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366A - 컴퓨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컴퓨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366A
KR20010092366A KR1020010013383A KR20010013383A KR20010092366A KR 20010092366 A KR20010092366 A KR 20010092366A KR 1020010013383 A KR1020010013383 A KR 1020010013383A KR 20010013383 A KR20010013383 A KR 20010013383A KR 20010092366 A KR20010092366 A KR 20010092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mputer case
computer
bottom suppo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휘
Original Assignee
안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휘 filed Critical 안휘
Publication of KR2001009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컴퓨터 케이스에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장치들이 고정되고 수납된다. 컴퓨터 케이스는 저면 받침과, 양측 지지대, 정면 및 배면 패널, 덮개를 구비한다. 저면 받침 위에는 컴퓨터의 메인보드가 얹어진다. 양측 지지대는 저면받침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정면 패널 및 배면 패널은 저면 받침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위치한다. 덮개는 내부 장치를 덮어준다. 이들 구조물들은 단면 형상이 대체로 일정하다.

Description

컴퓨터 케이스 {COMPUTER CASE}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구비되는 주회로기판, HDD, FDD,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저장장치, 파워서플라이 등의 각종 하드웨어 장치가 고정되고, 이들 하드웨어 장치가 수납되는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케이스에는 주회로기판(메인보드), HDD, FDD, CD-ROM 드라이브, DVD 와 같은 저장장치 및 파워서플라이 등 각종 하드웨어 장치가 고정되고, 이들 장치들이 수납된다. 통상의 데스크탑 컴퓨터의 컴퓨터 케이스는 하드웨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결합되고 이 내부프레임을 감싸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프레임은 본체의 바닥 및 배면과 내부 골격을 구성하는 것이다. 보통, 강판을 절단하여 필요한 형상으로 절곡한 여러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부품들은 서로 용접하거나 나사로 고정하여 조립된다. 여기에 각종의 하드웨어가 고정되므로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외부 하우징은 본체의 정면, 평면 및 좌우측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평면 및 좌우측면을 구성하는 부품은 주로 강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단일 부품으로 제조된다. 정면을 덮는 부품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한다. 이들 하우징 부품들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하우징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각종 하드웨어 장치가 수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하되 각각의 부품들은 단면 형상이 일정하여, 예를 들면 압출성형과 같이 금속재료를 금형의 출구를 통과시켜 가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벽에 방열 핀을 부가하여 열방출이 잘 되는 컴퓨터 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벽에 내부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 하여 외부로의 소음 방출이 감소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하였을 때 콤팩트한 구조로서 운반이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로서, 상부덮개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컴퓨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컴퓨터 케이스 주요 부품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a)는 본체의 단면도, (b)는 칸막이의 단면도, (c)는 장착 구조물의 단면도, (d)는 정면 패널의 단면도.
도4는 도1의 컴퓨터 케이스에 컴퓨터의 각종 하드웨어 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가 보이도록 상부 덮개와 정면 패널을 도시하지 않은 도면.
도5는 도1의 케이스에서 메인보드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상기 제1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
도7은 도6의 컴퓨터 케이스에 구비되는 본체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로서, 컴퓨터를 뉘여 놓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세워 놓은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9는 도8의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로서, 컴퓨터를 세워 놓은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10 내지 12는 도8의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로서, 상부 덮개, 연결막대를 제거하고 도시한 도면.
도13 내지 도15는 도8의 컴퓨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16은 도8의 컴퓨터 케이스의 일부 조립 상태를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으로서, 연결막대, 공기흐름안내부재 등을 도시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17은 도8의 컴퓨터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18은 도8의 컴퓨터 케이스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180도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19는 도8의 컴퓨터 케이스에 메인보드 등의 하드웨어 장치를 일부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20 및 도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로서, 내부가 보이도록 덮개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22 내지 도24는 도20의 컴퓨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25는 도20의 컴퓨터 케이스의 조립된 상태를 정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도면.
도26은 도20의 컴퓨터 케이스의 주요 구조물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27 내지 도29는 도20의 컴퓨터 케이스를 조립해 가는 과정에서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0은 도20의 컴퓨터 케이스의 배면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31 및 도32는 도20의 컴퓨터 케이스의 상부 덮개를 열고 닫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3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사시도.
도34 및 도35는 도33의 컴퓨터 케이스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36은 도33의 컴퓨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37은 도33의 컴퓨터 케이스의 조립 상태를 정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
도38은 도33의 컴퓨터 케이스의 주요 구조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39는 도33의 컴퓨터 케이스의 모서리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0은 도33의 컴퓨터 케이스의 배면 패널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컴퓨터 케이스는 다수의 구성부품을 구비한다. 각각의 구성부품은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일정하다. 이러한 구조의 구조물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를 압출성형 가공과 같은 가공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의 하드웨어 장치들이 고정되고 수납되는 컴퓨터 케이스로서,
컴퓨터의 메인보드가 얹어지되,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저면 받침과,
상기 저면 받침 일측에 위치하며 저면 받침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제1 지지대와,
상기 저면 받침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며 저면 받침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제2 지지대와,
상기 저면 받침의 앞쪽에 위치하는 정면패널과,
상기 저면 받침의 뒤쪽에 위치하는 배면 패널과,
상기 저면 받침과 마주보면서 위쪽을 덮어주는 상면 덮개를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가 제공된다.
통상 데스크탑 컴퓨터의 케이스는 폭을 높이에 비해 넓게 한 형태(뉘어 놓는 형태)의 것과, 폭에 비하여 높이가 높은 형태(세워놓는 형태)의 것이 있다. 또 어떤 것들은 뉘어놓을 수도 있고 세워놓을 수도 있는 형태의 것도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 케이스도 뉘어 놓는 형태, 세워 놓는 형태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용어의 통일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놓이는 형태에 관계없이, 컴퓨터의 주회로기판(메인보드)이 장착되는 쪽을 받침이라 하고, 그 양측을 지지대라고 하며, 받침의맞은 편을 덮개라고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40)는, 저면의 받침(43)과 그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좌측 지지대(41)와, 우측지지대(42)를 일체로 형성한 본체(44)를 구비한다. 컴퓨터 케이스(40)는 상기 본체(44)의 안쪽을 앞뒤로 나누며 좌우로 연장되는 칸막이(45)와, 정면 패널(46), 배면 패널(47), 상부 덮개(48) 및 장착 구조물(49)을 더 구비한다.
