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710B1 -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710B1
KR101628710B1 KR1020150184662A KR20150184662A KR101628710B1 KR 101628710 B1 KR101628710 B1 KR 101628710B1 KR 1020150184662 A KR1020150184662 A KR 1020150184662A KR 20150184662 A KR20150184662 A KR 20150184662A KR 101628710 B1 KR101628710 B1 KR 101628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ipe
groove
outer case
wir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열
백성진
Original Assignee
이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열 filed Critical 이강열
Priority to KR102015018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교량 내에 설치되는 전기통신 선의 정리가 되지 않거나 선로의 전선이 엉켜있게 되므로 통신장애 발생 및 작업자가 작업시 전선에 대한 혼돈이 발생이 되며, 특히 낙뢰 또는 화재가 발생시에 전기통신 선로를 타고 화재가 번지게 되어 교량이 위험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인 바,
작업자가 내부의 작업시에 선로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선로에 발생 되는 화재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Safty structure of bridge}
본 발명의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내에 설치되는 전기통신선의 정리가 되지 않거나 선로의 전선이 엉켜있게 되므로 통신장애 발생 및 작업자가 작업시 전선에 대한 혼돈이 발생이 되며, 특히 낙뢰 또는 화재가 발생시에 전기통신 선로를 타고 화재가 번지게 되어 교량이 위험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과 도시의 팽창으로 인해 교량, 터널, 고속철도, 댐 또는 고층의 건축물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들의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각종 구조물의 변형, 균열, 붕괴 및 누수 등의 이상변위나 노후화 및 태풍, 수해 등의 자연재해에 의해 일반인의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삼풍 백화점이나 성수대교 붕괴와 같이 구조물의 노후화에 따르는 재난을 경험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피해 사례로부터 자신의 안전을 보호받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상기 피해가 없더라도 각종 구조물에 대한 안전 확인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량, 터널, 고속철도, 댐 및 고층의 건축물과 같은 대형 구조물에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계측기기, 예를 들어 가속도계, 처짐계, 경사계, 변형률계, 온도계, 풍향·풍속계, 지진계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각각의 계측기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DB화시켜서 각종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차량의 통행이 매우 많은 교량의 경우, 재난상황의 판단이 늦어지면 대형 참사로 이어지게 되며, 이러한 사고의 발생시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는 사고 현장에 재난상황 파악 요원의 투입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고, 인적한계 등에 기인하여 모든 상황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신속한 상황 파악에 따라 복구 구호물품의 확보나 복구구호 장비의 투입 등과 같은 필요한 조치 등은 최소한의 시간이 주어져야 되고, 그러한 시간을 벌 수 있도록 별도의 안전구조물이 필요하였다. 또한 전선의 과부하로 인한 교량내부의 화재는 진화가 어렵고, 교량에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주기 때문에 안전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였다.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0431158호(2006.11.08)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 제20-1997-0064295호(1997.12.11)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신선과 전기선을 분리하도록 적층된 구조로 형성하여 통신장애 발생을 줄이고, 작업자가 쉽게 구별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교량 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뢰 또는 선로에 화재가 발생시에 더 이상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하여 손실을 최소화하고 교량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주입구와 배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전선받침홈이 형성된 세로막과 가로막과, 상부에 형성된 뚜껑부를 포함한 상부 선로관 함체;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의 하부에는 주입구와 배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전선받침홈이 형성된 세로막과 가로막을 포함한 하부 선로관 함체를 형성하여 달성하였다.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와 하부 선로관 함체를 지지하도록 측면에 지지프레임이 형성하여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유압지그부를 형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하부 선로관 함체 내에 난연 발포수지 입자를 충진하여 화재시에 내부면에 발포가 되어 공간이 채워지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은 교량내에 설치되는 전선을 전기선로와 통신선로를 구분하고, 선로를 효율적을 설치하기 위해 적층이 되도록 구분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내부의 작업시에 선로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선로에 발생 되는 화재가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을 도시한 작동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교량에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유압지키부를 형성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의 상하이동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은
교량(500)의 상판(420) 하부에 다수 개의 전선 고정 프레임(410)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된 전기통신 등의 전선(390)을 설치하는 선로에 설치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에 있어서,
전선의 입구홈(110)와 출구홈(120)이 전후방면에 형성된 외부케이스(100)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전선 받침홈(140)이 형성된 하부 세로막(150)과 가로막(160)과, 전선의 입구홈(110-1)와 출구홈(120-1)가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씌어져 고정되는 전선 받침홈(140-1)이 형성된 상부 세로막(150-1)으로 이루어진 상부 뚜껑부(130)를 포함한 상부 선로관 함체(170);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170)의 하부에는 전선의 입구홈(210)와 출구홈(220)이 전후방면에 형성된 외부케이스(200)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전선 받침홈(240)이 형성된 하부 세로막(250)과 가로막(260)과, 전선의 입구홈(210-1)와 출구홈(220-1)가 형성되어 외부케이스(200)의 상부에 씌어져 고정되는 전선 받침홈(240-1)이 형성된 상부 세로막(250-1)으로 이루어진 상부 뚜껑부(230)를 포함한 하부 선로관 함체(270);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선로관 함체(170,270)를 지지하도록 측면에 지지프레임(36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부 선로관 함체(170)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1고정구(180)와 상부 선로관 함체에 제2고정구(190)를 형성하여 안전핀(280)으로 고정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2에 도시한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170)는 전선이 지나가도록 입구홈(110)과 출구홈(120)이 관통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전선을 지지하도록 전선 받침홈(140,140-1)이 형성된 상하부 세로막(150,150-1)이 다수 개 형성되어 배열하였다.
