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666A - 다기능 베드 - Google Patents

다기능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666A
KR20010098666A KR1020010020474A KR20010020474A KR20010098666A KR 20010098666 A KR20010098666 A KR 20010098666A KR 1020010020474 A KR1020010020474 A KR 1020010020474A KR 20010020474 A KR20010020474 A KR 20010020474A KR 20010098666 A KR20010098666 A KR 2001009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variable
fixed bed
fixed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지히로시
가타오카히사시
야마구치히로시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55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930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55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930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55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93039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13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 A61G5/1018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the wheel on the runn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18Side-rails quickly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8Steering or braking devices for cast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3Aids for getting into, or out of, bed, e.g. steps, chairs, cane-lik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 A61G7/165Chair detachable from 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anti-shear when adjustin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7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assisting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휠체어로의 형태변경 가능한 가변베드를 「コ」자형의 고정베드에 끼워맞춘 상태에서의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이 가변베드의 등받이부를 쓰러뜨리거나 혹은 일으키거나 할 때에 가변베드가 불안정한 자세로 되어서, 형태의 이행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3)와, 이 가변베드(3)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2)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이 고정베드(2)와 이 가변베드(3)의 사이로 고정베드(2)에 대한 가변베드(3)의 상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유지부재는 대략 「コ」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베드(2)의 노치오목부(20a)에 있어서의 좌우 내측면으로 각각 배치한 상하 한 쌍의 가이드레일(141ㆍ143)과 가변베드(3)의 착석부(34) 양 측쪽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31ㆍ133)로 구성되었다.

Description

다기능 베드{MULTIFUNCTIONAL BED}
본 발명은,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그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관한, 특히, 고정베드에 대한 가변베드의 상하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간호시설이나 병원 또는 가정 등에 있어서, 간호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위한 간호용 베드로서 여러 가지의 것이 개발되어 제공되어 있다. 이들의 간호용 베드는 피간호자를 수평상태로 뉘어 재우기 위한 베드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이 베드 자체가 리클라이닝시트 형태로 굴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다.
종래의 간호용 베드로서, 피간호자를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별도 휠체어를 준비해 둘 필요가 있고, 더욱이는 피간호자를 휠체어에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장치 등까지도 준비해 둘 필요가 있었다.
한편, 베드 기능과 휠체어 기능을 모두 갖춘 다기능의 간호용 베드의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피간호자는 기본으로, 간호자의 부담을 극력 경감시키기 위한 고안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이들 다기능 간호용 베드는 고정측의 베드와 가동측의 베드로 구성되고, 가동측의 베드를 고정측의 베드의 「コ」자형 노치오목부에 착탈하여, 그 가동측의 베드를 수평베드 형태로부터 휠체어 형태로 형태변경하여 피간호자를 이동시켜, 베드와 휠체어 사이의 갈아타기를 불필요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휠체어 형태를 취하는 가변베드를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 내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이 가변베드의 등받이부를 쓰러뜨리거나 혹은 일으키거나 할 때, 피간호자의 체중의 중심위치가 휠체어 형태의 가변베드의 뒷바퀴 위치보다도 뒤쪽으로 변이하는 일이 있고, 형태변경 도중에 가변베드가 불안정한 자세로 되어서 형태의 이행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고정베드와 끼워맞춘 가변베드의 형태이행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휠체어 형태를 취한 가변베드를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 내에 진입시키는 경우, 이 가변베드를 뒤로 진입시키게 되고, 보통, 가변베드의 뒷바퀴는 조정바퀴로 되기 때문에, 가변베드를방향 회전시키거나 하는 등의 자세제어가 번거롭다. 이 때문에, 고정베드의 전단의 코너부분 등으로 가변베드의 일부가 간섭하는 일도 있고, 진입시에 있어서의 가변베드에 충격이 가해져서, 피간호자가 불쾌하게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 가변베드를 고정베드에 원활하게 진입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고정측 베드의 주위에는 난간이 세워 설치되어 있어서 피간호자가 자다가 몸을 뒤척이거나 하여 베드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간호자를 다기능 베드로부터 승강시킬 때에는, 가동측의 베드를 고정측의 베드로부터 분리하여 수행하거나 또는 고정측의 베드에 세워 설치한 난간을 피하여 수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베드상의 피간호자를 돌볼 때에, 간호 및 작업이 용이한 다기능 베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1 (a)는 고정베드에 가변베드(수평베드 형태)를 끼워맞춘 다기능 베드의 전체사시도이고, (b)는 고정베드에 가변베드(휠체어 형태)를 끼워맞춘 다기능 베드의 전체사시도이다.
도2는 동 평면도이다.
도3은 동 측면도이다.
도4는 동 정면도이다.
도5는 동 배면도이다.
도6은 고정베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7은 동 저면도이다.
도8 (a)는 고정베드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b)는 고정베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가변베드를 부착한 고정베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0 (a)는 고정베드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b)는 고정베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1은 가변베드의 수평베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2는 동 측면도이다.
도13은 동 정면도이다.
도14는 동 배면도이다.
도15는 가변베드의 수평베드 형태에 있어서의 링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6은 동 측면도이다.
도17은 가변베드의 리클라이닝 형태에 있어서의 링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8은 가변베드의 휠체어 형태에 있어서의 링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9는 가변베드의 휠체어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0은 동 평면도이다.
도21는 동 배면도이다.
도22는 가변베드의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3은 가변베드의 승강에 관한 스토퍼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베드의 난간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에 관한 난간 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26은 동 평면단면도.
도27은 난간의 위치결정을 하는 플레이트의 부분평면도이다.
도28은 동 부분측면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에 관한 가이드롤러장치 및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에 관한 가이드롤러장치의 평면단면도이다.
도31은 동 측면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다기능 베드 2---고정베드 3---가변베드
11---난간 20---침대 21L---좌측프레임
21R---우측프레임 111---나사 112---슬라이드가이드
113---레일부재 115---위치결정플레이트
120---스토퍼 장치 124---인덱스 핀
이상이 본 발명의 해결하는 과제로 되어있고, 다음으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그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이 고정베드와 그 가변베드의 사이로 고정베드에 대한 가변베드의 상하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유지부재를 대략 「コ」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에서의 내측면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가변베드의 착석부 양 측쪽에 배치된 한 쌍의 피가이드부재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하 한 쌍의 가이드레일로 구성하며, 상기 피가이드부재를 상하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되었다.
즉,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역베드와 이 가역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가변베드의 착석부에 있어서의 양측 뒷부분위치에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 내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한다.
또한,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역베드와, 이 가역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가역베드의 착석부에 있어서의 양측의 앞부분위치 및 뒷부분위치로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 내에 대한 가변베드의 침입ㆍ이탈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한다.
더욱이,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노치오목부를 개구하는 고정베드 전단면에 있어서의 좌우 내측부로 가변베드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한다.