도2 및 도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4)는 전후방향을 따라 가면서 대체로 동일한 단면 형상이 유지된다. 본체(44)의 받침(43)에는 2개의 고정용 레일(431)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 우측지지대(41,42)에는 전후방향으로 뚫린 공기가 순환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통로(412,4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순환통로(412,422)의 후단 가까운 안쪽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413,42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 우측지지대(41,42)의 서로 마주보는 옆면에는 컴퓨터의 내부와 연통하는 구멍(414,42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지지대(41)에 있는 연통구멍(414)은 전방에 치우쳐 마련되며, 우측 지지대(42)에 있는 연통구멍(424)은 후방에 치우쳐 마련된다. 좌, 우측지지대(41,42)의 상단부 부근에는 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부 덮개(48)가 장착되어 조립되는 단턱부(411,421)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의 본체(44)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을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가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음재(413,423)를 공기순환통로(412,422) 내에 끼워 설치한다. 연통구멍(414,424)과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본체(44)의 제조가 마무리된다. 좌, 우측지지대(41,42)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된다.
레일(431)이 받침(43)의 윗면에 마련된다.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되도록 수직부(431a)가 윗면에서 돌출된다. 수직부(431a)의 끝에서는 수직부(431a)에 수직으로 꺾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부(431b)가 연장된다. 서로 마주보는 단부(431c)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 레일(431)을 이용하여 각종 부품들을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칸막이(45)는 양측 지지대 사이에 그리고 받침(43) 위에 조립되어 컴퓨터 안쪽 공간을 앞과 뒤로 구획한다. 이 칸막이의 위치는 주회로기판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이로써, 컴퓨터 내부는 제1실(50)과 제2실(51)로 구획된다. 칸막이(45)는 하단부에 고정대(451)가 형성되어 본체(44)의 레일(431)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쪽에는 제1실(50) 및 제2실(51)을 연통함과 동시에 제1실(50) 및 제2실(51)에 설치되는 장치들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등이 통과하는 통로구멍(4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45)의 상단부에는 고정편(453)이 나사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어, 이 고정편(453)에 상부 덮개(48)를 고정하면, 덮개(48)와 칸막이(45)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칸막이(4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을 압출성형하여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통로구멍(452) 및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별도로 제작된 고정편(453)을 고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금속판재를 성형가공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면, 정면 패널(46)은 본체(44)의 정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제1실(50)에 설치되는 CD-ROM 및 FDD와 대응하는 위치에 CD-ROM 및 FDD의 노출을 위한 노출구멍(461,462)이 형성된다. 도3d를 참조하면, 정면 패널(46)은 앞판의 상하단에서 뒤쪽으로 꺾여 연장된 후, 아랫쪽 것은 다시 위쪽으로 꺾여 연장되고, 윗쪽 것은 다시 아래쪽으로 꺾여 연장된 후, 모두 다시 뒤쪽으로 꺾여 연장되어 단턱부(463,464)가 형성된다. 이 단턱부(463,464)는 상부 덮개(48) 및 받침(43)과의 조립을 위한 것이다. 정면 패널(46)의 상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된다.
이러한 구조의 정면 패널(46)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도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노출구멍(461,462) 및 조립용 나사구멍들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배면 패널(47)은 본체(44)의 배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메인보드의 규격에 따라 메인보드에 설치되는 각종 카드장치의 기능접속구 및 메인보드에 직접 설치되는 기능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471,472)이 형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 각종 카드의 한쪽 단부가 각종 커넥터와 접속을 위해 노출되는 접속구멍(471)의 근접 위치에는 고정브래킷(473)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배면 패널(47)은 압출성형 후 후가공을 하여서도 제작이 가능하나,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상부 덮개(48)는 좌, 우측지지대(41,42), 정면패널(46) 및 칸막이(45)의 상단에 조립되는 것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판상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조한 후,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통상의 금속판재로 제조할 수도 있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면, 장착 구조물(49)은 제1실(50)에 위치하며, 레일(431)에 고정된다. 장착 구조물(49)은 상부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수납하기 위한 제1공간부(491)가,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FDD 및 HDD를 수납하기 위한 제2공간부(492) 및 제3공간부(493)가 형성되도록, 상, 하를 구획하는 수평판(494) 및 4개의 측판(495,496,497,498)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좌측 및 중간 측판(497,498)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 고정대(497a,498a)가 형성되어 레일(431)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우측 측판(495)의 상단부에도 수평방향 고정대(495a)가 형성되어 우측지지대(42)의 단턱부(421)와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장착 구조물(49)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도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조립용 나사구멍들을 가공하여 제조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컴퓨터 케이스(40)는 좌, 우측지지대(41,42)의 공기순환통로(412,422) 양 끝단에 끼워지는 제1 내지 제4마개(52,53,54,55)를 구비한다.
제 1 마개(52)는 좌측지지대(41)의 전방측 공기순환통로(412) 끝단에 끼워지는 것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되어 있다. 제 2 마개(53)는 좌측지지대(41)의 후방측 공기순환통로(412) 끝단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531)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마개(54)는 우측지지대(42)의 후방측 공기순환통로(422) 끝단에 끼워지는 것으로, 제 2 실(5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541)이 형성되어 있다. 제 4 마개(55)는 우측지지대(42)의 전방측 공기순환통로(422) 끝단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끝단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마개(52,53,54,55)는 플라스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들 마개들은 정면 패널, 좌, 우측지지대 및 배면 패널 사이의 모서리부분을 덮어주며, 그 컴퓨터 케이스의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처리되도록 각 마개의 모서리도 둥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 본체 케이스(40)의 조립은,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4)의 정면에 정면 패널(46)을 위치시켜 정면 패널(46)의 하측 단턱부(464)와 받침(43)의 고정용 레일(431)을 나사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고, 정면 패널(46)의 상측 단턱부(463)를 좌, 우측지지대(41,42)의 단턱부(411,421)에 나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배면 패널(47)은 본체(44)의 배면에 위치시켜 좌, 우측지지대(41,42)와 나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칸막이(45) 및 장착 구조물(49)은 받침(43)의 레일(431) 위에 위치시켜 각각의 고정대(451,497a,498a)를 고정용 레일(431)과 나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상부 덮개(48)는 본체(44)의 상면에 위치시켜 좌, 우측지지대(41,42) 및 정면 패널(46)의 단턱부(411,421,463)와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이어서 제 1 마개(52) 및 제 2 마개(53)를 좌측지지대(41)의 공기순환통로(412) 양 끝단에 각각 끼워서 조립한다. 제 3 마개(54) 및 제 4마개(55)는 우측지지대(42)의 공기순환통로(422) 양 끝단에 각각 끼워서 조립한다.
