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923A -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923A
KR20010092923A KR1020000015596A KR20000015596A KR20010092923A KR 20010092923 A KR20010092923 A KR 20010092923A KR 1020000015596 A KR1020000015596 A KR 1020000015596A KR 20000015596 A KR20000015596 A KR 20000015596A KR 20010092923 A KR20010092923 A KR 20010092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at
shaft
support
roa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조동춘
(주) 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춘, (주) 삼우 filed Critical 조동춘
Priority to KR102000001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2923A/ko
Publication of KR2001009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 구이판의 이송과정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고기 구이판의 세척력과 직결되는 와이어 브러쉬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세척이 완료된 고기 구이판을 원활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측판 및 전후판에 의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되고 동력의 인가 방향에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동시에 직선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과;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동력의 인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고기 구이판을 세척하는 한 쌍의 와이어 브러쉬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세척수단과; 상기 와이어 브러쉬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수단과;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의 일측 하방에 설치되어 세척이 완료된 고기 구이판을 받아 배출시키는 고기 구이판 배출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Buffing system for roasting plate}
본 발명은 고기 구이판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 구이판의 이송과정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고기 구이판의 세척력과 직결되는 와이어 브러쉬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세척이 완료된 고기 구이판을 원활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대형 식당이 많이 생기고 있는 데, 이러한 대형 식당에서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고기 구이판이 사용되므로 구이판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자동 세척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고기 구이판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고기구이판 세척시스템(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9-43309호)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러한 선출원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 구이판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141)과 제2지지판(142)이 타이밍벨트를 통해 모터(14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판(141)에 구이판을 고정시키고 모터(147)를 구동시키면 타이밍벨트의 작용으로 상기 제1지지판(141)과 제2지지판(142)이 안쪽으로 이동되어 제1지지판(141)에 고정되어 있던 구이판이 상기 제2 지지판(142)으로 넘겨지는 동시에 상기 지지판의 상하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와이어 브러쉬(152)에 의하여 세척되게 된다.
이어 소정의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모터(147)의 회전 방향이 바뀌면 상기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1지지판(141)과 제2지지판(142)은 다시 바깥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지지판(141)에서 인계된 구이판은 2지지판(42)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다가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고기 구이판 세척시스템은 제1지지판(141)과 제2지지판(142)이 타이밍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상기 제1지지판(141)과 제2지지판(142)을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반드시 요구되므로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타이밍벨트의 마모에 따라 동력전달이 부정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고기 구이판 자동세척 시스템은 상기 와이어 브러쉬(152) 사이에 4개의 링크편이 마름모꼴로 결합된 절첩링크(183)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브러쉬(52) 간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철링크(183)는 와이어 브러쉬(152)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종래 기술을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기 구이판 이송과 와이어 브러쉬의 구동을 정확히 제어하고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한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기 구이판 이송장치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구이판의 이송을 용이하게 한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와이어 브러쉬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다른 목적은 세척이 완료된 고기 구이판을 원활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를 전방 지지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후방 지지대를 보여주는 부분절단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세척수단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동력전달수단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동력전달수단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와이어 브러쉬 간격조정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와이어 브러쉬 간격조정수단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본체 10 :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20 : 제1동력전달수단 21 : 회전 나사축
27 : 이송모터 30 : 고기 구이판
40 :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 41 : 전방 지지대
42 : 후방 지지대 43 : 회전 지지대
52 : 와이어 브러쉬 80 : 간격조정수단
81 : 굽은 아암 84 : 링크부재
85 : 이송 너트 86 :회전축
90 : 제2동력전달수단 96 : 구동모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측판 및 전후판에 의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되고 동력의 인가 방향에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동시에 직선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과;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동력의 인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고기 구이판을 세척하는 한 쌍의 와이어 브러쉬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세척수단과; 상기 와이어 브러쉬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수단과;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의 일측 하방에 설치되어 세척이 완료된 고기 구이판을 받아 배출시키는 고기 구이판 배출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은 구이판을 와이어 브러쉬쪽으로 밀어 주는 전방 지지대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를 통과하여 세척이 완료된 구이판을 인계 받아 후방으로 끌고 가는 후방 지지대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와 후방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이송되는 구이판을 받쳐 주는 회동지지대 및; 상기 전방 지지대와 후방 지지대를 전후로 직진 이동시키는 제1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본체의 전·후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방에는 상기 전방 지지대가 나사 결합되고 후방에는 상기 후방 지지대가 나사 결합되며 그 후방 단부에는 스프라킷 휠이 각각 형성된 회전 나사축과; 상기 회전 