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846A -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 Google Patents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846A
KR20010093846A KR1020017007598A KR20017007598A KR20010093846A KR 20010093846 A KR20010093846 A KR 20010093846A KR 1020017007598 A KR1020017007598 A KR 1020017007598A KR 20017007598 A KR20017007598 A KR 20017007598A KR 20010093846 A KR20010093846 A KR 2001009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upport plate
casting
acting portion
meta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431B1 (ko
Inventor
브르비에르얀
다마스쟝-미셸
떼민느도미니끄
Original Assignee
므나르드 쟝-가브리엘
위지노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므나르드 쟝-가브리엘, 위지노르 filed Critical 므나르드 쟝-가브리엘
Publication of KR2001009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6Side d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된 벽들 사이에서 얇은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주조공간을 닫는 측벽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것은 플레이트밀침부재로부터 뒷면 (3) 에 작용을 받는 지지플레이트 (15)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의 앞면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된 벽들의 단부면과 접촉하여 최대깊이 "e" 및 폭 "l" 로 마멸되는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및 작용부는 비파괴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서로 접촉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앞면이 그 중앙영역에 깊이가 "e" 보다 깊은 요홈 (17) 을 구비하고, 상기 앞면의 외부에지 (23, 23') 는 상기 작용부의 외부에지의 형상과 들어맞고 "l" 보다 좁은 폭을 갖는 일반적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SIDE WALL FOR INSTALLATION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 STRIPS}
본 발명은 금속의 연속적인 주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별히는, "트윈-롤 주조기 (twin-roll casters)" 라고 불리우는 얇은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주조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금속 (예를 들면, 스틸, 스테인레스스틸, 및 다른 철합금, 그리고 구리) 로부터 직접 수 mm 의 두께를 갖는 메탈스트립을 주조하는 것은, 액체금속이 턴디쉬 (tundish) 로부터 주탕노즐에 의해 공급되는 "트윈-롤 주조기" 라고 불리우는 주조기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주조기는 주형을 포함하는데, 그 주조공간의 긴 측면은, 평행한 수평축을 가지고 이들 축을 중심으로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내부적으로 냉각된 한 쌍의 롤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지고, 그 짧은 측면은, 내화재료로 만들어지고 밀침부재 (thrust members) 에 의하여 상기 롤의 편평한 단부에 갖다대어지는 "측벽" 이라 불리우는 폐쇄플레이트 (closure plates) 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주조공간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하여, 닙 (nip) (상기 롤들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부분) 의 영역에서 결합하도록 만들어진 응고된 쉘 (solidified shells)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의 냉각된 실린더형의 표면에서 액체금속의 응고가 이루어진다. 어떤 주조기들 (일반적으로 다소 두꺼운 제품을 주조하는 주조기) 의 경우에는, 상기 롤들은이동하는 냉각된 벨트에 의하여 교체될 수 있고, 이 벨트들은 주조공간의 입구에서 곡선의 형상을 갖는다. 이들 주조기들은 트윈-롤 주조기의 측벽과 유사한 측벽,및 이들 측벽을 상기 벨트의 단부면에 밀착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트윈-벨트 주조기 (twin-belt casters)" 라 불리운다.
종래에는, 각 측벽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졌다. 우선,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silica) 와 같이 양호한 단열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지지플레이트 (support plate) 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뒷면 (주조공간으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면) 은 밀침부재가 작용하는 메탈베이스플레이트 (metal baseplate) 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강성 (rigidity) 를 갖는다면, 밀침부재가 지지플레이트에 직접 작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지지플레이트의 앞면에 위치되는 것은, 측벽의 작용부, 즉 상기 롤 및 액체금속과 접촉하게 되는 재료 또는 재료들이다. 종종, 롤과 접촉하거나 닙의 주위에 있게 되는 상기 작용부의 외부영역은 시아론 (SiAlON) 또는 실리콘카바이드 (silicon carbide) 와 같이 액체금속에 의한 마멸 및 침식에 대한 저항성이 좋은 성질을 갖는 제 1 재료로 만들어지고, 액체금속과 접촉해야 하는 상기 작용부의 중앙영역은 실리카폼 (silica foam) 과 같이 좋은 단열 성질을 갖는 제 2 재료로 만들어진다. 종종, 외부영역을 구성하는 요소 또는 요소들은 "인서트 (insert)" 라고 불리우고, 측벽의 나머지부분을 구성하는 요소 또는 요소들은 "코어 (core)" 라고 불리운다. 주조공간이 액체금속으로 채워질 때 작용부 상에서 금속이 응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벽들은 주조를 시작하기 전에예열된다.
