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859A -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859A
KR20010094859A KR1020000018235A KR20000018235A KR20010094859A KR 20010094859 A KR20010094859 A KR 20010094859A KR 1020000018235 A KR1020000018235 A KR 1020000018235A KR 20000018235 A KR20000018235 A KR 20000018235A KR 20010094859 A KR20010094859 A KR 2001009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piston
valve plug
hydraul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271B1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102000001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2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28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바디와 이에 체결되는 밸브플러그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제작성과 조립성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조정밸브는 밸브플러그가 밸브바디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체결되며 그 선단이 밸브바디의 내면의 지지턱에 밀착 지지되는 진입부와 이 진입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진입부와의 경계부에 단턱을 갖는 노출부로 이루어지고, 밸브바디의 지지턱과 밀착되는 밸브플러그의 진입부 선단에 오일의 누설을 위한 하나이상의 누설홈이 형성된 것으로, 밸브플러그가 밸브바디에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밸브플러그의 단턱과 밸브바디 후단사이에 이격홈이 형성되도록 단턱과 진입부의 선단 사이의 길이가 밸브바디의 후단과 상기 지지턱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이격홈의 둘레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진 링형상의 차단부재가 끼워진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PROPORTIONING VALVE FOR BRAKE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바디와 이에 체결되는 밸브플러그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제작성과 조립성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감속을 하거나 제동을 할 때 그 감속도에 따라 중심이 앞쪽으로 이동을 하여 전륜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고 후륜에 가해지는 하중은 반대로 감소한다. 이로 인해 차량은 전륜과 후륜에 동일한 조건으로 제동력이 가해질 경우 후륜의 제동이 먼저 이루어져 후륜이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후륜 측으로 연결되는 유압라인에는 후륜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낮추어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조정밸브가 설치된다.
도 1은 이러한 기능을 하는 유압조정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유압조정밸브는 양측이 관통된 중공의 밸브바디(1) 일단에 관통된 유로(2a)를 갖는 밸브플러그(2)가 결합된다. 또 밸브바디(1)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는 피스톤(3)이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3)의 중심부에는 밸브바디(1)의 입구측(1a)에서 공급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유로(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 외면이 밸브바디(1)의 입구측(1a) 내면에, 그리고 타단부 외면이 밸브플러그(2)의 내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3)은 밸브바디(1)의 입구측(1a)에 지지되는 선단부의 외경이 밸브플러그(2)의 내면에 지지되는 후단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의 외면과 후단부의 외면에는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기밀구조를 이루는 실링부재(4a,4b)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바디(1)의 입구측(1a) 내부에는 피스톤(3)이 진퇴할 때 피스톤(3)의 유로(3a)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밸브시트(5)가 설치되는데, 밸브시트(5)의 중심부에 형성된 돌출부(5a)가 피스톤(3)의 유로(3a) 입구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시트(5)의 돌출부(5a) 주위에는 유체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3)의 외측에는 평소 피스톤(3)이 밸브플러그(2) 쪽으로 후퇴한 상태를 유지하여 유로(3a)가 개방되도록 하는 복원스프링(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유압조정밸브는 밸브바디(1)의 입구측(1a)으로 제동유압(P)이 공급되면 밸브시트(5)의 통공(5b)과 피스톤(3) 중앙의 유로(3a)를 통과한 유체가 밸브플러그(2)의 유로(2a)를 통과하여 차량의 후륜에 공급되는데, 이때 피스톤(3) 양단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반복적인 피스톤(3)의 진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처럼 피스톤(3)이 진퇴할 때 피스톤(3)의 유로(3a)가 밸브시트(5)의 돌출부(5a)에 의해 개폐되면서 후륜으로 공급되는 제동유압의 감압이 이루어진다.
