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356B1 - 고기구이판 세척기 - Google Patents

고기구이판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356B1
KR950008356B1 KR1019930023714A KR930023714A KR950008356B1 KR 950008356 B1 KR950008356 B1 KR 950008356B1 KR 1019930023714 A KR1019930023714 A KR 1019930023714A KR 930023714 A KR930023714 A KR 930023714A KR 950008356 B1 KR950008356 B1 KR 95000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xed
plate
brush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466A (ko
Inventor
차귀운
Original Assignee
윤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숙 filed Critical 윤영숙
Priority to KR101993002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356B1/ko
Publication of KR95001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2Basin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기구이판 세척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의 조립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구조를 보이기 위한 제3도의 배면상태 측단면도.
제5도의 (a)(b)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의 설치되는 고정판체의 요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세척실
4 : 고기구이판 5 : 고정판체
5a : 유동방지핀 6 : 받침편
6a : 상부유동홈 7 : 이동틀체
8 : 회동축 8a : 하부유동홈
9 : 조절편 10,11 : 고정핀
12 : 스프링 13,13a : 가이드봉
14 : 워엄 15 : 워엄기어
16,16a : 밀편 17,17a : 핀
18,18a : 가동틀체 20 : 고정축
21,21a : 브러쉬지지판 22 : 브러쉬
23 : 축 24 : 지지축
25 : 연결축봉 26,26a : 돌출편
27,27a : 연결바아 29,29a : 작동바아
30 : 페달 31 : 접촉판
32 : 리미트스위치 34 : 축봉
35 : 코일스프링 36 : 구동모우터
37,38,39,40,41 : 제1,제2,제3,제4,제5풀리 42 : 메인스위치
본 발명은 고기구이판에 눌어붙은 음식찌꺼기를 기계장치수단에 의해 신속하면서도 연속적으로 자동세척할 수 있도록한 고기구이판에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고기구이판을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세척하였기 때문에 세척작업이 매우 많도록 또한 깨끗한 세척을 하지 못하여 비 위생적이었을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기구이판을 힘들이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신속히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가 본 발명의 출원인에 비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2-14911호(고기구이판세척기)] 안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의 고기구이판 세척기는 고기구이판의 세척시나 분리시 상기 고기구이판이 재치된 고정원반을 이의 하단부로 직설된 핸들축의 손잡이를 잡고 본체내에 모우터구동으로 회전되는 브러쉬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고정원반상에 재치된 고기구이판을 세척시키고 또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수작업에 의해 고기구이판을 세척하던 것에 비하면, 세척작업이 휠씬 신속 용이한 것이나, 이는 고기구이판이 올려지는 고정 원반을 일일이 핸들축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재쳐서 밀거나 당겨 세척해야 하는 작업상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또한 고기구이판의 세척작업시는 그 세척작업이 완료될때 까지 항상 고정원반을 브러쉬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이 유지되는 상태로 잡아주어야 하는 분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고정원반이 손잡이가 형성된 핸들축에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기구이판의 전체면을 골고루 세척하기 위해서는 고정 원반을 상, 하로 조절해 가면서 세척작업을 하여야 했던 것이며, 고기구이판 교체시 별도로 스위치를 조작하지 많으면 브러쉬가 불필요하게 계속회전하고 있어 전력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결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본원 발명인이 선출원한 고기구이판 세척기의 제결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기구이판이 올려져 전, 후 이송되는 고정판체와, 그 고정판체에 올려진 고기구이판을 구동모우터의 구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찌꺼기를 닦아내는 