측벽은 메탈스트립, 특히 스틸스트립의 트윈-롤 주조의 성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롤의 에지와 접촉하는 부분의 밀봉이 불량하면, 액체금속이 주조공간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이것은 플랜트 작업의 정규성과 스트립의 품질을 저해한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이러한 유출은 상기 주조작업을 정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주조작업 중의 작용면을 구성하는 요소의 파열 또는 상기 작용면을 구성하는 많은 요소들의 분열은 주조작업을 즉각적으로 정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측벽용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매우 각별한 주의를 하여야 하는데, 일부 재료 (특히, 인서트로 사용되는 재료) 는 매우 고가이다. 마찬가지로, 측벽의 조립, 특히 작용부의 제작은 고도의 능력 및 주의력을 가진 작업자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며, 이 조립 (및, 조립 후의 사용된 내화재 (refractories) 및 결합재의 건조) 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상기 측벽은 단 한번의 주조작업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후에는 분리되고, 적어도 그 작용부는 버려진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측벽은, 얇은 스트립 트윈-롤 주조기 (또는, 일반적으로는 두 개의 움직이는 냉각된 벽들 사이에서 주조하는 플랜트) 의 작업비용에 있어서의 주요한 요인들 중의 하나이며, 이 것과 관련하여 그 성능과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시간 및 재료의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인 진보가 현저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측벽과 비교하여 제조 및 작업의 비용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두 개의 움직이는 냉각된 벽들 사이에서 얇은 메탈스트립을 주조하는 주조기의 측벽의 설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제는, 특히 "트윈-롤 주조기" 또는 "트윈-벨트 주조기" 와 같이 두 개의 움직이는 냉각된 벽들 사이에서 얇은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주조기의 주조공간을 폐쇄시키는 측벽으로서, 상기 측벽은 지지플레이트(15) 및 이 지지플레이트 (15) 의 앞면에 위치하는 작용부를 포함하고, 플레이트밀침부재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의 뒷면 (3) 에 고정된 메탈베이스플레이트 (4) 를 통해, 상기 측벽을 상기 냉각된 벽들의 단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밀침부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뒷면 (3) 에 작용하게 되며, 상기 작용부의 측부는 상기 냉각된 벽들의 단부면과 접촉하여 최대깊이 "e" 및 폭 "l" 로 마멸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및 작용부는 비파괴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서로 접촉하는 측벽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앞면은 그 중앙영역에 깊이가 "e" 보다 깊은 요홈 (17) 을 구비하고, 상기 앞면의 외부에지 (23, 23') 는 상기 작용부의 외부에지의 형상과 들어맞고 "l" 보다 좁은 폭을 갖는 일반적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이다.
