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855A -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커넥팅장치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커넥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855A
KR20010096855A KR1020000019811A KR20000019811A KR20010096855A KR 20010096855 A KR20010096855 A KR 20010096855A KR 1020000019811 A KR1020000019811 A KR 1020000019811A KR 20000019811 A KR20000019811 A KR 20000019811A KR 20010096855 A KR20010096855 A KR 2001009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optical signal
line
signa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4251B1 (ko
Inventor
신현국
정원석
김일
이금희
Original Assignee
신현국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국,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현국
Priority to KR102000001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251B1/ko
Priority to AU2001248879A priority patent/AU2001248879A1/en
Priority to PCT/KR2001/000573 priority patent/WO2001080025A1/en
Priority to EP01922096A priority patent/EP1290566B1/en
Priority to DE60130887T priority patent/DE60130887T2/de
Priority to AT01922096T priority patent/ATE375557T1/de
Publication of KR2001009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USB용 제1트랜스시버와 제2트랜스시버 각각에서 인출된 D+ 신호와 D-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과, 전압 VCC가 인가되는 전원인가선과, 접지선을 상호 커넥팅하기 위한 USB 커넥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커넥팅장치는,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제1데이터 전송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커넥팅되며,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그리고,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광전변환모듈과;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제2데이터 전송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커넥팅되며,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그리고,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2광전변환모듈과;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전원인가선이 상호 통전되도록 커넥팅하는 제1전기선과;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접지선 단자가 상호 통전되도록 커넥팅하는 제2전기선;을 포함하여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커넥팅장치{Universal Serial Bus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버스인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이하, USB라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된 USB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는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들 연결하기 위한 커넥팅장치의 일종으로, 단일 규격으로 통상의 컴퓨터에 마련된 키보드 및 마우스용 포트, 병렬포트 및 직렬포트 등 규격이 다른 포트들과 동등한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컴퓨터 본체에서 인출된 모든 포트들이 상기한 USB로 통일된 경우, 사용자가 커넥터 및 케이블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USB에서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주변기기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컴퓨터의 파워 오프 및 재 시동없이도 필요한 주변기기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다.
이 USB 규격으로 USB 버전 1.0, 1.1 및 2.0이 발표된 바 있다. USB 버전 1.0은 1.5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저속 USB 규격이고, 버전 1.1은 12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풀 스피드(full speed) USB 규격이다. 버전 2.0은 480Mbps의 초고속 전송속도를 갖는 USB 규격이다. 여기서, 저속 및 풀 스피드 USB 규격은 풀-업(Pull-up)저항소자의 연결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이 USB는 2라인 각각을 통해 전송되는 두 데이터 전송신호 D+와 D-의 차동신호로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USB 커넥팅장치는 컴퓨터 또는 허브(10)에 포함된 제1트랜스시버(transceiver)와 다른 허브의 상위포트 또는 주변기기 등의 포트(30)(40)에 포함된 제2트랜스시버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과 커넥팅하기 위한 제1 및 제2커넥터(미도시)와, 이 제1 및 제2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는 네 라인의 전송선(L1, L1')(L1)(L2, L2')(L3, L3')(L4, L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는 네 개의 단자 P11, P12, P13, P14각각을 상기 제1트랜스시버에 커넥팅하기 위한 것으로, USB 규격에 따른다. 또한, 제2커넥터는 네 개의 단자 P21, P22, P23, P24각각을 제2트랜스시버에 커넥팅하기 위한 것으로, USB 규격에 따른다.
