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668A -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668A
KR20010095668A KR1020000018962A KR20000018962A KR20010095668A KR 20010095668 A KR20010095668 A KR 20010095668A KR 1020000018962 A KR1020000018962 A KR 1020000018962A KR 20000018962 A KR20000018962 A KR 20000018962A KR 20010095668 A KR20010095668 A KR 2001009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naire
survey
computer
question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하영
Original Assignee
성하영
(주)싸이버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하영, (주)싸이버폴 filed Critical 성하영
Priority to KR102000001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5668A/ko
Publication of KR2001009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66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문위탁자가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소망하는 내용과 형태의 설문을 등록하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는 설문위탁자가 등록한 내용과 형태의 설문을 생성함과 더불어 해당 설문조사를 행하는 웹페이지에 링크할 수 있는 링크정보를 생성하여 설문위탁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설문위탁자의 컴퓨터를 매개로 링크된 설문응답자에게 설문위탁자가 등록한 양식의 설문을 제공하며 설문위탁자의 설문에 대한 응답결과를 수신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과 더불어 이에 대한 통계치를 작성하여 설문위탁자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바, 개인이나 중소규모의 업체 또는 기관이 자체적으로 설문조사를 행할 수 있는 설문조사시스템을 갖추지 않고서도 적은 경비로 간편하게 설문조사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OPINION POLLING METHOD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상에서 설문조사를 대행할 수 있는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문조사는, 소정의 설문기관에서 조사하고자하는 설문항목을 작성한 다음, 소정인원의 설문조사자가 전화나 직접 방문 등의 방법을 통해 불특정의 사람들 또는 조사하고자하는 특정 연령이나 계층의 사람들에게 설문항목을 제시한 후 응답자의 응답결과를 기록하였다가, 이를 통계로 산출하여 설문항목에 대한 응답자들의 견해와 성향 등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흔히 여론조사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그런데, 설문조사는, 응답대상자가 많을수록 조사의 신뢰성이 높고 표본오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많은 응답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많은 수의 설문조사자가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설문조사에 임해야하므로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개인이나 중소규모의 업체나 기관 등에서 설문조사를 행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설문조사방법으로는, 인터넷 등의 정보통신망에 개설된 웹 사이트(Web site)의 홈페이지(Home Page)에 조사하고자하는 설문의 항목을 게시하여, 홈페이지의 방문자들이 응답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였다가 이를 통계치로 환산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신을 통한 설문조사방법도, 홈페이지를 방문한 방문자들에게 설문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용의 양식과 그 결과값을 축적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해야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설문에 대한 응답결과를 통계치로 환산하기 위한 통계치산출프로그램을 구비해야하는 등, 고도의 프로그램 작성능력이 있는 프로그래머가 필요하고 비용적인 부담이 많은 바, 개인이나 중소규모의 업체 또는 기관에서는 설문조사를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통신상에서 설문조사를 대행하여 수행하고 설문조사한 결과와 그에 대한 통계치를 설문위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자가 자체적으로 설문조사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도 적은 경비로 간편하게 설문조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할 수 있는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문위탁자가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 설문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응답자에게 설문조사를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위탁자에게 제공하는 설문 등록 화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생성되는 설문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위탁자에게 제공하는 링크용 태그를 도시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응답자에게 제공하는 설문 응답 양식의 화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응답자가 응답한 각 설문에 대한 응답결과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 11: 스토리지장치
20: 설문위탁자용 컴퓨터 30: 설문응답자용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은, 설문위탁자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설문을 등록하는 설문등록스텝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가 설문위탁자에 의해 등록된 내용의 설문을 생성함과 더불어 설문의 형태 및 내용과 설문응답자가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스텝과, 설문응답자가 통신망을 통해 설문위탁자의 컴퓨터에 접속하면 설문위탁자의 컴퓨터에서 설문응답자의 단말기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로 링크시키는 스텝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상기 링크된 설문응답자에게 설문을 제시하고 설문에 대한 응답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스텝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에 대한 응답을 통계치로 정리하여 설문위탁자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통신상에서 설문조사를 대행하여 서비스하는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와, 통신상에서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홈페이지에 방문한 설문응답자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 링크시키는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와, 정보통신망(N)을 통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와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에 접속할 수 있는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컴퓨터(10, 20) 및 단말기(30)는 모뎀 또는 CSU(Channel Service Unit) 등 현재 알려진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정보통신망(N)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는 정보통신망(N)을 통해 동시에 많은 수의 설문응답자가 접속한 경우에도 각 설문응답자가 동시에 원활하게 설문조사에 임할수 있도록 비교적 빠른 성능의 메인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주변기기로 구성된 워크스테이션(Work Station)급 이상의 시스템이 바람직하나,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다.
