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349A - 차폐장치용 지지수단 - Google Patents

차폐장치용 지지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349A
KR20010101349A KR1020017008417A KR20017008417A KR20010101349A KR 20010101349 A KR20010101349 A KR 20010101349A KR 1020017008417 A KR1020017008417 A KR 1020017008417A KR 20017008417 A KR20017008417 A KR 20017008417A KR 20010101349 A KR20010101349 A KR 2001010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necting member
frame
members
fro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트 고드비그 라센
카르스텐 브뢰늄 그린발즈
Original Assignee
카르스텐 브뢴늄 그린발드즈
브이케이알 홀딩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르스텐 브뢴늄 그린발드즈, 브이케이알 홀딩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카르스텐 브뢴늄 그린발드즈
Publication of KR2001010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34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aper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Fish Paste Product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atch Board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Magnetic Head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창문 차폐장치용 지지수단은 프레임 구조체의 대향하는 나란한 한 쌍의 프레임 표면(2)의 각각에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브라켓부재(6)와 차폐장치에 의해 연결가능한 한 쌍의 제 2 연결부재(7)를 포함한다. 각각의 브라켓부재는 프레임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실질적으로 매끈한 외측 표면을 가지는 상당히 편평한 전방부를 포함하지만, 각 연결부재(7; 107; 207; 307; 36)가 결합수단(11-12; 111-112; 33-34)에 설치되고, 일시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브라켓부재의 주변 표면부를 결합하는 제 1 연결부재와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연결부재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비-탄성 제 2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폐장치용 지지수단 {SUPPORTING MEANS FOR A SCREENING DEVICE}
롤러 블라인드, 베네치안 블라인드, 주름 블라인드 및 내측, 외측 셔터와 같은 창문이나 문의 차폐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차폐장치의 특정 형태에 특별히 적용되며, 차폐장치에 제공된 결합수단에 의해 , 특히 그 양측단부에서, 결합가능한 지지 브라켓이 함께 설치된다. 차폐장치를 설치하는 동안, 만약 서로 다른 좌측 브라켓과 우측 브라켓이 혼용된다면, 지지 브라켓은 종종 실수를 하는 사용자 자신에 의해 설치되어야한다.
제조시에 문이나 창문의 프레임 구조의 차폐 장치의 특정 형태를 위한 지지 브라켓을 조립하는 것이 공지되어, 문이나 창문의 프레임 구조체에 미리 설치된 지지브라켓이 제공되더라도, 그러한 브라켓은 롤러 블라인드와 같은 특정 종류의 차폐장치를 사용하도록 일반적으로 설계되었다. 베네치안 블라인드 같은 다른 종류의 차폐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필요로 하는 차폐장치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브라켓에 의해 사전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을 교체하는 경우가 필요하게 된다.
추가로, 문이나 창문 프레임 구조체를 피할 수 없는 제조 공차는 차폐장치의 설치를 보정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을 발생시켜서, 프레임 구조에 차폐장치를 안전하게 설치하는 것은 부가적인 고정 스크류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독일 특허 제 30 48 333 호에 있어서, 롤러 블라인드용 지지수단은 두개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그중 하나에는 회전하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롤러 블라인드의 스프링 롤러 튜브의 일단부에 사각의 핀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이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원형 구멍이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베네치안 블라인드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각 지지판에는 베네치안 블라인드의 상부 케이싱과 연결되는 연결부재의 결합 홈을 위한 돌출부가 제공되어, 상기 부재는 지지판 너머로 밀린다. 이어서, 블라인드의 측부 안내 리스트가 설치되고, 상기 리스트는 지지평판으로부터 연결부재의 안전한 분리와 같은 블라인드의 상부 케이싱과 연결부재를 위한 지지부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비록 상기 지지구조체는 서로 다른 차폐장치를 위하여 동일한 지지브라켓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더라도, 이러한 설계의 단점은 슬롯과 원형 구멍이 각각 필요한 것과 같은 롤러 블라인드의 스프링 롤러 튜브를 수용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롤러블라인드 지지 브라켓이 사용된다는 점이다.
미국 특허 제 A-3,614,045 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프레임 구조체의 측부부재에 고정되어 연장되며 그 전체 높이를 통해 연장되는 슬로팅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슬롯에서 결합되도록 고리 형상의 결합부재가 제공되며 프레임 구조체의 전방에서 직각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어있다. 다소 덜 세련된 외형의 상기 장치는 지지 구조체를 감추도록 휘장으로 가리는 장치에 한계를 두며, 차폐장치같은 장식이나 창문의 미적이고 기능적인 설계를 위한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지 못한다.
