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233A -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 Google Patents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233A
KR20010100233A KR1020000014310A KR20000014310A KR20010100233A KR 20010100233 A KR20010100233 A KR 20010100233A KR 1020000014310 A KR1020000014310 A KR 1020000014310A KR 20000014310 A KR20000014310 A KR 20000014310A KR 20010100233 A KR20010100233 A KR 2001010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welding
present
caf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371B1 (ko
Inventor
정재영
안상호
마봉열
Original Assignee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신현준
Priority to KR102000001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37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371B1/ko

Links

Landscapes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 내열용 스테인리스강의 용접재료로서 가장 적합한 플럭스를 개발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성 용접용 와이어 스트립 육성에 유용한 플럭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비로 고강도 내열용 스테인리스강의 용접재료로서 가장 적합한 플럭스를 개발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CaF245-70% , CaO 2-15% ,SiO23-12% , MgO 0-10% , Al2O315-30% , WO3(또는 기타 WO2와 같은 텅스텐 산화물) 0.1-5% 및, (Na2O+K2O+MnO+FeO) 0.5-5.0%로 이루어지는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Flux for electoslag welding}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강을 일렉트로슬래그(Electroslag) 용접에 의해 일반강 표면에 육성용접하거나 맞대기 용접을 위한 산화물계 플럭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량의 WO3(또는 WO2)를 첨가하여 용접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 탄소강이나 고합금강의 맞대기 용접 또는 육성용접을 하는데 에는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법(submerged arc welding)이나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법(electroslag welding)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은 용착금속의 정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선박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용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산업 전반에 걸쳐서 여러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우수한 용접 공법 중의 하나이다.
상기 용접법은 모래 모양의 플럭스를 용접대상 재료위에 쌓아두고 전류를 흘려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용접법에 비하여 플럭스의 사용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통상 이러한 용접법에서 사용되는 플럭스의 소모량은 용착금속의 1.0-1.3배 정도에 달한다.
이러한 플럭스는 용접시 용착금속의 정련특성, 슬래그 박리성 그리고 개재물의 혼입 등과 같은 용접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용접재료이다.
특히, 슬래그 박리성은 용접작업성과 직결되는 특성으로서 슬래그 박리성이 나빠지면 생성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어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고융점 슬래그는 슬래그가 용착금속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음으로써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용접작업으로 인한 용착금속 내부의 개재물 혼입이 용착금속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여기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는 서버머지드 용접용 플럭스와는 달리 용융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도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그 이유는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슬래그 용융체를 통해 안정한 옴 전기전도(ohmic electric conduction)를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중에 아크 발생이 없이 안정한 작업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플러스 전기전도도의 향상은 CaF2와 같은 불화물의 함량을 중가시킴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CaF2는 위와같은 장점을 갖는 반면 CaF2함량 증가에 의해 슬래그의 점성은 증가되는 경향이 있고(C.E.Jackson:Fluxes and slags in welding, WRC,bulletin 190, 1976), CaF2함량의 증가는 용착률과 희석률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극단적으로 100% CaF2플럭스를 사용하면 불완전한 용융으로 희석률이 거의 0%가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CaF2함량의 증가와 감소에 따른 장점과 단점이 각각 극대화되고 극소화되는 최적 함량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를 살펴 보면 CaF2를 주 첨가 화합물로 하여 Al2O3와 SiO2가 적절히 첨가된 화합물을 주로 기본 골격으로 이용하고 있다.(Y.K.Oh, J.H.Devletian and S.J.Chen:Welding J., 1990, 37).
이외에 많은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가 특허에 등록되어 있는 데, 한 부류는 용융 슬래그의 전기전도 향상을 도모하는 CaF2를 다른 불화물인 NaF로 대체한 일본 특허 8504995, 반도체 산화물인 TiO2로 일부 대체한 일본특허 85036876, MgF2또는 BaF2로 대체한 일본특허 60196287 등이 있다.