그리고,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는 설문조사에 관련된 각종의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 및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Storage)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여기서 상기한 스토리지장치는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와 랜(Local Area Network; "LAN") 등의 구내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별도의 데이터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나,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 내장된 보조기억장치(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등)를 이용해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는 웹상에서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이를 관리하며 홈페이지를 방문한 설문응답자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 링크시켜, 설문응답자가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 제시하는 설문에 응답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와 상기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는 메인프로세서와 네트워크어댑터와 디스플레이 어댑터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등 컴퓨터시스템의 통상적인 하드웨어와,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는 정보통신망(N)을 통해 웹을 서핑(Surfing)하는 네티즌(Netizen)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인 것이 일반적이나, 개인휴대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인터넷접속형 가정용 게임기 등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와 상기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와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가 공통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정보통신망(N)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의 단말기라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단, 상기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에는 설문에 응답하기 위해 키패드(Key Pad)나 마우스입력기(Mouse Input Device) 또는 전자펜 등의 이용자 조작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정보통신망(N)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와 상기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와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가 공통적으로 접속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며, 일예로, 상기한 정보통신망(N)은 인터넷(Internet)이 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드웨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설문조사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설문위탁자가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를 동작시켜 정보통신망(N)을 통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 접속함으로써, 본 발명의 설문조사방법이 시작되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부터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로 설문위탁자의 인적사항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화면을 구성하는 구성파일들이 전송되어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의 디스플레이화면 상에는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부터 제공된 등록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설문위탁자의 인적사항을 등록하는 화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설문위탁자의 "성명"과 "회사명"과 "전화번호"와 "긴급연락처"와 "이메일주소(E-Mail Address)"와 "등록자비밀번호" 등을 기입하도록 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에 디스플레이된 등록화면에서 설문위탁자가 자신의 인적사항을 기입하고 입력버튼을 누르면 설문위탁자가 기입한 인적사항이 정보통신망(N)을 통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 전송된 다음, 스토리지장치(11)에 저장된다(S10).
상기와 같이 설문위탁자의 인적사항이 등록되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부터 설문의 내용과 형태 등을 등록하기 위한 양식의 등록화면을 구성하는 구성파일들이 전송되어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의 디스플레이화면 상에는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부터 제공된 설문 등록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설문을 등록하기 위한 양식의 초기화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설문의 취지"와 "설문제목"과 설문응답자가 설문에 응답할 때 사용할 "응답시 비밀번호"와 "설문진행일자"와 "설문 게시자"를 등록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초기화면에 이어서 설문의 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양식의 화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찬성/반대형"과 "단일응답형"과 "복수응답형"과 "스타펠(Stapel)척도형"과 "주관식" 등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스타펠척도형" 중에서도 "5점척도"와 "7점척도" 등을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질문번호는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 자동으로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문의 형태 중에서 설문위탁자가 "찬성/반대형"을 선택한 경우에 질문내용과 응답내용을 기입하도록 된 양식의 화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질문내용" 및 찬성의견과 반대의견을 각각 나타내는"응답내용"을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문의 형태 중에서 설문위탁자가 "단일응답형" 이나 "복수응답형"을 선택했을 경우에 질문내용과 응답내용을 기입하도록 하는 양식의 화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문의 형태 중에서 설문위탁자가 "스타펠척도형"을 선택했을 경우에 질문내용과 응답내용을 기입하도록 하는 양식의 화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 9에는 "스타펠척도형" 중 "7점척도"에 대해 도시하였다.
참고적으로, 상기 "스타펠척도"는 질문에 대한 응답에 대해 형용구문을 사용치 않고 느낌의 강도를 수치로서 표현하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2, +1, 0, -1, -2, -3)의 7점척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 수치에는 설문위탁자가 주관적인 느낌의 강도를 형용구문의 형태로 기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3"은 "매우좋다", "+2"는 "좋다", "+1"은 "괜찮은 편이다", "0"은 "보통이다", "-1"은 "약간 좋지 않다", "-2"는 "나쁘다", "-3"은 "매우 나쁘다" 등으로 기입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문의 형태 중에서 설문위탁자가 "주관식형태"를 선택했을 경우에 질문내용과 응답내용을 기입하도록 하는 양식의 화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문위탁자가 입력한 설문의 형태와 내용 등은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로부터 정보통신망(N)을 통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 전송되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의 스토리지장치(11)에 저장된다(S20).