상기 전송선은 D+ 신호와 D-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L2, L2')(L3, L3')와, 접지선(L4, L4')과, 전압 VCC가 인가되는 전원인가선(L1, L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L2)(L3) 각각은 저항소자 R1을 경유하여 상기 접지선(L4)과 연결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풀 스피드 USB 기기(30)는 제1데이터 전송선(L2')이 풀업 저항소자 R2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인가선(L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트랜스시버를 통하여 두 기기(10)(30)가 연결되는 경우, 데이터 신호 전송 이전 단계에서 상기 제1데이터 전송선(L1')에 인가된 신호가하이(H) 레벨이 된다. 한편, 저속 USB 커넥팅장치의 경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데이터 전송선(L3')이 풀업 저항소자 R2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인가선(L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데이터 전송선(L3)에 인가된 신호가 하이(High) 레벨이 된다.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사이에 연결된 전기케이블(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선(22)(23)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기신호 D+와 D-의 차동신호로서 데이터를 검출하므로,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22)(23)은 한 조로 꼬인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원인가선(21) 및 접지선(24) 각각은 피복이 입혀진 채로 이웃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의 네 라인 전체는 외부 노이즈나 USB 케이블 자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하여 그라운드 실드(shield)(25)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실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22)(23)의 임피던스 매칭과 노이즈 문제로 인하여 실드 케이블의 길이는 최장 5m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이 제한 길이보다 먼 거리에 놓인 기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10)와 외부기기(30)(40) 사이에 허브(hub)를 구비한다. 하지만, 케이블(20) 내에서의 전달지연과 허브 내에서의 지연 문제로 인하여 허브의 사용이 5개 이하로 제한된다. 따라서, 컴퓨터(10)에서 가장 먼 기기 사이의 거리는 최장 30m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USB 커넥팅장치는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거리가 허브의 사용없이 최장 5m 이내로 제한되는 등 데이터 전송거리가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송거리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도 최장 30m 이내로 제한되는 등 제한 범위에서 확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허브를 더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USB 포트에 대응함과 아울러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거리를 늘릴 수 있도록 된 USB 커넥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풀 스피드용 USB를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
도 1b는 일반적인 저속 USB를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USB용 전기 케이블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허브를 이용한 USB 연결관계를 보인 도면.
도 4는 풀 스피드용 USB에 채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팅장치를 보인 도면.
도 5는 저속 USB에 채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팅장치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팅장치의 제1광송수신모듈을 보인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팅장치의 제2광송수신모듈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USB 커넥팅장치 110...제1광송수신모듈
111...제1광섬유 113...제2광섬유
120...제2광송수신모듈 121...제3광섬유
123...제4광섬유 LD1 ~ LD4...제1,2,3,4광원
PD1 ~ PD4...제1, 2, 3, 4광검출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SB용 제1트랜스시버와 제2트랜스시버 각각에서 인출된 D+ 신호와 D-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과, 전압 VCC가 인가되는 전원인가선과, 접지선을 상호 커넥팅하기 위한 USB 커넥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 중 일 데이터 전송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커넥팅되는 제1데이터 입출력선을 포함하며,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그리고,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광전변환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 중 다른 데이터 전송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커넥팅되는 제2데이터 입출력선을 포함하며,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그리고,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2광전변환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전원인가선이 상호 통전되도록 커넥팅하는 제1전기선과;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접지선 단자가 상호 통전되도록 커넥팅하는 제2전기선;을 포함하여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팅장치(100)는 USB용 제1트랜스시버와 제2트랜스시버 각각에서 인출된 D+ 신호와 D-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L2, L2')(L3, L3')과, 전압 VCC가 인가되는 전원인가선(L1, L1')과, 접지선(L4, L4')을 상호 커넥팅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은 풀 스피드 USB를 나타낸 것으로, 제1데이터 전송선이 풀업 저항소자 R2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인가선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트랜스시버를 통하여 두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데이터 신호 전송 이전 단계에서 상기 제1데이터 전송선(L2, L2')에 인가된 신호가 하이(H) 레벨이 된다.