즉,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이 고정베드의 주위에 난간을 세워 설치하고, 이 난간을 가동식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난간을 고정베드의 둘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난간은 이 난간에 고정되는 슬라이드가이드를 고정베드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것으로, 이 고정베드에 부착되고, 이 난간측 또는 고정베드측에 난간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스토퍼기구를 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다기능 베드에 관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a)는 고정베드에 가변베드(수평베드 형태)를 끼워맞춘 다기능 베드의 전체 사시도, 도1(b)는 고정베드에 가변베드(휠체어 형태)를 끼워맞춘 다기능 베드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동 평면도, 도3은 동 측면도, 도4는 동 정면도, 도5는 동 배면도, 도6은 고정베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7은 동 저면도, 도8(a)는 고정베드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8(b)는 고정베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9는 가변베드를 부착한 고정베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10(a)는 고정베드를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10(b)는 고정베드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11은 가변베드의 수평베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2는 동 측면도, 도13은 동 정면도, 도14는 동 배면도, 도15는 가변베드의 수평베드 형태에 있어서의 링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6은 동 측면도, 도17은 가변베드의 리클라이닝 형태에 있어서의 링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8은 가변베드의 휠체어 형태에 있어서의 링크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9는 가변베드의 휠체어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0은 동 평면도, 도21도는 동 배면도, 도22는 가변베드의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3은 가변베드의 승강에 관한 스토퍼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4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베드의 난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25는 본 발명에 관한 난간 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단면도, 도26은 동 평면단면도, 도27은 난간의 위치결정을 하는 플레이트의 부분 평면도, 도28은 동 부분측면도, 도29는 본 발명에 관한 가이드롤러 장치 및 가이드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0은 본 발명에 관한 가이드롤러 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31은 동 측면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으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베드(1)의 기본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에 나타내듯이, 상기 다기능 베드(1)는 고정베드(2)와 가변베드 (3)의 2개의 구성부재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1 내지 도10에 나타내듯이, 상기 고정베드(2)는 침대(20) 및 다리부(8)로 구성되고, 이 다리부(8)는 다리받침대(90)및 다리를 구성하는 후기 링크기구(80) 등에 의하여 구성되고, 그 링크기구(80)에 의하여 침대(20)를 승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침대(20)는 좌우프레임(21Lㆍ21R)과 뒤프레임(21B)을 평면시 「コ」자형으로 조립하고, 그 뒤로 매트(22)를 부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대(90)도 또 그 전방을 개구한 평면시 「コ」자형의 구성으로, 그 전후 양단에서의 하면에는 캐스터 바퀴(95ㆍ95 …)를 설치하고, 또한 그 아래면에 있어서의 캐스터 바퀴(95ㆍ95 …)의 전후 외측에서 고정베드(2)를 고정하기 위한 접지 앵커(96ㆍ96…)를 늘어뜨려 설치한다.
상기 침대(20)의 표면측에 있어서, 그의 전후면에 가드부재(23ㆍ23) 및 가드부재(24)를 세워 설치하고, 그 양측면에는 앞뒤방향(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성으로 난간(11ㆍ11)을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난간(11ㆍ11)의 외부로는 상차림 등을 위한 얹어놓음대(110)를 횡설해도 좋고, 그 경우에 그 얹어놓음대 (110)를 상측쪽으로 회전시켜, 프레임(21Lㆍ21R)의 외측면을 따라 세워 설치된 상태로 하여 수납하면 좋다.
한편, 도11 및 도12에 나타내듯이, 상기 가변베드(3)는 베드면을 구성하는 가변침대(30)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가변침대(30)는 프레임(31) 및 이 프레임(31) 위로 부착한 매트(32)로 구성되어 있고, 도2에 나타내듯이 그 가변침대(30)의 윤곽 (30a)(도11 참조)은 상기 고정베드(2)의 좌우 프레임(21Lㆍ21R)과 뒤프레임(21B)의 사이에 형성되는 노치오목부(20a)(도6 참조)에 대해서 꼭 들어 맞게 끼워맞춰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2 내지 도14에 나타내듯이, 상기 가변베드(3)에 있어서 가변침대 (30)의 프레임(31)의 아래면에는 후기하는 휠체어로서의 차체프레임 (40Lㆍ40R)이 부착되어 있고, 차체프레임(40Lㆍ40R)에 대하여 진행방향 변경용의 캐스터타이프의 한 쌍의 앞바퀴(14ㆍ14)와 차축(15)을 함유하는 한 쌍의 뒷바퀴(16ㆍ16)가 부착되어 있고, 휠체어로서 주행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변베드(3)는 도12,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듯이, 수평베드 형태에 있어서의 수평베드의 일부를 구성함과 아울러, 도17에 나타내듯이, 리클라이닝시트 형태에 있어서의 리클라이닝시트로서, 더욱이는 도18 및 도19에 나타내듯이, 휠체어 형태에 있어서의 휠체어로서 3개의 형태로 변경 가능하고, 베드, 리클라이닝시트 및 휠체어로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2 및 도3에 나타내듯이, 상기 떠받치는 밑 부분(8)을 구비한 고정베드(8)와 차체프레임(40Lㆍ40R) 너머로 한 쌍의 앞바퀴(14ㆍ14) 및 한 쌍의 뒷바퀴(16ㆍ16)를 구비한 가변베드(3)와는 고정베드(2)에 있어서의 침대(20)의 매트 (22)의 윗면측과 가변베드(3)에 있어서의 가변침대(30)의 매트(32)의 아래면측이 수평베드 형태로 조합시킬 때에 면일하게 되고, 그 고정베드(2)와 가변베드(3)에 일체적으로 비교적 넓은 베드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가변베드(3)는 상기 3개의 형태의 것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하여, 다음에 나타내듯이 구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가변베드(3)는 도15 내지 도18에 나타내듯이, 그 가변침대(30)가 휠체어로서의 등받이부(33), 착석부(34), 발적재부(35)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 관절형의 연결부재(37, 38)에 의하여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그 가변베드(3)에 있어서의 발적재부(35)는 늘어뜨림부(35A)와 그 늘어뜨림부(35A)에 관절형상의 연결부재(39)를 통하여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발판부(35B)로 분할되어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상기 가변베드(3)를 수평베드 형태로부터 리클라이닝시트 형태를 거쳐서 휠체어 형태로 변경할 때, 베드 위에 드러누운 사람의 자세도 그 형태변경에 맞춰서 서서히 착석자세로 변경되어 가고, 이 경우에, 베드위에 드러누운 사람을 휠체어 형태로 변경하는 과정에서 베드 위에 드러누운 사람이 전방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일단, 착석부(34)에 있어서의 발적재부(35)에 가까운 쪽이 다른 쪽보다도 위쪽 위치로 되도록, 이 착석부(34)를 등받이부(33)의 경사에 맞춰서 경사시켜, 베드 위에 드러누운 사람의 엉덩이부가 수평베드 형태시에 비하여 가라앉도록 형태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거하여, 상기 가변베드(3)에 있어서의 등받이부(33), 착석부 (34), 발적재부(35)와 차체프레임(40Lㆍ40R)의 사이를 개별적으로 연동 연결하는 링크기구(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크기구(4)를 통과함으로써, 1개의 전동모터 (5)로 가변베드(3)의 수평베드 부분을 휠체어로서의 등받이부(33)와 착석부(34) 및 발적재부(35)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가변베드(3)측으로 탑재되어 있는 구동원으로서의 상기 전동모터(5)의 전력공급은 상기 가변베드(3)를 상기 고정베드(2)의 노치오목부(20a)로 밀어 넣어서 끼워맞춤으로써, 도3, 도14에 나타내듯이, 고정베드(2)측으로 배치한 전력공급용 콘센트(100)와 가변베드(3)측으로 배치한 플러그(101)가 결합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콘센트(100)는 도6 및 도7에 나타내듯이, 고정베드(2)의 좌측프레임(21L)의 뒷부분에서 브래킷(29)을 늘어뜨려 설치되고, 이 브래킷(29)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101)는 상기 콘센트(100)와 위치맞춤을 하여, 도14에 나타내듯이, 가변베드(3)의 좌측프레임(40L)에서 내측방향으로 스테이(102)를 부착하여, 이 스테이(102)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100)의 삽입구(100a)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는 「八」자 형상의 안내부(100bㆍ100b)를 설치하여, 가변베드(3)와 고정베드(2)의 연결시에 그 안내부(100bㆍ100b)에서 상기 플러그(101)를 안내하면서 확실하게 콘센트(100)로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가변베드(3)의 링크기구(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3 내지 도16에 나타내듯이, 좌우 차체프레임(40Lㆍ40R) 사이에 있어서, 차축(15)의 위쪽에는 회전지점축(51)을 축걸침하여, 앞뒤바퀴(14ㆍ16)사이에는 그 회전지점축(51)과 동일한 높이로 하여 회전지점축(52)을 축걸침하고, 또한 차체프레임(40Lㆍ40R)의 전단 하부위치 및 후단 하부위치에는 각각 고정축(50), 회전지점축(70)을 가설한다.