EP-A1-0,465,433 은 프레임 측부부재의 대향하는 표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동일한 튜브 형상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여, 그 각각의 횡방향 리쎄스는 지지 브라켓의 형상 저장 외측 원통 형상의 탄성 클램핑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설계는 각 단부에서 돌출하는 원통형 핀의 형상에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롤러 블라인드만을 고려한 것이다.
WO 96/07007 은 프레임 구조체의 전방부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롤러 차양이 설치되고, 롤러 차양에 의해 결합된 슬라이드의 형상으로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언더컷 홈으로써 형성된다.
SE-B-415,904 에서, 롤러 블라인드 지지부가, 장방형의 슬릿의 양 측부상의 모서리 플랜지부가 롤러 블라인드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가능하여 리쎄스속으로 물려질 수 있는 삽입 슬라이드의 탄성 레그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L 형상의 브라켓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문이나 창문과 같이 빌딩의 입구를 가리면서 상부, 저부부재 및 측부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를 구비한 프레임 구조의 차폐장치를 지지하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단은 상기 프레임 구조의 대향하는 나란한 프레임 표면의 각 쌍에 설치되는 제 1 브라켓부재의 쌍과 상기 차폐장치의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가능한 수단이 각각 제공되는 제 2 연결부재의 쌍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각각의 쌍은 추가로 브라켓부재와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본 발명이 설명된다.
도 1은 프레임 측면 부재에 배열된 지지 수단과 지붕 창문의의 새시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 수단의 배열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지지 수단의 연결 부재의 두 가지 선택적인 설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7은 지지 수단의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지붕 창문의 좌측상부 모서리에 배치된 지지 수단의 선택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차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창문의 우측상부 모서리를 제외하고는 도 8과 같은 도면이다.
이러한 배경 기술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빌딩의 입구를 가리는 장방형의 프레임, 특히 디자인의 품질에 있어서 현재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넓은 범위의 제조 공차를 보상할 수 있는 저가-조정가능한 디자인에 의해 설치가 간단한 창문의 새시구조나 프레임에 있어서의 차폐장치를 설치하는 지지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조장소에서 프레임 구조체에 미리 설치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1 지지 브라켓의 일반적인 설계를 제공하여 연결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사용하는 다양한 차폐장치가 제조될 수 있개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들은, 상기 한 쌍의 제 1 브라켓부재가 상기 대향된 프레임 표면상에 설치하기 위한 동일한 표준부재이며, 각각은 상기 브라켓부재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외측표면을 구비하는 상당히 편평한 전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수단에는 각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일시적 결합을 제공하는 브라켓부재의 주변 표면부를 결합하는 연결부재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의 형태로 제 1 결합수단과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연결부재의 안정된 결합을 제공하는 비-탄성 제 2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지지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동일한 표준 부재로서 브라켓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그 제조과정은 간단하고 저렴하게 될 것이다. 브라켓부재는 창문의 가벼운 영역과 대향하는 새시나 프레임 측부부재의 대향하는 표면에 그리고 새시나 프레임의 상부부재 바로 아래에 특징적으로 설치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브라켓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차폐장치의 수용을 위한 새시나 프레임 상부 및 저부부재의 대향하는 표면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설치되는 프레임이나 새시부재의 길이방향이나 그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의 접촉 표면과 일시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주변 표면부로써 브라켓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후자의 방향에서, 연결부재가 창문 페인(pane)의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창문의 내측면으로부터 브라켓부재로 밀리기 때문에, 브라켓부재상의 연결부재의 이어지는 설치는 간단하게 된다.
또한, 브라켓부재 및 프레임 또는 새시구조에 연결부재를 일시적이고 안정되게 결합하는 제 1, 2 결합수단의 형태에서 결합수단의 준비는 차폐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바에서 명확히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결합수단은 브라켓부재에 대하여 연결부재가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동안 프레임이나 새시구조에 대하여 연결부재를 준비하고 안정적이며 확실히 고정함으로써 수반되는 연결부재와 차폐장치의 일시적이며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라켓부재는 두 가지 목적이 있는데, 그 하나는 연결부재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여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차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연결부재의 안정된 결합을 이룬 후에 차폐구조체의 하중을 수용하여 상기 하중을 프레임 구조체에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수단의 한정되지 않은 실시예가 종속항에 서술된다.