본 발명은, 그 작용부를 단 한 번의 주조작업에 사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두번의 주조작업 사이에서 상기 작용부를 간단히 뒤집음으로써 두 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측벽을 구성하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앞면은 특별한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로서, 연속된 두 번째의 주조작업 전에 측벽을 준비하는 시간이 상당량 절약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음에 따라서 보다 분명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얇은 스트립을 주조하기 위한 측벽을 도시하는 정면도 (a), 상기 측벽의 초기상태에서의 Ib - Ib 의 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b), 및 상기 측벽의 사용 후의 Ib - Ib 의 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c) 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얇은 스트립을 주조하기 위한 측벽의 제 1 실시예의 최초 사용 전인 초기상태에서의 Ib - Ib 의 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a), 및 두번째 사용전의 Ib - Ib 의 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b) 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얇은 스트립을 주조하기 위한 측벽의 제 2 실시예의 최초 사용 전인 초기상태에서의 Ib - Ib 의 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얇은 스트립을 주조하기 위한 측벽의 제 3 실시예의 최초 사용 전인 초기상태에서의 Ib - Ib 의 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얇은 스트립을 주조하기 위한 측벽의 제 4 실시예의 최초 사용 전인 초기상태에서의 Ib - Ib 의 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함에 있어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측벽의 다양한 요소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다. 통상적으로, 주조롤은 대략 500 - 1500 mm 의 직경을 가지며, 닙은 주조하려고 하는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수 mm 의 폭을 갖는다.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측벽 (1) 은 높은 단열성질을 갖는 내열성 재료로 만들어진 지지플레이트 (2) 및 이 지지플레이트 (2) 의 앞면에 배치되는 작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뒷면 (3) 은 냉각된 메탈베이스플레이트 (4) 에 고정되며, 상기 메탈베이스플레이트 (4) 에는 밀침부재 (도시되지 않음) 가 화살표 (5) 로 표시된 방향으로 상기 메탈베이스플레이트에 작용함으로서, 상기 측벽 (1) 이 주조롤의 단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롤의 윤곽선 (6, 6') 은 대쉬선 (dashed-lines) 으로 도시되었으며, 닙 (7) 의 위치는 일점쇄선 (dot-dash line) x-x 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작용부는, 좋은 단열 성질을 갖는 내열성 재료 (예컨대, 실리카폼) 로 만들어진 코어 (9) 및 액체금속에 의한 마멸 및 침식에 대해 좋은 저항성을 갖는 내열성 재료 (예컨대, 시아론 또는 실리콘카바이드) 로 만들어진 인서트 (10) 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인서트 (10) 가 단일의 부재로서 형성되었으나, 이는 복수의 부재가 병치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어 (9) 및 인서트 (10) 는,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함께 고정되고, 이들이 형성하는 작용부 전체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결합성을 높여주는 밴드 (11) 에 의해 둘러싸인다.
지지플레이트 (2) 및 작용부 - 코어 (9) / 인서트 (10) - 는, 바람직하게는 주조작업 후에 이들을 파괴하거나 또는 적어도 지지플레이트 (2) 를 손상시키지 아니하고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수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지지플레이트는 상기의 주조작업 후에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 (2) 에 체결 또는 합체된 볼트 시스템 또는 상기 작용부가 삽입되는 받침틀 (cradle) 시스템은 상기의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이다.
