통(trough)(76)을 가진다. 홈통(76)은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어셈블리가 잭 하우징(36)에 연결될 때 인서트 어셈블리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크기를 가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어셈블리(38)는 인쇄 회로 기판(78), 커넥터 마운트(80), 컨텍트 스프링들(34), 다수의 절연 이동 단자들(82) 및 단자 캡(84)을 포함한다. 컨텍트 스프링들(34) 및 절연 이동 단자들(82)은 각각 기판 컨텍트 부분들(86,88)을 포함하며, 기판 컨텍트 부분들은 커넥터 마운트(80)를 통해 연장하고 각각 인쇄 회로 기판(78)에 위치한 컨텍트 위치들(90,92)(예를 들면 판금 관통공들)과 맞물린다. 인쇄 회로 기판(78)은 컨텍트 위치들(92)에 컨텍트 위치들(9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트레이싱들(79)(단지 대표적인 하나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 회로 기판(78)은 컨텍트 스프링들(34)과 절연 이동 단자들(82)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커넥터 마운트(80)는 바람직하게는 제2 측면(100)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측면(98)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96)를 가지는 한 조각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78)은 메인 몸체(96)의 제2 측면(100)에서 설치된다. 메인 몸체(96)의 제1 측면(98)은 컨텍트 스프링들(34)과 절연 이동 단자들(82)을 지지 또는 유지하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메인 몸체(96)의 제1 측면(100)은 컨텍트 스프링들(34)을 수용하고 분리하기 위해 두 개의 콤들(102,104)(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각각의 콤들(102,104)은 컨텍트 스프링들(34)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슬롯들을 형성하는 다수의 디바이더들을 포함한다.
메인 몸체(96)의 제1 측면(98)은 또한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106)을 포함한다.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106)은 절연 이동 단자들(82)이 설치되는 다수의 슬롯들(108)을 가진다. 슬롯들(108)은 인서트 어셈블리(38)에서 단락되는 와이어들(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다. 단말 캡(84)은 와이어들(미도시)을 슬롯들(108)에 가하기 위한 형상을 가져 와이어들을 절연 이동 단자들(82)에 연결시킨다. 예를 들면 단말 캡(84)은 단말 캡(84)이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106)에 아래로 가압될 때 슬롯들(108) 안으로 맞춰지는 다수의 슬롯을 가진 벽들(110)을 가진다.
커넥터 마운트(80)는 잭 하우징(36)에 인서트 어셈블리(38)를 고정하기 위해서 메인 몸체(96)에 일체로 연결된 두 개의 탄력성 로킹 탭들(112)을 더 포함한다. 탄력성 로킹 탭들(112)은 콤들(102,104)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 유연한 레버 부재들(114)을 포함한다. 로킹 탭들(112)은 인서트 어셈블리(38)와 잭 하우징(36) 사이에 스냅-핏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잭 하우징(36)에 의해 규정된 래칫입구부들(74) 안에서 스냅결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레버 부재들(114)이 커넥터 마운트(80)의 메인 몸체(96)에 연결될 때, 대체 스냅-핏 연결 구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커넥터 마운트(80)는 구멍들, 돌출부들, 또는 잭 하우징(36)에 연결된 탄력성 탭들에 상호 맞물리도록 하는 래칫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어셈블리(38)와 잭 하우징(36) 사이에 정확한 정렬을 제공하기 위해서, 커넥터 마운트(80)의 메인 몸체(96)는 잭 하우징(36)의 가이들 레일들(72)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고 위치된 두 개의 슬롯들(116)을 가진다. 슬롯들(106)은 메인 몸체(96)의 측벽들 내에 형성되고 콤들(102,104)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된다. 슬롯들(106)의 내부 단부들은 잭 하우징(106)과 인서트 어셈블리(38) 사이의 정렬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져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텍트 스프링들(34)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부분(118) 및 자유 단부(120)를 포함한다. 컨텍트 스프링들(34)이 커넥터 마운트(80)에 설치될 때, 베이스 부분(118)은 콤(102)에 의해서 규정된 슬롯들 안에 맞춰지고, 자유 단부(120)는 콤(104)에 의해 규정된 슬롯들 위에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근접 스프링들(34)은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지 않은 관계를 갖는다. 스프링 형상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2내지 도 28에서 다음에 제공된다.
인서트 어셈블리(38)을 잭 하우징(36)에 연결하기 위해서, 조립 인서트 어셈블리(38)(도 7a에 도시됨)가 잭 하우징(36)의 홈통 안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7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인서트 어셈블리는 회로 기판(78)이 홈통(76) 안에 수용되도록 위치되고, 커넥터 마운트(80)의 메인 몸체(96)는 홈통(76)의 측벽들(77)에 의해 지지된다.(예를 들어 몸체(96)의 숄더들(79)은 측벽들(77)의 상부에 안착한다.) 따라서 인쇄 회로 기판(78)은 홈통(76)의 베드로부터 수직하게 오프셋(offset)된다.
다음으로, 인서트 어셈블리(38)는 전방 방향으로 홈통(76)을 따라 이동되어 인서트 어셈블리(38)의 전방 단부(예를 들어 컨텍트 스프링들(34)이 설치된 단부)는 잭 하우징(36)의 후방 입구부(68)를 통해 잭 하우징(36)의 내부 챔버(66) 속으로 이동한다. 인서트 어셈블리(38)의 전방 단부가 내부 챔버(66)로 들어감에 따라, 잭 하우징(36)의 가이드 레일들(72)은 커넥터 마운트(80)에 의해 규정된 가이드 슬롯들(116) 내부로 수용된다. 또한, 컨텍트 스프링들(34)의 자유 단부들(120)은 내부 챔버(66)의 내부에 위치된 콤(70)에 의해 규정된 슬롯들 내부에 수용된다. 인서트 어셈블리(38)이 내부 챔버(66) 안에 완전히 삽입될 경우, 커넥터 마운트(80)의 로킹 탭들(114)은 잭 하우징(36)의 래칫 입구부(74) 내부에 스냅결합한다. 잭 하우징(36)으로부터 인서트 어셈블리(38)를 제거하기 위해서 로킹 탭들(112)은 눌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서트 어셈블리(38)가 잭 하우징(36)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게 한다.
가이드 레일들(72)과 가이드 슬롯들(116)은 잭 하우징(36) 내부에 커넥터 마운트(80)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한다. 예를 들면, 가이드 슬롯들(166)과 가이들 레일들(72)은 콤(70)에 상대적으로 정확한 수직 및 수평 위치에서 커넥터마운트(80)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스프링들(34)은 콤(70) 내부로 수용되고, 인쇄 회로 기판(78)은 바람직하게는 홈통(76)의 베드로부터 오프셋되거나 베드 위에 유지된다. 기판(78)이 홈통(76)으로부터 오프셋되기 때문에, 다른 두께를 가지는 인쇄 회로 기판은 잭 하우징(36) 내부 커넥터 마운트(80)의 정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잭 하우징(36) 내부에 커넥터 마운트(80)의 정렬은 회로 기판(78)의 두께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레일 및 슬롯 형상은 스프링 변형에서의 변화들, 인쇄 회로 기판들의 두께에 있어서의 허용된 변화들에 의해 발생된 결과적인 접촉력들을 제거한다.