나사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전방부와 후방부의 사나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 나사홈과; 상기 스프라킷 휠을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동 지지대는 상기 후방 지지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와이어 브러쉬와 평행하게 형성된 가로대와; 상기 본체의 좌우 측판을 따라 배치된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세로대의 단부에 소정 길이 신장되어 설치된 단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후방 지지대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이판을 고정시키는 회동돌기와; 구이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와; 상기 회동 지지대의 상기 단차부와 접촉되도록 아래로 소정 길이 돌출된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척수단은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가로질러 설치된 상하 한 쌍의 샤프트와; 상기 각 샤프트에 일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는 원판형태를 갖는 다수의 와이어 브러쉬와; 상기 각 샤프트의 일측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샤프트 기어와; 상기 샤프트 기어와 맞물리는 한 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중의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풀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V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폴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간격조정수단은 한 쌍의 샤프트에 각각 고정된 두 개의굽은 아암과 상기 굽은 아암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곧은 아암으로 이루어진 링크부재와; 상기 곧은 아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이송 너트와; 상기 이송 너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 너트에 나사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본체의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각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스프라킷 휠과; 상기 스프라켓 휠을 연결시키는 체인과; 상기 회전축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과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된 경사 연결축과; 상기 경사 연결축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10)는 다수의 측판과 상·하판으로 이루어진 본체(3)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뚜껑(5)과 상기 본체(3)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캐스터(7) 및 상기 본체(3)의 정면 일측에 설치된 제어박스(9)와 상기 제어박스(9)와 별도로 설치된 풋 스위치(1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3은 측판의 외측으로 돌설된 기어를 보호하는 개폐가능한 기어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10)는 상기 본체(3)의 정면에 경사지게 돌출된 전방 지지판(41)에 고기 구이판(30)을 얹어 놓고 풋스위치(11)를 누르면, 상기 전방 지지판(41)이 구이판(30)을 본체(3)의 내부로 밀고 들어가 세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10)는 원판형 또는 그릴형 구이판 어느 것이나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10)는 크게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40), 세척수단(50), 와이어 브러쉬 간격조정수단(80)으로 구성된다.
먼저, 도 3과 도4를 참조하여 상기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4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40)은 구이판(30)을 와이어 브러쉬(52)쪽으로 밀어 주는 전방 지지대(41)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52)를 통과하여 세척이 완료된 구이판(30)을 인계 받아 후방으로 끌고 가는 후방 지지대(42)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52)와 후방 지지대(42) 사이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이송되는 구이판(30)을 받쳐 주는 회동지지대(43) 및 상기 전방 지지대(41)와 후방 지지대(42)를 전후로 직진 이동시키는 제1동력전달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0)은 본체(3)의 전· 후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소정의 나사홈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 나사축(21)과 상기 회전 나사축(21)의 후방 단부에 각각 형성된 스프라킷 휠(23)과 상기 스프라킷 휠(23)을 연결하는 체인(25)과 상기 체인(25)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고 회전축의 단부에 스프라킷 휠(26)이 설치된 이송모터(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나사축(21)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 지지대(41)가 결합되고 그 후방에는 상기 후방 지지대(42)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전방 지지대(41)가 높은 위치에 있도록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이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되는 구이판(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나사축(21)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나사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홈(28)은 전반부와 후반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지지대(41)와 후방 지지대(42)의 하단부에 고정된 너트부(31,32)는 각각의 나사홈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나사축(21)의 후단부에는 스프라킷 휠(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라킷 휠(23)은 체인(25)을 통해 이송모터(2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모터(27)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 나사축(21)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나사축(21)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 나사축(21)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전방 지지대(41)와 후방 지지대(4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 나사축(21)이 일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방 지지대(41)와 후방 지지대(42)가 본체의 중앙으로 근접되고 상기 회전 나사축(21)이 다른 측으로 회전하면 중심에서 멀어지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 지지대(41)에는 구이판(30)을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이판 고정/해제장치(35)는 도 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지지대(4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걸림부재(150)와 상기 걸림부재(15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걸림장치를 해제하는 해제수단(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150)는 상기 전방 지지대(41)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고정블록(151)과 상기 고정블록(151)의 사이에 끼워지고 스프링(152)에 의해 항상 상부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회동축(153)과 상기 회동축(153)의 중심부에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그 선단에는 구이판(30)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54)가 돌설된 걸림편(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해제수단(160)은 상기 회동축(153)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레버(161)와 상기 본체(3)의 전면에 설치된 스톱퍼(16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지지대(41)가 후방 즉, 중심부쪽으로 소정 거리 진행하면 상기 걸림부재(15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161)가 상기 스톱퍼(162)에 걸려서 상기 회동축(153)과 함께 걸림편(155)이 하방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러면, 구이판(30)을 고정하고 있던 상기 고정돌기(154)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대(41)의 후방에는 보조롤러(44)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롤러(44)는 구이판(30)의 하부를 지지하여 원활한 이송을 돕는다.