한편, 도 4는 저속 USB를 나타낸 것으로, 제2데이터 전송선(L3, L3')이 풀업 저항소자 R2'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인가선(L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데이터 전송선(L2')에 인가된 신호가 하이(High) 레벨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커넥팅장치(100)는 상기한 풀 스피드 USB 및/또는 저속 USB를 커넥팅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그리고,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 및 제2광전변환모듈(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전원인가선(L1)(L1')이 상호 통전되도록 커넥팅하는 제1전기선(L101)과,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접지선 단자 P14, P24가 상호 통전되도록 커넥팅하는 제2전기선(L1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광전변환모듈(110)은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제1데이터 전송선(L2)(L2') 또는 상기 제2데이터 전송선(L3)(L3')에 전기적으로 커넥팅되는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3, L10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광전변환모듈(120)은 상기 제1광전변환모듈이 연결되지 않는 제1데이터 전송선(L2)(L2') 또는 제2데이터 전송선(L3)(L3')에 전기적으로 커넥팅되는 제2데이터 입출력선(L104, L104')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풀 스피드 USB에 적용된 USB 커넥터 장치의 제1 및 제2광전변환모듈(110)(120) 각각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제1광전변환모듈(110)의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3, L103')은 제1데이터 전송선(L2)(L2')의 두 단자 P12및 P22각각에 연결되고, 제2광전변환모듈(120)의 제2데이터 입출력선(L104, L104')은 제2데이터 전송선(L3, L3')의 두 단자 P13및 P23각각에 연결된다. 한편, 저속 USB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광전변환모듈의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3, L103') 각각이 제1데이터 전송선(L2)(L2')의 두 단자 P13및 P23에 연결되고, 제2데이터 입출력선(L104, L104') 각각의 두 단자 P12및 P22에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광전변환모듈(110)은 제1 및 제2발광부, 제1 및 제2광섬유(111, 113) 그리고, 제1 및 제2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발광부는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상기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2)을 통하여 인가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다. 이 변환된 광신호는 상기 제1광섬유(111)를 통하여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으로 전송된다. 상기 제2수광부는 상기 제1광섬유(111)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상기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2)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2발광부는 상기 제2트랜스시버 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2)을 통하여 인가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다. 이 변환된 광신호는 상기 제2광섬유(113)를 통하여 상기 제1트랜스시버 쪽으로 전송된다. 상기 제1수광부는 상기 제2광섬유(113)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2)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광섬유(111)(113) 각각은 예컨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플라스틱 광섬유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라스틱 광섬유는 저가이면서, 광섬유의 취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발광부와, 상기제1 및 제2수광부가 양방향 교신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광섬유(111)(113)는 하나의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발광부는 제1송신용 트랜지스터 TR11과,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하는 제1광원 LD1과, 제1가변 저항소자 RG1및, 풀업저항소자 R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송신용 트랜지스터 TR11은 PNP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단자 P12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 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상기 제1광원 LD1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1광원 LD1은 애노드가 상기 제1전기선(L101)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한다. 상기 풀업 저항소자 R2는 상기 제1전기선(L101)과 상기 제1트랜스시버 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2) 사이에 직접 연결되어 인가 전류에 비례하여 전압을 강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수광부는 상기 제2광섬유(113)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1광검출기 PD1과, 제1 및 제2수신용 트랜지스터 TR12, TR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신용 트랜지스터 TR12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1광검출기 PD1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1광원(LD1)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신용 트랜지스터 TR13은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1광검출기(PD1)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2)에 연결된다.
상기 제2발광부는 제2송신용 트랜지스터 TR21과, 제2광원 LD2와, 제2가변 저항소자 RG2를 포함한다. 제2송신용 트랜지스터 TR21은 PNP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L102')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며, 에미터는 상기 제2광원 LD2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2광원 LD2는 애노드가 상기 제1전기선(L101)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한다.