도 9는 도 8의 라인 9-9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인서트 어셈블리(38)가 잭 하우징(36)에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경우, 잭 하우징(36)에 고정된 콤(70)과 커넥터 마운트(80)에 연결된 콤(104)은 서로 대향하고 수직한 평면을 따라 정렬된다. 그 결과, 콤들(70,104)은 컨텍트 스프링들(34)의 자유 단부들(120)이 수용되는 끝이 밀폐돤 슬롯들(122)을 형성한다. 콤들(70) 및 (104) 사이의 수직한 간격은 스프링들(34)의 자유 단부들(120)이 슬롯들(122)로 치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들(34)의 자유 단부들(120)은 두 개의 분리한 콤들(70) 및 (104) 사이에서 잡혀진다.
커텍트 스프링들(34)은 전형적으로 중심과 중심 간격이 약 0.050 인치이기 때문에 콤들(70,104)에 의해 제공된 스프링 정렬 형태는 중요하다. 플러그가 포트(30)에 삽입될 때, 플러그는 스프링들(34)과 맞물려 스프링들이 콤(7)의 바깥방향으로 휘여지도록 한다. 콤들(70,104) 두 개의 상호작용이 없다면, 스프링들은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으며 휘어지는 동안 다른 것과 함께 접촉하도록 밀려진다. 이것은 스프링들(34)의 상대적으로 근접한 간격들에 기인한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콤들(70,104) 사이에 스프링들(34)을 잡음으로써, 스프링들(34)이 휘어지는 동안 항상 각각의 끈이 밀폐된 슬롯들(120)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는 것은 방지된다.
도 10 및 도 11은 각진 잭(26')들중 하나를 나타낸다. 각진 잭(26')은 직선형 잭(26)에 의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인서트 어셈블리(38)를 사용한다. 따라서 인서트 어셈블리(38)에 대한 다른 설명은 제시하지 않는다. 각진 잭(26')은 직선형 잭(26)에 대해서 설명된 잭 하우징(36)과 유사한 잭 하우징(36')을 포함한다. 그러나, 잭 하우징(36')는 잭 하우징(36')이 페이스플레이트(22)에 상대적인 각으로 설치되록 변형된다. 예를 들어, 잭 하우징(36')는 잭(26')와 페이스플레이트(22)사이에 스냅-핏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44',4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44',46')은 바람직하게는 잭(26')의 전방면(28')에 상대적인 예각 θ로 방향지워진 라인(124)을 따라 정렬된다. 따라서, 잭(26')가 페이스플레이트(22)에 고정될 경우, 유지 구조들(44', 46')은 잭(26')의 전방면(28')이 페이스플레이트(22)의 전방면에 상대적인 각을 가지도록 한다.
제1 유지 구조(44')는 잭 하우징(36')와 대향하게 위치된 두 개의 고정된 유지 숄더들(126)(하나만 도시됨)을 가진다. 유사하게, 제2 유지 구조(46')는 잭 하우징(36')와 대향하게 위치한 두 개의 간격-분리 유지 숄더들(128)을 포함한다.틈(130)은 유지 숄더들(128)을 분리한다. 탄성 외팔보 부재(132)는 틈(130) 안에 위치된다. 외팔보 부재(132)는 페이스플레이트 후방측에 맞물리도록 하는 후방 정지부재(134)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잭(26')가 페이스플레이트(22)의 상부 입구부(24) 안에 설치될 때, 유지 숄더들(126,128)은 페이스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며, 반면에 외팔보 부재(132)의 후방 정지부재(134)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후방 측면과 맞물린다. 잭(26')을 입구부(24) 안에 설치하기 위해서, 잭의 후방부는 입구부(24)에 삽입되고 잭(26')는 입구부(24) 속으로 밀려진다. 잭(26')이 입구부(24)로 밀려짐에 따라 후방 정지 부재(134)의 경사진 표면은 후방 정지 부재(134)가 입구부(24)를 통과할 때까지 외팔보 부재(132)를 위쪽으로 굽혀지도록 한다. 일단 후방 정지 부재(134)가 입구부(24)를 통과하면, 외팔보 부재(132)는 아래 방향으로 스냅결합하고 이에 따라 후방 정지 부재(134)가 페이스플레이트(22)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게 한다. 전체 잭(26')은 외팔보 부재(132)를 위쪽으로 굽히고 동시에 잭(26')을 입구부(24)로부터 끌어당김으로써 페이스플레트(2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많은 다른 타입의 커넥터들이 하나의 일반적인 페이스플레이트에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2a내지 12e, 13a내지 13e, 14a내지 14e, 15a내지 15e, 16a내지 16e, 17a내지 17e, 18a내지 18e, 19a내지 19e, 20a내지 20e, 및 21a내지 21e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입구부들(24)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커넥터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12a내지 12e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입구부들(24) 중 하나 안에 스냅-핏되는 형상을 가진 지지 구조 또는 어댑터(222)에 설치된 ST 타입 커넥터(220)를 나타낸다. 어댑터(222)는 페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하는 상부 및 하부면 숄더들(224,226)을 포함하고, 페이스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하는 후방 정지부재(230)를 가지는 탄성 외팔보 부재(228)를 포함한다. 어댑터(22)의 전체 폭은 페이스플레이트(22)의 입구부(24)의 폭의 절반과 대체로 같다. 외팔보 부재(128)는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숄더들(224)의 폭들 이하의 폭을 가지는 틈(232) 안에 위치된다.
도 13a내지 13e는 페이스플레이트(22) 내부에 스냅-핏되도록 형성된 어댑터(322)에 고정된 직선형 RCA-타입 커넥터(320)를 나타낸다. 도 14a내지 14e는 페이스플레이트(22) 안에 스냅-핏되도록 형성된 어댑터(422)에 설치된 직선형 F-타입 커넥터(420)를 나타낸다. 도 16a내지 16e는 플레이트 안에 스냅 핏되도록 형성된 어댑터(622)에 설치된 직선형 SC-타입 커넥터(620)를 나타낸다. 도 18a내지 18e는 페이스플레이트(22) 안에 스냅 핏되도록 형성된 어댑터(822)에 설치된 직선형 BNC 타입 커넥터(820)를 나타낸다. 각각의 어댑터들(332,422,622 및 822)은 도 12a-12e의 어댑터(222)와 같은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도 15a내지 15e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입구부들(24) 중 하나의 안에 스냅 결합되도록 형성된 어댑터(555)에 설치된 직선형 복식 SC 타입 커넥터(520)를 나타낸다. 어댑터(522)는 페이스플레이트(22)에 의해 규정된 구멍들(24) 중 하나를 완전히 채우기 위한 크기를 가진다. 어댑터(522)는 하부 유지 구조(526)(예를 들면슬롯)와 상부 유지 구조(524)를 포함한다. 하부 유지 구조(524)는 두 개의 전방 숄더들(528)과 숄더들(528) 사이에 위치한 탄성 외팔보(530)를 포함한다. 외팔보(530)는 후방 정지 부재(532)를 포함한다.
도 17a내지 17e는 어댑터(722)에 설치된 각진 복식 SC-타입 커넥터(720)를 나타낸다. 어댑터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구멍들(24) 중 하나를 완전히 채우기 위한 크기를 가진다. 어댑터(722)는 페이스플레이트(22)와 스냅-핏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724,726)을 포함한다. 유지 구조들(724,726)은 커넥터(720)의 전방면(728)에 대해서 예각으로 방향지워진 라인을 따라 정렬된다.