상기 착석부(34)의 좌우 양 측면과 좌우 차체프레임(40Lㆍ40R)을 그 착석부 (34)의 앞뒤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점(63ㆍ63)에서 피봇연결하고, 그 피봇점(63ㆍ63)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브래킷(68ㆍ68)을 늘어뜨려 설치하고, 그 브래킷(68ㆍ68)사이에서 회전지점축(53)을 축받이 한다. 또한, 착석부(34)의 양 측면에 있어서의 그 브래킷(68ㆍ68) 후방위치에는 피봇점(61ㆍ61)을 설치하고 그 피봇점(61ㆍ61)에서 암편(47ㆍ47)의 상단부를 피봇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점축(52)의 좌우 양단에서 암편(48ㆍ48)의 하단부를 피봇연결하고, 상기 암편(47ㆍ47)의 하단부와 이 암편(48ㆍ48)의 상단부와 암편(49ㆍ 49)의 후단부를 피봇점(62ㆍ62)에서 피봇연결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33ㆍ33)의 이면에 있어서, 그 앞부분, 좌우 중앙에서브래킷(67ㆍ67)을 늘어뜨려 설치하고, 그 브래킷(67ㆍ67)사이에서 피봇축(54)을 축받이 한다.
더욱이, 발적재부(35)에 있어서의 늘어뜨림부(354)의 좌우 중앙부근에서 브래킷(69ㆍ69)을 늘어뜨려 설치하고, 이 브래킷(67ㆍ67)사이에서 피봇축(54)을 축받이 한다.
상기 회전지점축(51)의 좌우 중앙에는 대략 2등변 3각형인 회전부재(44)의 정각부분이 부착되며, 또한 그 회전부재(44)의 양 밑각부근에는 앞으로부터 피봇점 (56) 및 피봇점(5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점축(53)에는 회전부재(45)가 부착되어 있다. 이 회전부재 (45)는 2개의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부재(45aㆍ45b)를 병설하고, 양 부재(45aㆍ 45b)의 정각부근을 원통부(45c)에서 연결 고정하여 평면시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좌측의 부재(45a)를 이하 주회전부로 우측의 부재(45b)를 이하 종속회전부라고 부르는 것으로 하고, 그 원통부(45c)에는 회전지점축(53)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붙여지고, 이때 그 종속회전부(45b)를 좌우 중앙에 배치한다.
또한, 그 종속회전부(45b)의 양 밑각 부근에는 앞에서부터 피봇점(58) 및 피봇점(59)이 설치되고, 한편 그 주회전부(45a)의 아래측의 밑각 부근에는 피봇점 (6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점축(53)의 좌우양단에서 후방 아래쪽을 향해 회전편(46ㆍ46)이 부착되고, 이 회전편(46ㆍ46)의 후단부와 상기 암편(49ㆍ49)의 전단부를 피봇점(60ㆍ60)으로 피봇연결한다.
더욱이, 상기 가변베드(3)에 있어서의 등받이부(33)의 피봇축(54)과 상기 회전부재(44)의 피봇점(57)의 사이는 링크바(41)에 의하여, 그 회전부재(44)의 피봇점(56)과 상기 회전부재(45)의 종속회전부(45b)의 피봇점(59)의 사이는 링크바(42)에 의하여, 그 종속회전부(45b)의 피봇점(58)과 가변베드(3)의 발적재부(35)에 있어서의 늘어뜨림부(35A)의 피봇축(55)과의 사이는 링크바(43)에 의하여 각각 피봇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바(41) 및 링크바(42)는 궁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이고, 한편 링크바(43)는 막대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베드의 발판부(35B)의 전단부에는 보조 바퀴(17)가 늘어뜨려 설치되며, 이 가변베드(3)가 도17에 나타내는 리클라이닝시트 형태로 되었을 때 및 도18에 나타내는 의자형태로 되었을 때 또는 이 형태로 이행시에 그 보조 바퀴(17)가 접지함으로써 그 가변베드(3)의 앞쓰러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15에 나타내듯이, 상기 전동모터(5)는 좌측 뒷바퀴(16L)의 내측쪽으로 설치되고, 이 전동모터(5)의 구동에 의하여 모터로드(5a)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변위한다. 또한 이 모터로드(5a)의 전단부를 상기 회전부재(45)의 주회전부(45a)에 있어서의 피봇점(64)에서 피봇연결한다.
상기 링크기구(4)에 의하면, 상기 가변베드(3)를 도16에 나타내는 수평베드형태로부터 도17에 나타내는 리클라이닝시트 형태를 거쳐서, 도18에 나타내는 휠체어 형태로 형태변경시키는 경우에, 스위치를 투입하여 상기 전동모터(5)를 정회전시켜 모터로드(5a)를 전도모터(5)내로 수납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변위시킨다. 그결과, 도17의 측면시에서 나타내듯이, 그 회전부재(45) 및 회전편(46)이 회전지점축(53)의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회전편(46)의 회전에 의하여, 암편(49)은 그 전단이 끌려 올려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변위하고, 피봇점(62)을 밀어 내린다.
이때, 암편(48)은 회전지점축(52)의 둘레를 시계방향으로, 한편 암편(47)은 그 하단이 밀려 내려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 아래쪽으로 변위하고, 피봇점(61)을 후방 아래쪽으로 끌어당겨서 가변베드(3)의 착석부(34)를 피봇점(63ㆍ6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착석부(34)의 등받이부 연결측을 가라앉히고, 이 착석부(34)의 발적재부 연결측을 상승시킨다.
이때 동시에, 회전부재(45)도 회전하고, 이 회전부재(45)의 종속회전부(45b)에 의하여, 링크바(43)는 후방 아래쪽으로 끌어당겨지고, 링크바(42)는 후방 아래쪽으로 눌려된다.
그 결과, 이 링크바(43)를 통하여 발적재부(35)는 후방 아래쪽으로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상기하듯이 착석부(34)도 회전하고, 관절형 연결수단(38)을 통하여 착석부(34)와 발적재부(35)와는 서로 심하게 젖혀지고, 이 발적재부(35)의 착석부 연결측을 상승시켜서, 이 발적재부(35)의 전단측을 가라앉힌다. 한편, 그 링크바 (42)를 통하여, 회전부재(44)를 회전지점축(5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것에 수반하여, 링크바(41)는 밀어 올려진다. 이렇게 해서, 등받이부(33)는 링크바(41)를 통하여 관절형 연결수단(37)의 둘레로 기립방향을 향해서 밀어 넣어진다.
더욱이, 상기 전동모터(5)의 작동에 의하여, 도17에 나타내는 리클라이닝시트 형태로부터 도18에 나타내는 휠체어 형태로 형태변경하는 경우, 상기 가변베드 (3)에 있어서의 등받이부(33) 및 발적재부(35)는 상기한 것과 동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변이한다.
이때, 발적재부(35)에 있어서의 발판부(35B)의 앞부분 이면이 기체 전단부의 상기 고정축(50)에 맞닿고, 또한 발적재부(35)가 회전하여 상기 연결수단(39)을 통하여 늘어뜨림부(35A)와 발판부(35B)는 꺾어져서, 그 발판부(35B)는 대략 수평상태로, 그 늘어뜨림부(35A)는 수직상태로 되어서 변형을 완료한다.
또한, 이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변베드(3)에 있어서의 착석부(34)에 대해서는, 상기 회전편(46)은 수평위치를 너머서 더욱 전방 위쪽을 향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이번에는 암편(49)을 통하여 피봇점(62)은 전방으로 끌어당겨진다. 그 결과, 암편(47) 및 암편(48)은 상기 변이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변이하여, 「く」자형으로 굴곡한 상태에서 대략 직선형으로 늘어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착석부(34)가 다시 대략 수평상태로 변이된다.