한편, 밸브바디(1)와 결합되는 밸브플러그(2)는 일단이 밸브바디(1)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나사결합 되는데, 밸브플러그(2)의 후단은 밸브바디(1)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되어 밸브바디(1)의 후단과 접하는 단턱(2b)을 구비함으로써 이들이 상호 결합되었을 때 밸브플러그(2)의 진입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플러그(2)의 단턱(2b)과 밀착되는 밸브바디(1)의 후단에는 피스톤(3) 외면의 실링부재(4a,4b)의 손상 등으로 유압조정밸브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때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홈(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유압조정밸브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때 밸브바디(1)의 외측으로 오일이 누설되어 운전자가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밸브바디(1)에 밸브플러그(2)가 강하게 조여져서 밸브바디(1) 후단과 밸브플러그(2)의 단턱(2b)이 강하게 밀착되더라도 누설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실링부재(4a,4b)의 파손으로 누설되는 오일은 밸브바디(1)와 밸브플러그(2)의 나사결합부(8) 틈새와 홈(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나사결합부(8) 후방의 밸브플러그(2) 외면에는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부에서 홈(1b)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가진 립실(LIP SEAL) 형태의 차단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종래 유압조정밸브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재(9)가 밸브바디(1)와 밸브플러그(2) 사이의 틈에 설치되기 때문에 밸브플러그(2)의 외면에 차단부재(9)를 수용하기 위한 설치홈(2c)을 형성하여야 하는 등 밸브의 결합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밸브플러그(2)의 외면에 끼워지는 차단부재(9)는 일측 방향으로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형상이 복잡한 립실의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비싼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설치홈(2c)에 끼우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즉, 링형상의 차단부재(9)를 설치홈(2c)에 끼우기 위해서 밸브플러그(2)의 나사결합부(8) 외면을 거쳐 설치홈(2c)에 끼우게 되는데, 차단부재(9)의 내경이 나사결합부(8)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끼우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차단부재(9)를 끼우는 과정에서 차단부재(9)의 손상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바디와 체결되는 밸브플러그의 결합부 및 이들의 체결부에 설치되는 차단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조정밸브가 적용되는 브레이크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조정밸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조정밸브의 밸브플러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7: 유압조정밸브, 20: 밸브바디,
23: 지지턱, 24: 밸브바디의 후단,
25: 이격홈, 26: 차단부재,
24a,34a: 경사면, 30: 밸브플러그,
32: 밸브플러그의 진입부, 34: 단턱,
35: 누설홈, 40: 피스톤,
41: 피스톤의 유로, 42,43: 실링부재,
44: 복원스프링, 50: 밸브시트,
51: 돌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는, 양단이 관통된 중공의 밸브바디와, 그 일단이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로 진입되어서 체결되며 유로가 형성된 중공의 밸브플러그와,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플러그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된 유로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플러그 내면과의 사이에 기밀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피스톤의 양단 외면에 설치된 실링부재와, 상기 피스톤이 진퇴할 때 상기 피스톤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입구측 내부에 설치된 밸브시트와, 상기 피스톤을 평소 상기 밸브플러그 쪽으로 밀어주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러그는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체결되며 그 선단이 상기 밸브바디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턱에 밀착 지지되는 진입부와 이 진입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와의 경계부에 단턱을 갖는 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턱에 밀착되는 상기 진입부의 선단에는 오일의 누설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이상의 누설홈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플러그가 상기 밸브바디에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상기 단턱과 상기 밸브바디 후단사이에 이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턱과 상기 진입부의 선단 사이의 길이가 상기 밸브바디의 후단과 상기 지지턱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이격홈의 둘레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진 링형상의 차단부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의 둘레와 상기 밸브바디의 후단 둘레에는 상기 차단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격홈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브레이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10)과 연계 동작되어 배력을 형성하는 배력장치(11)와, 이 배력장치(11)에서 힘을 전달받아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마스터실린더(12)를 구비한다. 또 차량의 바퀴측에는 전륜(FR,FL)의 제동을 위한 디스크브레이크(13)와 후륜(RR,RL)의 제동을 위한 드럼브레이크(14)가 설치된다. 그리고 마스터실린더(12)와 각 바퀴 측의 브레이크(13,14) 사이에는 제동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이 연결된다. 이때 후륜(RR,RL)측으로 연결되는 유압라인(15)에는후륜(RR,RL)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감압시켜서 후륜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유압조정밸브(17)가 설치된다.
