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400A - 포움으로 감긴 스웝 - Google Patents

포움으로 감긴 스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400A
KR20010098400A KR1020010011673A KR20010011673A KR20010098400A KR 20010098400 A KR20010098400 A KR 20010098400A KR 1020010011673 A KR1020010011673 A KR 1020010011673A KR 20010011673 A KR20010011673 A KR 20010011673A KR 20010098400 A KR20010098400 A KR 20010098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handle
cleaning
tapered
sw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158B1 (ko
Inventor
포레스트에드워드제이.주니어.
웹크리스틴와이.
캄머러케이.스코트
홀리제임스제이.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Publication of KR2001009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5Sw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40/00Type of materials or objects being cleaned
    • B08B2240/02Optical fibers or optical fiber connector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전기 및 특히 광 섬유 커넥터를 청소하기 위한 스웝(swab)은 종축을 한정하며 클리닝 헤드 단부(cleaning head end)와 손잡이 단부를 구비하는 연장된(elongated)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웝은 포움(foam)으로 감긴 클리닝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움으로 감긴 클리닝 단부는 상기 핸들의 클리닝 단부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긴 미공성 포움(microporous foam)의 연장된 스트립(strip)으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평평한 클리닝 단부를 구비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스웝을 만드는 방법도 또한 게시된다.

Description

포움으로 감긴 스웝{WRAPPED FOAM SWAB}
본 발명은 청소용 스웝(swab)에 관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나선형으로 감긴 포움으로 형성되는 청소용 부분을 가지는 스웝 및 스웝을 만들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스웝은 모든 분야의 청소에 있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사람 위생 및 간호를 위해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끝이 솜으로 된 스웝은 누구나 알고 있다. 이러한 스웝의 촘촘하며 유효한 성질로 인해, 상기 스웝은 생산기술 및 제조업의 많은 분야에서 이용을 위해 채택되어 왔다. 그러한 분야의 하나는 전기적 구성 요소의 제조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전기 통신(telecommunication) 산업용 커넥터이다.
전기 통신 산업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의 하나의 특정 유형은 광 섬유 케이블을 위한 용도이다. 광 섬유 케이블의 접합부분(section)을 맞대어 잇거나(splice) 또는 연결할 때, 커넥터가 사용된다. 전형적인 커넥터는 숫부분(male portion)과 암부분(female portion)을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블 접합부분을 제작하는 동안, 섬유 조각 또는 섬유 코팅 잔해(debris)와 같은 제조 잔해의 조각이 커넥터의 단부(end)안에 남겨지는 것은 특이하지 않다. 또한 지문 및 다른 자연적 피부 기름과 같은 경질 기름(light oil)이 커넥터의 단부에 있는 부분에서 발견되는 것도 특이하지 않다. 당업자에 의해서 인식되듯이, 이러한 잔해와 기름은 커넥터에 걸쳐있는 케이블의 전송능력을 상당히 떨어뜨리거나 방해한다.