도18에 나타내는 휠체어 형태로부터 도16에 나타내는 수평베드 형태로의 형태변경은 전동모터(5)를 역회전시켜서 모터로드(5a)를 전동모터(5)내에서 연장시켜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변위시켜, 상기 순서와 반대순서로 실시되고, 상기 가변베드 (3)를 상기 고정베드(2)에 끼워 넣고, 본래의 수평자세로 복원하는 과정에서, 휠체어에 걸터앉는 이용자의 자세가 자동적으로 드러누운 자세로 복귀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16에 나타내듯이, 상기 전동모터(5)의 앞쪽 위치에 있어서, 가변베드(3)의 좌측프레임(40L)에 스테이(66)를 부착하고, 그 위로 배터리(9)를 얹어놓음 고정하여, 고정베드(2)와 가변베드(3)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이 배터리(9)에서 전력을 공급하여, 그 가변베드(3)를 수회정도 자세를 변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변베드(3)의 등받이부(33)에 배치된 롤러벨트(79)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통, 피간호자를 태운 상태의 가변베드(3)가 수평베드 형태로부터 의자형태로,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형태변경할 때에는 등받이부(33)의 회전지점위치와 피간호자의 허리부의 굴곡지점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33)의 상하 회전에 따라서 이 등받이부(33)가 피간호자의 등과 스쳐서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등받이부(33)에 롤러벨트(79)를 배치하여 상기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즉, 도16, 도17에 나타내듯이, 가변베드(3)의 등받이부(33)의 앞뒤부분에 있어서, 그 좌우중앙에 각각 롤러(77ㆍ78)를 설치하고 이 롤러(77ㆍ78) 사이로 롤러벨트(79)를 두루 감고 있다.
이 롤러벨트(79)의 배면측은 링크로드(151)에 의하여 착석부(34)와 연결되어있고, 등받이부(33)의 상하 회전에 따라서, 롤러벨트(79)의 표면측이 앞뒤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등받이부(33)가 위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롤러벨트(79)의 표면측이 피간호자의 등을 추종하여 뒤쪽으로 이동하고,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롤러벨트(79)의 표면측이 피간호자의 등을 추종하여 앞쪽으로 이동하여, 피간호자의 등과 등받이부(33)가 스치지 않도록 구성하여 있다.
다음으로 가변베드(3)에 부착된 팔걸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9 내지 도20에 나타내듯이, 상기 등받이부(33)의 이면 상부에서 좌우 한 쌍의 핸들(19ㆍ19)을 돌출설치하고, 또한 이 등받이부(33)의 양 측부에는 팔걸이부재(75ㆍ75)를 배치한다. 이 팔걸이부재(75ㆍ75)는 보통 가변베드(3)의 등받이부 (33)의 이면에 수납되어있고, 이 가변베드(3)가 휠체어 형태로 되었을 때에는 뒤에서 앞으로 쓰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팔걸이부재(75)는 팔걸이부(75a)와 축지지부(75b)로 구성되고, 그 팔걸이부(75a)와 축지지부(75b)에서 「L」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부(33)의 이면에 있어서, 그 하부에 좌우 한 쌍의 원통부재(76ㆍ76)를 횡설한다. 그리고, 이 원통부재(76)에 팔걸이부재(75)의 축지지부(75b)를 끼워 넣고, 그 팔걸이부재(75ㆍ 75)를 좌우 바깥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등받이부(33)의 양 단면에서 바깥측으로 온 부분에서 이 팔걸이부재(75ㆍ75)를 앞쪽으로 밀어 쓰러뜨려서 세트한다.
또한, 등받이부(33)의 양 측면에서 스토퍼(74ㆍ74)를 돌출설치하여, 이 스토퍼(74)에 의하여 그 외측면에서 그 팔걸이부재(75)의 슬라이딩을 규제하고, 그 윗면에서 팔걸이부재(75)의 회전을 규제한다.
다음으로 가변베드(3)의 브레이크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9, 도21 및 도22에 나타내듯이, 상기 기체 뒷부분의 회전지점축(70)에 있어서, 그 양단에는 전방아래쪽을 향하여 클로우부(71ㆍ71)를 볼록하게 설치하고, 또 그 좌우중간위치에는 후방위쪽을 향하여 스텝(72)을 돌출설치하여, 그 회전지점축(70)과 그 클로우부(71ㆍ71) 및 그 스텝(72)에서 발브레이크(7)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간호자가 발브레이크(7)의 스텝(72)을 밟으면, 도22에 나타내듯이, 측면시에서 회전지점축(7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양단의 클로우부(71ㆍ71)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클로우부(71ㆍ71)가 뒷바퀴 (16ㆍ16)에 압접하여, 브레이크가 작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베드(2)의 승강에 관한 링크기구(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 및 도8에 나타내듯이, 고정베드(2)의 다리부(8)는 링크기구(80)를 구성하는 각 부재 및 다리받침대(9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리받침대(90)의 전후 좌우위치에서 다리본체부(91Fㆍ91Fㆍ91Bㆍ91B)를 세워 설치하고, 마찬가지로 침대(20)의 전후 좌우위치에서 침대지지부재(25Fㆍ25Fㆍ 25Bㆍ25B)를 늘어뜨려 설치한다. 그리고, 측면시 「L」자형의 암부재(81Fㆍ81Fㆍ 81Bㆍ81B)에 의하여 서로 대향하는 그 다리본체부(91Fㆍ91Fㆍ91Bㆍ91B)와 그 침대지지부재(25Fㆍ25Fㆍ25Bㆍ25B)를 연결한다. 108ㆍ108 …은 이 다리본체부(91F (91B))의 상단부와 그 암부재 81F(81B)의 선단부를 피봇연결하는 피봇점이고, 109ㆍ109는 그 침대지지부재 25F(25B)의 하단부와 이 암부재(81F(81B))의 굴곡부를 피봇연결하는 피봇점이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연결로드(82ㆍ82)에 의하여, 각각 앞측 암부재(81F)의 타단부와 뒤측 암부재(81B)의 타단부를 연결고정하고, 그 뒤측 암부재(81Bㆍ81B)의 타단부 사이를 연결로드(83)로 연결 고정한다. 그리고, 연결로드(82ㆍ83ㆍ82)를 평면시에 「コ」자형으로 조립하고, 또한 침대(20)의 뒤프레임(21B) 아래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에는 전동모터(6)를 늘어뜨려 설치하고, 이 전동모터(6)의 앞면에서 모터로드(6a)를 연장시킨다. 상기 연결로드(83)의 좌우중간부와 상기 모터로드(6a)의 전단부를 연결부재(99)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받침대(90)의 전단부 양단에는 스토퍼부재(92ㆍ92)를 세워 설치하고, 또 그 다리받침대(90)를 구성하는 좌측프레임(90L)의 뒷부분에는 스토퍼 기구(85)를 설치한다. 또한, 이 스토퍼부재(92ㆍ92)는 다리받침대(90)에 고정되어 있고, 한편 그 스토퍼기구(85)는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 도10 및 도23에 나타내듯이, 상기 (85)는 상부 링크(86)와 하부링크 (87) 및 스텝(8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대(90)의 (90L)의 뒷부분에 있어서, 그 윗면에서 (93) 돌출설치시키고, 그 아래면에서 브래킷(94)을 늘어뜨려 설치한다. 이때, 그 블록편(93)은 그 브래킷(94) 보다도 약간 앞쪽으로 배치하고, 또한 이 브래킷(94)은 좌우대칭위치로 되는 다리받침대(90)의 우측프레임에도 설치되고, 양 브래킷(94ㆍ94)사이를 연결로드(106)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하부링크(87)와 상기 스텝(88)을 상기 연결로드(106)를 통하여, 측면시에 「へ」자형으로 연결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상부링크(86)의 하단부와 그 하부링크(87)의 상단부를 피봇점(107)으로 피봇연결한다.