도 19a내지 19e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입구부들(24) 중 하나의 반을 감싸기 위한 형상을 가진 블랭크(922)를 나타낸다. 블랭크(922)는 평평한 커버 표면(924)을 가진다. 블랭크(922)는 또한 페이스플레이트(22)와 스냅-핏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924, 926)을 포함한다.
도 20a내지 20e는 어댑터(1022)에 설치된 각진 ST-타입 커넥터(1020)를 나타낸다. 어댑터(1022)는 페이스플레이트(22)의 입구부들(24) 중 하나의 반을 채우기위한 크기를 가진다. 어댑터(1022)는 페이스플레이트와 스냅-핏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1024, 1026)을 포함한다. 유지 구조들(1024,1026)은 커넥터(1020)의 전방면에 대해서 직선을 따라 또는 예각을 가지고 정렬된다.
도 21a내지 21e는 어댑터(1122)에 설치된 각진 SC-타입 커넥터(112)를 나타낸다. 어댑터(1122)는 구체적으로 도 20a 내지 20e의 어댑터(1022)와 같은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혼선이 문제가 되는, 특히 점점 더 고주파 신호가 전기 커넥터들의 사용에 요구되는, 근접한 간격을 가진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계한다.
도 22 및 23은 플러그(1014)(도 32,33,43 및 44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각각 두 개의 잭들(1012)을 포함하는 하나의 잭 어셈블리(1010)의 예를 나타낸다. 플러그(1014)는 전형적으로 각각의 잭(1012) 안의 전기 스프링 컨텍트들(1040,1042)과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금속 컨텍트들(1016,1018)을 포함한다. 컨텍트들(1016,1018)은 플러그(1014)의 하우징(1020) 안에 수용된다. 플러그(1014)는 플러그(1014)를 잭(1012)에 설치하기 위한 래칫 탭(1022)을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잭(1012) 및 플러그(1014)는 RJ45 커넥터에서와 같은 8개의 컨텍트 타입(4개의 비틀어진 쌍) 커넥터들이다.
도 2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잭(1012)은 플러그(1014)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1030)을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032)은 인서트 어셈블리(1034)를 감싼다. 도 23의 예에서, 인서트 어셈블리(1034)는 수직하게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1036)을 포함하는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이다. 인서트 어셈블리(1034)는 또한 컨텍트 하우징(1044)에 설치된 다수의 금속 스프링 컨텍트들(1040, 1042)을 포함한다. 스프링 컨텍트들(1040,1042)은 플러그(1014)의 컨텍트들(1018,1020)을 접촉시키기 위해 공동(1030) 내에 위치된 제1 단부들(1050,1052)을 가진다. 스프링 컨텍트들(1040,1042)은 대체로 V-형상이다. 제1 단부들(1050,1052)은 플러그(1014)가 공동(1030)으로 삽입될 때 안쪽으로 굽혀진다. 스프링 컨텍트들(1040,1042)의 대향하는 단부들(1054,1056)은 인쇄 회로 기판(1036)에 설치하기 위해서 컨텍트 하우징(1044)로부터 가령 납땜에 의해서 연장된다.
본 발명은 RJ45 커넥터에 특히 유용한 반면, 전기 컨텍터들이 근접하게 유지되는 잭과 플러그 배열을 포함하는 다른 커넥터들은 혼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노출된 형상을 포함함으로써 또한 유용할 수 있다.
RJ45 커넥터는 8개의 컨텍트들을 가진다. 플러그들과 잭들은 8개의 정렬된 컨텍트들 1-2-3-4-5-6-7-8(4개의 각각의 컨텍트들(1016,108)과 스프링 컨텍트들(1040,1042)은 각각 번갈아 가는 방식으로 정렬된다.)을 가진다. 컨텍트 번호는 도 27 및 도 40의 실시예와 같다. 플러그 컨텍트들은 컨텍트들에서 단말을 이루는 4쌍의 뒤틀린 케이블을 가진다. 이들 쌍들은 전형적으로 4-5, 3-6, 1-2 및 7-8로 짝을 이룬다. 쌍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쌍들 2-3, 3-4, 5-6 및 6-7 사이에 혼선을 일으키는 불균형한 캐피시던트와 인덕턴스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들 컨텍트들은 잭 내부에서 가능한 서로로부터 가능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잭에서의 쌍들은 혼선을 제거하기 위해서 어떠한 컨텍트 조합을 위치결정함으로써 함께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들 쌍들의 조합들은 1-3, 2-4, 4-6, 5-7 및 6-8이다. 따라서 잭이 컨텍트들 2-3, 3-4, 5-6 및 6-7 사이에서 더 낮은 양의 결합을 가지며 그리고 컨텍트들 1-3, 2-4, 3-5, 4-6, 5-7 및 6-8 사이에서 더 높은 양의 결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혼선에 관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잭에 다양한 형태들을 사용한다. 모든 다른 스프링 컨텍트들을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도 27에서 1,3,5 및 7을 하나의 열로, 그리고 2,4,6 및 8을 다른 열로)은 스프링 컨텍트들이 분리가 요구되는 더 떨어진 곳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고, 결합이 요구되는 스프링 컨텍트들이 증가되도록 하여 스프링 컨텍트들이 서로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스프링 컨텍트들은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컨텍트 평면에 있지 않도록 또한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 컨텍트들의 자유 단부들은 플러그와의 접촉 영역에서 동일한 평면에 있으나 그 전과 후에는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다(도 32 및 33 참조). 각각의 4개의 스프링 컨텍트들의 세트는 다른 4개의 스프링 컨텍트들의 세트와 같은 선에 있지 않는 위치에서 피봇지지된다(도 30, 31 및 34참조). 더욱이 다른 세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각을 가지는 4개의 스프링 컨텍트들의 세트는 스프링 컨텍트들 사이에 분리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 플러그와의 접촉점 이후 더 굽혀진다. 또한 컨텍트 하우징은 어떤 스프링 컨텍트를 더 분리시키기 위해서 선택된 위치에서 공기 공간들을 사용하고,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른 선택된 위치에서 고체 물질을 사용한다. 더 높은 유전 상수를 가진 물질을 위치시키는 것은 결합을 증가시킬 것이며, 따라서 두 개의 전도체 사이의 혼선을 증가시킬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 물질 보다 더 낮은 유전 상수를 가진 공기는 두 개의 스프링 컨텍트들 사이에 더 작은 결합을 가질 것이다. 상기 언급된 모든 것이 바람직할 때, 혼선을 감소시킴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선택된 형태들을 사용하는 변형들이 가능하다.
도 24내지 36을 참조하면, 수직 인서트 어셈블리(1034)가 보다 상세히 보여진다. 컨텍트 하우징(1044)은 전방(1060), 상부(1062), 바닥면(1064) 및 후방(1066)을 가지는 베이스(1046)를 포함한다. 컨텍트 하우징(1044)은 잭 어셈블리(1010) 또는 다른 설치 배열에서 요구되는 어떤 방향으로 위치되어 질 수 있다. 도 24내지 26에서 수직 인서트 어셈블리(1034)는 설명을 위하여 x-축, y-축 및 z-축(도 24참조)을 규정한다.