도 1은 수직평면에서 연장되는 수평 상부 부재(1)와 측면 부재(2)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구비한 지붕 창문의 우측상부 모서리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창문의 주 프레임과 개방가능한 창문의 새시 양자를 구성하는 프레임 구조는 상부부재(1)와 대향하고 나란한 저부부재 및 도시된 우측면부재(2)에 대향하는 좌측면부재를 포함하여, 상부, 저부 및 측면부재는 창문의 페인(3)을 형성하는 일반적인 장방형의 구조를 이룬다.
창문 페인(3)의 내측부상에 롤러 블라인드, 주름 블라인드, 베네치안 블라인드 같은 차폐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브라켓부재(4)는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대향하는 좌측면부재 뿐만 아니라 수평 상부부재(1)에 인접한 프레임 구조의 측면부재(2)에 고정된다. 브라켓부재(4)는 다양한 차폐 구조체의 설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 쌍의 동일한 표준부재로서 형성된다.
도 2의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브라켓부재(4)가 측면부재(2)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 각 브라켓부재(4)는 프레임 측면부재(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거의 매끈한 외측표면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편평한 전방부(5)와, 외측나사산(9)이 있는 핀(8 : pin)과 프레임 측면부재(2)에 미리 상응하게 천공된 보어(10)에 핀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다른 적절한 윤곽에 의해 프레임 측면부재(2)의 구멍이나 리쎄스(7)에 고정된 기초영역(6)을 포함한다. 특징적으로, 전방부(5), 기초영역(6), 및 브라켓부재(4)의 돌출 형상의 핀(8)은 적절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합성재료를 주조 또는 성형 부재로서 단일하고 일체적인 부품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2의 실시예에서, 브라켓부재의 전방부(5)는 두 쌍의 서로 나란한 측면(11, 12)을 가진 장방형의 평판부재로서 형성되나, 하기의 설명과 같이, 브라켓부재의 전방부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창문의 제조와 관련하여 창문 프레임에 미리 설치되는 각 브라켓부재의 돌출 전방부(5)는 차폐 구조체와 함께 한 쌍의 연결부재 중의 하나로서 주어진 연결부재(13)를 수용하고 지지한다. 도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장치의 양단부에 있는 전형적인 차폐장치상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가능한 수단이 연결부재에 설치된다. 롤러 블라인드 형태의 차폐장치에서, 권취로드(winding rod)의 단부축 또는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블라인드의 튜브를 수용하는, 도 3에 도시된, 사각 구멍(14)이 연결부재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사이에 일시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브라켓부재의 주변 표면을 결합하는 연결부재상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표면의 형태로 제 1 결합수단, 및 창문 프레임 구조에 대한 연결부재를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비탄성의 제 2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결합수단이 브라켓부재 및 연결부재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3의 실시예에서, 직각으로 프레임 구조의 내측부로부터 브라켓부재(4)의 돌출 전방부(5)의 연결 측면 모서리를 결합하는 레그(16, 17)를 갖는 측면부재(2)로 브라켓부재(4)상에서 밀리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A 와 같이, 두개의 레그(16, 17)의 L 형상의 구조체와 연결되는 연결부재(13)의 단단한 평판구역(15)에는 차폐 구조에 의해 결합가능한 수단을 구성하는 사각 구멍(14)이 설치된다. 따라서, 레그(16, 17) 및 평판구역(15)에 의해 형성된 개방 리쎄스(18)로 향하는 레그(16, 17)의 표면은 브라켓부재(4)를 가진 연결부재(13)의 일시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측면모서리(11, 12)에 의해 형성된 브라켓부재(4)의 주변 표면부를 결합하는 연결부재(13)의 접촉표면을 형성한다.
이어서, 프레임 구조에 대한 연결부재(13)의 안정적인 연결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6, 17)중의 하나의 구멍을 통하여 가로놓인 측면부재(2) 내부로 도입된 못이나 스크류(19)를 포함하는 제 2 결합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재(4)의 짧은 다른 측면(12)을 연결하는 짧은 고리(21)와 같은 스냅 결합수단을 가진 레그(16)와 같은 레그 중 하나의 자유 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13)의 일시적인 배치는 추가적으로 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3의 평판구역(15)과 연결된 레그(16, 17)의 L형상 구조체는 연결부재(24)의 저부 부품(23)으로부터 돌출 레그(22)의 U 형상과 교체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 레그(22) 각각의 자유단부는 고리-형상의 스냅 결합수단(25)으로 형성된다.