이어, 상기 전방 지지대(41)에 의해 진입된 구이판(30)은 회전하는 와이어 브러쉬(52)를 통과하여 깨끗하게 세척된 후, 상기 후방 지지대(42)로 인계된다. 즉, 상기 해제수단(160)의 작용으로 구이판(30)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 다음 상기 후방 지지대(42)의 전방에 돌출된 회동돌기(174)가 구이판(3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계과정이 완료되는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리미트 스위치의 작용으로 상기 이송모터(27)의 회전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회전 나사축(21)의 회전방향이 바뀌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방 지지대(41)와 상기 후방 지지대(42)는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구이판(30)은 상기 후방 지지대(42)에 지지되어 후방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 지지대(42)가 소정 길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후방 지지대(42)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 지지대(43)가 윗쪽으로 회동되어 구이판(30) 전방부의 저면을 받쳐 줌으로써 구이판(30)이 원활히 이송되도록 한다. 즉, 상기 회동 지지대(43)가 후방으로 이송하는 구이판(30)의 전방을 받쳐 줌으로써 구이판(30)이 와이어 브러쉬(52)에 의해 휘말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동 지지대(43)는 상기 후방 지지대(42)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와이어 브러쉬(52)와 평행하게 형성된 가로대(182)와; 상기 본체의 좌우 측판을 따라 배치된 세로대(183)와; 상기 세로대(183)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184)와; 상기 세로대(183)의 단부에 소정 길이 신장되어 설치된 단차부(18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후방 지지대(42)의 저면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래로 소정 길이 돌출된 종동축(177)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종동축(177)은 상기 회동 지지대(43)의 단차부(184)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지지대(42)가 후방쪽에 위치하면, 상기 종동축(177)과 상기 단차부(184)가 접촉되어 상기 회전 지지대(43)의 가로대(182)가 위쪽으로 상승되고, 상기 후방 지지대(42)가 전방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종동절(177)이 상기 단차부(184)를 벗어나게 되어 상기 회동 지지대(43)는 힌지(185)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가로대(182)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지지대(42)에는 구이판 고정장치(170)가 형성되고, 본체의 후방 측벽(2)에는 구이판(30)을 해제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해제/배출장치(190)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구이판 고정장치(170)는 상기 후방 지지대(42)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이판(30)을 고정시키는 회동돌기(174)와, 상기 후방 지지대(42)의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고기판(3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17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돌기(174)는 구이판(30)의 구멍에 결합되는 돌기부(178)와 후방으로 굴곡된 굴곡부(179)와 상기 후방 지지대(42)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45)에 결합된 힌지부(176) 및 상기 회동돌기(174)를 항상 수직으로 유지시키는 스프링(1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상기 구이판 해제/배출장치(190)는 본체(3)의 후방 측벽(4)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돌기(174)의 굴곡부(179)와 접촉되는 스톱퍼(192)와, 상기 스톱퍼(179)의 좌우로 소정 길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배출돌기(19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지지대(42)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동돌기(174)의 굴곡부(179)가 상기 스톱퍼(192)와 접촉되면 상기 회동돌기(174)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구이판(30)이 상기 돌기부(178)에서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지지대(42)가 계속 이동하면 상기 배출돌기(193)가 구이판(3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돌기(175)에 지지되어 있는 구이판(30)을 하방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와 같이 자유 낙하한 구이판(30)은 하부에 설치된 철망으로 이루어진 고기 구이판 배출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세척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척수단(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1)상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와이어 브러쉬(52)와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샤프트(51) 및 와이어 브러쉬(52)가 회전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51)는 상기 전방 지지판(4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51)에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와이어 브러쉬(52)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상기 각 샤프트(51)의 일측단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 기어(91)와 상기 샤프트(51)를 본체(3)의 측벽에 고정시키는 굽은 아암(81)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51)의 일측 단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체결홈(54)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기어(91)의 회전 중심축에는 외측으로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볼트(55)가 