도4는 본체(44)에 각종 하드웨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50)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56), FDD(57), HDD(58) 및 파워서플라이(59)가 설치된다. 광디스크 드라이브(56)는 장착 구조물(49)의 제 1 공간부(491)에 위치시키고 장착 구조물(49)과 나사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FDD(57) 및 HDD(58)는 제 2 및 제 3 공간부(492,493)에 각각 위치시키고 장착 구조물(49)과 나사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 2 실(51)에는 메인보드(60) 및 각종 회로카드장치(61)가 설치되는 것으로, 메인보드(60)는 레일(431) 위에 올려놓고,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13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메인보드(60)에 고정된 고정구(132)는 목을 통하여 연장되는 머리(132a)를 구비한다. 이 머리(132a)는 상기 레일(431)의 공간(431a)에 끼워진다. 이와는 달리,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33) 및 너트(134)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레일의 고정공간(431a)에 볼트(133)를 조립한다. 볼트(133)의 머리를 레일 한쪽 끝에서 넣어 밀어서 이동시키면 공간(431a)에 넣을 수 있다. 그 후 볼트(133)에 절연용 재료로 이루어진 와셔(133a)를 넣고, 메인보드(60)를 끼운 후 다시 와셔(133a)를 넣고 너트(134)로 고정할 수 있다.
각종 회로카드장치(61)는 메인보드(60)에 세워진 라이저 카드의 슬롯에 꽂은 후, 배면 패널(47)에 형성한 접속구멍(471)을 통해 접속부품들을 노출시키고 고정브래킷(473)에 나사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면 패널(47)의 또 다른 접속구멍(472)으로는 메인보드(60)에 구비된 기능접속부품,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전원콘센트 등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50)과 좌측지지대(41)의 공기순환통로(412)를 연통하는 연통구멍(414)과, 제 2 실(51)과 우측지지대(42)의 공기순환통로(422)를 연통하는 연통구멍(424)에는 송풍팬(62,63)을 각각 설치한다. 제 1 실(50)측 송풍팬(62)은 공기순환통로(412)로부터 제 1 실(50)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고, 제 2 실(51)측 송풍팬(63)은 제 2 실(51)로부터 공기순환통로(422)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여 공기가 경로를 따라 강제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실(50) 및 제 2 실(51)에 설치된 각종 하드웨어의 과열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마개(53) - 좌측지지대(41)의 공기순환통로(412) - 제 1 실(50) - 칸막이(45)의 통로구멍(452) - 제 2 실(51) - 우측지지대(42)의 공기순환통로(422) - 제 3 마개(54)를 경유하는 순서로 공기가 이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는 달리, 반대로 공기순환시킬 수도 있다. 즉, 제 3 마개(54) - 우측지지대(42)의 공기순환통로(422) - 제 2 실(51) - 칸막이(45)의 통로구멍(452) - 제 1 실(50) - 좌측지지대(41)의 공기순환통로(412) - 제 2 마개(53)를 경유하는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제2실의 CPU가 있는 공간을 먼저 통과하게 된다.
도6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케이스에는 힌지부(442)를 거쳐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443)가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도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44)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지지대(41)의 상부에 힌지구멍(441)을 가지는 힌지부(442)를 구비한다. 힌지구멍(441)에 디스플레이장치(443)의 힌지축이 끼워져 회전이 가능해진다. 다시 도6을 참조하면, 본체(44)에는 손잡이(502)가 마련된다. 손잡이(502)는 본체(44) 일측에 마련된 손잡이 지지대(504)에 힌지 결합된다.
제2 실시예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컴퓨터(10)는 일체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11)를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컴퓨터(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13)를 구비한다. 도8을 참조하면, 컴퓨터 케이스(13)에 내장되는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를 도시한 화살표(A)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10)를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1)의 화면(111)이 노출되도록 목부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자전)한다. 도8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화면과 도9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서로 위와 아래가 바뀌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내부에 장착되는 그래픽보드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를 수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하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그래픽카드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의 수정은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8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컴퓨터 케이스(13)는 저면 받침(14)과, 좌측지지체(15)와, 우측 지지체(16)와, 정면 패널(17)과 배면 패널(18), 상부 덮개(19)를구비한다. 도10 내지 도12는 내부에 장착된 장치들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상부 덮개(19)와 후술하는 지지프레임을 형성하는 일부 막대를 생략하고 도시한 것이다. 내부의 앞쪽에는 CD-ROM, HDD, FDD 등의 저장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구조물(22,23)이 있고, 뒤쪽에는 메인보드(25)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보드(25) 위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카드 장치(26)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보드(25)의 CPU의 위쪽에는 공기흐름 유도부재(27)가 설치된다.
도13, 도14, 도16, 도17의 (a) 및 (b)을 참조하여 저면 받침(14)을 설명한다. 받침(14)은 제1 받침부재(141)와 제2 받침부재(142)로 이루어진다. 제1 받침부재(141)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받침부재의 편평한 판(1411) 위에는 2개의 레일(1412)이 마련된다. 좌측 단부에는 좌측 지지체(15)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4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우측 단부에는 제2 받침부재(14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홈(1414)이 마련된다.
제2 받침부재(142)에는 편평한 판(1421)의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1개의 레일(1422)이 마련된다. 좌측 단부에는 제1 받침부재(141)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423)가 마련되어 있으며, 우측 단부에는 우측 지지대(16)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424)가 마련된다.
받침(14)을 구성하는 제1 받침부재(141)와 제2 받침부재(142)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압출 성형하여 만들며, 성형 후 나사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후가공을 거쳐 완성된다. 제1 받침부재의 우측 단부의 결합 홈(1414)에 제2 받침부재의 좌측 단부에 있는 결합돌기(1423)를 끼워서 조립하면, 최종적으로 받침(14)을구성할 수 있다.
도8 내지 도16 및 도17의 (f)를 참조하여 좌측지지체(15)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측 지지체(15)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좌측 지지체(15)는 수직판(151)과, 판(151)의 상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날개(152)와, 하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날개(153)를 구비한다. 수직판(151)의 안쪽에는 안쪽으로 돌출한 장착 돌기(154)가 마련된다. 이 돌기(154)에는 컴퓨터에 내장되는 파워서플라이의 발열 부품이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된다.
상부 날개(152)의 하측에는 돌출 연장되었다가 다시 꺾이어 날개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나사 고정 구조물(1521)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날개의 끝부분에는 파워서플라이 결합홈(1522)이 마련되어 있다. 끝단에는 후술하는 상부 덮개(19)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을 형성하는 단턱 돌기(1523)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날개(153)의 상측에는 돌출되었다가 다시 꺾이어 연장되는 나사 고정 구조물(1531)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날개의 끝부분에는 파워서플라이 결합홈(1532)이 마련되어 있다. 끝단에는 제1 받침부재(141)의 좌측 결합돌기(1413)가 끼워지는 결합홈(1534)이 형성되어 있다.