도 4의 연결부재(24)는 화살표 B 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측면부재(2)의 길이방향에서 상향으로 U 형상의 레그(22)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도 1의 브라켓부재(4)의 장방형 전방부(5)와 용이하게 일시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4)가 상향으로 밀려서 저부 부품(23)이 긴 하부 측면(11)과 접할 때, 돌출 레그(22)는 각 레그(22)의 자유 단부에서의 스냅 결합수단(25)이 브라켓부재의 전방부(5)의 긴 상부 측면(11)과 스냅 결합되도록 충분한 탄성 변형을 제공할 것이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같이, 저부 부품(23)의 구멍(27)을 통하여 프레임 측면부재(2) 내부로 도입되는 못이나 스크류와 같은 방식으로 프레임 구조에 대한 연결부재의 안정적인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재과 연결부재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에서, 브라켓부재의 전방부(28)는 수평 상부부재(32)와 측면부재(33)를 가진 프레임 구조체의 내측부를 향하여 창문 페인(31)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모이는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29, 30)을 가진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는 레그(34)가 형성된, 레그 (34, 35)의 L 형상 그러나 쐐기 형상도 가지는 레그를 구비하여, 쐐기 형상 레그(34)가 수평 상부부재(32)의 아래면과 전방부의 경사진 윗면(29)사이에서 밀릴 때까지, 화살표 C 방향의 창문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브라켓부재에서 연결부재가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브라켓부재를 가진 연결부재는 일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에 대한 연결부재의 안정적인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의 레그(35)에 형성된 구멍(36)을 통하여 프레임 측면부재(33) 내부로 못이나 스크류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재의 레그를 밀어서 브라켓부재와 연결부재를 일시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화살표 B 방향으로 상응하는 수평 프레임 상부부재(1)를 향한 방향으로 스프링 바이어스를 구비하는 프레임 측면부재(2) 상에 브라켓부재(4)를 설치함으로써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브라켓과 연결부재로서 달성되어, 도 3의 고리-형상 스냅 결합수단(25)은 필요없을 수도 있다. 브라켓부재의 스프링 바이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 측면부재(2)의 구멍이나 리쎄스(7)의 대향하는 모서리부(39)와 브라켓부재(4)의 기초구역(6)의 저면 사이에 위치된 리프 스프링(37 : leaf spring)과 같은 스프링처럼 도 2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브라켓부재의 상면과 결합부 사이의 연결부재의 접촉 표면 사이에서 스프링을 움직으로써, 즉, 연결부재의 상응하는 레그(34)의 하면에 설치된 리프 스프링에 의해, 또는 도 8 내지 10의 실시예와 관련한 하기의 설명에 나타나듯이,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서, 브라켓부재의 전방부(40)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연결부재(41)는 일반적으로 L 형상의 레그(42, 43)를 포함하며, 브라켓부재의 상부 주변 모서리부(44)와 결합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레그(42)의 하면은 전방부(40)의 원주곡률과 일치하는 곡률로써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부재 및 브라켓부재의 일시적 결합은 화살표 D 방향으로의 스프링 바이어스을 구비한 프레임 측면부재(45)에 브라켓부재를 설치함으로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48)의 노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접촉면(46)과 리쎄스(51)로부터 돌출하는 노치(50)와 같은 경계부 형상을 가진 브라켓부재의 전방부(49)의 주변 표면부(48)와 L 형상의 레그(47)에 의해 제공된 접촉면(46)을 형성함으로써 브라켓부재에 대한 연결부재의 일시적 결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7에서, 브라켓부재와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일시적이고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가 각각 도시되어, 각 실시예에서, 연결부재는 차폐장치의 대응 수단에 의해 결합가능한 도 3에 도시된 평판구역(15)의 사각 구멍(14)과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도 8 내지 10에는 선택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브라켓부재(64)에 설치되는 연결부재(73, 83)는 대개 디스크 형상을 구비한다. 브라켓부재(64)는 도 1 내지 3중의 어느 하나와 같이 상기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설계이며, 연결 수평 프레임부재(61)에 인접한 프레임 구조체의 측면부재(62a, 62b)상에 설치된다. 각 연결부재(73, 83)는 그 후면에(도시않음) 일시적 결합을 제공하는 브라켓부재(64)의 전방부(65)의 적어도 하나의 긴 상부 측면(71)을 연결하는 접촉면을 구비한다. 일시적인 결합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각 연결부재(73, 83)는 브라켓부재(64)의 전방부(65)의 긴 상부 측면(71)과 연결 수평 프레임부재(61) 사이의 연결부재(73, 83)를 밀어주는 압박 수단을 그 상부 측부에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단들은 연결부재(73, 83)의 윗면으로부터 일정각으로 돌출하며, 상부 프레임부재(61)와 브라켓부재(64) 사이에 스프링 바이어스를 제공하는 플랩(75, 85)을 포함한다. 물론 두개 이상의 플랩이 서로 인접하여 또는 다른 기하학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압박수단은 각 연결부재의 상부측상에 쐐기같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연결부재(73, 83)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구멍(80, 90)을 통하여 가로놓인 측면부재(62a, 62b) 내부로 도입되는 못이나 스크류를 구비하는 제 2 결합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수단에 차폐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기 위해, 고정부재의 일시적 유지를 위해 주변 핀(81, 91 : fin)이 각 구멍(80, 90)에 설치된다.