상기 블록편(93)의 위쪽, 침대(20)에 있어서의 좌측프레임(21L)의 내면으로 피봇점(104)을 설치하고, 이 피봇점(104)에서 회전편(103)을 피봇연결한다. 그리고, 이 회전편(103)의 아랫부분에 지지점(105)을 설치하고, 이 지지점(105)에서 로드(89)를 매어 단다.
도10(b)에 나타내듯이, 상기 상부링크(86)는 정면시(배면시)에 역「L」자형으로 되어있고, 그 윗면(86a)의 중앙부를 천공하여, 그 천공(86b)에 로드(89)를 관통시킨다.
그리고 도23에 나타내듯이, 상기 상부링크(86)의 상하 중앙부 및 하부링크 (87)의 상하중앙부와 다리받침대(90)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블록편(93)의 후방위치를 각각 스프링(97, 98)으로 연결하여 민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스위치를 투입하여 상기 전동모터(6)를 정회전시키면, 모터로드(6a)는 모터(6)내로 수납되면서 뒤쪽으로 슬라이딩변위되고, 또한 이 모터로드(6a)에 의하여 연결로드(83) 및 연결로드(82ㆍ82)는 뒤쪽으로 끌어당겨진다. 그리고, 도8에 나타내는 측면시에 있어서, 암부재(81F) 및 암부재(81B)는 그 연결로드(82)에 의하여 매달아 올려지면서 각각 피봇점(10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암부재(81Fㆍ81B)가 기립하여 침대(20)가 상승한다. 또한, 침대(20)의 상승의 상한은 후기 스토퍼기구(85)로 규제되는 때까지로 한다.
또한, 역으로 전동모터(6)를 역회전시켜서, 모터로드(6a)를 모터(6)내에서 연장시켜서 앞쪽으로 슬라이딩변위시켜서, 상기 움직임과 반대의 움직임에 의하여 침대(20)는 하강한다. 또한, 침대(20)의 하강시에도, 침대(20)의 아래면이 상기 스토퍼부재(92ㆍ92)의 윗면과 맞닿고, 또한 스토퍼기구(85)로 규제되는 때까지로서 그 하한이 위치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퍼기구(85)에 의한 침대(20)의 상승 및 하강 규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토퍼기구(85)에 의한 침대(20)의 상승규제부터 설명하면, 이 침대 (20)의 아래면으로 늘어뜨려 설치된 상기 로드(89)가 스프링(97)에 의하여 밀린 상부링크(86)의 원통내주면의 뒷면측에 맞닿고, 또한 로드(89)를 매어 다는 회전면(84)의 윗면이 침대(20)의 좌측프레임(21L)의 아래면에 맞닿아 그 회전이 규제되고, 이 때문에 이 로드(89)는 회전편(84)에 대하여 위치자세를 유지하면서 바로 위쪽으로 상승하고, 이 로드(89)에 의하여 상부링크(8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립한다. 그리고, 상부링크(86)와 하부링크(87)가 일직선으로 늘어선 부분에서, 이 로드(89)는 상부링크(86)를 더욱 상승시켜, 기립시키도록 하는 한편으로, 상부링크 (86)와 하부링크(87)의 사이의 회전은 막히고, 상부링크 윗면(86a)의 천공(86b)으로 로드(89)가 떠받쳐서 침대(20)의 상승이 제한된다.
또한, 침대(20)의 하강시에는, 상부링크(86) 및 하부링크(87)는 각각 스프링 (97, 98)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며, 또 상기 로드(89)는 상부링크(86) 내주면으로 안내되면서 하강하고, 그 결과, 상부링크(86) 및 하부링크(87)는 회전하면서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그리고, 하부링크(87)와 스텝(88)은 연결로드(106)를 중심으로 측면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부링크(86)와 하부링크(87)의 연결부가 블록편(93)의 아래면과 맞닿는다. 그리고, 스토퍼기구(85)의 회전이 규제되고, 또한 그 로드(89)가 상부링크(86)의 윗면(86a)의 천공(86b)으로 떠받쳐져, 침대(20)의 하강이 제한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텝(88ㆍ88)을 밟음으로써, 상부링크(86) 및 하부링크(87)를 강제적으로 회전하고, 스토퍼기구(85)에 의한 회전규제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 고정베드(2)의 전동모터(6)에는 대용량의 것을 탑재하고, 도9에 나타내듯이, 고정베드(2)와 가변베드(3)를 합체시키고, 더욱이 그 위에 피간호자가 드러눕더라도 그 중량을 지지하고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고정베드(2)에 부착된 난간(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 및 도24에 나타내듯이, 상기 고정베드(2)의 침대(20)의 양 측면에는 난간(11ㆍ11)이 부착되어 있고, 이 난간(11)은 아래와 같이 앞뒤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24 내지 도26에 나타내듯이, 상기 난간(11)은 측면시에 대략 「門」자형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이 난간(11)의 양 하단부에 있어서, 그 외측면에서 상하 2개의 나사(111Tㆍ111B)를 나사결합하여, 그 내측면에서 그 나사(111Tㆍ111B)의 선단을 돌출시킨다. 또한, 그 나사(111Tㆍ111B)의 머리부를 은폐하도록, 그 난간(11)의 양 하단부의 외측면을 커버(114)로 덮어씌운다.
한편, 침대(20)의 좌우프레임(21Lㆍ21R)의 외측면에는 앞뒤방향(길이방향)으로 레일부재(113ㆍ113)를 설치하고, 또한 이 레일부재(113ㆍ113)에는 상하 2레인의 레일홈(113aㆍ113a)이 앞뒤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111Tㆍ111B)의 선단에는 각각 슬라이드가이드(112Tㆍ112B)가 부착되고, 이 슬라이드가이드(112Tㆍ112B)를 그 레일홈(113aㆍ113a)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서, 난간(11)을 침대(20)의 양측면의 레일부재(113ㆍ113)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상하 2레인의 레일홈(113aㆍ113a)에 난간(11)의 상하 슬라이드가이드 (112Tㆍ112B)를 끼워맞춰, 난간(11)을 두점에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 난간 (11)은 좌우방향으로 전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난간(11)에는 이 난간(11)의 앞뒤방향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스토퍼기구를 설치하고, 구성하고 있다.
이하, 이 스토퍼기구의 일례를 설명한다 (단, 그 스토퍼기구는 아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24에 나타내듯이, 상기 스토퍼기구는 위치결정플레이트(115), 스토퍼장치 (120)로 구성되고, 그 위치결정플레이트(115)를 상기 레일부재(113)의 아래면에 설치하고, 이 스토퍼장치(120)를 난간(11)의 전후 한 측의 하단부에 설치한다.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27 및 도28에 나타내듯이, 그 위치결정플레이트(115)의 길이방향으로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핀구멍(115aㆍ115a …)을 형성하고, 그 스토퍼장치(120)의 인덱스핀(124)을 이 핀구멍(115aㆍ115a …)의 1개에 끼워맞춰서, 상기 난간(11)을 고정한다.