상기 다수 개가 설치된 하부 세로막(150)의 전선 받침홈(140)에 전선을 올려놓고, 전선과 전선의 사이에는 가로막(160)을 형성하여 서로 칸을 막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는 덮을 수 있도록 상부 뚜껑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뚜껑부에는 전선의 입구홈(110-1)과 출구홈(120-1)이 형성되어 전선을 외부케이스에 올려놓은 후에 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부 뚜껑부(130)를 덮기 전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 난연 발포 수지 입자(370)를 충진하여 전선에 발생된 화재가 더 이상 전선을 타고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상기 난연 발포 수지 입자(370)는 열이 가해지면 부풀어 올라서 자기의 몸체보다 배이상 커지도록 하여 내부를 밀착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뚜껑부를 고정시에는 고정피스로 고정하고, 상부 뚜껑부에는 손잡이(380)를 형성하여 이동시에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하부 선로관 함체(270)는 전선이 지나가도록 입구홈(210)과 출구홈(220)이 관통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전선을 지지하도록 전선 받침홈(240,240-1)이 형성된 상하부 세로막(250,250-1)이 다수 개 형성되어 배열하였다.
상기 하부 세로막(250)을 전선 받침홈(240)에 전선을 올려놓고, 전선과 전선의 사이에는 가로막(260)을 형성하여 서로 칸을 막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상부에는 덮을 수 있도록 상부 뚜껑부(23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뚜껑부에는 전선의 입구홈(210-1)과 출구홈(220-1)이 형성되어 전선을 외부케이스에 올려놓은 후에 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부 뚜껑부(230)를 덮기 전에 내부공간에 난연 발포 수지 입자를 충진하여 전선에 발생된 화재가 더 이상 전선을 타고 진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상기 난연 발포 수지 입자(370)는 화재가 발생이 되어 전선을 타고 진행시에 화재의 열로 인하여 발포되어 내부공간을 난연 수지 발포물로 충진되어 더 이상 불이 확산이 되지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부 선로관 함체(170)을 상부로 이동시에 손잡이(380)를 잡고 들어올린 후에 원하는 위치에서 안전핀(280)을 꽂아 고정하도록 형성하였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교량 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은 유압을 이용하여 작업시 또는 전선 교체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부(170)와 하부 선로관 함체부(270)의 사이에 유압자키부(430)를 형성하여 유압을 이용하여 함체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170)가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밑면에 이동 프레임(300)과 상기 이동 프레임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된 로드 지지대(310)를 형성하였다.
상기 하부 선로관 함체(270)를 지지하도록 밑면에 받침 프레임(320)과 상기 받침 프레임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유압자키부(430)를 고정하도록 실린더 지지대(330)를 형성하였다.