단 한번의 주조작업에 사용된 후에는, 상기 측벽 (1) 은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이다. 롤과 접촉하는 인서트 (10) 의 부분은, 상기 주조작업의 경과시간, 인서트 (10) 의 재료의 성질 및 인서트에 가해진 마찰의 정도에 따라서, 수 mm 또는 수 cm (전형적으로는 대략 10 mm) 정도의 깊이 "e" 만큼 침식된다. 상기 액체금속에 의한 침식 및 주조공간 (12) 내에서 이동하는 액체금속과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코어 (9) 는 파여진다. 또한, 상기 작용부는 종종 주조의 마지막에 축적되는 응고된 금속 (13) 의 층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작용부 전체가 초기의 표면상태를 회복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높은 비용을 들여 가공되지 않으면, 상기 측벽 (1) 의 작용부는 후속의 주조작업에서 다시 사용될 수 없다.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측벽 (14) 의 제 1 실시예는, 정면에서 본다면, 도 1a 에 정면도로서 도시된 종래기술의 측벽 (1) 과 같은 외양을 갖는다. 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의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에도 같다 (도 5 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의 경우는 제외).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측벽의 실시예들의 정면도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 2 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측벽 (1) 에도 있는 요소는 같은 참조번호로 표시되었다. 이 도면은 단열성의 내열 재료로 만들어진 지지플레이트 (15) 를 도시하는데, 이 지지플레이트의 뒷면 (3) 은 메탈베이스플레이트 (4) 에 고정되고, 밀침부재는 상기 메탈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작용한다. 다만,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의 앞면 (16) 은 편평하지 않다. 이 앞면의 중앙부에는 그 전체 높이에 걸쳐서 요홈 (17) 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형상 및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측벽 (14) 의 작용부도 특별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작용부는, 양면에서 요홈 (19, 20) 을 구비하고 낮은 팽창계수를 갖는 단열 내화재 (예를 들어, 실리카 기재의 내화재) 로 만들어진 중앙플레이트 (18) 을 포함한다. 이들 요홈 (19, 20) 의 각각에는, 그 구조 및 치수가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측벽 (1) 의 코어 (10) 및 인서트 (9) 의 구조 및 치수와 동일한 (두께는 예외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둔다.) 코어 (21, 21') 및 인서트 (22, 22') 에 의해 형성되는 어셈블리가 삽설된다. 상기 두 개의 코어-인서트 어셈블리 (21-22, 21'-22') 는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중앙플레이트 (18) 에 고정되는데, 상기 접착제는 관련된 재료들의 상이한 종류에 기인한 팽창의 차이가 충분히 흡수될 수 있도록 접착에 의하여 결합된 부재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접착제의 예로서, "REFRACOL No. 4" 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제품이 있는데, 이것은 코런덤 (corundum) 계의 시멘트풀로 사용하는 내화재이며, 소듐 실리케이트 (sodium silicate) 계의 바인더 (binder) 를 포함한다. 이 바인더는 고온에서 접착제를 유리같이 만들어서, 전단 (shear) 방향으로 움직이는 결합된 부재들의 상대적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측벽 (14) 의 지지플레이트 (15) 및 작용부는, 이미 종래기술의 측벽 (1) 의 예 (볼트 시스템 또는 받침틀) 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이들을 비파괴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수단에 의하여, 반드시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벽 (14) 이 준비 및 조립된 후에, 도 2a 에 도시된 위치에서 주조기에 장착되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최초 주조작업에 사용된다. 상기 최초 주조작업의 마지막에, 작용부의 앞면은 전술된 것과 같이 (그리고 도 1c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의 측벽 (1) 의 작용부의 앞면과 같은 상태로 된다. 롤은 인서트 (22) 의 외부에지를 깊이 "e" 및 폭 "l" 로 마멸시키고, 코어 (21) 는 액체금속에 의한 화학적인 그리고 기계적인 침식에 의해 파여지며, 응고된 금속 (13) 은 작용부의 앞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일단 최초 주조작업이 완료되면, 측벽 (14) 의 작용부는 지지플레이트 (15) 로부터 분리되고 뒤집어져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에 다시 배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최초 주조작업 시에 작용부의 앞면을 형성했던 코어 (21) 및 인서트 (22) 는 두번째 주조작업 시에는 뒷면을 형성한다. 반대로, 최초 주조작업 시에 작용부의 뒷면을 형성했던 코어 (21') 및 인서트 (22') 는 두번째 주조작업 시에는 앞면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형태와 같이 새로운 측벽 (1) 을 준비하는 것은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에 반하여, 상기와 같이 간단한 간단한 분해, 뒤집음 및 재조립의 작업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고, 이것으로서 충분히 사용준비가 된 측벽이 다시 구축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두번째 주조작업을 준비함에 있어서 내화재 및 결합재료를 건조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데, 이것은 상기 측벽 (14) 의 모든 요소가 이미 최초 주조작업 전에 이와 같은 건조를 거쳤기 때문이다.