브러쉬를 페달조작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작되게 하여 세척작업 및 고기구이판이 교체가 용이하며, 또한, 고정판체를 회전되게 하고 동시에 요동되게 하여 고기구이판의 전체면이 골고루 브러쉬에 의해 깨끗이 세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단의 시간내에도 많은량의 고기구이판을 누구나가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한 고기구이판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기구이판이 올려지는 고정판체를 이동틀체에 회동가능하게 축착된 회동축으로 지지되게 하되 상기, 회동축의 일단으로는 조절편을 고정핀으로 결합시키고 이의 외방을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고기구이판과 브러쉬의 마찰면에 의해 자유자재로 요동되게 하며, 상기, 이동틀체는 한쌍의 가이드봉에 의해 전, 후 안내되어져 가동틀체와 연결된 밑편의 동작에 따라 고정판체를 세척실내에서 수평상태로 출입되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기구이판을 닦아주는 브러쉬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일단이 페달조작에 의해 편심동작되는 가동틀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 동작되지도록 함과 동시에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페달을 밟을 경우에는 상승되어 회전이 일시 중단되고 복귀시에는 하강되어져 다시회전되어 세척할 수 있도록하며, 상기 고정판체와 브러쉬는 페달 및 메인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 제2, 제3, 제5풀리의 벨트 연동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지도록 구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판 세척기의 외관 사시도인바, 본체(1)의 상측 중앙부로는 고기구이판(4)의 교체시 고정판체(5)가 이동되어지는 세척실(2)이 요설되어 있고, 세척실(2)의 양측으로 돌설된 영장부(1a)의 후단으로는 브러쉬(22)가 설치되어지는 가동틀체(18)(18a)를 관통설치하기 위한 홈부(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척실(2) 상면으로는 미도시된 개폐에 의해 커버체(3)가 본체(1)에 분리가능하게 씌워져 있다.
한편, 통상의 고기구이판(4)이 올려지는 고정판체(5)에는 제2도에서와 같이 세척시 고기구이판(4)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핀(5a)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돌설되어 있으며, 고정판체(5)의 하부 중앙으로는 상부 유동홈(6a)이 일방향으로 단부에 형성된 받침편(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편(6)의 하부로는 일단이 이동틀체(7)내에 삽설 고정되어지고 타단이 세척실(2)의 바닥판(2a)에 형성된 가이드홈(2b)에 관통 설치되어진 회동축(8)이 위치되는바, 이 회동축(8)의 상측으로는 스프링받침판(8b)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로는 하부유동홈(8a)이 상기 받침편(6)의 상부 유동홈(6a)의 반대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받침편(6)의 상부 유동홈(6a)과 회동축(8)의 하부 유동허(8a)에는 조절편(9)을 삽설한 다음 고정핀(10)(11)으로 각각 유설하여 고정판체(5)가 회동축(8)에 의해 회전될때 각 유동홈(6a)(8a)내에서 조절편(9)이 임의 대로 유동되어지도록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편(8)에 의해 연결되어진 고정판체(5)와 회동축(8)의 스프링받침판(8b)사이에는 스프링(12)을 개재시켜 유동시 고정판체(5)가 탄력적으로 동작되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축(8)이 축착고정된 이동 틀체(7)는 바닥판(2a)의 하방에서 전, 후 슬라이드 이동되어지도록 한쌍의 가이드봉(13)(13a)에 삽설되어 있으며, 이동틀체(7)내에 삽설된 회동축(8)상에는 워엄(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워엄(14)은 후술되는 풀리 수단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워엄기어(15)의 상호 회전가능하게 치합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이동틀체(7)의 후방 양측단으로는 상기, 이동틀체(7)를 밀기위한 밀편(16)(16a)이 핀(17)에 의해 유설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장부(1a)의 홈부(1b)로 관통설치되어 있는 가동틀체(18)(18a)는 지지편(19)에 회동가능하게 횡설된 고정축(2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가동틀체(18)(18a)의 전방쪽으로는 브러쉬 지지판(21)(21a)을 일체로 연장형성하여 브러쉬(22)를 고정판체(5)의 상부측에 위치되게 축(23)으로 지지축(24)과 연결축봉(25)에 의해 연결지지된 가동틀체(18)(18a)의 하단 양측에는 전면으로 돌출편(26)(26a)을 형성하여 일단이 이동틀체(7)에 핀(17)으로 유설된 밀편(16)(16a)의 타단과 연결바아(27)(27a)의 일단이 핀(17a)으로 고정되어 지도록하며, 상기 연결바아(27)(27a)의 타단부는 연결축봉(28)으로 페달(30)과 일정각도가 유지되는 상태로 용착 형성된 작동바아(29)(29a)의 일단과 연결지지되어 있다.