많은 유형의 청소용 도구가 이와 같은 특히 민감한 영역을 청소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며,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비미립자 제거용 재료로 형성된 청소용 도구는 이러한 커넥터용으로는 허용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미립자는 커넥터 안에 및 주위에 박혀 있을 수 있고, 그래서 전기 통신 신호의 질에 역효과를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는 유형별로 다양화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커넥터 암(female) 단부는 평평한 안쪽 단부 표면, 오목 표면 또는 볼록 표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청소용 도구의 유형에 관계없이, 코너안에 그리고 코너 주위에 자리잡은 잔해 및 커넥터 장치의 이러한 영역에 존재하는 기름은 적당하게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커넥터를 청소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스웝 타입의 청소용 장치에 대한 필요가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장치는 커넥터안에 상기 장치의 어떠한 잔류물도 남겨놓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청소용 장치는 미립자 오염원과 경질 기름(예를 들면, 지문 기름)을 제거하며 본질적으로 모든 제조상의 또는 다른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서 커넥터안의 코너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포움으로 감긴 스웝의 클리닝 단부(cleaning end)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핸들위에 감기 위해 구성된 포움 스트립(strip)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포움 스트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스웝을 만드는 방법의 실행을 위한 배치를 위하여 상기 스트립위에 놓인 핸들을 더 도시하는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포움으로 감긴 스웝 12:핸들
14:포움 클리닝 헤드 20:제 1 랩(wrap)
22:제 2 랩 24:클리닝 단부
26:손잡이 단부 28:평평한 헤드
38:고정 단부 42:하측 단부
44:상측 단부 A:종축
전기 커넥터 청소용 특히 광 섬유 케이블을 위한 커넥터 청소용 스웝은 종축을 한정하며 클리닝 헤드 단부와 손잡이 단부를 구비하는 연장된(elongated) 핸들을 포함한다. 포움(foam)으로 감긴 클리닝 단부는 미공성(microporous) 포움의 연장된 스트립(strip)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움은 상기 핸들의 클리닝 단부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기며, 실질적으로 평평한 클리닝 단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공성 포움의 연장된 스트립은 끝이가늘어지는(tapered) 단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단부는 핸들의 클리닝 헤드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끝이 가늘어짐은 약 10도 내지 약 15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2도의 각도로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단부는 둥근 끝부분(tip portion)으로 끝나며 상기 둥근 끝부분은 상기 클리닝 헤드 단부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단부는 클리닝 헤드 단부에서 핸들 주위를 감싸도록 위치되는 끝이 가늘어지는 가장자리(edge)를 한정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공성 포움의 자유 단부는 클리닝 헤드 단부로부터 말단에 위치한 그 자신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클리닝 헤드 단부에서는, 끝부분(tip)은 핸들을 연화(softening)되도록 가열하고 상기 포움을 핸들에 접촉시킴에 의해서 상기 핸들에 고정된다. 포움은 그을림(searing)에 의해서 상기 자유 단부에서 그 자신위에 고정된다.
스웝을 형성하는 방법은 종축을 구비하는 연장된 핸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미공성 포움의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와, 포움의 스트립의 연장된 치수를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는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포움의 끝부분을 끝이 가늘어지는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장된 핸들의 단부에 고정하는 단계와, 임의의 랩(wrap)의 하부 가장자리가 그 다음의 랩의 상부 가장자리와 겹치도록 핸들 주위로 포움을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와, 상기 포움의 트레일링(trailing) 단부를 그 자신위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스트립의 단부의 끝이 가늘어지는 가장자리에서 둥근 끝부분을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포움의 끝부분을 핸들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핸들을 가열하고 상기 포움을 상기 핸들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포움의 트레일링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포움을 그 자신위에 그을리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청구항과 더불어, 뒤따르는 자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도시되고 이후에 설명될 것이며 본 게시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도시된 구체적 실시예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포움으로 감긴 스웝(10)이 도시된다. 상기 스웝은 핸들(12)과 포움 클리닝 헤드(14)를 포함한다. 상기 포움 클리닝 헤드(14)는 도 2에서 가장 잘 도시되듯이 포움 스트립(16)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움 스트립(16)은 참조 번호(18)로 도시되듯이, 나선형 방식으로 핸들 주위에 감긴다. 상기 포움 스트립(16)은 제 1 랩(20)이 제 2 랩 또는 그 다음의 랩(22)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핸들 주위에 감긴다. 그래서, 상기 포움 스트립은 일단 감기기 시작하면 핸들위에서 스스로 고정된다(self-securing).