즉, 도25에 나타내듯이, 상기 스토퍼장치(120)는 케이싱(121), 스프링(122), 스프링받침(123), 인덱스핀(124), 스위치레버(12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케이싱(121)내에 있어서의 기체내 방향측으로 스프링받침(123)을 고정하여, 이 스프링받침(123)내에 스프링(122)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122)내에 인덱스핀(124)을 끼워 넣는다. 이때, 그 스프링받침(123)내에 있어서의 아래면 중앙을 천공하여, 이 천공 (123a)으로 인덱스핀(124)의 하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둔다. 더욱이, 이 스프링받침(123)의 기체의 바깥방향측 측면에 있어서의 상부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긴구멍(123b)을 설치하고, 또한 케이싱(121) 기체의 바깥방향측 측면에 있어서의 상부위치에도 상하방향으로 긴구멍(121b)을 설치하고, 이 긴구멍(121b) 및 이 긴구멍 (121b)으로 스위치레버(125)를 끼워 통과시키고, 이 스위치레버(125)의 내단부와 그 인덱스핀(124)을 연결 고정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레버(125)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는 회전지점(126)을 설치하고, 그 회전지점(126)을 케이싱(121)의 전후면 사이에서 축받이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스위치레버(125)를 밀어 올리면, 인덱스핀(124)은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려 내려지고, 그 선단이 위치결정 플레이트 (115)의 핀구멍(115a)에서 빠지고, 난간(11)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스위치레버(125)를 손가락으로 밀어 올린대로 난간(11)을 소망한 위치로 이동시켜, 그 손가락을 놓으면, 스프링(1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인덱스핀(124)은 밀어 올려져서 위치결정플레이트(115)의 핀구멍(115aㆍ115a …)의 1개와 끼워맞춰지고, 다시 난간(11)은 위치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레버(125)를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기체내 방향으로 밀어, 스프링의 지점 너머를 이용하여, 케이싱(121)의 긴구멍(121b) 사이의 상하 한 방향으로 쓰러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더욱이, 스프링 받침(123)의 긴구멍(123b) 및 케이싱(121)의 긴구멍(121b)의 상하 길이를 조정하고, 스위치레버(125)를 밀어 내릴 때에 인덱스핀(124)의 상단이 위치결정플레이트(115)의 핀구멍(115aㆍ115a …)으로 쉽게 끼워맞추도록 구성해도좋고, 이와 같이, 디텐트감각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난간을 슬라이딩하면, 감촉으로 구멍위치를 알게 되고 위치결정이 쉽게 된다.
또한, 스토퍼기구는 무단계적으로 난간(11)의 위치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고정베드(2)측으로 스토퍼기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가변베드(3)의 고정베드(2)로의 부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듯이, 가변베드(3)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롤러장치(13ㆍ13)가 설치되어 있다. 도29 내지 도31에 나타내듯이, 상기 가이드롤러장치(31)는 축심을 좌우방향으로 향한 수직롤러(131ㆍ133), 축심이 상하방향으로 향한 수평롤러(132ㆍ134ㆍ135), 및 가이드롤러프레임(13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프레임(130)의 앞부분 위치로 수직롤러(131)를 설치하고, 그의 약간 뒤쪽으로 수평롤러(132)를 설치한다. 또한, 그 가이드롤러프레임의 뒷부분위치에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수직롤러(113), 수평롤러(134), 및 수평롤러(135)를 설치한다. 이때, 가이드롤러프레임(130)의 아래면 및 좌우 양측면에 일부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개구부에서 각각 수직롤러(131ㆍ133) 및 수평롤러(132ㆍ134ㆍ135)의 롤러회전면을 돌출시키고, 그리고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듯이, 가이드롤러프레임 (130)을 가이드롤러커버(136)로 덮어씌운다.
또한, 가이드롤러장치(13)에 있어서의 수평롤러 및 수직롤러의 배치위치 및 그 수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고정베드(2)측에 있어서, 도6 및 도29에 나타내듯이, 좌우프레임(21Lㆍ21R)의 전단내측부의 각을 둥글게하고, R면형상의 가이드면(21bㆍ21b)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에, 이 가이드면(21bㆍ21b)은 좌우프레임의 전단부에 곡률 중심을 보유하는 매끄러운 곡면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면은 좌우프레임(21Lㆍ21R)의 전단내측부의 각을 모따기하고, 즉, 좌우프레임(21Lㆍ21R)사이의 간격이 전단측이 넓어지도록 비스듬히 잘라내어서 평탄면이라도 좋고, 가변베드(3)의 진입하기 쉬운 구성이라면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 좌우프레임(21Lㆍ21R)의 내측면 하부를 따라서, 지지가이드부재 (141ㆍ141)를 돌출설치하고, 또한 이 지지가이드부재(141ㆍ141)의 앞부분을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구부려서 경사면(141aㆍ141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휠체어 형태의 가변베드(3)를 고정베드(2)의 노치오목부(20a)내로 진입시키는 경우, 가변베드(3)의 진입각도가 경사진 방향이라도 상기 고정베드(2)의 좌우프레임(21Lㆍ21R)의 가이드면 (21bㆍ21b)에 의해서, 상기 가변베드(3)의 양측면에 부착된 가이드롤러장치(13ㆍ13)의 수평롤러(135ㆍ135)가 안내되어서 그 진입각도가 수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가변베드(3)는 고정베드(2)에 대하여 바로 앞쪽에서 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가이드롤러장치(13ㆍ13)의 수평롤러(134ㆍ134ㆍ135ㆍ135)가 고정베드(2)의 좌우프레임(21Lㆍ21R)의 내측면으로 안내되며, 전후로 병설되는 수평롤러(134ㆍ135)에 의하여 가변베드(3)의 직진이 유지되고, 이 가변베드(3)는 원활하게 고정베드(2)의 노치오목부(20a)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 좌우프레임(21Lㆍ21R)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지지가이드부재 (141ㆍ141)의 경사면(141aㆍ141a)에 의하여, 그 가이드롤러장치(13ㆍ13)의 수직롤러(133ㆍ133)가 안내되어서, 가변베드(3)는 들어 올려지고, 그대로 그 지지가이드부재(141ㆍ141)의 수평면(141bㆍ141b)을 따라서 뒤쪽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가이드부재(141ㆍ141)를 따라 가변베드(3)를 고정베드(2)의 노치오목부(20a)의 가장 깊숙한 부분까지 밀어 넣으면, 도14에 나타내듯이 가변베드(3)의 플러그(101)가 도6에 나타내는 고정베드(2)의 콘센트(100)와 끼워맞춰지고, 가변베드(3)로의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변베드(3)를 고정베드(2)와 끼워맞추어, 다음에 가변베드(3)를 휠체어 형태로부터 수평베드 형태로 형태변환시키는 것이지만, 이때, 등받이부 (33)가 수평하게 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가변베드(3) 및 그 위에 착석하는 피간호자의 중심위치가 뒤쪽으로 변위하게 된다.
그래서, 고정베드(2)의 좌우프레임(21Lㆍ21R)의 내측면 상부를 따라서, 전도방지가이드부재(143ㆍ143)를 내측방향으로 돌출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전도방지가이드부재(143)는 상기 지지가이드부재(141)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전도방지가이드부재(143ㆍ143)와 지지가이드부재(141ㆍ141)의 사이로 가변베드(3)의 가이드롤러장치(13ㆍ13)가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변베드(3)의 중심이 뒤쪽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가이드롤러장치(13ㆍ13)의 윗면이 상기 전도방지가이드부재(143ㆍ143)의 아래면과 맞닿아 가변베드(3)가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에서 수평베드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성취하는 것이다.