상기 제2수광부는 상기 제1광섬유(111)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2광검출기(PD2)와, 제3 및 제4수신용 트랜지스터 TR12, TR13을 포함한다. 상기 제3수신용 트랜지스터 TR22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2광검출기(PD2)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광원 LD2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4수신용 트랜지스터 TR23또한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2광검출기 PD2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 및 저항소자 R2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의 형식 즉, NPN형 트랜지스터와, PNP형 트랜지스터 형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데이터 신호의 인에이블(enable) 논리 및 회로의 변경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광전변환모듈의 동작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 스피드 USB에 적용시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자 P12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초기 상태의 경우, 풀업저항소자 R2와 제1트랜스시버가 설치된 컴퓨터(10) 쪽 저항소자 R1사이의 전압 분기에 의하여, 제1전기선(L101)을 통하여 공급된 전압 VCC가 분기되어, 제1송신용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 단에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 걸린다. 이 경우, 상기 제1광원 LD1은 동작하지 않으며 제2광검출기 PD2를 통하여 전기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3 및 제4트랜지스터(TR22, TR23)가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P22에는 풀업 저항소자 R2를 및 저항소자 R24를 사이에 두고, VCC전압이 인가되므로 접지선에 대하여 하이 레벨의 전기신호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단자 P12에 걸리는 신호레벨과 동일한 신호 레벨이 단자P22에 걸리게 된다. 또한, 단자 P12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인가시에는 상기 제1송신용 트랜지스터 TR11의 베이스 단에 앞서 설명된 전압보다 낮은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경우, 제1광원 LD1이 발광하게 되며, 이 광신호는 제1광섬유(111)를 통하여 상기 제2광검출기(PD2)에 전달된다. 따라서, 단자 P22는 제3트랜지스터 TR23을 통하여 제2전기선(L104)에 접지되므로, 단자 P22에 로우 레벨이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데이터 전송선(L2', L2)을 통하여 상기 제2트랜스시버에서 제1트랜스시버로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도 단자 P12와 단자 P22에 걸리는 신호레벨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광전변환모듈(120)은 제3 및 제4발광부, 제3 및 제4광섬유(121, 123) 그리고, 제3 및 제4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발광부는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L103)을 통하여 인가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다. 이 변환된 광신호는 상기 제3광섬유(121)를 통하여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으로 전송된다. 상기 제4수광부는 상기 제3광섬유(121)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L103')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4발광부는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L103')을 통하여인가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다. 이 변환된 광신호는 상기 제4광섬유(123)를 통하여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으로 전송된다. 상기 제3수광부는 상기 제4광섬유(123)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L103)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및 제4광섬유(121)(123) 각각은 예컨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플라스틱 광섬유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및 제4발광부와, 상기 제3 및 제4수광부가 양방향 교신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제3광섬유(121)와 제4광섬유(123)는 하나의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3발광부는 제3송신용 트랜지스터 TR31과,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하는 제3광원 LD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송신용 트랜지스터 TR31은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단자 P13에 연결되고,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며, 콜렉터가 상기 제3광원 LD3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3광원 LD3은 애노드가 상기 제1전기선(L101)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한다.
상기 제3수광부는 상기 제4광섬유(123)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3광검출기(PD3)와, 제5 및 제6수신용 트랜지스터 TR32, TR33을 포함한다. 상기 제5수신용 트랜지스터 TR32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3광검출기(PD3)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3광원 LD3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6수신용 트랜지스터 TR33은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3광검출기 PD3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1전기선(L101)에 연결된다.
상기 제4발광부는 제4송신용 트랜지스터 TR41과, 제4광원 LD4를 포함한다. 제4송신용 트랜지스터 TR41은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L103')에 연결되고,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며, 콜렉터는 상기 제4광원 LD4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4광원 LD4는 애노드가 상기 제1전기선(L101)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한다.
상기 제4수광부는 상기 제3광섬유(121)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4광검출기 PD4와, 제7 및 제8수신용 트랜지스터 TR42, TR43을 포함한다. 상기 제7수신용 트랜지스터 TR42는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4광검출기 PD4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4광원 LD4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8수신용 트랜지스터 TR43또한 NPN형 트랜지스터로 베이스가 상기 제4광검출기 PD4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콜렉터가 제1전기선(L101)에 연결되고,그 에미터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전송선 단자 P23및 저항소자 R4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전기선(L104)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의 형식 즉, NPN형 트랜지스터와, PNP형 트랜지스터 형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데이터 신호의 인에이블(enable) 논리 및 회로의 변경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광전변환모듈(120)의 동작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 스피드 USB에 적용시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초기 단계에서는 단자 P22에 풀업 저항이 걸리지 않으므로, 단자 P23에는 로우(LOW) 레벨의 전기신호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광원 LD3이 동작하지 않으므로, 제4광검출기 PD4를 통하여 전기신호가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7 및 제8트랜지스터 TR42, TR43이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자 P13에 걸리는 신호레벨과 동일한 신호 레벨 즉, 로우 레벨의 전기신호가 단자 P23에 걸리게 된다.