이 유압조정밸브(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관통된 중공의 밸브바디(20) 일단에 유로(31)를 갖는 밸브플러그(30)가 밸브바디(20)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결합된다. 또 밸브바디(2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유로를 개폐하는 피스톤(40)이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40)의 중심부에는 밸브바디(20)의 입구측(21)에서 공급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유로(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 외면이 밸브바디(20)의 입구측(21) 내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 외면이 밸브플러그(30)의 내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피스톤(40)은 유압조정밸브(17)의 내부압력에 의해 피스톤(40)의 진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밸브바디(20)의 입구측(21)에 위치하는 선단부의 외경이 밸브플러그 (30)측의 후단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선단부의 외면과 후단부의 외면에는 유체의 누설이 방지하는 실링부재(42,43)가 설치된다.
또한, 밸브바디(20)의 입구측(21) 내부에는 피스톤(40)이 진퇴할 때 피스톤(40)의 유로(41)가 개폐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돌출부(51)가 형성되어 피스톤(40)의 유로(41) 입구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밸브시트(50)가 설치된다. 이때 밸브시트(50)는 돌출부(51) 주위에 유체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52)이 형성되며, 외주부가 피스톤(40) 쪽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원뿔형 코일스프링(53)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피스톤(40)의 외측에는 평소 피스톤(40)이 밸브플러그(30) 쪽으로 후퇴한 상태를 유지하여 유로(41)가 개방되도록 하는 복원스프링(44)이 설치된다. 이 복원스프링(44)은 일단이 피스톤(40) 외면에서 돌출한 플랜지부(45)에 지지되고 타단이 밸브바디(20)의 입구측(21) 내면에 지지된다.
한편, 밸브바디(20)와 결합되는 밸브플러그(30)는 일단이 밸브바디(20)의 내측으로 진입되어서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는데, 밸브바디(2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진입부(32)의 외면에는 수나사(32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밸브바디(20) 내면에는 암나사(22)가 형성된다. 이때 밸브플러그(30)는 나사부(32a,22)의 가공성 및 조립후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나사결합부의 후방에 나사결합부의 외경보다 큰 단차부(32b)를 구비하고, 밸브바디(20)의 내면은 이와 대응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또한, 밸브바디(20)의 외측에 노출되는 밸브플러그(30) 후단의 노출부(33)는 외경이 밸브바디(2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밸브바디(2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진입부(32)와의 사이에 단턱(3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밸브바디(20)의 내측에는 내부로 진입된 밸브플러그(30)의 진입부(32) 선단이 밀착 지지되어서 밸브플러그(30)의 체결시에 진입을 제한하는 지지턱(23)이 형성되며, 이 지지턱(23)과 밀착되는 밸브플러그(30) 진입부(32) 선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누설홈(35)이 형성된다.
이 누설홈(35)은 피스톤(40)의 외면에 설치된 실링부재(42,43)의 파손 등으로 유압조정밸브(17)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때 내부의 오일이 밸브바디(20)와 밸브플러그(30)의 나사결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누설된 오일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유압조정밸브(17)의 파손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밸브바디(20)와 밸브플러그(30)가 완전히 체결되더라도 누설홈(35)을 통해 오일의 누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조정밸브(17)는 밸브바디(20)에 밸브플러그(30)가 완전히 체결될 때 밸브플러그(30)의 단턱(34)과 이에 인접하는 밸브바디(20)의 후단(24)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된 이격홈(25)이 형성되도록 밸브플러그(30)의 단턱(34)과 진입부(32)의 선단 사이의 길이(L2)가 밸브바디(20)의 후단(24)과 지지턱(23) 사이의 길이(L1)보다 길게 마련된다. 이는 누설홈(35)과 나사결합부의 틈새로 배출되는 오일이 이격홈(25)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홈(25)의 둘레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이격홈(25)을 통해 밸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격홈(25)의 둘레에 끼워지는 링형상의 차단부재(26)가 설치된다. 이때 차단부재(26)는 단면이 원형이며 소정의 탄성을 가진 통상의 오링(O-RING)으로 구성된다.