즉,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이 고정베드와 그 가변베드의 사이로 고정베드에 대한 가변베드의 상하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가변베드의 등받이부를 쓰러뜨리거나 혹은 일으키거나 할 때, 피간호자의 체중의 중심 위치가 휠체어 형태의 가변베드의 뒷바퀴 위치보다도 뒤쪽으로 변위하였다고 하여도, 그 유지부재에 의하여 가변베드의 상하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 가변베드의 형태이행을 안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부재를 대략 「コ」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에 있어서의 내측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가변베드의 착석부 양 측쪽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피가이드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이 가이드부재 및 그 피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변베드의 상하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 가변베드의 형태 이행을 안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변베드를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에 대하여 진입ㆍ이탈시킬 때에도, 가이드부재 및 피가이드부재에 의하여 가변베드의 상하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 가변베드가 안정 또한 원활하게 앞뒤방향으로 안내되며, 그 진입ㆍ이탈을 용이하게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하 한 쌍의 가이드레일로 구성하고, 상기 피가이드부재를 상하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 상하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그 가이드롤러에 의하여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변베드의 상하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 가변베드의 형태이행을 안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변베드를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에 대하여 진입ㆍ이탈시킬 때에도, 가이드부재 및 피가이드부재에 의하여 가변베드의 상하 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 가변베드가 안정 또한 원활하게 앞뒤방향으로 안내되고, 그 진입ㆍ이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가변베드의 착석부에 있어서의 양측 뒷부분위로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함으로써, 가변베드를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로 진입시키는 경우에, 가변베드가 고정베드의 내측면으로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고 원활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가변베드의 착석부에 있어서의 양측의 전부위치 및 뒷부분위치로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 내에 대한 가변베드의 침입ㆍ이탈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함으로써, 가변베드를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에 대하여 진입, 이탈시킬 때, 가변베드가 고정베드의 내측면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고 원활하게 진입ㆍ이탈시킬 수 있다.
더욱이,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노치오목부를 개구하는 고정베드 전단면에 있어서의 좌우내측부로 가변베드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가역베드가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로 경사로부터 진입하는 경우에도, 이 가이드면에 의하여 가변베드의 뒷부분위치의 가이드롤러가 안내되고, 이 진행방향을 수정하여 이 가변베드를 똑바로 진행시켜 고정베드를 간섭하지 않고 용이하고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휠체어로의 형태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이 고정베드의 주위에 난간을 세워 설치하고, 이 난간을 가동식으로 구성하여도 좋고, 피간호자를 다기능 베드로부터 타고 내림을 시킬 때에는 가동측의 베드를 고정측의 베드로부터 분리하고, 또는 고정측 베드의 난간을 피하지 않아도, 난간을 이동시키는 정도로 쉽게 피간호자를 고정베드의 양 측쪽에서 타고 내림시킬 수 있다.
또한, 간호자에 있어서, 휠체어형태의 가변베드를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 내에 진입시키거나 이탈시키는 경우, 난간을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베드의 측쪽에서 그 작동을 쉽게 수행할 수 있고, 피간호자의 돌봄이나 간호 등도 즐겁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을 고정베드의 둘레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는것으로, 청구항 7에 관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쉽게 피간호자를 고정베드의 양 측쪽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과 아울러 간호자에 있어서는 난간을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고정베드의 측쪽에서 간호나 작업 등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은 이 난간에 고정되는 슬라이드가이드를 고정베드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것으로, 이 고정베드에 부착되고, 이 난간측 또는 고정베드측으로 난간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스토퍼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청구항 7 및 8에 관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음과 아울러, 또한 이 스토퍼기구에 의해 난간을 고정하여, 작업시 등에 있어서의 안전면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드와 상기 가변베드의 사이에 고정베드에 대한 가변베드의 상하위치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를, 대략 「コ」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에 있어서의 내측면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가변베드의 착석부측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피가이드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하 한 쌍의 가이드레일로 구성하고, 상기 피가이드부재를 상하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4.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가변베드의 착석부에 있어서의 양측 뒷부분위치에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5.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가변베드의 착석부에 있어서의 양측의 앞부분위치 및 뒷부분위치에 고정베드의 노치오목부로의 진입ㆍ이탈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6.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노치오목부를 개구하는 고정베드 전단면에 있어서의 좌우내측부에 가변베드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7. 휠체어로의 형태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베드와, 이 가변베드를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베드로 구성되는 다기능 베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드의 주위에 난간을 세워 설치하고, 이 난간을 가동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을 고정베드의 둘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이 난간에 고정되는 슬라이드가이드를, 고정베드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고정베드에 부착되어 상기 난간측 또는 고정베드측으로 난간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스토퍼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드.
KR1020010020474A 2000-04-17 2001-04-17 다기능 베드 KR200100986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5579 2000-04-17
JP2000-115577 2000-04-17
JP2000115579A JP2001293041A (ja) 2000-04-17 2000-04-17 多機能ベッド
JP2000115578A JP2001293040A (ja) 2000-04-17 2000-04-17 多機能ベッド
JP2000115577A JP2001293039A (ja) 2000-04-17 2000-04-17 多機能ベッド
JP2000-115578 2000-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666A true KR20010098666A (ko) 2001-11-08

Family

ID=2734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474A KR20010098666A (ko) 2000-04-17 2001-04-17 다기능 베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4629B2 (ko)
EP (1) EP1147757A3 (ko)
KR (1) KR20010098666A (ko)
CN (1) CN1247170C (ko)
TW (1) TW461811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69B1 (ko) * 2006-04-26 2007-07-30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다기능 의료용 베드
KR100942968B1 (ko) * 2009-07-31 2010-02-26 주식회사 카이스트종합메디칼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KR101641457B1 (ko) * 2015-02-17 2016-07-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KR20200068848A (ko) * 2018-12-06 2020-06-16 (주)옵토닉스 분리형 전동휠체어를 포함하는 침대장치
KR20210041252A (ko) * 2019-10-07 2021-04-15 (주)옵토닉스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2633B1 (en) * 1999-10-12 2004-09-21 Takano Co., Ltd. Stretcher
TW461811B (en) * 2000-04-17 2001-11-01 Murata Machinery Ltd Multifunctional bed
US6978499B2 (en) * 2001-05-25 2005-12-27 Hill-Rom Services, Inc. Architectural bed docking apparatus
US20030167568A1 (en) * 2001-12-20 2003-09-11 Brooke Jason C. Bed siderails
EP1350449A1 (en) * 2002-04-05 2003-10-08 Sidhil Limited Adjustable profiling beds
JP2005304626A (ja) * 2004-04-19 2005-11-04 Toshiharu Honda 車椅子機能を有する介護用ベッドの構成方法及び介護用ベッド
EP1621175B1 (en) * 2004-07-30 2012-06-13 Hill-Rom Services, Inc. Bed having a chair egress position
WO2006023539A2 (en) 2004-08-16 2006-03-02 Kramer Kenneth L Home care equipment system
EP1789278A2 (en) 2004-08-16 2007-05-30 Hill-Rom Services, Inc. Chair
US7779494B2 (en) 2004-09-13 2010-08-24 Kreg Therapeutics, Inc. Bed having fixed length foot deck
US7757318B2 (en) 2004-09-13 2010-07-20 Kreg Therapeutics, Inc. Mattress for a hospital bed