TiO2로 대체한 경우에는 다량의 TiO2가 슬래그 박리성을 악화시키는 특성 때문에 CaF2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CaF2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MgF2나 BaF2는경제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강도 내열용 스테인리스강의 용접재료로서 가장 적합한 플럭스를 개발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성 용접용 와이어 스트립 육성에 유용한 플럭스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는, CaF245-70% , CaO 2-15% ,SiO23-12% , MgO 0-10% , Al2O315-30% , WO3(또는 기타 WO2와 같은 텅스텐 산화물) 0.1-5% 및, (Na2O+K2O+MnO+FeO) 0.5-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물에 Mo 함유 산화물을 0-5.0%까지 복합적으로 첨가하여 보다 융착금속의 특성을 높일 수 있다.
서버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의 경우에는 CaF2는 가스형성제로서 용융금속의 표면을 보호성 분위기를형성하여 차폐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의 첨가화합물로 이용될 때는 주 기능이 용융 슬래그의 전기전도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아크 밸생없이 작업이 진행되는 기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45-70%로 그 첨가범위를 한정한다. CaF2의 함량이 45%보다 낮으면 적정한 전기전도도의 유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점성이 떨어져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자체가 어렵게 된다. 반면에, 그 함량이 70%를 초과하면 플로라이드 가스의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기전도도의 과다한 증가에 의해 주울열(Joule heat)이 불충분해질 뿐만 아니라 점성이 증가하여 정상적인 작업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MgO는 응고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화합물로서 플럭스의 용융온도를 제어하여 적정 잠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며 특히 그 첨가에 의해 슬래그의 열팽창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슬래그 박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MgO는 염기성 성분으로서 용착금속의 산소를감소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그 첨가량을 0-10%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MgO의 첨가량은 슬래그 박리성의 개선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SiO2나 Al2O3가 적정량 첨가된 경우에도 용접비드 외관을 해치는 경향이 있어서 10%이하로 제한한다.
플럭스 성분 중 SiO2는 슬래그의 점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용접비드의 외관을 깨끗하게 만드는 작용을 하며 그 첨가량을 3-12%로 제한한다. 특히 SiO2는 슬래그의 유동성을 제어하여 용융금속을 보다 효율적으로 에워싸는 기능을 수행하며 결과적으로 용착금속 표면과 형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SiO2가 3% 미만인 경우에는 응고온도의 상승으로 점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슬래그의 유동성이 과다하게 증가되어 용접비드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단점이 있다. 만일 12%를 초과하면 슬래그의 유동성이 나빠져 용착금속 표면에 결함들을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CaF2의 작용으로 인체에 유해한 SiF4가스발생이 크게 증가하므로그 함량을 특히 제한해야 한다.
SiF4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CaO를 SiO2첨가량의 50% 이상을 CaF2대신에 첨가해야 한다. 그러므로 CaO의 함량이 2%이하가 되면 SiF4의발생을 억제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나 CaO의 함량이 15%이상이 되면 슬래그 박리성이 매우 나빠지므로 약 15%로 그 함량을 제한한다.
Al2O3는 약산성 성분으로서 용융슬래그의 융점과 전기전도도에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15-30%로 그 첨가량을 한정한다. 그 첨가량이 15% 미만인 경우에는 용접비드 외관을 나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첨가량이 30%를 초과하면 용융 슬래그의 전기전도를 너무 낮추어 작업중에 아크 발생을 초래한다.
WO3(또는 WO2)는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첨가물로 용융 슬래그의 융점을 낮추어 유동성을 향상시켜 용접비드 외관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텐레스강이나 일반강의 용접부에 W을 첨가시키는 기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몰리브덴 산화물 주요 첨가 효과는 모재 금속에 W을 첨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모재와 동일한 용접재로 작업하더라도 용접부가 보다 강화되는 상승작용이 있어 용접으로 인한 강도 감소를 보상하는 효과가 있다.
그 첨가량은 0.1-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WO3가 0.1%이하로 첨가되면 그 효과가 미비하고 5%이상 첨가되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WO3과 함께 MoO3를 복합적으로 첨가하여 용착금속의 강도를 Mo와 W의 복합첨가효과에 의해 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의 Na2O, K2O, MnO, FeO는 플럭스 제조시 구성분말들을 서로 응집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바인더나 SiO2, CaF2, MgO, Al2O3와 같은 원료분말에 함유된 불순물로써 본 발명의 플럭스 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분이다. 그러나 바인더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점결력이 너무 약해 적절한 입도를 갖는 플럭스 제조가 어렵다.