또한, 차단부재(26)가 설치되는 단턱(34)의 둘레와 밸브바디(20)의 후단(24) 둘레에는 차단부재(26)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단부재(26)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격홈(25) 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4a,34a)이 형성된다. 이때 차단부재(26)가 이격홈(25)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차단부재(26)의 폭이 이격홈(25)의 폭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에서 누설되는 오일이 용이하게 배출되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이격홈(25) 내부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유압조정밸브(17)를 조립할 때에는 밸브바디(20)의 내부에실링부재(42,43)를 장착한 피스톤(40)과 복원스프링(44)을 끼운 다음, 밸브플러그(30)의 외면에 원형의 차단부재(26)를 끼운 상태로 밸브바디(20)에 밸브플러그(30)를 체결하면 된다. 이때 차단부재(26)의 내경이 밸브플러그(30)의 진입부(32)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되며, 밸브플러그(30)가 완전히 체결되면 차단부재(26)가 이격홈(25)의 둘레를 덮은 상태로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조정밸브(17)의 동작을 설명한다.
마스터실린더(12)로부터 밸브바디(20)의 입구측(21)으로 제동유압이 가해지면, 밸브시트(50)의 통공(52)과 피스톤(40) 중앙의 유로(41)를 통과한 유체가 밸브플러그(30)의 유로(31)를 통과하여 차량의 후륜(RR,RL)에 공급된다. 이때 밸브바디(20)의 입구측(21) 유압과 밸브플러그(30) 쪽의 유압이 평형상태에 이르면 피스톤(40) 양단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피스톤(40)이 밸브시트(50)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로(41)가 폐쇄된다. 즉, 피스톤(40)의 선단부 단면적이 작고 후단부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후단에 가해지는 면압이 커서 피스톤(40)이 복원스프링(44)의 탄성을 이기고 밸브시트(50) 쪽으로 이동되고, 피스톤(40)의 유로(41)는 밸브시트(50)의 돌출부(51)에 의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밸브바디(20)의 입구측(21)에는 계속 제동유압에 가해지므로 다시 밸브바디(20) 입구측(21)의 내부유압이 높아지고, 이 입구측(21)의 상승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40)이 다시 밸브플러그(30) 쪽으로 밀리면서 유로(41)가 개방된다. 따라서 입구측(마스터실린더 쪽)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다시 피스톤(40) 중앙의 유로(41)를 통해 밸브플러그(30)쪽(후륜과 연결된 유압라인)으로 공급되면서 양측이 평형상태를 이루게 되고, 평형상태에 이르면 상술한 동작이 반복된다. 즉, 유압조정밸브(17)는 이러한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차량의 후륜(RR,RL)으로 전해지는 제동유압을 소정의 시차로 감압하여 후륜(RR,RL)의 슬립을 방지하고, 이로써 차량의 안정적인 제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피스톤(40) 외면에 설치된 실링부재(42,43)의 파손 등으로 유압조정밸브(17)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때에는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설된다. 이때 오일은 밸브플러그(30)의 진입부(32) 선단에 형성된 누설홈(35)을 통해 밸브바디(20)와 밸브플러그(30)의 나사결합부 사이의 틈새로 흐르며, 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오일은 이격홈(25)을 통해 외부로 누설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외부로 누설되는 오일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유압조정밸브(17)의 파손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이격홈(25)의 둘레에는 링형상의 차단부재(2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서 누설되는 오일의 배출은 가능하지만, 외부 이물질이 밸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는 밸브바디에 밸브플러그가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밸브플러그의 단턱과 밸브바디의 후단사이에 오일의 배출을 위한 이격홈이 형성되고, 이 이격홈의 둘레에 링형상의 차단부재가 끼워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밸브바디와 밸브플러그의 결합부 구성이 단순화되어 유압조정밸브의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밸브바디에 밸브플러그를 결합할 때 밸브플러그의 외면에 밸브플러그의 진입부 외경보다 큰 차단부재를 그 외면에 건 상태에서 체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유압조정밸브의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이격홈의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부재가 형상이 단순한 오링(O-RING)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압조정밸브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양단이 관통된 중공의 밸브바디와, 그 일단이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로 진입되어서 체결되며 유로가 형성된 중공의 밸브플러그와,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플러그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된 유로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플러그 내면과의 사이에 기밀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피스톤의 양단 외면에 설치된 실링부재와, 상기 피스톤이 진퇴할 때 상기 피스톤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입구측 내부에 설치된 밸브시트와, 상기 피스톤을 평소 상기 밸브플러그 쪽으로 밀어주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러그는 상기 밸브바디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체결되며 그 선단이 