US7743441B2 (en) 2004-09-13 2010-06-29 Kreg Therapeutics, Inc. Expandable width bed
US7676862B2 (en) 2004-09-13 2010-03-16 Kreg Medical, Inc. Siderail for hospital bed
US7788748B2 (en) 2005-04-06 2010-09-07 Piedmont Global Solutions, Inc. Hospital beds with a rotating sleep surface that can translate into a chair configuration
US20070094798A1 (en) * 2005-10-28 2007-05-03 Yu Chun H Platform assembly for an operating bed
US7665166B2 (en) * 2006-06-15 2010-02-23 Martin Manufacturing Company, Llc Patient examination system
FR2913881A1 (fr) * 2007-03-22 2008-09-26 Daniel Camille Louis Boyer Lit medicalise transformable en fauteuil roulant ou en brancard
US20110009903A1 (en) * 2009-07-08 2011-01-13 Edward Estrada Therapy mat table with adjustable portion
WO2009158018A1 (en) * 2008-06-27 2009-12-30 Kreg Medical, Inc. Bed with modified foot deck
US8495774B2 (en) * 2008-09-12 2013-07-30 Piedmont 361, Llc Hospital chair beds with articulating foot sections
CN101980680B (zh) * 2009-03-31 2012-11-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US8516637B2 (en) 2009-08-05 2013-08-27 B & R Holdings Company, Llc Patient care and transport assembly
US10314754B2 (en) 2009-08-05 2019-06-11 B & R Holdings Company, Llc Patient care and transport assembly
EP2481388B1 (en) 2009-09-24 2015-11-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ed and union method
CN102481223B (zh) * 2010-06-08 2014-05-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床以及床的合体方法和分离方法
WO2011161928A1 (ja) * 2010-06-21 2011-1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ベッド及び車椅子
CN102125490B (zh) * 2011-03-24 2013-03-20 刘新正 一种助人自然坐姿护理床
EP2737829A4 (en) * 2011-09-22 2014-07-16 Panasonic Corp BED COMBINATION METHOD, BED SEPARATION METHOD, AND BED THEREOF
CN102551973B (zh) * 2012-02-29 2013-05-01 天津理工大学 一种新型多功能轮椅床
CN203208263U (zh) * 2012-03-01 2013-09-25 何汉中 组合式护理床
CN102648881B (zh) * 2012-05-09 2013-05-15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侧面分离的床椅一体化机器人
US9004508B2 (en) * 2012-07-05 2015-04-14 Panasonic Corporation Movable bed
EP2818149A4 (en) * 2012-12-13 2015-06-10 Panasonic Ip Man Co Ltd WHEELCHAIR AND BED INCLUDING
WO2015040847A1 (ja) * 2013-09-17 2015-03-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分離可能ベッド
DE102013223486A1 (de) * 2013-11-18 2015-05-21 Berchtold Holding AG Operationstisch
US9603764B2 (en) 2014-02-11 2017-03-28 Medlin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cking caster
CN104433486B (zh) 2014-10-29 2018-03-06 嘉兴赛诺机械有限公司 电驱动机构和电动家具
US10188567B2 (en) 2014-10-30 2019-01-29 Byron Wade Wurdeman Hospital chair beds with extendable/retractable foot sections
US9743776B2 (en) * 2015-05-14 2017-08-29 Henry Ray Mattress lifting system
CN105105560A (zh) * 2015-09-28 2015-12-02 成都愚创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残疾人的升降式床位
CN105193570B (zh) * 2015-10-27 2017-11-28 上海交通大学 病人床椅便捷转移装置
JP6711707B2 (ja) * 2016-06-24 2020-06-1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寝台構成部材および寝台装置
US11076704B2 (en) 2016-11-16 2021-08-03 Sino International Group Limited Motorized bed
CN106821644A (zh) * 2017-03-10 2017-06-13 黄劲涛 一种翻身坐便床
US20180271731A1 (en) * 2017-03-21 2018-09-27 Jiaxing Sino Hardware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Bed lifting frame
CN107361931A (zh) * 2017-08-17 2017-11-21 福尔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防倾斜轮椅床
CN107496082A (zh) * 2017-09-18 2017-12-22 江南大学 一种多功能医疗辅助移位机器人
TWI658825B (zh) * 2017-09-27 2019-05-11 名一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結合輪椅之照護床
CN108888436A (zh) * 2018-08-01 2018-11-27 天津理工大学 多功能轮椅床
CN108670624A (zh) * 2018-08-01 2018-10-19 天津理工大学 一种多功能轮椅床
US11129762B2 (en) * 2018-08-02 2021-09-28 AWB Group, LLC Wheelchair and bed combination and method of use
KR102008007B1 (ko) * 2019-01-22 2019-08-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한 환자용 침대
JP6650063B1 (ja) * 2019-03-08 2020-02-19 湯浅機械株式会社 介護ベッド
CN112754810B (zh) * 2021-01-18 2021-08-17 滨州职业学院 一种设有组合以及分离辅助轨道的应急医用护理床
CN113786298B (zh) * 2021-09-18 2022-10-28 象山县第一人民医院医疗健康集团 一种自用辅助床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7929A (en) * 1948-11-23 1952-08-26 Ruth E Balluff Combination wheel chair and bed
US2786214A (en) * 1955-05-27 1957-03-26 Raymond L Armstrong Bed side guard
US3138805A (en) * 1961-04-11 1964-06-30 Salvatore J Piazza Bed-wheelchair
US3376066A (en) * 1966-10-31 1968-04-02 Howmet Corp Horizontally adjustable armrest for invalid wheelchairs
US3767260A (en) * 1971-08-20 1973-10-23 Gendron Diemer Inc Horizontally adjustable armrests for wheelchairs
US3865427A (en) * 1973-05-16 1975-02-11 Harold Edward Delany Invalids aids
FR2429011A1 (fr) * 1978-06-22 1980-01-18 Betton Rene Dispositif pour transborder un handicape physique de son fauteuil roulant a un vehicule automobile et reciproquement
US4240169A (en) * 1979-01-26 1980-12-23 Roos Kjell E Patient transferring apparatus
US4987620A (en) * 1989-10-03 1991-01-29 Benjamin Sharon Combined bed and wheelchair
US5555582A (en) * 1995-03-06 1996-09-17 Jerideau; Thomas H. Convertible bed
JPH0951921A (ja) * 1995-08-14 1997-02-25 Minamikiyuushiyuu Noki Hanbai Kk 介護用ベッド
EP0824018A3 (de) * 1996-08-14 1998-09-30 Stefan Müller Kranken- oder Pflegebett mit integriertem Rollstuhl
EP0997127A3 (en) * 1998-10-30 2001-01-17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al bed
US6363552B1 (en) * 2000-03-17 2002-04-02 Hill-Rom Services, Inc. Bed siderail
TW461811B (en) * 2000-04-17 2001-11-01 Murata Machinery Ltd Multifunctional be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69B1 (ko) * 2006-04-26 2007-07-30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다기능 의료용 베드
KR100942968B1 (ko) * 2009-07-31 2010-02-26 주식회사 카이스트종합메디칼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KR101641457B1 (ko) * 2015-02-17 2016-07-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 난간 및 휠체어 겸용 기능성 침대
KR20200068848A (ko) * 2018-12-06 2020-06-16 (주)옵토닉스 분리형 전동휠체어를 포함하는 침대장치
KR20210041252A (ko) * 2019-10-07 2021-04-15 (주)옵토닉스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7170C (zh) 2006-03-29
US20010029629A1 (en) 2001-10-18
CN1318356A (zh) 2001-10-24
EP1147757A2 (en) 2001-10-24
EP1147757A3 (en) 2003-07-09
TW461811B (en) 2001-11-01
US6584629B2 (en) 200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8666A (ko) 다기능 베드
US5737782A (en) Sick or wounded patient bed having separable frame and moving/lifting apparatus for the separable frame
CN103079518B (zh) 帮助不能移动的人洗澡和移动的洗澡椅
JP3685336B2 (ja) 身体障害者用の運動練習器具
JP6733906B2 (ja) 入浴介護装置
JPS61255657A (ja) 病院用ベツド
WO2001001916A1 (fr) Dispositif mobile
KR20140050884A (ko)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US5007118A (en) Head care station and kit and method for reclining the occupant of a wheelchair against a head support
KR20200068846A (ko)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KR102340780B1 (ko) 분리형 휠체어모듈을 가지는 전동침대
JP4452082B2 (ja) 特殊入浴システムならびに車椅子兼ストレッチャー
JP2001293041A (ja) 多機能ベッド
JP5067806B2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
JP2001293040A (ja) 多機能ベッド
JPH0951921A (ja) 介護用ベッド
JP3199271B2 (ja) 障害者用車椅子
CN113613611A (zh) 独立控制床头部的倾斜床
JPH10137296A (ja) ロッキングチェア機能を有する車椅子
JP4403567B2 (ja) 車椅子の車台
KR102532369B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
JP2001293039A (ja) 多機能ベッド
TWI825266B (zh) 軌道單元及沐浴輔助系統
JP2001008737A (ja) 昇降テーブル及び昇降テーブル・椅子セット
KR20220073978A (ko) 틸팅각도를 제한한 휠체어 및 분리가능한 휠체어를 포함하는 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