도 9에는 일단부에서 사각형이나 장방형의 핀(101 : pin)을 구비하는 롤러 블라인드(100) 형상의 차폐장치가 도시된다. 상기 핀(101)에 의해 연결가능한 연결부재(73)상의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대칭적이며 연결부재(73) 상의 소켓(74) 내부로 연결되는 단면을 구비하는 어댑터 부품(76)을 포함한다. 지적한 바와같이, 차폐장치가 어댑터 부품(76)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댑터 부품은 원효 형상의 슬릿(78)을 구비할 수 있다. 대향하는 연결부재(83) 상의 결합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이나 장방형의 핀(101)을 구비하는 대향 단부인 롤러 블라인드의 단부에서 대응하는 구멍(도시않음) 내부에 연결되는 핀(84)을 포함한다.

Claims (18)

  1. 상부 및 저부부재(1; 32; 61) 와 측면부재(2; 33; 45; 62a; 62b)를 포함하며 빌딩의 입구를 가리는 프레임부재를 가진 프레임 구조체의 차폐장치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수단은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대향하는 나란한 한 쌍의 프레임 표면(2; 33; 45; 62a; 62b)의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브라켓부재(4; 64)와 상기 차폐 장치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가능한 수단(14; 74; 84)이 각각 제공된 한 쌍의 제 2 연결부재(13; 24; 41; 73; 83)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과 연결부재(4, 13; 24; 41; 64, 73,83)는 브라켓부재와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차폐장치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브라켓부재(4; 64)는 상기 대향하는 프레임 표면(2; 33; 45; 62a, 62b) 상에서 설치하기 위한 동일한 표준부재이며, 각각은 상기 브라켓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표면(2; 33; 45; 62a, 62b)으로부터 돌출하며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외측 표면을 가지는 비교적 편평한 전방부(5; 28; 40; 49; 65)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일시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브라켓부재의 주변 표면부(11, 12; 29; 44; 48; 71)를 결합하는 연결부재(13; 24; 41; 73, 83)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16, 17, 21; 22, 23, 25; 34, 35; 42, 43; 46) 의 형태인 제 1 결합수단과,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연결부재(13; 24; 41; 73, 83)의 안정된 결합을 제공하는 비-탄성의 제 2 결합수단(19, 20; 27; 80, 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폐장치 지지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브라켓부재(4)의 전방부(5, 28)는 실질적으로 다각형이며, 연결부재의 상기 접촉표면(16, 17, 21; 22, 23; 34, 35)과 상기 브라켓부재(4)의 상기 주변 표면부(11, 12)의 각각은 상기 일시적인 결합을 제공하도록 각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재(4)의 전방부(5)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이며, 상기 연결부재(13, 24)는 상기 전방부(5)와 일치하며 브라켓부재의 연결측부를 결합하는 접촉 표면에 의해 제한되는 개방 리쎄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4. 제 3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13)는 서로 거의 직각을 이루는 L 형상의 두개의 레그(16, 17)를 포함하여, 상기 레그는 상기 접촉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4)는 브라켓부재(4)의 전방부(5)의 대향하는 측면(12)을 결합하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인 레그(22, 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16, 22)의 자유단부는 상기 하나의 레그(16, 22)에 의해 결합된 측면(11, 12)을 연결하는 브라켓부재(4)의 전방부(5)의 측면(12, 11)을 결합하는 스냅 결합수단(21, 25)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수단(4)은 연결 수평 프레임 부재(1, 32)에 인접한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측면부재(2, 33) 상에 설치되며, 연결부재(13)의 레그(16, 34)는 브라켓부재(4)의 전방부(5, 28)와 상기 연결 수평 프레임부재(1, 32) 사이에서 일려짐으로써 상기 일시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8. 제 7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상기 레그(34)는 일반적으로 쐐기 형상이며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32)와 대향하는 브라켓부재의 전방부(28)의 측부(29)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9. 제 7 항에 있어서, 브라켓부재(4) 및/또는 연결부재(13) 상에서 작동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1)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0. 