한편, 일측의 작동바아(29)에는 페달(30) 조작시 접촉판(31)에 접촉되어지거나 떨어져 온, 오프 조작되어지는 리미트스위치(32)가 고정설치 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30)은 브라켓트(33)에 축봉(3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코일스프링(35)으로 탄력설치되어 있고, 페달(30)의 일단은 본체(1)에 형성된 조작홈부(1c)에 돌출되게 관통되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틀체(18)(18a)의 고정축(20)양단으로는 구동모우터(36)로부터동력을 전달받은 제1풀리(37) 및 제2풀리(38)가 각각 축착되어 있으며, 브러쉬(22)가 축설된 브러쉬 지지판(21)(21a)의 축(23)단부로는 브러쉬(22)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3풀리(3))를 설치하여 제2풀리(3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하며, 가동틀체(18)(18a)의 지지축(24)의 일단으로는 이동틀체(7)의 워엄기어(1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5풀리(41)와 연결되어지는 제4풀리(40)가 각각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풀리들은 통상의 벨트수단에 의해 연동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우터(36)는 메인스위치(42)와 리트스위치(32)에 각각 전원연결되어져 있으며, 이는 메인스위치(42)의 온, 오프조작에 의해 구동되거나 정지되는 것이며, 또한 메인스위치(42)를 온기킨 상태에서 페달(36)조작시 리미트스위치(32)의 동작에 의해서도 선택적으로 정지 또는 구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찌꺼기는 배출공(43)과 배출호스(4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즉,제3도는 고기구이판(4)의 세척작업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의 조립 단면도로서, 구동모우터(3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있는 제3풀리(39)의 회전에 의해 브러쉬(22)가 회전하면서 고기구이판(4)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음식찍꺼기가 닦여지는 것이며, 이때 이동틀체(7)의 일측에 축설된 제5풀리(41)역시 연동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동축상으로 설치된 워엄기어(15)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에 치합된 워엄(14)이 회전하게 되어 회동축(8)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편(9)으로 회동축(8)상에 연결된 고정판체(5)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져 이의 상면에 재치된 고기구이판(4)의 둘레 전체면이 브러쉬(22)에 의해 골고루 닦여 지는 것이다. 한편, 회전되고 있는 고정판체(5)는 조절편(9)이 제5도의 (a)도 및 (b)도에서와 같이 브러쉬(22)와 고기구이판(4)의 마찰에 의해 받침편(6)의 상부 유동홈(6a)이나 또는 회동축(8)의 하부 유동홈(8a)내에서 자유자재로 유동되어져 세척되는 고기구이판(4)의 어떠한 형태에도 구애받지 않고 세척할 수 있으며, 스프링(12)에 의해 탄력적으로 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방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스프링(12)의 원력에 의해 항상 고기구이판(4)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이동틀체(7)는 가이드봉(13)(13a)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있는 것이며, 페달(30)은 조작홈부(1c)에서 코일스프링(35)에 의해 상승되어져 있고 그에따라 축봉(34)에 의해 브라켓트(33)에 유설되고 일단이 상기 패달(30)과 융착된 작동바아(29(29a)는 이에 연결축봉(28)으로 연결되어진 연결바아(27)(27a)를 후방측으로 항상 밀고 있기 때문에 이의 일단이 유설된 가동틀체(18)(18a)는 고정축(20)을 중심으로 하단부가 후방측으로 가압되어짐과 동시에 상단 전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브러쉬 지지판(21)(21a)은 상기 가동틀체(18)(18a)의 하단과는 반대로 작용되어져 이에 축착된 브러쉬(22)는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항상 세척실(2)내의 고기구이판(4)상면에 밀착되어져 있어 음식찍꺼기를 깨끗하게 닦아 낼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시 닦여진 찌꺼기는 바닥판(2a)에 형성된 배출공간(43)과 연결된 배출호스(44)를 통해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새척이 완료된 고기구이판(4)을 빼내고 교체할 경우에는 페달(30)을 하방으로 밟는다.