본 실시예에서, 핸들(12)은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중합(polymeric) 재료로형성된다. 상기 핸들(12)은 본질적으로 원통의 폴리프로필렌 스틱이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또는 클리닝 단부와 손잡이 단부(24,26)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핸들(12)의 상기 클리닝 단부(24)는 평평한 헤드(28)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헤드(28)는 상기 핸들의 종축(A)을 가로질러 횡으로 절단함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핸들의 손잡이 단부(26)는 그런 평평한 헤드를 구비하도록 요구되지는 않으나, 하지만, 제조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핸들의 클리닝 단부(24)와 손잡이 단부(26) 모두가 본질적으로 서로 똑같도록 평평한 헤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12)은 약 5 밀리미터의 직경, 약 150 밀리미터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클리닝 단부(24)에 평평한 절단 헤드를 구비하는 폴리프로필렌 스틱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움 스트립(16)은 끝이 가늘어지는 헤드 또는 랩 영역(32)과 이어지는 둥근 끝부분(30)을 구비한다.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헤드 영역(32)은 상기 스트립의 본체(34)에서 끝난다. 상기 본체(34)는 상기 스트립(16)의 고정 단부(38)에서 끝나는 평행 측면(3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립(16)은 끝부분(30)으로부터 단부(38)까지 약 75.7 밀리미터의 길이(Ls)와 고정 단부(38)에서 약 5.6 밀리미터의 폭(Ws)을 가진다.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영역(32)은 둥근 끝부분(30)으로부터 상기 스트립(16)의 종단 길이(Ls)를 따라 약 22 밀리미터 뻗어있다. 이 때문에,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영역은 상기 종단길이(Ls)에 대해 약 10도 내지 약 15도, 바람직하게는 약 12도의 각도( α)로 형성된다.
현재의 실시예에서, 포움 스트립은 미공성 포움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움은 폴리우레탄 물질이며 상기 스트립(16)은 상기 물질로 된 시트(sheet)를 잘라 형성된다. 전형적인 폴리우레탄, 미공성 포움은 아이템 번호 RC-810으로서 일본, 오사카, 토쿄 에이자이 코포레이션(Tokyo Eizai Corporation)으로부터 루비셀 쉬트 와이퍼스(Rubycell Sheet Wipers)이라는 상품명으로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포움으로 감긴 스웝(10)의 현재 실시예에서, 포움 쉬트(sheet)는 약 0.8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스웝을 만드는 방법은 포움 쉬트를 약 5.6 밀리미터의 폭(Ws)과 약 75.7 밀리미터의 길이(Ls)를 갖는 스트립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둥근 끝부분(30)이 형성되며, 끝이 가늘어지는 랩 영역(32)도 형성된다.
핸들(12)은 종축(A)이 실질적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랩 영역 가장자리(40)에 수직이 되는 상태로 스트립(16)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핸들(12)을 연화(softening)될 때까지 가열하고 상기 연화된 영역을 상기 스트립(16)과 접촉시키는 것과 같이 하여 둥근 끝부분(30)은 상기 핸들(12)의 평평한 단부 부분(28)에 고정된다.
그 후 스트립(16)은 단부 부분(28)에서 실질적으로 플랫 로울(flat roll)로 시작하면서, 그리고 화살표(46)로 도시되듯이 핸들 축(A)에 수직으로 핸들(12)을굴리거나 또는 끝이 가늘어지는 헤드 영역 가장자리(40)를 감음으로써 상기 핸들(12)위에 감긴다. 상기 감기는 클리닝 단부(24)로부터 떨어져 핸들(12)의 길이를 따라 아래로 감기가 진행되도록 나선형 방식으로 계속된다. 나선형 감기는 제 1 랩(20)의 하측 단부(42)가 다음의 후속적 랩(22)의 상측 단부(44)와 겹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감기는 스트립 단부(38)가 핸들과 인접하여 위치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스트립(16)은 그 자신위에 고정된다. 가열과 같은 바람직한 방법으로, 상기 스트립(16)은 그을려지고 참조 번호(48)로 도시되듯이 그 자신위에 고정된다.