Na2O, K2O 함량이 5% 이상으로 증가되는 과다한 바인더 첨가시에는 아크를 불안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응집분말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정상적인 응집작업을 어렵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럭스 입도는 입자의 90% 이상이 0.25-1.2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0.25mm 보다 작은 입자나 1.2mm보다 큰 입자가 10% 이상이 되면 아크 안정성이 나빠져 최적의 용접성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서는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에 적합한 플럭스의 용접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aF2, CaO, SiO2, Al2O3, MgO 화합물을 기본 구성성분으로 하여 WO3(또는 WO2)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원료분말은 원하는 조성으로 혼합한 후에 shake mixer에서 회전속도 30-150rpm으로 10분 이상 건식 혼합하였다. 혼합분말에균일한 조성과 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열처리로에서 1050℃, 10분 이상 소결되었다. 소결처리된 플럭스는 분쇄기에서 파쇄되어 대략 0.3-1.0mm의 입도범위를 갖도록 조절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플럭스의 화학조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일렉트로슬래그 육성용접을 위한 플럭스의 화합물 성분
플럭스 SiO2 CaF2 CaO MgO Al2O3 WO3 MoO3 기타
비교재 1 7.0 59.0 6.0 0.02 25.0 0 0 나머지
비교재 2 6.7 58.0 6.0 4.2 22.0 0 0 나머지
발명재 1 7.0 57.0 6.0 0.02 24.0 1.0 0 나머지
발명재 2 7.0 56.5 6.0 0.02 23.0 3.0 0 나머지
발명재 3 6.5 56.0 6.0 5.0 21.0 1.0 0 나머지
발명재 4 7.0 57.0 6.0 0.02 24.0 0.5 0.5 나머지
용접성 평가는 제조된 플럭스를 이용하여 용접특성 평가는 400*300*35mm의 SCM440 강 표면위에 표 1에 표시한 여러 가지 플럭스 재료를 서버머지드 아크 용접법을 이용하여 육성용접하였다. 용접조건은 60mm 폭을 갖는 스텐레스 430 스트립을 사용하여 800-1000A, 25-27V로 작업하였다. 용접성은 슬래그 박리성과 용접비드의 형태 및 표면상태를 정상적으로 평가하고 아크 안정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용착금속의 단면을 조사하여 슬래그 혼입여부의 내부결함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용착금속에 플럭스 성분으로 첨가된 텅스텐 산화물의 W의 회수율을 호학성분 조사에 의해 평가하였다.
플럭스를 이용한 용접성 평가 결과
플럭스 슬래그 박리성 용접중 아크 발생유무 용접비드 형태 표면산화 개재물 혼입
비교재 1 ++ 약함 +
비교재 2 ++ 약함 +
발명재 1 ++ ++ ++
발명재 2 ++ ++ ++
발명재 3 ++ ++ ++
발명재 4 ++ ++ ++
++ 매우 우수 , + 우수 , △ 보통 , ×나쁨 , ××매우나쁨
표 2는 제조된 플럭스의 용접성을 평가한 결과로써 비교재의 표면이 심하게 산화된 상태를 보인다. 반면에 본 발명의 플럭스는 용접중 아크 발생유무, 슬래그 박리성 그리고 용접비드 외관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도 용착금속의 광택을 그대로 나타내는 우수한 용접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재와 발명재로 육성한 후의 용착금속 조성
플럭스 C Cr Si Mn W Mo P S Fe
비교재 1 0.08 14.19 0.53 0.25 0.007 0.037 0.027 0.0004 나머지
발명재 1 0.074 14.52 0.43 0.25 0.236 0.032 0.026 〈0.0002 나머지
발명재 2 0.08 14.1 0.42 0.27 0.69 0.032 0.030 〈0.0002 나머지
발명재 4 0.083 14.21 0.45 0.26 0.12 0.108 0.030 〈0.0002 나머지
표 3은 WO3가 플럭스에 첨가된 경우와 첨가지되 않는 경우에 용착금속의 합금조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발명재1의 경우에 슬래그와 용착금속의 무게비(0.35)를 근거로 하여 텅스텐산화물(WO3)중에 텅스텐 금속의 중량비는 79.3%이므로 금속원소로 용착금속에 함유되는 회수율을 계산해 보면 거의 83%에 달하는 결과가 도출된다. 이 결과는 플럭스에 함유된 대부분의 텅스텐이 용착금속으로 이전되는 우수한결과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재4의 경우에는 WO3뿐만 아니라 MoO3를 복합적으로 첨가한 경우에도 약 75-83%에 달하는 높은 회수율을 보이며 용접성 또한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W 또는 Mo을 함유하는 산화물을 복합적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도 텅스텐과 몰리브덴이 용착금속으로 충분히 이전되어 경도나 강도특성이 우수한 용착금속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에 의하면, 용접시에 모재에 비해 용착금속의 특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중량비로 CaF245-70% , CaO 2-15% ,SiO23-12% , MgO 0-10% , Al2O315-30% , WO3(또는 기타 WO2와 같은 텅스텐 산화물) 0.1-5% 및, (Na2O+K2O+MnO+FeO) 0.5-5.0%로 이루어지는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oO3(또는 Mo를 포함하는 산화물)의 함량이 0-5%까지 함께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의 입도가 총 입자의 90% 이상이 0.25-1.2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KR1020000014310A 2000-03-21 2000-03-21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KR10035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310A KR100356371B1 (ko) 2000-03-21 2000-03-21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310A KR100356371B1 (ko) 2000-03-21 2000-03-21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233A true KR20010100233A (ko) 2001-11-14