제 9 항에 있어서, 브라켓부재(4)의 기초영역(6)의 하면(38)과 프레임 측부부재(2)의 구멍이나 리쎄스(7)의 대향하는 모서리부(39) 사이에 위치된 리프 스프링(37)에 의해 상기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재(62)는 연결 수평 프레임 부재(61)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측면부재(62a, 62b) 상에 설치되며, 그 상부 측면상의 각 연결부재(73, 83)는 브라켓부재(64)의 전방부(65)와 상기 연결 수평 프레임부재(61)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재를 밀어주기 위한 압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은 쐐기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각 지지부재(73, 83)의 상기 상부 측부로부터 각을 이루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랩(75, 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41)의 상기 접촉표면과 브라켓부재의 전방부(40)의 상기 주변 표면부(44)는 서로 일치하는 곡률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5.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상기 접촉표면(46)과 브라켓부재의 전방부(49)의 상기 주변 표면부(48)는 상호 연결하는 윤곽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수단은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연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9)를 수용하도록 연결부재(13; 24; 73, 83)에 구멍이나 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멍(80, 90)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시적 보유를 위한 원주 핀(81, 91 : fin)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18. 상기 차폐장치는 일단부에 사각 또는 장방형의 핀을 가지는 롤러 블라인드인 제 1 항 내지 제 17 항의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핀(pin)에 의해 결합가능한 대응수단(74)은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대칭인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73) 상의 소켓(77) 내부로 연결되는 어댑터 부품(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수단.
KR1020017008417A 1999-02-12 2000-02-11 차폐장치용 지지수단 KR200101013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CT/DK99/00110 1999-02-12
DK9900110 1999-02-12
PCT/DK2000/000057 WO2000047858A1 (en) 1999-02-12 2000-02-11 Supporting means for a scree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349A true KR20010101349A (ko) 2001-11-14

Family

ID=815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417A KR20010101349A (ko) 1999-02-12 2000-02-11 차폐장치용 지지수단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1) US6550733B1 (ko)
EP (1) EP1151176B1 (ko)
JP (1) JP3495333B2 (ko)
KR (1) KR20010101349A (ko)
CN (1) CN1139716C (ko)
AT (1) ATE238484T1 (ko)
AU (1) AU745402C (ko)
BG (1) BG105584A (ko)
BR (1) BR0008133A (ko)
CA (1) CA2356363A1 (ko)
CZ (1) CZ299009B6 (ko)
DE (1) DE60002300T2 (ko)
DK (1) DK1151176T3 (ko)
EA (1) EA002708B1 (ko)
EE (1) EE04203B1 (ko)
ES (1) ES2197071T3 (ko)
HR (1) HRP20010670A2 (ko)
HU (1) HU223261B1 (ko)
IL (1) IL143343A0 (ko)
IS (1) IS6006A (ko)
NO (1) NO316794B1 (ko)
NZ (1) NZ511920A (ko)
PL (1) PL197697B1 (ko)
SI (1) SI1151176T1 (ko)
SK (1) SK286426B6 (ko)
TR (1) TR200102310T2 (ko)
UA (1) UA67808C2 (ko)
WO (1) WO2000047858A1 (ko)
YU (1) YU47101A (ko)
ZA (1) ZA2001041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00775A1 (en) 2003-07-21 2005-01-26 VKR Holding A/S Supporting means and screening device for use with such supporting means
PL1807598T3 (pl) * 2004-11-01 2013-09-30 Vkr Holding As Środki podtrzymujące ułatwiające instalację urządzenia zasłaniającego, i okno do współpracy ze środkami podtrzymującymi
JP4833332B2 (ja) 2006-03-27 2011-12-07 ヴィーケーアール・ホールディング・アー・エス 窓またはドアの枠内に設けられるスクリーニング装置を支持するブラケット部材、連結部材、窓またはドア、およびスクリーニング装置
EP2150671B1 (en) 2007-04-26 2016-04-20 VKR Holding A/S A screening arrangement comprising means for mounting side rails and method of mounting such a screening arrangement
ES2350657T3 (es) 2007-04-26 2011-01-25 Vkr Holding A/S Dispositivo de empantallamiento teniendo una pieza del extremo con un eje de rodillo integrado.