파워서플라이 결합홈(1522,1532)에는 파워서플라이 회로 기판(31)이 끼워진다. 파워서플라이 회로 기판(31)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들이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발열부품은 직접 좌측 지지체(15)에 부착하여 빠른 냉각을 꽤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파워서플라이는 통상의 것과는 달리 별도의 하우징이 없이 기판만을 장치 내에 고정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로 기판(31)은 좌측 지지체(15) 내에 자연스럽게 공기 흐름 덕트를 형성할 수 있다.
좌측 지지체(15)의 중간부분에는 구멍(155)이 형성되어 있다. 그 구멍(155)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지지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장치(156)가 연장된다. 좌측 지지체(1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압출 성형하여 알맞은 길이로 절단한 후 힌지장치를 위한 구멍(155)을 후가공으로 형성하면 완성된다.
도13을 참조하면, 힌지장치(156)는 제1 힌지부재(1561)와 제2 힌지부재(1562)를 구비한다. 제1 힌지부재(1561)와 제2 힌지부재(1562)는 각각 힌지축 형성부(15611,15612)를 구비한다. 이들 힌지축 형성부(15611,15621)는 서로 결합하여 원통형의 힌지축을 형성한다. 각 힌지부재(1561)는 힌지축 형성부(15611,15621)로부터 연장되어 90도 구부러진 목 형성부(15612,15622)가 마련된다. 이들이 결합하여 목부(1563)를 형성하며, 목부가 좌측 지지체(15)의 구멍을 통하여 밖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도8,도9 참조). 도13과 도18을 참조하면, 목부(1563) 내에는 원기둥형의 자전 힌지축 삽입공간(1564)이 마련된다. 한편, 힌지축과 목부의 중앙에는 도선(와이어)이 지나갈 수 있도록 통로가 마련되는데, 이를 위하여 힌지축 형성부(15611,15621)와 목형성부(15612,15622)에는 홈(1566)이 파여 있다.
힌지장치(156)는 자전 힌지 받침(1565)이 더 구비된다. 자전 힌지받침(1565)은 받침대(15651)와, 받침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공간(1564) 내에 삽입되는 자전 힌지축(15652)을 구비한다. 받침대(15651) 위에 디스플레이 장치(11)가 고정된다. 자전 힌지 받침(1565)의 중심에는 와이어 통로가 마련된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 힌지축(15652)의 축방향 이동은 각 힌지부재(1561,1562)에 마련된 턱에 의해 제한된다.
자전 힌지축(15652)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마련되며, 삽입공간(1564) 내면에는 이에 맞물리는 암나사가 마련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키면, 자전 힌지축(15652)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이동은 상기 턱에 의해 제한되어 결국, 자전 힌지축(15652)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므로, 와이어통로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자전 힌지축(15652)의 회전 가능범위는 180도 내지 3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힌지부재(1561,1562)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축은 도13에 도시한 축지지부재(157)에 의해 지지된다. 축 지지부재(157)은 좌측 지지체(15)에 고정되어 힌지축이 삽입되고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준다(도16 참조). 도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립 시 축지지부재(157)의 말단부가 좌측지지체(15)의 판(151)과 어느 정도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힌지축의 마멸에 의해 헐거워졌을 때, 축지지부재(157)를 판(151)쪽으로 더 가깝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힌지장치의 각 부재들은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8 내지 도14, 도16, 도17의 (c)를 참조하여 우측 지지체(16)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측 지지체(16)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우측 지지체(16)는 수직판(161)과, 판(161)의 상단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날개(162)와, 하단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날개(163)를 구비한다. 상부 날개(162)의 끝단에는 후술하는 상부 덮개(19)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을 형성하는 단턱 돌기(1623)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날개(163)의 끝단에는 저면 받침의 우측 받침부재(142)에 있는 결합돌기(1424)가 삽입되는 결합홈(1634)이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된다. 우측 지지체(16)에는 상기 좌측 지지체(15)에 마련된 나사 고정용 리브 구조물과 동일한 형상의 나사 고정용 리브 구조물(165)이 마련된다. 우측 지지체(16)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압출 성형하여 알맞은 길이로 절단하고, 나사 구멍 등의 후가공을 하여 완성한다.
도8 내지 도15, 도17의 (g)를 참조하면, 정면 패널(17)은 정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내부에 설치되는 CD-ROM 및 FDD와 대응하는 위치에 CD-ROM 및 FDD의 노출을 위한 노출구멍(171)이 형성된다. 정면 패널(17)은 앞판의 상하단에서 뒤쪽으로 꺾여 연장된 후, 아랫부분은 다시 위쪽으로 꺾여 연장되고 윗부분은 다시 아래쪽으로 꺾여 연장된 후, 다시 뒤쪽으로 꺾여 연장되어 단턱부(173,174)가 형성된다. 이 단턱부(173,174)는 상부 덮개(19) 및 받침(14)과의 조립을 위한 것이다. 정면 패널(17)의 상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된다. 정면 패널(17)에는 상기 좌측 지지체(15)에 마련된 나사 고정용 리브 구조물과 동일한 형상의 나사 고정용 리브 구조물(175)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의 정면 패널(17)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도17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노출구멍(171) 및 조립용 나사구멍 등을 후가공하여 제조한다.
도8 내지 도14, 도16, 도17의 (j)를 참조하면, 배면 패널(18)은 배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메인보드의 규격에 따라, 메인보드에 설치되는 각종 카드장치의 기능접속구가 노출되는 접속구멍(181)이 마련된다. 아울러 메인보드에 직접 설치되는 기능 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182)도 형성된다. E-IDE 연결 구멍(183)과 공기흡입구(184)도 마련된다. 공기 흡입구(184)에 인접해서 공기유동 안내장치(27)가 고정된다.
배면 패널(18)은 압출 성형하고, 여기에 각종 구멍을 형성하며, 나사 용 구멍을 후가공하여 제조한다. 도17의 (j)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배면 패널(18)은 구멍들이 형성되는 판(186)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는 날개(187,188)를 구비하되, 날개와 판 사이의 모서리부에는 단턱부(1871,1881)가 마련된다. 이 단턱부(1871,1881)에 받침(14)과 덮개(19)가 겹쳐져 고정된다. 각 날개(187,188)의 말단 부분은 둥글게 안쪽으로 말려있는 형상으로 가공된다.