끼워져 상기 체결홈(54)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51)의 단부와 샤프트 기어(91)의 회동축의 단부는 서로 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브러쉬(52)를 교체할 때는 상기 볼트(55)를 풀고 핀을 제거하면 상기 샤프트(51)가 샤프트 기어(91) 및 급은 아암(81)으로부터 분리될 수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51)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90)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5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상기 샤프트 기어(91)와 상기 샤프트 기어(91)와 각각 이맞물림 되는 동시에 서로 이맞물림 되어 본체(3)의 측판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전동기어(92,94)와, 상기 하부 전동기어(94)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전동폴리(93)와 상기 전동폴리(93)와 V벨트(95)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폴리(97)와 상기 구동폴리(97)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9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96)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 브러쉬(5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 브러쉬(52)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브러쉬(52)의 하부에는 구이판(30)을 세척한 물을 배출하는 세척수 받이부재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브러쉬(52)는 사용함에 따라 마모되므로 정기적으로 상기 와이어 브러쉬(52) 간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간격조정수단(8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1)가 고정되는 두 개의 굽은 아암(81)과 두 개의 곧은 아암(82)으로 이루어진 마름모꼴의 링크부재(84)와 상기 링크부재(8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곧은 아암(82)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이송 너트(85)와 상기 이송 너트(85)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0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굽은 아암(81)의 일측 단은 상기 와이어 브러쉬(52)의 샤프트축(5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그 가운데는 굴곡되어 본체(3)의 측판에 형성된 전동기어(92)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측 단은 곧은 아암(82)이 결합되는 힌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 단이 상기 굽은 아암(81)에 힌지 결합된 상기 곧은 아암(92)의 다른측 단은 상기 이송 너트(85)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너트(85)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84)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며 이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굽은 아암(81)의 단부가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부재(84)의 높이가 높아지면 상기 굽은 아암(81)이 힌지축(87)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와이어 브러쉬(52)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 너트(85)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100)은 상기 이송 너트(85)에 나사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86)과 상기 회전축(86)을 본체(3)의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101),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스프라킷 휠(103)과, 상기 스프라켓 휠(103)을 연결시키는 체인(105)과, 상기 회전축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과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된 경사 연결축과 상기 경사 연결축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핸들을 회전시키면 경사 연결축과 유니버셜 조인트의 작용으로 상기 회전축에 소정의 회전력이 발생되고 이 회전력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이동 너트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다른 편에 있은 회전축은 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게 되어 와이어 브러쉬간의 간격을 균형 있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는 사용자가 고기 구이판을 제1지지대의 상부에 고정시키고, 풋 스위치를 누르면, 이송모터와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고기 구이판 이송수단과 세척수단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모터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되면, 전방 지지판과 후방 지지판이 동시에 본체의 중심쪽으로 이동되면서 고기 구이판을 와이어 브러쉬 사이로 통과시킨다.
한편, 상기 전방 지지판이 일정 거리만큼 중심쪽으로 이동되면 본체 전방에 설치된 스톱퍼에 의하여 레버가 젖혀짐에 따라 걸림편이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고기 구이판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중심부로 이동되어 있던 상기 후방 지지판의 회동돌부의 돌기부가 고기 구이판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고기 구이판은 전방 지지대로부터 후방 지지대로 이송되면서 회전하는 와이어 브러쉬를 통과하므로 깨끗하게 세척되게 된다. 그리고 본체에 설치된 도시도지 않은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송모터의 회전 방향이 바꿔면, 상기 전방 지지대와 후방 지지대는 바깥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상기 후방 지지대가 세척이 완료된 고기 구이판은 후방으로 끌고 가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되는 구이판이 전방은 상기 후방 지지대에 연동되는 회동 지지대의 세로대가 지지하게 된다.