베이스(1046)는 한 줄로 정렬된 길이방향 입구부들(1078,1080)의 두 개의 세트를 포함한다. 길이방향 입구부들(1078, 1080)은 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세트는 몇몇을 분리하고 다른것들은 결합하기 위해서 선택된 스프링 컨텍트들을 간격을 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y-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전방 채널들(1082, 1084)은 길이방향 입구부들(1078,1080)과 통해있고 또한 스프링 컨텍트들(1040, 1042)을 수용한다. 각각의 제1 전방 채널(1082)은 하나의 제1 스프링 커텍트(1040)을 수용하기 위해서 제1 길이방향 입구부들(1078)중 하나와 통해있다. 각각의 제2 전방 채널(1084)은 하나의 제2 스프링 컨텍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제2 길이방향 입구부들(1080) 중 하나와 통해 있다. 제2 전방 채널들(1084)은 x-축 방향으로 제1 전방 채널들(1082) 보다 더 깊다. 이는 각 스프링 컨텍트의 선단 영역에서 x-축 방향으로 그리고 컨텍트 면적들 이외의 자유 단부를 따라 스프링 컨텍트들(1040,1042)의 간격을 형성한다. 베이스(1046)는 플라스틱과 같은 주조된 물질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마이드(Polyetherimide)로 컨텍트 하우징(1044)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또한 상부 및 바닥 입구부들 또는 채널들(1088, 1090)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1046)는 또한 길이방향 입구부들(1078,1080)의 세트들 사이에 위치된 길이방향 채널들 또는 통로들(1092,1094)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스프링 컨텍트들의 더 좋은 충격흡수를 일으킨다.
제1 스프링 컨텍트(1040)는 기판 컨텍트 단부(1100)를 포함하고 베이스(1046) 안에서 길이방향 입구부(1078)에 위치된 중심이 같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인 부분(1102)를 포함한다. 전방 굽힘부(1104)는 베이스(1046)의 전방 채널(1082)에 위치된다. 길이방향 컨텍트 부분(1106)은 플러그(1014)와 전기 접촉을 위해 잭(1012)의 공동(1030)안에 위치되도록 도면에서 베이스(1046)로부터 각을 가지고 위쪽으로 연장한다. 컨텍트 부분(1106)은 컨텍트 부분(1106)의 리마인더(reminder)에 상대적인 각으로 굽힘 영역(1108)을 위치시키는 굽힘 영역(1108)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 컨텍트(1040)의 컨텍트 부분(1106)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선형 마디들을 포함한다.
제2 스프링 컨텍트(1042)는 기판 컨텍트 단부(1110)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인 부분(1112)을 포함하며, 메인 부분은 기판 컨텍트 부분(1100)과 제1 스프링 컨텍트(10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인 부분(1102)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전방 굽힘부(1114)는 베이스(1046)의 전방 채널(1084)에 위치한다. 전방 굽힘부(1114)는 제1 스프링 컨텍트(1040)의 전방 굽힘부(1104)보다 높이에 있어 더 크다. 제2 스프링 컨텍트(104)는 플러그(1014)와 전기적인 접촉을 위해서 잭(1012)의 공동(1030)에 위치되도록 베이스(1046)로부터 각을 가지고 위쪽으로 연장하는 길이방향 컨텍트 부분(1116)을 포함한다. 스프링 컨텍트(1042)의 컨텍트 부분(1116)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형 마디를 포함한다. 스프링 컨텍트들(1040,1042) 모두 플러그(1014)의 컨텍트들과 적당한 접촉을 이루기 위해서 충분한 양의 유연성을 가지고 제조되고 유지되기 위한 편리한 형상을 가진다.
도 24 내지 36에 보여진 바와 같이 길이방향 연장부들(1102,1112)은 베이스(1046)에서 y-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된다. 전방 굽힘부들(1104,1114)은 x-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되며, 그리고 굽힘(1108)은 제2 스프링 컨텍트(1042)의 컨텍트 부분(1116)의 말단 단부(1118)에 상대적인 각도로 스프링 컨텍트(1040)의 말단 단부(1109)를 위치시킨다. 또한 베이스(1046)는 더 많은 결합이 요구되는 스프링 컨텍트들(1040,1042) 사이에 베이스 물질을 위치시키고, 공기는 컨텍트들 사이에 더 적은 결합이 요구되는 스프링 컨텍트들 사이 길이방향 통로(1092,1094) 사이의 다른 선택된 면적들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잭들(1012)은 가령 250 메가헤르츠의 대역폭을 가진 카테고리 6 시스템들과 같이 혼선 문제를 다루는 데 제공될 수 있다.
도 37내지 48을 참조하면,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1134)는 하나의 컨텍트 하우징(1144)와 두 개의 스프링 컨텍트들(1140,1142)을 포함한다. 컨텍트 하우징(1144)은 전방(1160), 상부(1162), 바닥(1164) 및 후방(1166)을 규정하는 베이스(1146)를 포함한다.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1134)는 설명을 위하여 x-축, y-축 및 z-축(도 37 참조)을 규정한다.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1134)는 잭 어셈블리에서 요구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1134)는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1034)에서의 수직한 설치 대신에 수평하게 위치된 인쇄 회로 기판(1150)(도 41 및 42 참조)을 포함한다.
베이스(1146)는 대향하는 측벽들(1152), 그리고 와이어들을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1134)에 단락시키기 위한 후방 커넥터 어셈블리(1154)를 포함한다. 베이스(1146)는 개별적인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1140,1142)을 위치시키기 위한 디바이더(1180)를 포함한다. 디바이더(1180)는 제1 및 제2 채널들(1182,1184)을 규정하는 측벽들을 가진다. 각각의 제1 채널들(1182)은 x 및 y-축에 상대적으로 얇게 각진 표면(1186)을 포함한다. 제2 채널들(1184)은 각각 x-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리고 y-축을 따라 표면(1186)으로부터 더 낮은 위치에서 연장하는 길이방향 표면(1188)을 포함한다. 베이스(1146)는 스프링 컨텍트들(1140,1142)을 y-축 방향으로 베이스(1146)를 통과하도록 하는 입구부들(1190,1192)을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1140,1142) 모두는 대체로 V-형상이다.
제1 스프링 컨텍트(1140)는 기판 컨텍트 단부(1200), 그리고 각진 표면(1186) 안에 수용하기 위해서 메인 길이방향 부분(1204)이 다음에 이어지는 제1 굽힘부(1202)를 포함한다. 제2 굽힘부(1206) 다음에 길이방향 컨텍트 부분(1208)이 이어진다. 또 다른 굽힘부(1210)는 컨텍트 부분(1208)의 리마인더에 상대적인 각으로 컨텍트 부분(1208)의 말단 단부(1209)를 위치시킨다. 제2 스프링 컨텍트(1142)는 기판 컨텍트 단부(1220), 그리고 제2 채널(1184)에 속하는 길이방향 메인 부분(1224)가 다음에 이어지는 제1 굽힘부(1222)를 포함한다. 제2 스프링컨텍트(1142)는 다음에 길이방향 컨텍트 부분(1228)이 이어지는 제2 굽힘부(1226)을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판 컨텍트 단부들(1200,1220)은 도 4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줄로 엇갈린다. 메인부분들(1204,1224)은 평행하지 않고, 스프링 컨텍트들(1140)의 하나의 세트는 단부들이 평행하지 않도록 스프링 컨텍트들(1140,1142)의 말단 단부들을 위치시키는 컨텍트 부분(1208)에서 굽힘부(1210)를 포함한다. 또한 굽힘부들(1206,1226)은 스프링 컨텍트들(1140,1142)의 피봇 포인트들이 동일한 선에 있지 않도록 위치된다. 이들 형상들은 카테고리 6 표준에서 일어날지 모르는 특히 더 높은 주파수들에서 혼선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된 스프링 컨텍트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
수평한 인서트 어셈블리(1134) 및 수직한 인서트 어셈블리(1034) 각각의 다양한 형상들이 이로운 방식으로 함께 작용할 때, 언급한 형상들은 혼선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요구되는 개별적인 또는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평하게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들과 수직하게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들은 보여질 때, 각진 인쇄 회로 기판들은 또한 적절한 형상을 가진 컨텍트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설명에 관해서, 변경들 특히 사용된 구조물들과 형상, 크기, 그리고 부품들의 배열에 있어서의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을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예로 고려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 사상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넓은 의미에 의해 내포될 수 있다.