또한, 단자 P13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단자 P13에 하이 레벨이 인가되고, 상기 제3광원 LD3이 발광한다. 이 광신호는 제3광섬유(121)를 통하여 상기 제4광검출기 PD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8수신용 트랜지스터 TR43이 온(0N) 되므로, 단자 P23에 하이 레벨이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데이터 전송선을 통하여 상기 제2트랜스시버에서 제1트랜스시버로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도 단자 P13과 단자 P23에 걸리는 신호레벨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내지 제4광원 각각은 공진 캐비티 발광다이오드(RCLED; Resonant Cavity Light Emitting Diode)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RCLED는 광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을 마이크로 캐비티 내에 놓음으로써 자연방출 파장과 마이크로 캐비티의 기본 광모드가 공진하게 하여 광 활성물질의 자발방출을 변화시킨 LED이다. 이 RCLED는 통상의 LED와 비교할 때, 높은 광강도를 가지며, 1 오더(order) 정도 개선된 고 분광 순도를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RCLED는 표면광 레이저(VCSEL)와 비교할 때, 반사기층의 두께가 얇아 제조가 용이하고,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높은 변조특성을 가지므로, USB Ver 1.0, 1.1 뿐만 아니라 2.0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속도를 충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USB 커넥팅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로 전송함으로써, 허브 등의 중계기기의 채용없이도 대략 100미터까지의 장거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로서 플라스틱 파이버를 채용하고, 광원으로 RCLED를 채용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USB용 제1트랜스시버와 제2트랜스시버 각각에서 인출된 D+ 신호와 D-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과, 전압 VCC가 인가되는 전원인가선과, 접지선을 상호 커넥팅하기 위한 USB 커넥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 중 일 데이터 전송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커넥팅되는 제1데이터 입출력선을 포함하며,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그리고,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광전변환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제1 및 제2데이터 전송선 중 다른 데이터 전송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커넥팅되는 제2데이터 입출력선을 포함하며, 입력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그리고,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2광전변환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전원인가선이 상호 통전되도록 커넥팅하는 제1전기선과;
    상기 제1 및 제2트랜스시버 각각의 접지선 단자가 상호 통전되도록 커넥팅하는 제2전기선;을 포함하여 데이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전변환모듈은,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에서 인가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발광부와;
    이 제1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으로 전송하는 제1광섬유와;
    상기 제1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으로 전달하는 제2수광부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에서 인가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2발광부와;
    이 제2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으로 전송하는 제2광섬유와;
    상기 제2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으로 전달하는 제1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섬유 각각은,
    플라스틱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는,
    베이스가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는 제1송신용 트랜지스터와;
    애노드가 상기 제1전기선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1송신용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전기선과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 사이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인가 전류에 비례하여 전압을 강하시키기 위한 풀업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공진 캐비티 발광다이오드(RCLED)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광부는,
    상기 제2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1광검출기와;
    베이스가 상기 제1광검출기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1광원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1수신용 트랜지스터와;
    베이스가 상기 제1광검출기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수신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커넥팅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부는,
    베이스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는 제2송신용 트랜지스터와;
    애노드가 상기 제1전기선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2송신용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하는 제2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은,
    공진 캐비티 발광다이오드(RCLED)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광부는,
    상기 제1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2광검출기와;
    베이스가 상기 제2광검출기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광원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3수신용 트랜지스터와;