도11, 도13과 도15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정면 패널(17)과 측면 지지대 사이에는 앞쪽 연결부재(28)가 개재된다. 연결부재(28)의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되어 있다. 양쪽 끝에는 정면 패널(17)과, 좌측 지지체(또는 우측지지체)의 안쪽과 닿아 나사 등으로 고정되는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한 쌍의 날개(282)가 마련된다. 날개(282)는 약간 안쪽으로 들어가 있어 단턱부(281)를 형성한다. 이 연결부재(28)는 금속재를 압출 성형하고 나사 구멍 형성 등의 후가공을 거쳐 완성된다. 정면패널(17)과 좌우측 지지체(15,16) 사이의 꼭지 부분에는 이를 둥글게 처리하기 위한 꼭지부재(29)가 마련된다. 한편, 배면 패널(18)과 좌우 측면 지지대(15,16) 사이에도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1,302)가 마련된다. 이 연결부재는 배면 패널(18)과 좌우 측면 지지대(15,16) 사이를 둥글게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3의 좌측 연결부재(301)에는 격자 그릴 형태의 공기 배출구를 마련해 두는 것이 좋다.
도8, 도13, 도16, 도17의 (d)와 (e)를 참조하면, 상부 덮개(19)는 제1 덮개부재(191)와 제2 덮개부재(192)로 이루어진다. 제1 덮개부재(191)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덮개부재의 편평한 판(1911) 아래에는 나사 고정용 리브 구조물(1912)이 마련된다. 좌측 단부에는 제2 덮개부재(19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9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우측 단부에는 우측 지지체의 단턱부(173)에 얹어진다(도16 참조).
제2 덮개부재(192)는 편평한 판(1921)의 아래쪽에 나사 고정용 리브 구조물(1922)이 마련된다. 좌측 단부는 좌측지지체의 단턱부(1523)에 얹어진다(도16 참조). 우측 단부에는 제1 덮개부재(191)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923)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19)를 구성하는 제1 덮개부재(191)와 제2 덮개부재(192)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압출 성형하여 만들며, 성형 후 나사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후가공을 거쳐 완성된다. 제1 덮개부재의 좌측 단부의 결합홈(1913)에 제2 덮개부재의 우측 단부에 있는 결합돌기(1923)를 끼워서 조립하면, 최종적으로 덮개(19)를구성할 수 있다. 덮개(19)는 컴퓨터 케이스(10) 내에 필요한 장치를 장착한 후 최종적으로 조립되며, 분리하기 용이하게 조립된다.
도10 내지 도13, 도16, 도17의 (h)와 (i)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장착 구조물은 두 개(22,23)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장착 구조물(22,23)은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동일한 단면을 유지하도록 압출성형된다.
장착구조물(22,23)은 아래에 레일(1412,1422) 위에 얹어져 고정되는 발(221,231)을 구비한다. 이들 장착구조물(22,23)은 서로 마주보면서, 아래쪽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위쪽에는 FDD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장착구조물(22,23)은 도16에 도시한 형상의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실시예에서의 장착구조물이나 그 외 구성의 장착구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정면 패널(17)에 형성된 노출구멍을 이에 맞추어 형성해줄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3과 도14를 참조하면, 컴퓨터 케이스(13)의 내부에는 앞뒤 방향 중앙부에 가로막대(20)와 세로막대(21)를 결합하여 지지 프레임을 형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가로막대(20)는 저면 받침(14)에 고정된다. 세로막대(21)는 각각 좌우측 지지체(15,16)에 고정된다. 이 프레임에 의해 받침(14)과 좌우측 지지체(15,16)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지지프레임에 의해 컴퓨터의 내부가 구획된다. 지지프레임의 앞쪽에는 저장장치 등이 배치되고, 뒤쪽에는 메인보드 등의 회로장치가 주로 배치된다.
도10 내지 도12, 도19를 참조하면, 공기흐름안내부재(27)는 메인보드(25)에설치된 CPU의 냉각 구조물(251) 위에 설치된다. 공기흐름안내부재(27)는 공기 흡입구(184)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흡입된 차가운 공기가 먼저 CPU를 냉각할 수 있도록 흐름을 안내한다. 공기흐름안내부재(27)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공기흐름안내부재(27)에는 아래 판(271)과, 양측 벽(272)을 구비하며, 판에서 돌출하고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지느러미(fin)(273)를 구비하여 CPU의 냉각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통과하는 공기에게 전달한다. 공기흡입구(184) 쪽에는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공기흐름안내부재(27)의 측벽은 상부 덮개(19)에 직접 접촉하도록 하면, 열이 금속을 통하여 외기와 접하므로 CPU의 냉각 효과가 더 우수해진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공기의 흐름은, 도10의 화살표로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흐름안내부재(27) 쪽으로 들어와서 먼저 CPU를 냉각시키고, 컴퓨터 내부를 통과하여, 파워서플라이 회로기판(31)에 의해 형성되는 덕트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컴퓨터 내부 적절한 위치에 송풍 팬을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제2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여러 개의 작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압출성형을 위한 금형제조비용을 낮추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받침대(15651)와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장치가 완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는 달리, 처음 제조 시에는 분리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사용 중에 필요에 따라, 이 둘 사이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폭보다 넓게 세워놓고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뉘여 놓은 상태로 설명한다. 도20 내지 도24를 참조하면, 컴퓨터 케이스(65)는 저면 받침(66)과, 좌측지지체(67)와, 우측 지지체(68)와, 정면 패널(69)과 배면 패널(70)과, 상부 덮개(71)를 구비한다. 도20 및 도21을 참조하면, 케이스 내부의 앞쪽에는 CD-ROM, HDD, FDD 등의 저장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구조물(72,73,74,75,751)이 있고, 뒤쪽에는 메인보드(78)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보드(78) 위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카드 장치(789)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보드(78)의 CPU의 위쪽에는 공기흐름 유도부재(80)가 설치된다.
도20, 도22 내지 도25, 도26의 (a) 및 (b)을 참조하여 저면 받침(66)을 설명한다. 받침(66)은 제1 받침부재(661)와 제2 받침부재(662)로 이루어진다. 제1 받침부재(661)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받침부재의 편평한 판(6619) 위에는 2개의 레일(6611)이 마련된다. 좌측 단부에는 좌측 지지체(67)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6614)가 마련되어 있다. 우측 단부는 제2 받침부재(662)의 단턱부(6624)에 위치하여 나사 등으로 결합된다. 레일(6611)은 제1 실시예에서의 레일과 동일한 형상이다.