KR100356371B1 KR100356371B1 (ko) 2002-10-19

Family

ID=4578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310A KR100356371B1 (ko) 2000-03-21 2000-03-21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70B1 (ko) * 1999-12-13 2004-02-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몰리브덴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용플럭스
CN106514053A (zh) * 2016-11-04 2017-03-22 四川大西洋焊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不锈钢高速电渣带极堆焊用烧结焊剂及其制备方法
KR20230144268A (ko) 2022-04-07 2023-10-16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슬라그 박리성이 우수한 일면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7249B (zh) * 2019-12-25 2022-04-05 四川大西洋焊接材料股份有限公司 焊接控氮或不控氮超低温奥氏体不锈钢埋弧焊焊剂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3799A (en) * 1987-08-26 1989-03-01 Sumitomo Metal Ind Fused flux for submerged arc welding
JP2600043B2 (ja) * 1992-04-15 1997-04-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潜弧溶接方法
JP3184657B2 (ja) * 1993-03-10 2001-07-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用被覆アーク溶接棒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70B1 (ko) * 1999-12-13 2004-02-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몰리브덴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용플럭스
CN106514053A (zh) * 2016-11-04 2017-03-22 四川大西洋焊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不锈钢高速电渣带极堆焊用烧结焊剂及其制备方法
KR20230144268A (ko) 2022-04-07 2023-10-16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슬라그 박리성이 우수한 일면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371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026B1 (ko) 고속용접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소결형플럭스
JP4447078B2 (ja) Ni基合金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4297880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ボンドフラックス
KR100356371B1 (ko) 텅스텐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용 플럭스
JPH0468079B2 (ko)
KR960000412B1 (ko)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KR100419170B1 (ko) 몰리브덴 산화물이 첨가된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용플럭스
JPH02205293A (ja) 極低温用ステンレス鋼被覆アーク溶接棒
JP3433681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焼成型フラッ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68696A (ja) 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ツクス入りワイヤ
KR100400412B1 (ko) 서버머지드아크용접용플럭스조성물및그플럭스의제조방법
KR100340640B1 (ko) 고강도내열스테인레스강의서버머지드아크용접용플럭스
JP2007144429A (ja) 下向きすみ肉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ボンドフラックス
JP7448433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及び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の製造方法
JP2006326642A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溶融型フラックス
JP6152316B2 (ja) 片面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
KR100462037B1 (ko) 맞대기 용접을 위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JP2001334393A (ja) サブマージアーク肉盛溶接用フラックス
KR100340641B1 (ko) 고강도내열스테인레스강의서버머지드아크용접용이산화티타늄함유플럭스
JPS6250235B2 (ko)
JP3577995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焼成型フラックスの製造方法
JPH05269593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CN111918749B (zh) 埋弧焊用焊剂
JP3551082B2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焼成型フラックス
JPH0985488A (ja)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用溶融型フラ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