WO2008131758A1 (en) 2007-04-26 2008-11-06 Vkr Holding A/S A screening arrangement including a guide bar
PL2150672T3 (pl) 2007-04-26 2017-09-29 Vkr Holding A/S Urządzenie zasłaniające zawierające górny element mający zwartą konfigurację
EP2690246B1 (en) 2007-04-26 2016-03-16 VKR Holding A/S A screening arrangement comprising means for mounting side rails and method of mounting such a screening arrangement
EP2011951B1 (en) 2007-07-03 2019-09-25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Bracket together with and for supporting a covering assembly
US20090127369A1 (en) * 2007-11-20 2009-05-21 Mullet Willis J System for leveling a protective window covering
US8368328B2 (en) * 2010-02-23 2013-02-0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ized roller shade
US9152032B2 (en) 2010-02-23 2015-10-06 Qmotion Incorporated High efficiency motorized roller screen and method of operation
US8299734B2 (en) * 2010-02-23 2012-10-30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US8575872B2 (en) 2010-02-23 2013-11-0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and method for setting artificial stops
US9249623B2 (en) 2010-02-23 2016-02-02 Qmotion Incorporated Low-power architectural covering
US9194179B2 (en) 2010-02-23 2015-11-24 Qmotion Incorporated Motorized shade with the transmission wir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shaft
US8659246B2 (en) 2010-02-23 2014-02-2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US9018868B2 (en) 2010-02-23 2015-04-28 Qmotion Advanced Shading Systems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and method for setting artificial stops
CN103402402B (zh) * 2011-04-04 2016-02-03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日照遮蔽装置
WO2013173471A1 (en) * 2012-05-15 2013-11-21 James Geiger Assembly for mounting shades
US9988839B2 (en) 2012-05-15 2018-06-05 Geigtech East Bay Llc Assembly for mounting shades
WO2014169093A1 (en) 2013-04-11 2014-10-16 Qmotion Incorporated Motorized draper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40076505A1 (en) 2012-09-17 2014-03-20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ed horizontal drapery panels having varying characteristics to be moved independently by a common drive system
GB201217604D0 (en) 2012-10-02 2012-11-14 Fourds Ltd Screen assembly
US9801486B2 (en) 2014-05-19 2017-10-31 Current Products Corp. Crossover bracket for drapery
DK3205808T3 (da) 2016-02-10 2021-03-15 Vkr Holding As Afskærmningsanordning med monteringsbeslag
EP3276118B1 (en) 2016-07-20 2022-03-23 Hunter Douglas Inc. Mounting assembly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WO2018200978A2 (en) 2017-04-28 2018-11-01 Lutron Electronics Co., Inc. Window treatment mounting bracket
DK179835B1 (en) 2017-11-10 2019-07-26 Vkr Holding A/S A method for determining a fully extended position of a screening body of a screening device
DK201770846A1 (en) 2017-11-10 2019-05-21 Vkr Holding A/S Screening arrangement with improved mounting bracket and end piece, window with such a mounting bracket and method of installing and uninstalling a screening arrangement in the window
US10968695B2 (en) * 2018-11-15 2021-04-06 Nien Made Enterprise Co., Ltd. Fixing assembly for roller shade
US11457763B2 (en) 2019-01-18 2022-10-04 Current Products Corp. Stabilized rotating drapery rod ring system
EP3869438A1 (en) 2020-02-21 2021-08-25 VKR Holding A/S Window with machine-readable identifi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4045A (en) * 1969-01-21 1971-10-19 Rudolph J Cegielski Jr Snap-in drapery brackets
SE415904B (sv) * 1979-02-23 1980-11-10 Jung Ab Stig Hallare for rullgardinstang
DK147993C (da) * 1982-11-22 1985-07-01 Fabers Fab As C Beslag til opsaetning af rullegardiner
DE3926101C2 (de) * 1989-08-08 1996-12-12 Mhz Hachtel & Co Rolloträger
IT221263Z2 (it) * 1990-06-27 1994-02-22 Sunproject Srl Supporto per tende avvolgibili.