그리고, 설문위탁자가 질문내용과 응답내용을 기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질문내용과 응답내용이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나타냄과 더불어, 설문위탁자가 다음번의 설문을 계속해서 등록할 것인지, 설문내용의 등록을 종료할 것인지를 묻는 안내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안내화면에서 설문위탁자가 계속버튼을 누르면 다음번의 설문형태를 선택하는 양식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반면, 상기한 안내화면에서 설문위탁자가 완료버튼을 누르면 설문의 등록이 종료되고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는 이용자가 등록한 내용과 형태의 설문을 생성한 다음(S30), 생성된 설문을 설문위탁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40).
상기 스텝(S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완성된 설문화면에서 설문위탁자는 등록한 설문에 대해 수정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S50), 수정을 선택한 경우 설문위탁자는 수정한 질문번호를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부터 호출하여 해당 질문의 형태나 내용을 수정하게 된다(S60).
그 다음,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는 설문위탁자에게 완성된 설문을 구조화할 것인지를 묻는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설문위탁자가 설문의 구조화를 선택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하기의 스텝(S90)으로 진행하는 반면, 설문위탁자가 설문의 구조화를 선택하면 설문위탁자에게 등록된 각 설문에 대하여 구조화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시하여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등록된 각 설문을 구조화한다(S80).
참고적으로 부연하면, 상기한 설문의 구조화는 등록된 각 설문을 그 응답결과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일예로, 설문응답자가 1번질문에 대해 "예"라고 응답한 경우에는 2번질문으로 진행하게 하고, "아니오"라고 응답한 경우에는 3번질문으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문위탁자가 설문의 구조화를 선택한 경우에 설문의 구조화에 대한 사항을 선택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은 도 1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는 설문위탁자가 설문의 형태를 등록한 데이터베이스와 등록된 각 설문에 대한 설문응답자의 응답을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설문구조화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 등을 생성하여 이를 스토리지장치(11)에 저장한다(S90).
설문의 형태를 등록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일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Table)구조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도 13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시리얼넘버(Serial Number; "SN")가 "1"인 열(列)의 경우, 질문번호가 "1"이고 설문유형 1이 "4"이고 설문유형 2가 "7"이고 응답번호가 "1"이며 응답내용이 "매우좋다"로 등록되어 있는데, 이는 설문의 형태가 스타펠척도로서 7점척도이고 응답번호 1의 응답내용으로는 "매우좋다"라는 형용구문이 등록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단, 설문유형 1에서 "1"은 찬성/반대형을, "2"는 단일응답형을, "3"은 복수응답형을, "4"는 스타펠척도형을, "5"는 주관식형(5)으로 설정되고, 설문유형 2에서 "5"는 스타펠척도형 중 5점척도를, "7"은 스타펠척도형 중 7점척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그리고, 등록된 각 설문에 대한 설문응답자의 응답을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일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구조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동도면에서 "F"는 필드(Field)를 나타내는 것으로, "F"의 개수는 등록한 질문의 개수에 상응하게 생성된다.
또한, 설문구조화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일예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구조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동도면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설문번호 1의 경우 설문응답자가 응답번호 1에 대해 응답하면 3번째의 설문으로 진행하고, 설문응답자가 응답번호 2에 대해 응답하면 4번째의 설문으로 진행하도록 구조화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다음에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는 웹사이트의 홈페이지에서 해당 설문위탁자가 위탁한 설문조사를 행할 수 있는 페이지를 할당하고 이 할당된 설문조사페이지에 대한 웹주소를 기록한 링크(Link)용 태그(Tag)를 생성한다(S100).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는 상기 생성된 링크용 태그를 설문위탁자에게 전송하는데(S110), 이에 대한 전송방법으로는 설문을 등록한 후 나타나는 화면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링크용 태그를 제시할 수도 있고, 링크용태그를 이메일(E-Mail)에 기록한 후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문위탁자는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 접속하여 설문을 등록한 다음에는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부터 제공된 링크용 태그를 자신의 홈페이지에 붙여 넣어 홈페이지를 방문한 설문응답자가 상기 링크용 태그를 통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 링크되도록 하게 된다.