    베이스가 상기 제2광검출기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1데이터 입출력선 및 저항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는 제4수신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커넥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전변환모듈은,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을 통하여 인가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3발광부와;
    이 제3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으로 전송하는 제3광섬유와;
    상기 제3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으로 전달하는 제4수광부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을 통하여 인가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4발광부와;
    이 제4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으로 전송하는 제4광섬유와;
    상기 제4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으로 전달하는 제3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광섬유 각각은,
    플라스틱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발광부는,
    베이스가 상기 제1트랜스시버의 제2데이터 전송선에 연결되고,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는 제3송신용 트랜지스터와;
    애노드가 상기 제1전기선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3송신용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하는 제3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광원은,
    공진 캐비티 발광다이오드(RCLED)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광부는,
    상기 제4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3광검출기와;
    베이스가 상기 제3광검출기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3광원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5수신용 트랜지스터와;
    베이스가 상기 제3광검출기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1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1전기선에 연결되는 제6수신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커넥팅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발광부는,
    베이스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에 연결되고,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는 제4송신용 트랜지스터와;
    애노드가 상기 제1전기선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4송신용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발광하는 제4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광원은,
    공진 캐비티 발광다이오드(RCLED)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커넥팅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광부는,
    상기 제3광섬유를 통하여 전송된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제4광검출기와;
    베이스가 상기 제4광검출기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4광원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7수신용 트랜지스터와;
    베이스가 상기 제2광검출기의 전기신호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그 콜렉터가 상기 제1전기선에 연결되고, 그 에미터가 상기 제2트랜스시버쪽 제2데이터 입출력선 및 상기 제2전기선에 연결되는 제8수신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커넥팅장치.
KR1020000019811A 2000-04-15 2000-04-15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커넥팅장치 KR10036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811A KR100364251B1 (ko) 2000-04-15 2000-04-15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커넥팅장치
AU2001248879A AU2001248879A1 (en) 2000-04-15 2001-04-04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ng apparatus
PCT/KR2001/000573 WO2001080025A1 (en) 2000-04-15 2001-04-04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ng apparatus
EP01922096A EP1290566B1 (en) 2000-04-15 2001-04-04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ng apparatus
DE60130887T DE60130887T2 (de) 2000-04-15 2001-04-04 Usb-verbindungsvorrichtung
AT01922096T ATE375557T1 (de) 2000-04-15 2001-04-04 Usb-verbindungs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811A KR100364251B1 (ko) 2000-04-15 2000-04-15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커넥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855A true KR20010096855A (ko) 2001-11-08
KR100364251B1 KR100364251B1 (ko) 2002-12-11

Family

ID=1966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811A KR100364251B1 (ko) 2000-04-15 2000-04-15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커넥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90566B1 (ko)
KR (1) KR100364251B1 (ko)
AT (1) ATE375557T1 (ko)
AU (1) AU2001248879A1 (ko)
DE (1) DE60130887T2 (ko)
WO (1) WO200108002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29A (ko) * 2001-12-27 2003-07-04 옵토밸리(주) 유에스비 광 확장 장치
KR20040072881A (ko) * 2003-02-11 2004-08-19 엘지산전 주식회사 적외선 시리얼 변환 장치