상기 실린더 지지대(330)와 로드 지지대(310)의 사이에 유압자키부(370)를 장착하여 상부 선로관 함체(170)를 상하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유압자키부(430)는 오일이 내장된 본체실린더(340)와 내부에 유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로드(350)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실린더의 유압을 펌핑하도록 가압레버(360)로 구성하여 가압로드를 상하부로 이동하여 펌핑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무거운 하중으로 상부 선로관 함체(170)는 유압으로 들어올려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0,200: 외부케이스 110,110-1,210,210-1: 입구홈
120,120-1,220,220-1: 출구홈 130,230: 뚜껑부
140,240: 전선 받침홈 150,250: 하부 세로막
160,260: 가로막 170, 270: 상하부 선로관 함체
180: 제1고정구 190: 제2고정구
280: 안전핀 300: 이동 프레임
310: 로드 지지대 320: 받침 프레임
330: 실린더 지지대 340: 본체 실린더
350: 상하로드 360: 가압레버
430: 유압자키부 500: 교량

Claims (3)

  1. 교량(500)의 상판(420)의 하부에 전선 고정 프레임(410)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된 전기통신 등의 전선(390)을 설치하는 선로에 장착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에 있어서,
    전선의 입구홈(110)와 출구홈(120)이 전후방면에 형성된 외부케이스(100)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전선 받침홈(140)이 형성된 하부 세로막(150)과 가로막(160)과, 전선의 입구홈(110-1)와 출구홈(120-1)가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씌어져 고정되는 전선 받침홈(140-1)이 형성된 상부 세로막(150-1)으로 이루어진 상부 뚜껑부(130)를 포함한 상부 선로관 함체(170);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170)의 하부에는 전선의 입구홈(210)와 출구홈(220)이 전후방면에 형성된 외부케이스(200)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전선 받침홈(240)이 형성된 하부 세로막(250)과 가로막(260)과, 전선의 입구홈(210-1)와 출구홈(220-1)가 형성되어 외부케이스(200)의 상부에 씌어져 고정되는 전선 받침홈(240-1)이 형성된 상부 세로막(250-1)으로 이루어진 상부 뚜껑부(230)를 포함한 하부 선로관 함체(270);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선로관 함체(170,270)를 지지하도록 측면에 지지프레임(36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부 선로관 함체(170)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1고정구(180)와 상부 선로관 함체에 제2고정구(190)를 형성하여 안전핀(280)으로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부 선로관 함체가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프레임(300)과 상기 이동 프레임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된 로드 지지대(310); 하부 선로관 함체(270)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320)과 상기 받침 프레임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유압자키부(430)를 고정하도록 형성한 실린더 지지대(330); 상기 실린더 지지대와 로드 지지대의 사이에 유압자키부(430)를 장착하여 상부 선로관 함체(170)를 상하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선로관 함체(170,270)는
    내부공간에 난연 발포수지 입자(370)를 충진하여 전선에 발생된 화재의 진행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KR1020150184662A 2015-12-23 2015-12-23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KR101628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62A KR101628710B1 (ko) 2015-12-23 2015-12-23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62A KR101628710B1 (ko) 2015-12-23 2015-12-23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710B1 true KR101628710B1 (ko) 2016-06-09

Family

ID=5613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662A KR101628710B1 (ko) 2015-12-23 2015-12-23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7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295A (ko) 1996-02-15 1997-09-12 유기범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국가별 적응적인 호처리장치 및 방법
JP2000261944A (ja) * 1999-03-11 2000-09-22 Kurimoto Ltd 管 枕
KR100431158B1 (ko) 2000-04-28 2004-05-1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포움으로 감긴 스웝
KR100914937B1 (ko) * 2009-05-28 2009-08-31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배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295A (ko) 1996-02-15 1997-09-12 유기범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국가별 적응적인 호처리장치 및 방법
JP2000261944A (ja) * 1999-03-11 2000-09-22 Kurimoto Ltd 管 枕
KR100431158B1 (ko) 2000-04-28 2004-05-1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포움으로 감긴 스웝
KR100914937B1 (ko) * 2009-05-28 2009-08-31 (주)케이제이종합감리 지중전력구의 케이블 배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22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628710B1 (ko) 교량내에 시공되는 전기통신 선로관의 안전설치 구조물
KR101995652B1 (ko) 선박 구조물, 도관 프레임, 및 파이프 및/또는 케이블이 도관을 통해 덕팅되는, 밀폐 완전성의 테스트 방법
CN111060951A (zh) 快装通道式行人放射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11554327U (zh) 快装通道式行人放射性检测装置
KR101511174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장치
KR101466137B1 (ko) 인입형 특고압 전력케이블의 변전소 설치형 절연트레이
KR200480473Y1 (ko) 수직 사다리용 접이식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
CN107606400B (zh) 一种电气试验减震底座
CN211434853U (zh) 一种挂墙式消防机柜
CN110086138B (zh) 高水头平板闸门振动监测系统、线缆保护装置及布置方法
KR101495868B1 (ko)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CN209796176U (zh) 一种豆腐干生产用包装设备
KR20180114346A (ko) 피난사다리용 외곽케이스의 조립구조
JP4038745B2 (ja) 機器の組立方法
KR20130137276A (ko) 투명 배전함
US20140360110A1 (en) Protective structure for tables and optical table comprising said protective structure
CN219998822U (zh) 一种电气工程用配电箱
CN220598466U (zh) 一种管沟施工支护装置
CN215419476U (zh) 一种用于地铁轨道的电缆支架
CN213403855U (zh) 一种新型矿山用隔爆电气控制柜
CN219644363U (zh) 可调角度支撑装置
EP3646444B1 (en) Protection arrangement and protection method
JP6403500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CN218958303U (zh) 一种便于安装的电力监控设备用防护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