일예로, 설문위탁자는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에 개설된 홈페이지 중 소정부분을 할당하여, 링크용 태그 및 설문에 대한 안내문구와 응답시의 비밀번호 등을 게시할 수 있으며, 상기 링크용 태그에는 "설문에 응하려면 여기를 누르세요"등의 텍스트문구로 포장하여 직접적인 설문조사페이지의 웹주소가 설문응답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설문위탁자는 자신의 홈페이지를 멀티프레임(Multi Frame)구조로 형성하고, 설문응답자가 상기 링크용 태그를 클릭(Click)하면 새로운 브라우져창을 여는 대신에, 홈페이지의 여러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해당 설문조사화면으로 링크하여 전환되도록 구성하면, 이용자가 다른 웹주소의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게 되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설문응답자가 설문위탁자용 컴퓨터(20)에 개설된 홈페이지의 링크용 태그를 통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 링크된 후의 설문조사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는 설문조사용으로 할당된 해당 웹페이지에 설문응답자가 접속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S210), 설문응답자가 접속하면(S220),설문응답자가 설문에 응답할 수 있는 양식의 화면을 구성하는 구성파일들을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때,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화면 상에는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부터 제공된 설문 양식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230).
여기서, 설문응답자에게 제공되는 설문 양식의 화면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동도면에서 설문응답자가 입력하게 되어 있는 응답자비밀번호는 설문 응답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설문위탁자의 홈페이지를 통해 설문응답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에 디스플레이된 설문 양식에 대해 설문응답자가 각 설문의 응답내용란을 클릭하거나 주관식형 설문의 경우 해당 응답란에 응답내용을 기입한 후 화면의 하단에 위치란 "응답하기"버튼을 누르면 설문에 응답한 내용이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로부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로 전송된다(S240).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는 상기 설문응답자용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설문에 대한 응답내용을 스토리지장치(11)에 미리 생성되는 응답내용을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도 14 참조)에 추가한다(S250).
이에 대한 일예로서, 응답내용을 기록한 데이터 베이스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드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도면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시리얼넘버(SN) 1의 경우, 1번째(F1) 및 2번째(F2)의 항목은 찬성/반대형 또는 단일응답형으로 구성된 설문에 대해 설문응답자가 모두 "1"번 응답내용을 선택하였고, 3번째(F3) 및 4번째(F4) 항목은 복수응답형으로 구성된 설문에 대해 설문응답자가 각각 "1, 3"번의 응답내용과 "1, 2, 3, 4"번의 응답내용을 선택하였으며, 5번째(F5) 항목은 스타펠척도형으로 구성된 설문에 대해 설문응답자가 "-1"번의 응답내용을 선택하였고, 6번째(F6)항목은 주관식형태로 구성된 설문에 대해 설문응답자가 "서울 및 부산"이라고 응답하였음을 기록한 것이다.
그 다음,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10)에서는 스토리지장치(11)에 저장되어 있는 응답 내용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설문에 대한 응답결과를 읽어들이고 이를 소정의 통계치변환알고리즘에 대입하여 각 설문에 대한 응답결과의 통계치를 생성하고(S260), 생성된 통계치를 설문위탁자에게 전송한다(S270).
여기서, 설문 응답결과에 따른 통계치는, 이메일에 통계치를 수록한 파일을 첨부하거나 통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웹주소를 기재하는 등의 방법으로 설문위탁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상에서 설문조사를 대행하여 수행하고 설문조사한 결과와 그에 대한 통계치를 설문위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이나 중소규모의 업체 또는 기관이 자체적으로 설문조사를 행할 수 있는 설문조사시스템을 갖추지 않고서도 적은 경비로 간편하게 설문조사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신상에서 설문조사를 위탁받아 이를 대행하는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에 있어서,
    설문위탁자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 접속하여 설문을 등록하는 설문등록스텝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가 설문위탁자에 의해 등록된 내용의 설문을 생성함과 더불어 설문의 형태 및 내용과 설문응답자가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스텝과,
    설문응답자가 통신망을 통해 설문위탁자의 컴퓨터에 접속하면 설문위탁자의 컴퓨터에서 설문응답자의 단말기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로 링크시키는 스텝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상기 링크된 설문응답자에게 설문을 제시하고 설문에 대한 응답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스텝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에 대한 응답을 통계치로 정리하여 설문위탁자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생성스텝은, 설무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위탁자에게 설문을 등록할 수 있는 양식을 제공하는 스텝과,
    설문위탁자가 상기 제공된 양식에 설문형태를 선택하고 내용을 기입하는 스텝과,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상기 설문위탁자가 기입한 양식의 설문을 생성하고 생성된 설문을 설문위탁자에게 제공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생성스텝은, 설문위탁자가 설문을 구조화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스텝과.