상기 밸브바디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턱에 밀착 지지되는 진입부와 이 진입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진입부와의 경계부에 단턱을 갖는 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턱에 밀착되는 상기 진입부의 선단에는 오일의 누설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이상의 누설홈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플러그가 상기 밸브바디에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상기 단턱과 상기 밸브바디 후단사이에 이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턱과 상기 진입부의 선단 사이의 길이가 상기 밸브바디의 후단과 상기 지지턱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이격홈의 둘레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진 차단부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둘레와 상기 밸브바디의 후단 둘레에는 상기 차단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격홈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단면이 원형인 오링(O-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폭이 상기 이격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KR1020000018235A 2000-04-07 2000-04-07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KR10040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235A KR100402271B1 (ko) 2000-04-07 2000-04-07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235A KR100402271B1 (ko) 2000-04-07 2000-04-07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859A true KR20010094859A (ko) 2001-11-03
KR100402271B1 KR100402271B1 (ko) 2003-10-22

Family

ID=1966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235A KR100402271B1 (ko) 2000-04-07 2000-04-07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2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057A1 (ko) * 2011-04-25 2012-11-01 Chi Dong Ik 이륜자동차 브레이크시스템의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KR20160002974U (ko) * 2015-02-17 2016-08-25 신진정밀(주) 외부누유 방지형 브레이크 밸브
CN115230923A (zh) * 2021-11-22 2022-10-25 浙江东溟科技有限公司 深海浮力调节阀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706A (ja) * 1997-01-16 1998-09-29 Hino Motors Ltd バルブステムシール構造
KR100308710B1 (ko) * 1998-11-07 2002-08-21 삼진이엔지 주식회사 3방향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057A1 (ko) * 2011-04-25 2012-11-01 Chi Dong Ik 이륜자동차 브레이크시스템의 락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유압제어장치
US9133863B2 (en) 2011-04-25 2015-09-15 Dong Ik Chi Optimized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minimizing locking of a brake system in a two-wheeled vehicle
KR20160002974U (ko) * 2015-02-17 2016-08-25 신진정밀(주) 외부누유 방지형 브레이크 밸브
CN115230923A (zh) * 2021-11-22 2022-10-25 浙江东溟科技有限公司 深海浮力调节阀组件
CN115230923B (zh) * 2021-11-22 2024-04-23 浙江东溟科技有限公司 深海浮力调节阀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2271B1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178B2 (en) Caliper brake
KR20100003785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402271B1 (ko)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JPH07151258A (ja) 電磁操作弁
KR100489669B1 (ko) 주브레이크실린더
US20080252140A1 (en) Valve for anti-lock brake system
US6454240B1 (en) Anti-extrusion ring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vehicle solenoid valve
KR100839787B1 (ko) 기밀 유지 첵 밸브를 구비한 트랙션 컨트롤 밸브
JPH0210746B2 (ko)
EP1175321B1 (en) Brake proportioning in-line ball valve
JP2007511396A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中の制御バルブ用の弁座
US7043911B2 (en) Vehicle braking system master cylinder
KR100379919B1 (ko)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KR101015209B1 (ko)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절밸브
JPH03295747A (ja) 制動液圧制御装置
KR101197475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850539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
KR100870025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855951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9980064647A (ko) 브레이크 유압 제어밸브
JPH0143661B2 (ko)
KR20020061969A (ko) 브레이크장치용 유압조정밸브
JPH03292241A (ja) 制動液圧制御装置
JPH03295746A (ja) 制動液圧制御装置
KR100850540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