판 위에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 감소용 리브 구조물(66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판 위의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형상이다. 즉, 도26의 (a)에서는 판에 대하여 45도, 90도, 135도 각도로 리브(6612a,6612b,6612c)가 돌출되어 있다. 공기의 진동은 리브와 리브 사이에서 또는 리브와 판 사이에서 감쇄하면서 받침부재(661)에 전달되어 받침부재(661)가 구성하는 컴퓨터 케이스의 외부로는 소음이 잘 전달되지 않는다.
제1 받침부재(661)의 외면에는 방열용 지느러미(6613)가 마련된다. 이 지느러미(6613)는 컴퓨터 케이스(65)를 우측 지지체가 아래로 가도록 세웠을 때, 그 끝이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6의 (b)에 도시된 제2 받침부재(662)에는 편평한 판(6629)의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레일(6621)이 마련된다. 좌측 단부에는 제1 받침부재(661)가 안착할 수 있는 단턱부(6624)가 마련된다. 우측 단부 근처에는 우측 지지대(68)의 홈(684)에 끼워지는 결합돌기(6625)가 마련된다. 우측 단부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있다. 제2 받침부재(662)는 상부에 소음감소용 리브 구조물(6622)이 다수 나란히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에 구비된 모든 소음감소용 리브 구조물은 제1 받침부재(661)에 있는 소음감소용 리브 구조물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하부에는 제1 받침부재의 지느러미와 동일한 구성의 지느러미(6623)가 다수 마련된다.
받침(66)을 구성하는 제1 받침부재(661)와 제2 받침부재(662)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압출 성형하여 만들며, 성형 후 나사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후가공을 거쳐 완성된다. 제1 받침부재의 우측 단부와 제2 받침부재의 좌측 단부를 맞추어 체결부재로 결합하면 최종적으로 받침(14)을 구성할 수 있다.
도20 내지 도25 및 도26의 (d)를 참조하여 좌측지지체(67)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측 지지체(67)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좌측 지지체(67)는 대체로 수직판(671)과, 판(671)의 상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날개(672)와, 하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날개(673)를 구비한다. 수직판(671)의 안쪽에는 소음감소용 리브 구조물(674)이 마련된다. 수직판(671)의 외측에는 방열용 지느러미(676)가 다수 마련된다.
상부 날개(672)의 하측에는 돌출되었다가 다시 꺾이어 연장되는 고정용 리브 구조물(675)과 소음감소용 리브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날개의 끝부분에는 단턱부(679)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날개(673)의 상측에는 고정용 리브 구조물(675)과 소음감소용 리브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 날개의 끝단에는 제1 받침부재(671)의 좌측 결합돌기(6614)가 끼워지는 결합홈(678)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날개와 하부 날개의 고정용 리브 구조물에는 각각 후술하는 장착 구조물(72,73)과의 결합을 제공한다. 한편, 좌측지지대(67)의 뒤쪽에는 칸막이(79)가 마련되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는 파워서플라이(P)가 장착된다.
도20 내지 도25 및 도26의 (d)를 참조하여 우측 지지체(68)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측 지지체(68)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우측 지지체(68)는 수직판(681)과, 판(681)의 상단부에 있는 상측 발굽(682)과 하단부에 있는 하측 발굽(683)을 구비한다. 컴퓨터를 상기 우측 지지체(68)가 아래로 가도록 세웠을 때, 상기 발굽(682,683)이 바닥에 닿게 된다.
우측 지지체(68)의 상단부의 상기 발굽 반대편에는 원호형상으로 말린 회전지지 돌기(686)가 마련된다. 이 돌기는 후술하는 상면 덮개(71)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하단부의 상기 발굽 반대편에는 제2 받침부재(662)의 우측 결합돌기(6625)가 끼워지는 결합홈(684)이 마련된다. 우측 지지체(68)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압출 성형하여 알맞은 길이로 절단하고, 나사 구멍 등의 후가공을 하여 완성한다.
도21 내지 도24, 도26의 (f)와 (g)를 참조하면, 정면 패널(17)은 정면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2개의 앞면 부재(699)와, 이들의 상단과 하단에서 결합되는 연결 막대(761)를 구비한다. 두 앞면부재(699)와 연결막대(761) 사이의 공간은 내부에 설치되는 CD-ROM 및 FDD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CD-ROM 및 FDD의 노출을 위한 노출구멍을 형성된다.
좌우의 앞면부재(699)는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는 길다란 부재를 적절히 잘라서 형성한 것이다. 앞면 부재(699)는 내측으로는 소음 감소용 리브 구조물(691)과, 나사고정용 리브 구조물(693)이 마련된다. 외면에는 방열용 지느러미(692)가 돌출되어 있다. 상하단에는 각각 날개(694,695)가 마련되며, 이 날개에 후술하는 연결막대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다. 날개(694,695)의 앞쪽에는 날개(694,695)와 수직으로 돌출한 결합돌기(696,697)가 마련된다.
연결막대(761)의 길이는 정면 패널(69)의 길이가 된다. 연결막대(761)의 단면 형상은 일정한데, 도26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7611)이 마련되어 앞면 부재(699)의 결합돌기(696,697)가 끼워진다. 결합홈(7611)과 떨어진 위치에 나사 홈(7612)이 마련된다. 앞면부재(699)의 날개 쪽에서 들어오는 나사의 나사산부분이 상기 나사홈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앞면부재(699)와 연결막대(761)가 결합된다. 연결막대(761)는 앞면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761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의 앞면 부재(699)와 연결막대(761)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도26의 (g),(f)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고, 조립용 나사구멍 등을 후가공한 후 서로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제조한다.
도20 내지 도24, 도27 내지 도30을 참조하면, 배면 패널(70)은 배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뒷면 부재(709)와 이 뒷면부재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연결 막대(762)로 구성된다. 뒷면 부재(709)는 메인보드의 규격에 따라, 메인보드에 설치되는 각종 카드장치의 기능접속구가 노출되는 접속구멍(701)이 마련된다. 아울러 메인보드에 직접 설치되는 기능 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702)도 형성된다. 공기흡입구(703)와 공기 출구(704)도 마련된다. 공기 흡입구(184)에 인접해서 공기유동안내장치(80)가 고정된다. 공기 출구(704)에는 냉각 팬이 부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 팬은 후술하는 안내 장치(80) 내에 설치하는 것도 좋다.
뒷면부재(709)는 금속 판재를 판재 성형 가공을 통하여 제조한다. 이 때, 각종 구멍이 형성된다. 상하단에 부착되는 연결막대(762)는 정면 패널(69)에 사용하는 연결막대(761)와 동일한 구조의 것을 사용한다.