KR100976665B1 (ko) * 2008-02-26 2010-08-18 한국과학기술원 광도파로를 이용한 usb 드라이버장치, usb 외부장치,이를 포함하는 usb 시스템 및 usb 연결장치
US8175456B2 (en) 2007-05-14 2012-05-08 Icu Research & Industrial Cooperation Group Burst scheduling methods in optical burst switching system
US8285087B2 (en) 2007-09-28 2012-10-0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Optical interconnection system using optical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one-unit optical waveguide integrated there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2277B2 (en) 2004-12-23 2007-09-18 Intel Corporation Data exchange architecture using optical links
DE502007006454D1 (de) * 2007-03-13 2011-03-24 Luceo Technologies Gmbh Schnittstellenbaustein und Verfahren zu dessem Betrieb
WO2009107913A1 (en) * 2008-02-26 2009-09-03 Icu Research And Industrial Cooperation Group Usb driver apparatus, usb external apparatus, usb system having the same and usb connect apparatus using light guide
ES2674887T3 (es) 2011-02-21 2018-07-04 Draka Comteq B.V. Cable de interconexión para fibras óptica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32786U1 (de) * 1981-11-10 1982-04-22 Westfalia-Werke Franz Knöbel & Söhne KG, 4840 Rheda-Wiedenbrück Anhaenger fuer kraftfahrzeuge
JPS62190946A (ja) * 1986-02-18 1987-08-21 Toshiba Corp ロ−カルエリアネツトワ−ク装置
KR960043623A (ko) * 1996-09-25 1996-12-23 공비호 광수신기의 데이타 및 클럭 자동 재생 회로
KR100580382B1 (ko) * 1997-06-12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플직렬데이터통신기능을갖는컴퓨터시스템
KR100237300B1 (ko) * 1997-06-13 2000-01-15 윤종용 양방향 광절연 입출력장치
JPH11338587A (ja) * 1998-05-26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接触情報伝送装置
KR100273311B1 (ko) * 1998-09-18 2000-12-15 김영환 무선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장치
JP2000183920A (ja) * 1998-12-21 2000-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sb情報伝送装置
JP2000187537A (ja) * 1998-12-22 2000-07-04 Mitsumi Electric Co Ltd Usbポートハブ
JP2000332791A (ja) * 1999-05-24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伝送装置、シリアルバス中距離光伝送装置およびシリアルバス中距離光伝送システム
KR20010053911A (ko) * 1999-12-02 2001-07-02 윤종용 통합 통신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29A (ko) * 2001-12-27 2003-07-04 옵토밸리(주) 유에스비 광 확장 장치
KR20040072881A (ko) * 2003-02-11 2004-08-19 엘지산전 주식회사 적외선 시리얼 변환 장치
US8175456B2 (en) 2007-05-14 2012-05-08 Icu Research & Industrial Cooperation Group Burst scheduling methods in optical burst switching system
US8285087B2 (en) 2007-09-28 2012-10-0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Optical interconnection system using optical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one-unit optical waveguide integrated therein
KR100976665B1 (ko) * 2008-02-26 2010-08-18 한국과학기술원 광도파로를 이용한 usb 드라이버장치, usb 외부장치,이를 포함하는 usb 시스템 및 usb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30887D1 (de) 2007-11-22
EP1290566B1 (en) 2007-10-10
EP1290566A4 (en) 2005-02-09
DE60130887T2 (de) 2008-01-17
EP1290566A1 (en) 2003-03-12
AU2001248879A1 (en) 2001-10-30
WO2001080025A1 (en) 2001-10-25
KR100364251B1 (ko) 2002-12-11
ATE375557T1 (de) 2007-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6810B2 (en) Eye safety and interoperability of active cable devices
CN104870069B (zh) 多通道,并行传输光模块,及其制造和使用方法
US20050276607A1 (en) Interface arrangement for opto-electronic data transfer, and plug-in opto-electronic transceiver
CN105431757A (zh) 光电收发器模块和有源光缆
JP2007536563A (ja) フレキシブル能動信号ケーブル
JP2011248243A (ja) 光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光電変換装置
CN109698722B (zh) Type-C光通信系统
CN212463216U (zh) 一种单通道传输速率为100Gbps的光模块
CN102590689A (zh) 一种检测小型可插拔式sfp光模块在位的装置
US7454104B2 (en) Optical module
KR20120093073A (ko) 광학 및 고속 데이터 전송 전기 출력이 가능하고 이전의 범용 직렬 버스(usb) 표준과 역호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010096855A (ko)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커넥팅장치
CN102402710A (zh) Usb光学薄卡结构
CN110365411B (zh) 一种光模块
CN111522103B (zh) 一种光模块
CN106877936B (zh) 一种sfp28光模块
US20230421262A1 (en) Optical module
CN215641964U (zh) 一种光模块
TWI490580B (zh) 光纖連接器
CN114879324A (zh) 光模块
CN211531099U (zh) 一种光网络中长距离传输qsfp光模块
CN210803792U (zh) Pon光收发一体机
CN215575802U (zh) 一种双发射双接收热插拔小封装光模块
US20060165415A1 (en) Communication cable
CN111245513A (zh) 一种光网络中长距离传输qsfp光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