그러면 이떼 페달(30)은 축봉(34)을 중심으로 코일스프링(35)에 반력을 가하면서 강제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리미트 스위치(32)가 전면의 접촉판(31)에 접촉됨과 동시에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모우터(36)는 회전이 일시 중단되고 이와 연결된 작동바아(29(29a)와 연결바아(27)(27a)는 자연 전방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바아(27)(27a)오 연결되어진 가동틀체(18)(18a)의 하단부가 지지편(19)에 횡설 지지된 고정축(20)을 중심으로 선회이동되어지면서 돌출편(26)(26a)에 유설된 밀편(16)(16a)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편(16)(16a)과 연결된 이동틀체(7)는 가이드봉(13)(13a)에 의해 전방으로 안내이송되어지고 이때 회동축(8)에 고정설치된 고정판체(5)는 수평상태로 세척실(2)의 전면쪽으로 함께 이동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며, 배출되어진 고정판체(5)상에 다른 고기구이판(4)을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이동틀체(7)에 의해 고정판체(5)가 세척실(2)의 전면으로 돌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판체(5)의 상면에 위치해 있던 브러쉬(22)는 고정축(20)을 중심으로 가동틀체(18)(18a)의 하단부가 전면으로 당겨진 거리만큼 이와일체로 돌출 형성된 브러쉬 지지판(21)(21a)은 반대로 작용이 이루어져 축(23)으로 연결지지되어 있는 브러쉬(22)를 세척실(2)애세서 상측으로 돌려지게 하여 기구이판(4)이 고정판체(5)에 의해 배출 이동될때 아무런 간섭없이 이동되어 질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페달을 발고 있는 상태에서는 리미트스위치(32)에 의해 구동모우터(36)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이와 연동되는 제1,제2,제3,제4,제5풀리(37)(38)(39)(40)(41)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판체(5)와 브러쉬(22)는 상기한 고기구이판(4)교체 작업시에는 일시적으로 회전이 중지되어 그에 따른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하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기구이판(4)의 교체가 완료되어져 세척을 하고자할 경우에는 밟고 있던 페달(30)을 놓으면 코일스프링(35)의 탄력에 의해 축봉(34)을 중심으로 원상복귀되어지는 동작에 따라 각 부재들은 제3도에 도시된 상태로 동작되어져 세척작업이 다시 시작되어지는 것이며, 리미트스위치(32)의 동작에 의해 정지상태에 있던 구동모우터(36)역시 구동되어져 브러쉬(22)와 고정판체(5)는 각 풀리들의 연동으로 회전이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조작방법에 위해 연속적으로 고기구이판(4)의 세척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메인스위치는 세척의 최초 운전시에는 ON상태로 위치시키고 세척작업이 완료되어 완전히 정지시켜 경우에만 오프상태로 조절하여 주면 부주의로 페달을 조작하더라도 세척기는 작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페달(30) 조작에 의해 고기구이판(4)이 재치되는 고정판체(5)와 브러쉬(22)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고기구이판의 교체가 신속 용이할 뿐 아니라 고정판체(5)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전체면을 골고루 세척 해낼 수 있는 특단이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고정판체(5)가 원형으로 반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고기 구이판(4)의 형태에 따라 제작이 얼마든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통상의 고기 구이판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에 있어서, 고기구이판(4)이 재치되는 고정판체(5)의 하부로는 상부 유동홈(6a)이 요설된 받침편(6)을 형성하며, 이동틀체(7)에 워엄(14)과 워엄기어(15)의 치합 구동에 의해 회전되게 축착된 회동축(8)의 상단으로는 