도22, 도23, 도26의 (e), 도31, 도32를 참조하면, 상부 덮개(71)는 우측 지지대(6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덮개(71)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덮개부재의 편평한 판 아래쪽에는 돌출되어 나사를 고정하거나, 내부의 프레임에 받쳐지는 구조물(711,717,712)이 마련된다. 상부에는 방열용 지느러미(716)가 다수 마련된다. 좌측 단부는 좌측지지대(67)의 단턱부(679)에 얹어진다. 이 위치에서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덮개(71)와 좌측 지지대(67)를 조립하거나, 클램프(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고정 또는 해제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잠금장치를 이용하면 둘 사이를 결합할 수 있다.
우측 단부에는 회전지지돌기(686)의 중앙 홈에 끼워지는 원형의 회전축(714)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714)을 둘러싸는 원호상의 삽입홈(715)이 마련된다. 그 외부에는 상기 삽입홈(715)을 마련해 주기 위한 연장부(713)가 마련되어 있다. 도32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 지지대(68)에 있는 회전지지돌기(686)가 상기 삽입홈(715)에 끼워져 축받이 역할을 수행한다. 도31 및 도32는 덮개(71)를 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0 내지 도23, 도2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장착 구조물은 두 개(72,73,74,75,751)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장착 구조물(72,73,74,75,751)은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동일한 단면을 유지하도록 압출성형된다.
도25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구조물(72,73)은 각각 좌측 지지대(67)의 윗날개(672)와 아래 날개(673)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물(721,731)을 구비한다. 아울러, 적절한 위치에 벽을 세워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한다.
또한, 장착구조물(74,75,751)은 받침(66) 또는 우측 지지대(68)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장착구조물(74) 및 (751)에는 각각 리브형 돌기 또는 레일에 삽입되는 결합돌기(741,751)가 구비된다. 장착구조물(75)은 우측 지지대(68)에 고정된다. 이들 장착구조물(74,75,751)은 조립되어, HDD 또는 FDD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마련해준다. 이러한 장착구조물은 도시한 형상의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장착구조물이나 그 외 구성의 장착구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20 내지 도25, 도27 내지 도29를 참조하면, 컴퓨터 케이스(65)의 내부에는 다수의 세로막대(77)와 가로막대(76)를 위치시켜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앞뒤 방향 중앙부에 가로막대(76)와 세로막대(77)를 결합하여 지지 프레임을 형성해 주는 것이 좋다. 아래 가로막대(76)는 저면 받침(66)에 고정된다. 세로막대(76)는 각각 좌우측 지지체(67,68)에 고정된다. 이 프레임에 의해 받침(66)과 좌우측 지지체(67,68)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20 내지 도23, 도28, 도29를 참조하면, 공기흐름안내부재(87)는 메인보드(78)에 설치된 CPU의 냉각 구조물(81) 위에 설치된다. 공기흐름안내부재(87)는 공기 흡입구(703)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흡입된 차가운 공기가 먼저 CPU를 냉각할 수 있도록 흐름을 안내한다.
공기흐름안내장치(87)는 제1 유도부재(803)와 제2 유도부재(804)를 구비한다. 제1 유도부재(803)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이 동일하게 유지되는형상이다. 제1 유도부재(803)에는 아래 판과, 측벽을 구비하며, 중간에 구획판(805)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1 유도부재(803)의 바닥에는 CPU 냉각부재 쪽으로 구멍(806)이 뚫려 있다. 제2 유도부재(804)는 공기흡입구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공기 흐름 방향을 바꾸어줄 수 있도록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처리된다. 제2 유도부재(804)는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한다.
제1 유도부재의 바닥 등에는 흡음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팬은 바닥의 구멍(806)으로 공기가 나가도록 바닥에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공기흡입구(703)에는 필터를 달아 외부에서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공기의 흐름은, 도29의 화살표로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흡입구(703)로 들어와서, 구획판(805)을 돌아 바닥의 구멍(806)으로 빠져나간다. 공기는 이렇게 CPU 쪽으로 흘러 CPU를 냉각시키고, 컴퓨터 내부를 통과하여, 파워서플라이를 지나 공기 출구(7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28을 참조하면, 공기흐름 안내부재(80)의 장착을 위해 지지막대(801,802)가 배면 패널(70)과 우측 지지대(68)에 고정된다. 공기흐름 안내부재(80)는 이 지지막대(801,802) 위에 얹어져 고정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는 이동성을 고려한 것이며, 동일한 형상의 압출부품을 조합해서 만든 구조부품들로 구성된 것이다. 도33 내지 도40을 참조하면,컴퓨터 케이스(85)는 저면 받침(86)과, 좌측지지체(87)와, 우측 지지체(88)와, 정면 패널(89)과 배면 패널(90), 상부 덮개(91)를 구비한다. 이들 부재들 사이에는 모서리부재(92)가 연결해주며, 꼭지부분에는 꼭지부재(93)가 조립된다. 케이스 내부에는 CD-ROM, HDD, FDD 등의 저장장치들이 장착되고 뒤쪽에는 메인보드, 회로카드 장치, 파워서플라이 등이 설치된다. 케이스 내부의 공간은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동일하게 가로막대(94)와 세로막대(95)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의해 나뉜다.
도34 내지 도37, 도38의 (a)를 참조하여 저면 받침(86)을 설명한다. 받침(86)은 받침부재(861,862,863)로 이루어진다. 이들 받침 부재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받침부재로는 도38의 (a)에 도시한 판부재(96)를 사용한다. 판부재(96)는 받침 뿐 아니라, 좌우측 지지대, 덮개, 정면 패널 등의 구성에 사용되는 공용 부재이다.
판부재(96)의 일측에는 소음 감소용 리브 구조물(962)이 마련되는데, 이것의 구조는 제3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고정용 리브 구조물(963)은 판(961)으로부터 경사져서 연장되다가 꺾여 수평방향(판과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판부재(96)의 좌측단에는 결합용 홈(965)이 마련되며, 우측단에는 결합용 돌기(964)가 마련된다.
이러한 판부재(96)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압출 성형으로 제조된다. 받침(86)은 상기 부재를 3개 조립하여 사용한다.
도33 내지 도38을 참조하면, 좌우측지지체(87,88)와 정면패널(89)은 상기 판부재(96)를 그대로 사용한다. 다만, 좌측 지지체(87)에는 손잡이(871)가 더 마련된다. 정면 패널(89)에는 내부 하드웨어 장치들이 노출되는 구멍이 더 마련된다.