Claims (35)

  1. 후방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한 전방 측면을 가지는 페이스플레이트에 사용하기 위한 잭으로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는 잭 입구부들의 배열을 규정하며, 상기 잭은:
    A) 페이스플레이트의 잭 입구부들 중 하나인 제1 잭 입구부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며, 페이스 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제1 잭 입구부로 삽입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잭 하우징으로서, 상기 잭 하우징은:
    a) 제1 유지 구조가 제2 유지 구조와 대향하여 위치하며, 잭 하우징이 제1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
    b) 탄성 외팔보 부재가 자유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되는 베이스 단부를 가지며, 잭 하우징은 베이스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외팔보 부재의 자유 단부 가까이 위치되는 유지 탭을 포함하고, 잭 하우징이 제1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후방측면과 맞물리도록 유지 탭이 위치되도록 한 탄성 외팔보 부재;
    c) 후방부와 대향하여 위치되며, 내부 챔버 및 내부 챔버에 접근하기 위한 전방 및 후방 입구부들을 규정하는 전방부,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포트를 포함하는 전방 입구부, 및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픈 채널을 규정하는 잭 하우징의 후방부; 그리고
    d) 내부 챔버 안에서 잭 하우징에 고정된 제1 콤;을 포함하고,
    B) 잭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도록 된 인서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인서트 어셈블리는:
    a)제2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측면을 가지며,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넥트 마운트:
    ⅰ. 커넥터 마운트를 잭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두 개의 탄성 로킹 탭;
    ⅱ. 커넥터 마운트의 제1 측면에 위치된 제2 콤;
    ⅲ. 커넥터 마운트의 제1 측면에 위치된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
    b) 제2 콤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컨텍트 스프링들로 베이스 단부들과 자유단부들을 포함하는 컨텍트 스프링;
    c)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절연 이동 단자; 그리고
    d) 절연 이동 단자와 컨텍트 스프링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들을 제공하는 회로 기판으로 커넥터 마운트의 제2 측면에 설치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어셈블리는, 회로 기판이 오픈 채널 안으로 수용되도록 인서트 어셈블리의 방향을 정하고 전방 방향으로 인서트 어셈블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인서트 어셈블리의 한쪽 단부는 잭 하우징의 후방 입구부를 통해 잭 하우징의 내부 챔버로 이동하며; 로킹 탭들은 잭 하우징과 서로 맞물리며; 그리고 컨텍트 스프링들의 자유 단부들은 제1 콤 내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잭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 마운트가 잭 하우징에 고정될 때, 회로 기판은 잭 하우징의 오픈 채널 안에 맞춰지며, 컨텍트 스프링들은 잭 하우징의 내부 챔버 안에 위치되며, 그리고 절연 이동 단자들은 내부 챔버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3. 제1항에 있어서,
    로킹 탭들은 커넥터 마운트를 잭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잭 하우징에 의해 규정된 구멍들 내부에 스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4. 제1항에 있어서,
    컨텍트 스프링들의 자유 단부들과 대체적으로 정렬되어 커넥터 마운트의 제1 측면에 설치된 제3 콤을 더 포함하며, 커넥터 마운트가 잭 하우징에 고정될 때, 제2 및 제3 콤들은 서로 정렬되고, 컨텍트 스프링들의 자유 단부가 수용되는 끝이 밀폐된 슬롯들을 형성하도록 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5. 제1항에 있어서,
    잭 하우징과 커넥터 마운트 중 하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다른 나머지 하나는 커넥터 마운트의 제1 영역이 잭 하우징의 내부 챔버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 레일들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와 위치를 가진 한 쌍의 슬롯들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6. 제5항에 있어서,
    가이들 레일들과 슬롯들 중 하나는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7. 제5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들과 슬롯들은 회로기판이 오픈 채널의 베드로부터 오프셋 상태로, 인서트 어셈블리를 잭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잭 하우징 내부에서의 인서트 어셈블리의 정렬이 회로 기판의 두께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8. 제5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들과 슬롯들은 인서트 어셈블리가 제1 콤에 상대적인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컨텍트 스프링들의 잭 하우징 내에서 변형의 정도는 회로 기판의 두께에 종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9. 제1항에 있어서,
    잭 하우징은 전체 폭를 가지고 외팔보 부재는 외팔보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서 규정되는 폭를 가지며, 전체 폭는 폭보다 적어도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0. 제9항에 있어서,
    외팔보 부재는 메인 몸체와 메인 몸체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하는 윙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1. 잭을 위한 인서트로서, 인서트는:
    a) 제2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측면을 포함하는 메인 몸체를 가진 커넥터 마운트로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마운트는:
    ⅰ) 커넥터 마운트를 잭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메인 몸체에 위치된 스냅-핏 결합 구조;
    ⅱ) 메인 몸체의 제1 측면에 위치된 디바이더;
    ⅲ) 메인 몸체의 제1 측면에 위치된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을 포함하고;
    b) 디바이더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컨텍트 스프링들;
    c) 절연 이동 단자 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다수의 절연 이동 단자들; 그리고
    d) 절연 이동 단자들과 컨텍터 스프링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들을 제공하며 메인 몸체의 제2 측면에 설치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컨텍트 스프링들은 베이스 단부들과 자유 단부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디바이더는 베이스 단부들을 수용하는 제1 콤을, 그리고 자유 단부들과 정렬하는 제2 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스냅-핏 연결 구조는 로킹 탭들을 가지는 유연한 레버 부재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디바이더는 대체로 유연한 레버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14. 후방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방 측면을 가지는 페이스플레이트에 사용하는 잭으로, 페이스플레이트는 일련의 잭 입구부들을 가지며, 잭은:
    페이스플레이트의 잭 입구부들 중 제1 잭 입구부 안에 설치되며, 전체 폭를 가지고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제1 잭 입구부로 삽입되기 위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잭 하우징;
    제2 유지 구조와 대향하여 위치되는 제1 유지 구조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은 잭 하우징이 제1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잭 하우징;
    틈에 의해서 분리되는 간격-분리 유지 숄더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유지 숄더들은 폭를 가지고 상기 틈은 각각의 폭보다 작은 폭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
    자유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베이스 단부를 가지며, 자유 단부는 잭 하우징과 간격-분리 유지 숄더들 사이 틈 안에 대체로 위치되며, 베이스 단부는 잭 하우징에 일체로 연결되고, 외팔보 부재의 자유 단부 가까이 위치된 유지 탭을 더 포함하며, 잭 하우징이 제1 잭 입구부에 설치되어 페이스 플레이트가 유지 숄더들과 유지 탭 사이에 잡혀질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된 유지 탭을 가지는 탄성 외팔보 부재;를 포함하며.