도면과 상기 설명으로부터 인식되듯이, 본 스웝(10)의 클리닝 단부(14)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헤드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많은 전기 커넥터, 특히 광 섬유 커넥터는 평평한, 볼록한 또는 오목한 내부 표면 또는 영역을 가진다는 점에서, 본 스웝(10)은 커넥터에 존재하는 미립자 및 경질 기름 오염원이 있는 코너 및/또는 볼록한 또는 오목한 영역을 청소할 때 매우 잘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준비된 스웝의 샘플은 모의 실험 환경(simulated environment)에서 스웝으로부터 떨어지는 미진(particle)의 양 및 크기의 범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에 앞서,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면(fabric) 스웝과 비교되었다. 포움으로 감긴 스웝과 상기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면 스웝 사이에 미립자 레벨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양 모두의 스웝은 또한 어떠한 탐지될 수 있을 정도의 비휘발성 잔류물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비교를 수행할 때, 포움으로 감긴 스웝과 면 스웝 각각의 20개가 각각의 물 용기에 넣어졌다. 그 후 상기 물을 모으고 유동성 미진(liquid particle)이 카운팅되었다. 이 비교의 결과로부터, 통계적으로, 포움으로 감긴 스웝과 알려진 면 스웝 사이에 떨어지는 미진에 있어서 차이는 현저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여기서 어떤 다른 곳에 제공될 때, 본 포움으로 감긴 스웝은 알려진 면 스웝보다 우월한 것으로 밝혀진 다른 특징{즉, 커넥터에의 적합성(fit into connectors) 및 기름 제거 성질}을 갖는다.
상기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새로운 개념의 진정한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수많은 변형 및 다양화가 달성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예시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어떠한 제한도 의도되지 않으며 또는 추론되어서도 않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게시는 첨부되는 청구항에 의해서 청구항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9)

  1. 스웝(swab)에 있어서,
    종축을 한정하고, 연장되며(elongated) 클리닝 헤드 단부(cleaning head end)와 손잡이 단부를 구비하는 핸들과, 그리고
    포움으로 감긴 클리닝 단부(wrapped foam cleaning end)를 포함하며, 상기 포움으로 감긴 클리닝 단부는 상기 핸들의 클리닝 단부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미공성 포움(microporous foam)의 연장된 스트립(strip)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평한 클리닝 단부를 형성하는, 스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공성 포움의 연장된 스트립은 끝이 가늘어지는(tapered) 단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단부는 상기 클리닝 헤드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스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단부는 둥근 끝부분(rounded tip portion)으로 끝나며 상기 둥근 끝부분은 상기 클리닝 헤드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단부는 끝이 가늘어지는 가장자리(edge)를 한정하며,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가장자리는 상기 클리닝 헤드 단부에서 상기 핸들 주위를 감싸도록 위치되는, 스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공성 포움의 자유 단부는 상기 클리닝 헤드 단부로부터 말단에 위치한 자신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스웝.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단부는 약 10도 내지 약 15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스웝.
  6. 스웝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축을 구비하는 연장된 핸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미공성 포움의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포움의 스트립의 연장된 치수를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는 단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가장자리의 상기 포움 끝부분을 상기 연장된 핸들의 단부에 고정하는 단계와.
    제 1 랩(wrap)의 하측 단부가 그 다음의 랩의 상측 단부와 겹치도록 상기 포움을 상기 핸들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와.
    상기 포움의 트레일링(trailing) 단부를 그 자신위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웝을 형성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단부에서 상기 끝이 가늘어지는 가장자리에 둥근 끝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웝을 형성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움의 끝부분을 상기 핸들에 고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핸들을 가열하고 상기 포움을 상기 핸들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웝을 형성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움의 트레일링 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포움을 그 자신위에 그을리는 것(searing)을 포함하는, 스웝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01-0011673A 2000-04-28 2001-03-07 포움으로 감긴 스웝 KR100431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60,119 2000-04-28
US09/560,119 US6393651B1 (en) 2000-04-28 2000-04-28 Wrapped foam swa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400A true KR20010098400A (ko) 2001-11-08