상기 측벽 (14) 를 재조립하는 작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지지플레이트 (15) 의 요홈 (17) 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인서트 (22) 의 마멸된 외부에지에 비해 "e" 만큼의 두께로 돌출된 응고된 금속 (13) 이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작용부의 뒤집힘 후에 응고된 금속 (13)이 상기 요홈 안에 들어갈 수있도록 이 요홈의 깊이가 충분해야 하는 바, 마멸된 인서트 (22) 의 외부에지와 비교하여 "e" (또는, 응고된 금속 (13) 이 있는 영역에서는 "e" 보다 클 수도 있다) 정도의 깊이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요홈 (17) 의 깊이는 "e" 및 응고된 금속 (13) 의 층의 최대두께의 합계보다 깊어야 한다. 따라서, 최초 주조작업 중에 얻어질 수 있는 이들 파라미터들의 최대값이 적어도 대략적으로라도 계산되어야 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는 이에 따라서 제조되어야 한다. 또는, "e" 만을 고려하여 상기의 계산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작용부에 응고된 금속 (13) 이 있다면 이를 기계적 수단으로 제거하기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두번째 주조작업 전에 측벽을 준비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위험이 있다. 인서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의 외부에지 (23, 23') 는 상기 인서트 (22) 의 외부에지의 형상과 들어맞는 일반적인 형상 및 인서트 (22) 의 마멸된 부분의 폭 "l" 보다 좁은 폭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측벽을 재조립하기 전에 반드시 인서트 (22) 의 상기 마멸된 부분을 기계가공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최초 주조작업 중의 롤의 작용으로도 충분히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의 측벽 (1) 에서는 밀침부재에 의하여 가해진 힘을 작용부에 전달하는 것은 상기 지지플레이트 (2) 의 전체 앞면 (8) 인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측벽 (14) 에서는 상기와 같은 힘이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의 외부에지 (23, 23') 에 의하여서만 전달된다. 그러나, 이것은 문제점은 아닌데, 왜냐하면 상기 외부에지 (23, 23') 는 상기 롤에 접촉해야하는 작용부의 영역에 정확히 반대쪽에 있어서, 주조공간 (12) 이 반드시 밀봉되도록 하기위해서 밀침부재로부터의 힘이 잘 전달되어야 하는 것이 특히 필요한 지점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의 신규한 형상은 종래기술의 지지플레이트 (2) 의 형상 (2) 보다 더 효과적이다.
도 3 에 도시되고 최초 주조작업의 시작 전의 초기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 (24) 의 제 2 실시예는, 그 작용부의 중앙플레이트 (25) 의 형상에 있어서 이전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플레이트 (25) 는 그 윤곽이 인서트 (22) - 코어 (21) 어셈블리의 윤곽과 들어맞는 단순하고 편평한 판형이다. 측벽 (24) 의 작용부 전체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밴드 (26) 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 밴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측벽 (1) 을 위한 밴드 (11) 와는 유사하나, 이전 실시예의 측벽 (14) 의 밴드는 중앙플레이트 (18) 자체와 일체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상기 중앙플레이트 (25) 로부터 독립적인 밴드 (26) 의 존재는, 중앙플레이트 (25) 가 차후에 부서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중앙플레이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4 에 도시되고 최초 주조작업의 시작 전의 초기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 (27) 의 제 3 실시예는, 상기 작용부의 중앙플레이트 (25) 가 없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두 주조작업 중에 동일한 코어 (21) 및 동일한 인서트 (22) 가 양면으로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밴드 (26) 가 코어와 인서트의 결합을 확고히 한다.