    외팔보 부재의 베이스 단부에 폭를 규정하며, 잭 하우징의 전체 폭가 적어도 폭의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5. 제14항에 있어서,
    외팔보 부재는 메인 몸체와 메인 몸체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바깥으로 가로질러 돌출하는 윙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6. 제15항에 있어서,
    잭 하우징은 외팔보 부재가 처음 휘어질 때 윙들과 맞물리도록 위치된 휨 제한 표면들을 포함하며, 윙들과 휨 제한 표면들 사이 접촉은 외팔보 부재가 과도하게 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잭.
  17. 제16항에 있어서,
    잭 하우징은 후방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되는 전방 단부를 포함하며, 잭 하우징의 전방 단부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포트를 규정하며, 그리고 외팔보 부재는 포트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8. 후방 측면에 대향하여 위치한 전방 측면을 가지는 페이스플레이트에 사용하기 위한 잭으로서, 페이스플레이트는 잭 입구부의 배열을 규정하며, 상기 잭은:
    페이스플레이트의 잭 입구부들 중 제1 입구부 안에 설치되며,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제1 잭 입구부로 삽입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잭 하우징;
    제2 유지 구조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유지 구조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유지 구조는 잭 하우징이 제1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잭 하우징;
    틈에 의해서 분리되는 간격-분리 유지 숄더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유지 구조;
    자유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베이스 단부를 가지며, 자유단부는 잭 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되는 베이스 단부 및 간격-분리 유지 숄더들 사이의 틈 내에 위치되며, 외팔보 부재의 자유 단부 가까이 위치된 유지 탭을 더 포함하며, 페이스플레이트가 유지 숄더들과 유지 탭 사이에 잡혀지도록 잭 하우징이 제1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된 유지 탭을 가지는 탄성 외팔보 부재;
    메인 몸체와 메인 몸체의 대향하는 측면들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가로질러 돌출하는 윙들을 포함하는 외팔보 부재; 그리고
    외팔보 부재가 제1 양으로 휘어질 때 윙들과 맞물리도록 위치된 휨 제한 표면들을 포함하는 잭 하우징을 포함하며,
    윙들과 휨 방지 표면들 사이의 접촉은 외팔보 부재가 과도하게 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9. 제18항에 있어서,
    잭 하우징은 후방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방 단부를 포함하며, 잭 하우징의 전방 단부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포트를 규정하며, 그리고 외팔보 부재는 포트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20. 잭은: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포트를 규정하는 잭 하우징;
    하우징 안에 위치되며, 베이스 단부 및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컨텍트 스프링들; 그리고
    컨텍트 스프링들의 자유 단부가 수용되는 끝이 밀폐된 슬롯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배열되며, 스프링들의 자유 단부들을 서로 격리시키기 위한 두 개의 분리 대향하는 콤 구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21. 후방 측면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전방 측면을 가지는 페이스플레이트에 사용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페이스플레이트는 입구부의 배열을 규정하며,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페이스플레이트의 입구부들 중 제1 입구부 안에 설치되며, 전체 폭를 가지고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제1 입구부에 삽입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지지 구조;
    제2 유지 구조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유지 구조를 포함하며, 제1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전방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
    틈에 의해 분리된 간격-분리 유지 숄더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유지 숄더들은 폭를 가지고, 상기 틈은 상기 각각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
    자유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된 베이스 단부를 가지며, 자유단부는 지지 구조와 일체로 연결된 베이스 단부 및 간격-분리 유지 숄더들 사이의 틈 내부에 위치되며, 외팔보 부재의 자유 단부 가까이 위치된 유지 탭을 더 포함하며, 페이스플레이트가 유지 숄더들과 유지 탭 사이에 잡혀지도록 지지 구조가 제1 입구부에 설치될 때 페이스플레이트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된 유지 탭을 가지는 탄성 외팔보 부재;
    외팔보 부재는 그 베이스 단부에서 폭를 규정하며, 폭의 적어도 두 배 크기의 전체 폭를 가진 지지 구조; 그리고
    지지 구조에 고정된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2. 잭 입구부를 가지는 설치 고정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잭 하우징으로:
    A) 설치 고정장치의 잭 입구부 안에 설치되며, 제2 유지 구조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1 유지 구조를 포함하는 잭 하우징 몸체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유지 구조들은 잭 하우징 몸체가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설치 고정장치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고;
    B) 자유 단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베이스 단부를 가지며, 베이스 단부는 잭 하우징 몸체에 일체로 연결되며, 외팔보 부재의 자유 단부 가까이 위치된 유지 탭을 더 포함하며, 잭 하우징 몸체가 잭 입구부에 설치될 때 설치 고정장치의 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된 유지 탭을 가지는 탄성 외팔보 부재;
    C) 후방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며, 내부 챔버 및 내부 챔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전방 및 후방 입구부들을 규정하는 전방부를 포함하며, 전방 입구부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포트를 포함하며, 그리고 잭 하우징 몸체의 후방부는 전방부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픈 채널을 규정하며, 잭 하우징 몸체는 다수의 유연한 컨텍트 스프링들과 컨텍트 스프링들과 링크연결된 다수의 연결위치들을 가지는 인서트 어셈블리를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23. 제22항에 있어서,
    컨텍트 스프링들을 조작하기 위한 제1 콤을 더 포함하며, 제1 콤은 내부 챔버 내에 잭 하우징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24. 제22항에 있어서,
    인서트 어셈블리는 로킹 탭들을 포함하며, 잭 하우징 몸체는 로킹 탭들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25. 제22항에 있어서,
    잭 하우징 몸체는 인서트 어셈블리의 슬롯들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26. 제22항에 있어서,
    설치 고정장치의 후방 측면에 맞물리도록 위치된 유지 탭을 포함하는 제2 탄성 외팔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2 탄성 외팔보 부재는 잭 하우징 몸체의 전방의 대향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27. 제22항에 있어서,
    탄성 외팔보 부재는 설치 고정장치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도록 전방 유지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28. 제26항에 있어서,
    제2 탄성 외팔보 부재는 설치 고정부재의 전방 측면과 맞물리지 않는 오픈 전방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29. 다수의 전기 컨텍트들을 가지는 플러그와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 상기 커넥터는:
    a) 각각이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및 제2 금속 스프링 컨텍트:
    1) 회로 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연결 단부;
    2) 제1 길이방향 연장부;
    3) 메인 굽힘부;
    4) 플러그의 컨텍트와 맞물릴 수 있으며. 제1 길이방향 연장부, 메인 굽힘부와 함께 대체로 V-형상을 규정할 수 있도록 된 제2 길이방향 연장부;
    b) 굽힘부에서 연결된 두 개의 선형부들을 가지는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2 길이방향 연장부;
    c) 선형적으로 연장하는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2 길이방향 연장부;
    d) 스프링 컨텍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유전성의 컨텍트 하우징으로서,상기 컨텍트 하우징은 x-축, y-축 및 z-축을 규정하고 x-축 방향으로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은:
    1)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은 z-축을 따라 엇갈리며;
    2)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는 제2 스프링 컨텍트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으로부터 y-축을 따라 이동된 평면에 존재하며;
    3)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메인 굽힘들은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메인 굽힘들로부터 x-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0. 제29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 연결 단부들에서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에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1. 제30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은 x 및 z-축에 평행한 평면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2. 제30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은 y 및 z-축에 평행한 평면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기 커넥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컨텍트 하우징은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들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며, 베이스는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 방향 연장부들과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 방향 연장부들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4. 제31항에 있어서,
    컨텍트 하우징은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디바이더를 가지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디바이더는 다수의 엇갈리는 제1 및 제2 채널들을 규정하며, 각각의 제1 및 제2 채널들은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을 수용하며, 제1 채널들은 x 및 y-축에 대해 소정의 각을 가지고 연장하며, 제2 채널들은 x-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5. 다수의 전기 컨텍트들을 가지는 플러그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로서:
    a) 각각이 하기의 구성으로 된 다수의 제1 및 제2 금속 스프링 컨텍터:
    1)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회로 기판 연결 단부;
    2) 제1 길이방향 연장부;
    3) 메인 굽힘부;
    4) 메인 굽힘부 및 제2 길이방향 연장부가 대체로 V-형상을 규정하도록 된 제2 길이방향 연장부;
    b) 스프링 컨텍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유전성 컨텍트 하우징으로서, 컨텍트 하우징은 x-축, y-축 및 z-축을 규정하며, x-축 방향으로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이 :
    1)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이 z-축을 따라 엇갈리며;
    2)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는 제2 스프링 컨텍트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에 의해 규정된 평면으로부터 y-축을 따라 이동된 평면에 존재하며;
    3) 컨텍트 하우징이 제1 및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들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도록 배열되며;
    베이스가 제1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와 제2 스프링 컨텍트들의 제1 길이방향 연장부들 사이에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17008947A 1999-01-15 2000-01-04 통신용 잭 어셈블리 KR20010101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31,736 US6334792B1 (en) 1999-01-15 1999-01-15 Connector including reduced crosstalk spring insert
US09/231,736 1999-01-15
US09/327,053 1999-06-07
US09/327,053 US6234836B1 (en) 1999-01-15 1999-06-07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PCT/US2000/000062 WO2000042682A1 (en) 1999-01-15 2000-01-04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856A true KR20010101856A (ko) 2001-11-15

Family

ID=2287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947A KR20010101856A (ko) 1999-01-15 2000-01-04 통신용 잭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6334792B1 (ko)
KR (1) KR20010101856A (ko)
CN (1) CN1897365A (ko)
AR (1) AR022287A1 (ko)
RU (1) RU2001121483A (ko)
ZA (1) ZA2001062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5809A (ja) 1999-01-15 2002-10-22 エーデーシー・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通信用ジャックアセンブリー
US6334792B1 (en) * 1999-01-15 2002-01-01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nnector including reduced crosstalk spring insert
US6543626B1 (en) * 1999-05-21 2003-04-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Cable management rack for telecommunication cross-connect systems
US6508593B1 (en) * 2000-05-09 2003-01-21 Molex Incorporated Universal panel mount system for fiber optic connecting devices
US6749466B1 (en) * 2000-08-14 2004-06-15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configurations
US6616005B1 (en) * 2000-08-28 2003-09-09 Hubbell Incorporated Modular faceplate assembly for an electrical box
US6554653B2 (en) * 2001-03-16 2003-04-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spring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US6736670B2 (en) * 2001-11-16 2004-05-18 Adc Telecommunications, Inc. Angled RJ to RJ patch panel
JP4061123B2 (ja) * 2002-05-21 2008-03-12 日立電線株式会社 モジュラージャックコネクタ
US6814624B2 (en) * 2002-11-22 2004-11-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EP1881570B1 (en) * 2002-11-27 2009-07-29 Panduit Corporation Electronic connector and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connection
US7052328B2 (en) 2002-11-27 2006-05-30 Panduit Corp. Electronic connector and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connection
US6830488B2 (en) * 2003-05-12 2004-12-14 Krone, Inc. Modular jack with wire management
US7704404B2 (en) * 2003-07-17 2010-04-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frigerant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in low temperature refrigeration systems
US7232340B2 (en) * 2004-02-20 2007-06-19 Adc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minimizing alien crosstalk between connectors
CA2464834A1 (en) 2004-04-19 2005-10-19 Nordx/Cdt Inc. Connector
US7040933B1 (en) * 2005-05-02 2006-05-09 Hsing Chau Industrial Co., Ltd Modular communication jack with low assembling tolerance
US8350154B1 (en) * 2005-08-23 2013-01-08 Hubbell Incorporated Universal wall plate mount
US7294024B2 (en) * 2006-01-06 2007-11-13 Adc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inimizing alien crosstalk between connectors
US7651380B2 (en) * 2006-02-08 2010-01-26 The Siemon Company Modular plugs and outlets having enhanced performance contacts
US7232337B1 (en) * 2006-03-13 2007-06-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receptacle assembly
CN101455091B (zh) * 2006-07-25 2013-03-13 Adc有限公司 连接器块
WO2008012017A1 (de) * 2006-07-25 2008-01-31 Adc Gmbh Verbinderblock
US8128433B2 (en) * 2006-11-14 2012-03-06 Molex Incorporated Modular jack having a cross talk compensation circuit and robust receptacle terminals
US7604515B2 (en) * 2006-12-01 2009-10-20 The Siemon Company 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termination variability
AU2007201113B2 (en) * 2007-03-14 2011-09-08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07B2 (en) 2007-03-14 2011-06-23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08B2 (en) * 2007-03-14 2012-02-09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14B2 (en) * 2007-03-14 2011-04-07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09B2 (en) * 2007-03-14 2010-11-04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05B2 (en) 2007-03-14 2011-08-04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02B2 (en) * 2007-03-14 2010-11-04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AU2007201106B9 (en) * 2007-03-14 2011-06-02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Electrical Connector
US7794286B2 (en) * 2008-12-12 2010-09-14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parate contact mounting and compensation boards
US20120069516A1 (en) * 2010-09-22 2012-03-2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TWM414715U (en) * 2011-01-28 2011-10-21 Paul Foung Front load keystone d-shape connector
US8939792B2 (en) * 2012-01-27 2015-01-27 Go!Foton Holdings, Inc. Patch panel assembly
US8512082B1 (en) * 2012-02-10 2013-08-20 Yfc-Boneagl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ack
CN102740637B (zh) * 2012-06-07 2016-01-20 惠州德赛信息科技有限公司 电子产品上带外部接口的电子部件及该电子产品
CN203242790U (zh) * 2013-03-19 2013-10-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CN105406232B (zh) * 2014-08-20 2018-02-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Rj45插座连接器
US10291969B2 (en) 2017-02-14 2019-05-14 Go!Foton Holdings, Inc. Rear cable management
BE1025936B1 (de) * 2018-01-22 2019-08-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Baukastensystem zum Herstellen eines elektrischen Geräts
EP4063929A1 (en) * 2021-01-18 2022-09-28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Enclosure with converging ports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8261A (en) * 1978-06-14 1995-12-26 Virginia Patent Development Corp. Modular jack for directly coupling modular plug with printed circuit board
US4274691A (en) * 1978-12-05 1981-06-23 Amp Incorporated Modular jack
US4406509A (en) 1981-11-25 1983-09-27 E. I. Du Pont De Nemours & Co. Jack and plug electrical assembly
KR890004702Y1 (ko) * 1983-03-15 1989-07-15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전화용 접속자
US4648678A (en) 1985-07-01 1987-03-10 Brand-Rex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US4698025A (en) 1986-09-15 1987-10-06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modular phone jack assembly
US5030123A (en) 1989-03-24 1991-07-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nnector and patch panel for digital video and data
US5156554A (en) 1989-10-10 1992-10-20 Itt Corporation Connector interceptor plate arrangement
US4971571A (en) * 1990-03-15 1990-11-20 Amp Incorporated Self-locking pin field connector
US5071371A (en) 1990-03-30 1991-12-1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US5044981A (en) * 1990-04-18 1991-09-03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Snap-on stacking telephone jack