KR100431158B1 KR100431158B1 (ko) 2004-05-12

Family

ID=2423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673A KR100431158B1 (ko) 2000-04-28 2001-03-07 포움으로 감긴 스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393651B1 (ko)
EP (1) EP1149638B1 (ko)
JP (1) JP2002052369A (ko)
KR (1) KR100431158B1 (ko)
CN (1) CN1178084C (ko)
CA (1) CA2342386C (ko)
DE (1) DE60109229T2 (ko)
HK (1) HK1040374B (ko)
MY (1) MY125973A (ko)
SG (1) SG85229A1 (ko)
TW (1) TW496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9329B1 (en) * 2000-06-02 2003-10-07 Illinois Tool Works Conical fabric swab
US6795998B1 (en) * 2000-07-24 2004-09-28 Illinois Tool Works, Inc. Swab with pull-truded tip
US20040267181A1 (en) * 2003-06-26 2004-12-30 Asd Swab sample collection and recovery device
JP2005144288A (ja) * 2003-11-13 2005-06-09 Fushimi Pharm Co Ltd スワブ
US7665177B2 (en) 2005-08-19 2010-02-23 Illnois Tool Works, Inc. Cleaning swab, integrated handle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IL177114A0 (en) * 2006-07-27 2006-12-10 Moshe Abarbanel Disposable swab
JP5827786B2 (ja) * 2010-01-13 2015-1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清掃部材、帯電装置、転写装置、組立体、画像形成装置
US20120027518A1 (en) * 2010-08-02 2012-02-02 Gse Lining Technology, Inc. Containment Boom
US9910227B2 (en) 2014-12-11 2018-03-06 Illinois Tool Works Inc. Oscillating fiber optic cleaning tool
US9776231B2 (en) 2015-01-09 2017-10-03 Illinois Tool Works Inc. Portable, self-contained fiber optic cleaning tool
KR101628710B1 (ko) 2015-12-23 2016-06-09 이강열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CN111492222A (zh) * 2017-08-01 2020-08-04 Essenlix公司 样品收集、保持和测定
CN112595076A (zh) * 2020-12-11 2021-04-0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玻璃基板的风干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4018A (en) * 1971-08-04 1973-04-03 A Sills Swab with foam plastic wiping tip
US5214821A (en) * 1991-05-07 1993-06-01 The Morgan Crucible Company Plc Low contamination swab employing tubular knit fabric
US5715559A (en) * 1996-08-09 1998-02-10 Mitri; George Cleaning tool
US5855214A (en) * 1998-05-12 1999-01-05 Latex Foam Products, Inc. Cosmetic applicator using thermoplastic attach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9638A3 (en) 2002-01-02
EP1149638A2 (en) 2001-10-31
SG85229A1 (en) 2001-12-19
CN1321901A (zh) 2001-11-14
CA2342386C (en) 2006-10-17
CA2342386A1 (en) 2001-10-28
CN1178084C (zh) 2004-12-01
HK1040374B (zh) 2005-10-21
US6523908B2 (en) 2003-02-25
KR100431158B1 (ko) 2004-05-12
JP2002052369A (ja) 2002-02-19
US20020109397A1 (en) 2002-08-15
DE60109229T2 (de) 2006-04-13
US6393651B1 (en) 2002-05-28
HK1040374A1 (en) 2002-06-07
EP1149638B1 (en) 2005-03-09
MY125973A (en) 2006-09-29
DE60109229D1 (de) 2005-04-14
TW496785B (en) 200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158B1 (ko) 포움으로 감긴 스웝
CA2585500C (en) Raised platen for fiber optic component cleaning device
US5925191A (en) Ferrule cleaning rod and method of use
US5346287A (en) Low contamination swab employing tubular knit fabric
US7665177B2 (en) Cleaning swab, integrated handle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384528B1 (en) Fiber optic component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a fiber optic component
CA2349068C (en) Conical fabric swab
WO2009051981A1 (en) Single use fiber optic connector end face cleaning device
MXPA01004167A (es) Hisopo de espuma envuelta
EP1175944B1 (en) Swab
JP2530291Y2 (ja) 光コネクタの清掃具
JP4105908B2 (ja) 洗浄ブラシ
JP6809806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光ファイバ保持部材へのセット方法
JP3004210U (ja) クリーナー
JP2527169Y2 (ja) 光コネクタの清掃具
JPH02226105A (ja)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方法
KR930007915Y1 (ko) 반도체 부품 소제용 면봉
JP2004066074A (ja) 光コネクタ用清掃具
GB2304583A (en) Implement for cleaning aural and nasal cavities
JP2005021847A (ja) 押圧式洗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