하부 유동홈(8a)을 상부 유동홈(6a)과 반대 방향으로 요설하여 이들사이로 조절편(9)을 고정핀(10)(11)으로 유설함과 동시에 스프링(12)을 개지시켜 회전시 탄력요동되게 하고, 회동축(8)이 축착된 이동틀체(7)는 한쌍의 가이드봉(13)(13a)을 따라 밀편(16)(16a)의 조절에 의해 전, 후이송되게 하며, 상기, 밀편(16)(16a)이 연결되고 페달(30) 조작에의해 고정축(20)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가동틀체(18)(18a)의 상부 전면으로는 브러쉬(22)를 축(23)으로 횡설하기 위한 브러쉬 지지판(21)(2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30)과 일단이 축봉(34)에 용착되어진 작동바아(29)(29a)에는 메인스위치(42)와 구동모우터(36)에 전원연결된 리미트스위치(32)를 고정설치하여 페달(30)조작시 선택적으로 온, 오프 동작되게 하며, 상기 고정판체(5)와 브러쉬(22)는 구동모우터(3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제2,제3,제4,제5풀리(37)(38)(39)(40)(41)의 연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어지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판 세척기.
KR1019930023714A 1993-11-09 1993-11-09 고기구이판 세척기 KR950008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714A KR950008356B1 (ko) 1993-11-09 1993-11-09 고기구이판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714A KR950008356B1 (ko) 1993-11-09 1993-11-09 고기구이판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466A KR950013466A (ko) 1995-06-15
KR950008356B1 true KR950008356B1 (ko) 1995-07-28

Family

ID=1936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714A KR950008356B1 (ko) 1993-11-09 1993-11-09 고기구이판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7704A (zh) * 2020-12-23 2021-04-09 徐超 一种餐饮行业用自动清洗餐碟的装置
KR102632059B1 (ko) * 2023-03-13 2024-02-01 삼화정공사주식회사 돌솥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466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292B2 (en) Automatic roller wringer
KR950008356B1 (ko) 고기구이판 세척기
CN110710900B (zh) 一种基于食品安全化加工的蛋清自动化分离系统
CN112122224A (zh) 一种甘蔗叶片清洗装置
CN213172968U (zh) 一种纺织用染缸清洗装置
CN113729541B (zh) 一种家用可调节玻璃擦洗设备
CN114347111B (zh) 一种家用甘蔗切段清洗设备
KR20030086121A (ko) 자동 신발세척기
CN114042667A (zh) 一种油烟机表面清洁装置
CN211460108U (zh) 一种自动洗鞋机
KR200316671Y1 (ko) 구이판 세척장치
CN112706332A (zh) 一种橡胶轮胎制作毛边刮除机
KR200316612Y1 (ko)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KR960003547Y1 (ko) 고기구이판 세척장치
CN112450747B (zh) 一种家用面包机的防尘结构
KR200481340Y1 (ko) 브러쉬 간격 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자동 세척기
US2715409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tray movable in a tank
KR20010092923A (ko) 고기 구이판 자동 세척장치
CN113170905B (zh) 一种土豆便捷清洗装置
CN113331707B (zh) 一种便于煎饼生产的烙饼装置
CN213558714U (zh) 一种甘蔗叶片清洗装置
CN215501076U (zh) 一种蛋黄饼干烘烤炉传送装置
CN113070249B (zh) 一种自行车链条油污自动清洗设备
CN216652224U (zh) 一种平板拖把清污分离清洗装置及平板拖把
CN220001652U (zh) 驱动机构及机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