US5041018A (en) * 1990-08-20 1991-08-20 At&T Bell Laboratories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5186647A (en) 1992-02-24 1993-02-16 At&T Bell Laboratories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713764A (en) 1992-03-16 1998-02-03 Molex Incorporated Impedance and inductance control in electrical connectors
US5299956B1 (en) * 1992-03-23 1995-10-24 Superior Modular Prod Inc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IE80506B1 (en) 1992-05-08 1998-08-26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anti-overstress means
US5238426A (en) 1992-06-11 1993-08-24 At&T Bell Laboratories Universal patch panel for communications use in buildings
US5399107A (en) * 1992-08-20 1995-03-21 Hubbell Incorporated Modular jack with enhanced crosstalk performance
US5295869A (en) * 1992-12-18 1994-03-22 The Siemon Company Electrically balanced connector assembly
US5302140A (en) 1993-04-02 1994-04-12 At&T Bell Laboratories Connector with mounting collar for use in universal patch panel systems
US5362257A (en) 1993-07-08 1994-11-08 The Whitaker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nector terminal arrays having noise cancelling capabilities
US5639266A (en) 1994-01-11 1997-06-17 Stewart Connector Systems, Inc.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403200A (en) 1994-05-04 1995-04-04 Chen; Michael Electric connecting block
US5503572A (en) 1994-05-17 1996-04-02 Mod-Tap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nectors
DE69430194T2 (de) 1994-07-14 2002-10-31 Molex Inc Modularer Steckverbinder mit verringertem Übersprechen
US5599209A (en) 1994-11-30 1997-02-04 Berg Technology, Inc. Method of reducing electrical crosstalk and common mod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modular jack for use therein
US5639261A (en) 1994-12-23 1997-06-17 Lucent Technologies Inc. Modular cross-connect system
US5735714A (en) 1995-04-06 1998-04-07 Ortronics Inc. Information management outlet module and assembly providing protection to exposed cabling
US5580257A (en) 1995-04-28 1996-12-03 Molex Incorporated High performance card edge connector
JP3424780B2 (ja) * 1995-06-30 2003-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検知具を備えたコネクタ
US5659650A (en) 1995-09-26 1997-08-19 Lucent Technologies Inc. Hinged faceplate
US5647043A (en) 1995-10-12 1997-07-08 Lucent Technologies, Inc. Unipartite jack receptacle
US5624274A (en) 1995-11-07 1997-04-29 International Connectors And Cable Corporation Telephone connector with contact protection block
US5769647A (en) 1995-11-22 1998-06-23 The Siemon Company Modular outlet employing a door assembly
US5791943A (en) 1995-11-22 1998-08-11 The Siemon Company Reduced crosstalk modular outlet
JP3144464B2 (ja) * 1995-11-27 2001-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
US5685742A (en) 1995-11-28 1997-11-1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U716436B2 (en) 1995-12-25 2000-02-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US5716237A (en) 1996-06-21 1998-02-10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rosstalk compensation
GB2314466B (en) 1996-06-21 1998-05-27 Lucent Technologies Inc Device for reducing near-end crosstalk
US5674093A (en) * 1996-07-23 1997-10-07 Superior Modular Process Incorporated Reduced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US5911602A (en) 1996-07-23 1999-06-15 Superior Modular Products Incorporated Reduced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US5700167A (en) 1996-09-06 1997-12-23 Lucent Technologies Connector cross-talk compensation
US5795186A (en) 1996-09-18 1998-08-18 The Siemon Company Multimedia bezels
US5779503A (en) 1996-12-18 1998-07-14 Nordx/Cdt, Inc. High frequency connector with noise cancelling characteristics
US5938479A (en) 1997-04-02 1999-08-17 Communications Systems, Inc. Connector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field coupling
US5997358A (en) 1997-09-02 1999-12-07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ime-delayed signal compensation
JPH10335007A (ja) 1997-06-02 1998-12-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5924896A (en) * 1997-08-01 1999-07-20 Lucent Technologies Inc.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jack
US5947772A (en) 1997-08-22 1999-09-07 Lucent Technologies Inc. Wire terminal block for communication connectors
US5885111A (en) 1998-01-13 1999-03-23 Shiunn Yang Enterprise Co., Ltd. Keystone jack for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s
US6083052A (en) * 1998-03-23 2000-07-04 The Siemon Company Enhanced performance connector
US6086428A (en) 1998-03-25 2000-07-11 Lucent Technologies Inc. Crosstalk compensation for connector jack
US6066005A (en) 1998-06-30 2000-05-23 Berg Technology, Inc. Vertical modular connector having low electrical crosstalk
US6371793B1 (en) 1998-08-24 2002-04-16 Panduit Corp.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US5947761A (en) * 1998-09-29 1999-09-07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pivoting wire fixture
US6102722A (en) 1998-12-28 2000-08-15 Lucent Technologies Inc. Upgradeable communication connector
US6334792B1 (en) 1999-01-15 2002-01-01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nnector including reduced crosstalk spring insert
JP2002535809A (ja) 1999-01-15 2002-10-22 エーデーシー・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通信用ジャックアセンブリー
US6116964A (en) 1999-03-08 2000-09-12 Lucent Technologies Inc. High frequency communications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compensation
FR2791816B1 (fr) 1999-04-01 2001-06-15 Infra Sa Connecteur male basse tension
US6186834B1 (en) 1999-06-08 2001-02-13 Avaya Technology Corp. Enhanced communic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compensation
US6089923A (en) 1999-08-20 2000-07-18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including crosstalk compensation for printed circuit board
US6196880B1 (en) 1999-09-21 2001-03-06 Avaya Technology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compensation
US6165023A (en) 1999-10-28 2000-12-26 Lucent Technologies Inc.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arrangement for a communication connector
US6283796B1 (en) 2000-03-23 2001-09-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RJ-receptacle connector with anti-incorrect-insertion device
US6350158B1 (en) 2000-09-19 2002-02-26 Avaya Technology Corp. Low crosstalk communication connector
US6814624B2 (en) 2002-11-22 2004-11-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0575E1 (en) 2008-11-18
AR022287A1 (es) 2002-09-04
CN1897365A (zh) 2007-01-17
ZA200106240B (en) 2002-07-30
US6334792B1 (en) 2002-01-01
US6234836B1 (en) 2001-05-22
US6629862B2 (en) 2003-10-07
RU2001121483A (ru) 2003-06-27
USRE40682E1 (en) 2009-03-24
US20020045387A1 (en)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1856A (ko) 통신용 잭 어셈블리
US6524131B2 (en)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US6814624B2 (en)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US6592395B2 (en)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US7241182B2 (en) Angled RJ to RJ patch panel
EP0939455B1 (en) Low cross talk connector configuration
US5435752A (en) Electrically balanced connector assembly
US6419526B1 (en) High frequency bi-level offset multi-port jack
CA2244426C (en) Solderless mount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4725249A (en) Connector assembly
JP4168158B2 (ja) 改良コネクター
JP2003522389A (ja) 垂直及び直角モジュラアウトレット
US6994582B1 (en) Connector module
JPH0550108B2 (ko)
MXPA01007166A (es) Montaje conjuntor de telecomunicaciones
KR100515860B1 (ko) 향상된 혼선방지기능을 갖는 슬림형더블데크커넥터
JPH04115768U (ja) 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