DE4117039C1 (en) * 1991-05-24 1992-05-07 Johann 8176 Waakirchen De Hoepler Hand tool releasing roll shutter elements - has sloping surfaces spaying apart legs of U=shaped holders
EP0668430B1 (en) * 1994-02-18 1997-04-23 I.M.B.A.C. S.p.a. Improved roller shutter handling member support
SE504777C2 (sv) * 1994-08-31 1997-04-21 Nyge Haglund Ab Rullgardin
FR2731040B1 (fr) * 1995-02-27 1997-12-19 Bubendorff Sa Dispositif de montage d'un tube d'enroulement notamment d'un volet roulant, comportant des moyens de fixation et de verrouillage
NZ337581A (en) * 1997-08-12 2000-12-22 Velux Ind As Supporting means for a scree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95333B2 (ja) 2004-02-09
PL197697B1 (pl) 2008-04-30
HUP0105191A2 (hu) 2002-04-29
ATE238484T1 (de) 2003-05-15
PL349314A1 (en) 2002-07-15
NZ511920A (en) 2003-01-31
ES2197071T3 (es) 2004-01-01
DE60002300T2 (de) 2004-04-08
NO20013870D0 (no) 2001-08-08
EP1151176A1 (en) 2001-11-07
NO316794B1 (no) 2004-05-10
ZA200104185B (en) 2002-08-22
CN1340127A (zh) 2002-03-13
DE60002300D1 (de) 2003-05-28
UA67808C2 (uk) 2004-07-15
CZ299009B6 (cs) 2008-04-02
CA2356363A1 (en) 2000-08-17
US6550733B1 (en) 2003-04-22
AU745402C (en) 2003-01-09
AU745402B2 (en) 2002-03-21
JP2002536575A (ja) 2002-10-29
HUP0105191A3 (en) 2003-02-28
EP1151176B1 (en) 2003-04-23
YU47101A (sh) 2003-02-28
HRP20010670A2 (en) 2002-10-31
EA002708B1 (ru) 2002-08-29
DK1151176T3 (da) 2003-08-11
SK286426B6 (sk) 2008-09-05
BG105584A (bg) 2001-12-31
WO2000047858A1 (en) 2000-08-17
SI1151176T1 (en) 2003-08-31
BR0008133A (pt) 2002-02-19
CZ20012909A3 (cs) 2002-06-12
CN1139716C (zh) 2004-02-25
EE200100330A (et) 2002-12-16
NO20013870L (no) 2001-10-12
SK11502001A3 (sk) 2001-12-03
IS6006A (is) 2001-07-16
AU2535900A (en) 2000-08-29
IL143343A0 (en) 2002-04-21
TR200102310T2 (tr) 2002-01-21
HU223261B1 (hu) 2004-04-28
EE04203B1 (et) 2003-12-15
EA200100888A1 (ru)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1349A (ko) 차폐장치용 지지수단
BG63405B1 (bg) Закрепващо средство за екраниращо устройство
CA3067288A1 (en) An elongated support member and a cover for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US4462186A (en) Self-adjusting window unit with corner assembly
KR101883399B1 (ko) 단 꺾임 천장 실내 조명박스 설치장치
CA2902473C (en) Roller shade system
KR200180068Y1 (ko) 커텐봉 지지구
RU228509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тли
KR102076408B1 (ko) 창틀 블라인드
JPS6016239Y2 (ja) 網戸の高さ調整装置
KR200220555Y1 (ko) 버티칼 프레임 고정구
EP3187669A1 (en) Latching device for a lock, particularly for in-wall frames of retractable sliding doors
KR940006125Y1 (ko) 유리문용 단부프레임
KR200399971Y1 (ko) 창틀 연결장치
EP3187668A1 (en) Latching device for a lock, particularly for in-wall frames of retractable sliding doors
KR20200000623U (ko) 후시공 타입의 도어 틈새 차단 장치
JPS6347873B2 (ko)
JPS596014A (ja) カ−テンボツクス枠等の継枠
JPH0651494U (ja) ブラインド内蔵障子のブラインドボックス取付構造
JP2004084191A (ja) サッシ取付枠及びその部品
IT9021058A1 (it) Sistema di supporto d'asta per tende ad ansa este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