    설문위탁자가 설문의 구조화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설문위탁자에게 설문의 구조화에 대한 선택 양식을 제공하는 스텝과,
    설문위탁자가 상기 제공된 양식에 각 설문을 구조화시키기 위한 선택사항을 기입하는 스텝 및,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 상기 설문위탁자가 기입한 양식에 따라 각 설문을 구조화시키고 각 설문에 대한 구조화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에서는, 설문위탁자가 설문을 등록하면 설문조사용 웹페이지를 링크할 수 있는 링크용 태그를 생성하여 설문위탁자에게 제공하고, 설문위탁자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상기 링크용 태그를 게시함으로써, 상기 링크용 태그를 통해 설문등록자용 단말기가 설문조사대행용 컴퓨터의 설문조사용 웹페이지에 링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KR1020000018962A 2000-04-11 2000-04-11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KR20010095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962A KR20010095668A (ko) 2000-04-11 2000-04-11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962A KR20010095668A (ko) 2000-04-11 2000-04-11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668A true KR20010095668A (ko) 2001-11-07

Family

ID=1966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962A KR20010095668A (ko) 2000-04-11 2000-04-11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56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997A (ko) * 2000-08-10 2002-02-20 박남규 실시간 인기도 평가 및 리포팅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20061349A (ko) * 2001-01-16 2002-07-24 링크플러스(주) 인터넷을 이용한 협력형 설문조사 방법 및 시스템
KR100371662B1 (ko) * 2000-08-23 2003-03-28 김정욱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설문조사방법
KR100742733B1 (ko) * 2000-01-31 2007-07-27 에미코 가마노 설문조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037A (ja) * 1995-04-21 1996-11-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187817A (ja) * 1996-12-20 1998-07-21 R Andei Kk インターネット上の情報交換方法
JPH1185727A (ja) * 1997-09-08 1999-03-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電子的にアンケートを行う調査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装置
KR20000037069A (ko) * 2000-04-06 2000-07-05 김준영 원클릭 이벤트용 웹사이트
KR20010018633A (ko) * 1999-08-20 2001-03-15 최인수 인터넷 및 씨티아이를 통한 설문 조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037A (ja) * 1995-04-21 1996-11-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187817A (ja) * 1996-12-20 1998-07-21 R Andei Kk インターネット上の情報交換方法
JPH1185727A (ja) * 1997-09-08 1999-03-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電子的にアンケートを行う調査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装置
KR20010018633A (ko) * 1999-08-20 2001-03-15 최인수 인터넷 및 씨티아이를 통한 설문 조사 방법
KR20000037069A (ko) * 2000-04-06 2000-07-05 김준영 원클릭 이벤트용 웹사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33B1 (ko) * 2000-01-31 2007-07-27 에미코 가마노 설문조사 시스템
KR20020012997A (ko) * 2000-08-10 2002-02-20 박남규 실시간 인기도 평가 및 리포팅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371662B1 (ko) * 2000-08-23 2003-03-28 김정욱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설문조사방법
KR20020061349A (ko) * 2001-01-16 2002-07-24 링크플러스(주) 인터넷을 이용한 협력형 설문조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epoel Online survey design
Benbunan-Fich Using protocol analys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 commercial web site
Manfreda et al. Design of web survey questionnaires: Three basic experiments
Sue et al. Conducting online surveys
Granello et al. Online data collection: Strategies for research
US63304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education using a memory card
Shin et al. Smart TV: are they really smart in interacting with people? Understanding the interactivity of Korean Smart TV
US6829585B1 (en) Web-based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expert availability
US20020107726A1 (en) Collecting user responses over a network
US20030200137A1 (en) Novel system and method for polling a group
JP2010231817A (ja) 勧誘スケジュール予測方法及び勧誘スケジュール予測装置
US7246086B2 (en)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CN106372175A (zh) 报表的处理方法、装置和服务器
JP4956761B2 (ja) 投稿データ管理サーバ装置、投稿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投稿データ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Chakraborty et al. Man versus machine: evaluating IVR versus a live operator for phone surveys in India
KR20010095668A (ko) 통신상의 설문조사방법
KR20090012507A (ko)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lqahtani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impact of the usability factor on the acceptance of mobile transactions: Empirical study in Saudi Arabia
JP3441926B2 (ja) 電子マニュアル提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Huang et al. Lund University Website evaluation: focus on homepage and English research pages
Viderisa et al. Designing the prototype of personalized push notifications on E-commerce application with the user-centered design method
JP2003058553A (ja) 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34985A (ko) 온라인 설문 조사 및 통계결과 보고서 제공 서비스 시스템
JP2005174149A (ja) インターネット上の情報解析システムおよび公開サーバ
Hurley Repeat users of chat reference: An exploratory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