이어 상기 후방 지지대가 본체의 후방 측벽에 다다르면 상기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가 상기 회동돌기의 굴곡부와 접촉되어 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구이판이 해제된 상태가 되고, 이와 거의 동시에 상기 후방 측벽에 설치된 배출핀이 상기 구이판의 측면과 접촉되어 구이판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기 구이판은 상기 후방 지지대의 지지편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부의 구이판 배출수단으로 자유낙하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는 회전 나사축을 사용하여 고기 구이판의 이송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구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슬라이딩 수단을 생략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기어를 조합하여 세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동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벨트를 제거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굽은 링크편과 곧은 링크편으로 구성된 접철링크를 나사홈이 형성된 회전축을 회전시켜 조절함으로써 와이어 브러쉬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기 구이판의 전방을 지지할 수 있는 회동 지지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고기 구이판이 회전하는 와이어 브러쉬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다수의 측판 및 전후판에 의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되고 동력의 인가 방향에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동시에 직선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구이판 이송수단과;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동력의 인가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고기 구이판을 세척하는 한 쌍의 와이어 브러쉬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세척수단과; 상기 와이어 브러쉬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수단과;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의 일측 하방에 설치되어 세척이 완료된 고기 구이판을 받아서 배출시키는 고기 구이판 배출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은 구이판을 와이어 브러쉬쪽으로 밀어 주는 전방 지지대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를 통과하여 세척이 완료된 구이판을 인계 받아 후방으로 끌고 가는 후방 지지대와;
    상기 와이어 브러쉬와 후방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이송되는 구이판을 받쳐 주는 회동지지대 및;
    상기 전방 지지대와 후방 지지대를 전후로 직진 이동시키는 제1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본체의 전·후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방에는 상기 전방 지지대가 나사 결합되고 후방에는 상기 후방 지지대가 나사 결합되며 그 후방 단부에는 스프라킷 휠이 각각 형성된 회전 나사축과;
    상기 회전 나사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전방부와 후방부의 사나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 나사홈과;
    상기 스프라킷 휠을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대는 상기 후방 지지대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며 선단에 와이어 브러쉬와 평행하게 형성된 가로대와;
    상기 본체의 좌우 측판을 따라 배치된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세로대의 단부에 소정 길이 신장되어 설치된 단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대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이판을 고정시키는 회동돌기와;
    구이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와;
    상기 회동 지지대의 상기 단차부와 접촉되도록 아래로 소정 길이 돌출된 종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구이판 이송수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가로질러 설치된 상하 한 쌍의 샤프트와;
    상기 각 샤프트에 일정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는 원판형태를 갖는 다수의 와이어 브러쉬와;
    상기 각 샤프트의 일측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샤프트 기어와;
    상기 샤프트 기어와 맞물리는 한 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중의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풀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V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폴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수단은 한 쌍의 샤프트에 고정된 두 개의 굽은 아암과 상기 굽은 아암의 단부에 결합되는 두 개의 곧은 아암으로 이루어진 링크부재와;
    상기 곧은 아암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이송 너트와;
    상기 이송 너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이송 너트에 나사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본체의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각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스프라킷 휠과;
    상기 스프라켓 휠을 연결시키는 체인과;
    상기 회전축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과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된 경사 연결축과;
    상기 경사 연결축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1020000015596A 2000-03-27 2000-03-27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20010092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596A KR20010092923A (ko) 2000-03-27 2000-03-27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596A KR20010092923A (ko) 2000-03-27 2000-03-27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923A true KR20010092923A (ko) 2001-10-27

Family

ID=1965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596A KR20010092923A (ko) 2000-03-27 2000-03-27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2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55U (ko) * 2015-09-22 2017-03-30 이상용 불판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55U (ko) * 2015-09-22 2017-03-30 이상용 불판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8991A (en) Automatic barbequing device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US4628804A (en) Doughnut making machine for moving objects through a frying tank
US7644710B2 (en) Grill
KR100763576B1 (ko) 고기구이봉의 공급 및 이송장치
KR20010092923A (ko)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112167998A (zh) 一种自动喷涂调料后切条的旋转烤肉装置
KR200413229Y1 (ko) 고기구이판의 자동 공급 및 회수장치
KR100852583B1 (ko) 회전 숯불 구이판
US3478380A (en) Automatic meat cleaning apparatus
KR102387801B1 (ko) 대파 절단장치
KR101902741B1 (ko) 그릴 이동형 구이기
US4023521A (en) Tumble batter and breader machine
KR950008356B1 (ko) 고기구이판 세척기
KR101882623B1 (ko) 그릴 이동형 구이기
KR200316671Y1 (ko) 구이판 세척장치
KR100334309B1 (ko) 착즙기의 전면 케이스 착탈장치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KR100824373B1 (ko)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20010036348A (ko) 고기구이판 세척시스템
KR100537638B1 (ko) 계피떡 자동 성형기
KR20040009143A (ko) 오징어가공장치
KR930005716B1 (ko) 불고기판 자동 세척기
KR101347695B1 (ko) 체인식 구이용 불판을 갖는 식탁
CN220648284U (zh) 一种具有防积灰功能的火烧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