도 5 에 도시되고 최초 주조작업의 시작 전의 초기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측벽 (28) 의 제 4 실시예는, 상기 작용부가 이전 실시예의 코어 (21) 및 인서트 (22) 의 기능을 다 갖고 있는 단일 요소 (29) 에 의하여만 형성된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상기 요소 (29) 는 롤과의 접촉에 의하여 주조공간 (12) 이 밀봉되는 것을 확고히해야 하므로, 금속에 의한 마멸 및 침식에 대해 좋은 저항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어야 한다. 또한 가장 적합하기로는, 상기 요소 (29) 는 그의 중앙영역에서 허용가능한 거동이 나타나도록, 가능한 우수한 내열충격성 및 내균열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질화붕소 (boron nitride) 및 시아론 (SiAlON) 과 같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작용부가 단일체의 구조물이고 기본적으로 그 결합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측벽 (28) 의 작용부를 둘러싸는 밴드 (26) 의 존재가 절대적으로 필수적이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밴드 (26) 가 추천되는데, 이는 상기 밴드가 상기 요소 (29) 의 사용중에 발생할 수 있는 요소 (29) 균열 (cracking) 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중앙플레이트 (18, 25) 의 각 측면에 위치된 인서트 (22, 22') - 코어 (21, 21') 어셈블리를 요소 (29) 와 유사한 단일의 요소로 교체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전술된 측벽의 실시예들에서 가능하다. 이것은 측벽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반면에, 한편으로는 재료 비용은 증가하는데, 이는 인서트 기능 및 코어 기능을 모두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재료가 상기 기능들 중 일부 기능을 위하여 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보다 고가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트윈-롤 주조기뿐만이 아니라, 트윈-벨트 주조기와 같은, 이동하는 냉각된 벽의 단부면에 대하여 작용되고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측벽을 사용하는 임의의 형태의 얇은 메탈스트립 주조기에 대하여도 적용된다.

Claims (5)

  1. 특히 "트윈-롤 주조기" 또는 "트윈-벨트 주조기" 와 같이 두 개의 움직이는 냉각된 벽들 사이에서 얇은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주조기의 주조공간을 폐쇄시키는 측벽으로서, 상기 측벽은 지지플레이트(15) 및 이 지지플레이트 (15) 의 앞면에 위치하는 작용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의 뒷면 (3) 에 고정된 메탈베이스플레이트 (4) 를 통해, 상기 측벽을 상기 냉각된 벽들의 단부면에 밀착시키기 위해 밀침부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뒷면 (3) 에 작용하게 되며, 상기 작용부의 측부는 상기 냉각된 벽들의 단부면과 접촉하여 최대깊이 "e" 및 폭 "l" 로 마멸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 (15) 및 작용부는 비파괴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서로 접촉하는 측벽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앞면은 그 중앙영역에 깊이가 "e" 보다 깊은 요홈 (17) 을 구비하고, 상기 앞면의 외부에지 (23, 23') 는 상기 작용부의 외부에지의 형상과 들어맞고 "l" 보다 좁은 폭을 갖는 일반적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작용부를 둘러싸는 밴드 (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하나 이상의 코어 (21) 과 인서트 (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양면에 코어 (21, 21') 및 인서트 (22, 22') 를 구비하는 중앙플레이트 (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중앙플레이트 (18) 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KR1020017007598A 1998-12-21 1999-12-17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KR100664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6185A FR2787360B1 (fr) 1998-12-21 1998-12-21 Face laterale pour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e de bandes metalliques
FR98/16185 1998-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846A true KR20010093846A (ko) 2001-10-29
KR100664431B1 KR100664431B1 (ko) 2007-01-03

Family

ID=953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598A KR100664431B1 (ko) 1998-12-21 1999-12-17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488075B1 (ko)
EP (1) EP1144142B1 (ko)
JP (1) JP4567200B2 (ko)
KR (1) KR100664431B1 (ko)
AT (1) ATE223270T1 (ko)
AU (1) AU753213C (ko)
BR (1) BR9916389A (ko)
DE (1) DE69902820T2 (ko)
DK (1) DK1144142T3 (ko)
ES (1) ES2183632T3 (ko)
FR (1) FR2787360B1 (ko)
PT (1) PT1144142E (ko)
TW (1) TW445182B (ko)
WO (1) WO2000037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7758B2 (ja) 2011-04-27 2015-12-24 キャストリップ・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双ロール鋳造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046384B2 (en) 2015-09-30 2018-08-14 Nucor Corporation Side dam with pocke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6955A (ja) * 1986-07-30 1988-02-17 Nippon Yakin Kogyo Co Ltd 金属薄板帯の直接鋳造装置
JPH0344363Y2 (ko) * 1986-12-04 1991-09-18
JPS63196340U (ko) * 1987-06-09 1988-12-16
JPH0385152U (ko) * 1989-12-14 1991-08-28
JPH05261489A (ja) * 1992-03-19 1993-10-12 Kobe Steel Ltd 薄鋳片連続鋳造機用サイド堰
FR2721843B1 (fr) * 1994-06-30 1996-08-30 Unisor Sacilor Disposition de coulee continue entre cylindres a parois d'obturation laterale appliquees
SK283307B6 (sk) * 1994-08-01 2003-05-02 Vesuvius France S. A. Bočná stena na lejací stroj na plynulé liatie plechu a lejací stroj na plynulé liatie plechu
FR2737859B1 (fr) * 1995-08-18 1997-09-12 Usinor Sacilor Dispositif de soutien d'une face laterale d'une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e de bandes metalliques entre cylindres
JPH09206892A (ja) * 1996-01-29 1997-08-12 Nippon Steel Corp 薄板連続鋳造装置のサイド堰
FR2749785B1 (fr) * 1996-06-13 1998-07-24 Usinor Sacilor Face laterale d'obturation pour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e de bandes metalliques entre deux cylindres
JP3340344B2 (ja) * 1997-03-25 2002-11-05 日立造船株式会社 ツインロール式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短辺堰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87360A1 (fr) 2000-06-23
ES2183632T3 (es) 2003-03-16
KR100664431B1 (ko) 2007-01-03
WO2000037198A1 (fr) 2000-06-29
DK1144142T3 (da) 2003-01-06
EP1144142A1 (fr) 2001-10-17
TW445182B (en) 2001-07-11
DE69902820D1 (de) 2002-10-10
PT1144142E (pt) 2003-01-31
AU753213B2 (en) 2002-10-10
FR2787360B1 (fr) 2001-02-02
JP2002532258A (ja) 2002-10-02
US6488075B1 (en) 2002-12-03
EP1144142B1 (fr) 2002-09-04
AU1782900A (en) 2000-07-12
AU753213C (en) 2003-05-15
JP4567200B2 (ja) 2010-10-20
ATE223270T1 (de) 2002-09-15
BR9916389A (pt) 2001-09-18
DE69902820T2 (de)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323B1 (ko) 얇은 금속 스트립의 트윈-롤 연속주조용 플랜트의 주조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측벽
KR100664431B1 (ko) 메탈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설비의 측벽
US4702299A (en) Mold for continuous casting and method of making
CA1220606A (en) Refractory coating of edge-dam block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longitudinal bands of sinkage in the product of a continuous casting machine
JPH04111950A (ja) 2本のロール間で薄い金属製品を連続鋳造するための設備
EP2726235A1 (en) Chop gate and nozzle
US7258157B2 (en) Lateral face of an installation used for the twin-roll continuous casting of metal bands
KR101353881B1 (ko) 주형
JP2938319B2 (ja) 広幅薄肉鋳片の連続鋳造用サイド堰
JP3751421B2 (ja) プレートれんが
KR101017623B1 (ko) 쌍롤식 박판주조용 에지댐 내화재
US6148901A (en) Plant for the twin-roll continuous casting of metal strip
JPS6326241A (ja) 金属薄板帯の直接鋳造装置
JPS62166054A (ja) 薄板連続鋳造装置
KR20150020944A (ko)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JP3043928B2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用のサイド堰と補剛体取り付け方法
JP3340344B2 (ja) ツインロール式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短辺堰の製造方法
JPH0362504B2 (ko)
JPH11151556A (ja) 2本のロール間で金属ストリップを連続鋳造する設備の鋳造空間を閉じるための側壁と、この側壁を備えた鋳造設備
JPH01317659A (ja) 双ロール式連続鋳造装置
JP3135455B2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機
GB1474221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partially clad blocks or slabs
JPH04157047A (ja) 金属薄帯の連続鋳造機用サイド堰
JPH11320037A (ja) 薄板連続鋳造装置のサイド堰
JPH0246949A (ja) 薄板連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