도34 내지 도36, 도38의 (f), 도40을 참조하면, 배면 패널(90)은 배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뒤판(900)과, 상하단에 위치한 날개(901,902)를 구비한다. 상부 날개(901)는 뒤판(900)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꺾여 아래쪽으로 연장된 연장부(903)를 구비한다. 이 연장부(903)에는 돌기(904)에 의해 마련되는 구석(908)이 마련된다. 하부 날개(902)에도 유사하게 위쪽으로 연장된 연장부(906)와 돌기(905)에 의해 마련되는 구석(907)이 마련된다. 이 구석(908,906)에는 모서리부재의 제2 날개(922)에 마련된 모서리부(926)가 위치하게 된다(도 38의 (e) 참조).
뒷판에는 메인보드의 규격에 따라, 메인보드에 설치되는 각종 카드장치의 기능접속구가 노출되는 접속구멍, 메인보드에 직접 설치되는 기능 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 공기 통로도 마련된다.
도37을 참조하면, 상부 덮개(91)는 제1 덮개부재(911), 제2 및 제3 덮개부재(912,913), 제4덮개부재(914), 제5 덮개부재(915)가 차례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2 및 제3 덮개부재(912,913)는 공용부품인 판부재(96)를 그대로 사용한다. 제1 덮개부재(911)는 모서리부재와 결합한다. 이를 위해 좌측단에 결합돌기(9113)를 구비한다. 외면에는 지느러미(9111)가 마련된다. 우측단에는 단턱부(9112)가 마련된다. 이 단턱부(9112)에 제2 덮개부재(912)의 좌측단이 얹어진다.
제4덮개부재(914)에는 소음감소용 리브 구조물(9147), 고정용 리브 구조물(9148)이 마련된다. 외면에는 방열용 돌기(9141)가 마련된다. 좌측단에는 판부재(96)와 결합하기 위한 돌기(9143)가 마련된다. 우측단의 힌지용 부분들(9144,9145,9146)은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 덮개부재(915)에는 우측단에 결합홈(9152)이 마련된다. 좌측단은 힌지용 부분(9156)이 마련되는데,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덮개부재(911)는 좌측 모서리부재에 제5 덮개부재(915)는 우측 모서리부재(92)에 고정된다. 제2, 제3, 제4 덮개부재(912,913,914)는 서로 결합되어 제5 덮개부재(915)에 힌지를 통해서 서로 조립된다. 제2 덮개부재(915)와 제1 덮개부재(911) 사이에는 나사 또는 클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38의 (e)를 참조하면, 컴퓨터케이스(85)의 모든 모서리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모서리부재(92)는 둥글게 처리된 본체로부터 서로 90도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되는 날개부(921,922)를 갖는다. 날개부(921,922)는 원호형 본체로부터 중심쪽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다시 수직으로 꺾여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로 이루어진다. 제1 날개부(921)의 제1 연장부 상의 본체 외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는 결합 홈(923)이 마련된다. 제2 날개부(922)의 제1 연장부 상의 본체 외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는 결합 돌기(924)가 마련된다. 따라서, 결합돌기(924)와 제2 연장부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결합 홈(925)이 형성된다. 이 모서리부재는 알루미늄 등이 금속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한다.
상기 모서리부재(92)와 다른 부재와의 결합에 대하여 판부재(96)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모서리부재(92)의 제1 날개부(921)에 있는 결합홈(923)에는 판부재(96)의 단부에 있는 결합돌기(964)가 끼워진다. 모서리부재(92)의 제2 날개부(922)에 있는 결합돌기(924)는 판부재(96)의 단부에 있는 결합홈(965)에 끼워진다.
당업자라면 위의 설명 및 도면(특히, 도39 및 40)을 기초로 저면 받침(86)과, 좌측지지체(87)와, 우측 지지체(88)와, 정면 패널(89)과 배면 패널(90), 상부 덮개(91)와 각각의 모서리부재(9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에서 내장 하드웨어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을 기초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는 콤팩트하며, 이동성이 매우 좋다. 또한, 공용 부품이 많아, 부품의 종류가 감소되었다.
이상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 또는 추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케이스를 형성하는 구조물들이 단면 형상이 일정하여, 예를 들면 압출성형과 같이 금속재료를 금형의 출구를 통과시켜 가공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벽에 방열 핀을 부가하여 열방출이 잘 되게 할 수도 있고, 내벽에 내부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외부로의 소음 방출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립하였을 때 콤팩트한 구조로서 운반이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컴퓨터의 하드웨어 장치들이 고정되고 수납되는 컴퓨터 케이스로서,
    컴퓨터의 메인보드가 얹어지며,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저면 받침과,
    상기 저면 받침 일측에 위치하며 저면 받침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제1 지지대와,
    상기 저면 받침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며 저면 받침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제2 지지대와,
    상기 저면 받침의 앞쪽에 위치하는 정면패널과,
    상기 저면 받침의 뒤쪽에 위치하는 배면 패널과,
    상기 저면 받침과 마주보면서 위쪽을 덮어주는 상면 덮개를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받침과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는 단일체로 형성된 컴퓨터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패널은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컴퓨터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패널은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컴퓨터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컴퓨터 케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과, 지지대와, 패널과, 덮개의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 사이에는 모서리부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서리부재는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컴퓨터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받침은 앞뒤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용 구조물은 저면 받침의 바닥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후 다시 수평방향으로 꺾여 연장된 것인 컴퓨터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받침은 앞뒤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용 구조물은 한 쌍의 리브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저면 받침의 바닥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꺾여 연장된 것인 컴퓨터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과, 지지대와, 패널과, 덮개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로 구성된 리브 구조물을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과, 지지대와, 패널과, 덮개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에는 외면으로 돌출되며 서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지느러미(fin)가 구비된 컴퓨터 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과, 지지대와, 패널과, 덮개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조물이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판부재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은 두 개 이상의 판 형상의 부재로서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컴퓨터 케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체 또는 일부는 그 일단부에 힌지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덮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열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전체 또는 일부에 마련된 힌지는 원형단면의 회전축과 회전축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덮개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된 케이스의 구조물에 마련된 원호형상의 지지돌기가 끼워지는 컴퓨터 케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메인보드에는 CPU와, 상기 CPU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배면 패널에는 공기 흡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CPU 냉각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공기 흡입구의 공기 흐름이 상기 CPU 냉각부재의 위쪽으로 안내하는 공기흐름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한 컴퓨터 케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 안내부재는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하되, 그 밑바닥은 상기 CPU 냉각부재와 접하도록 고정되며, 상부에는 서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방열 지느러미를 구비한 컴퓨터 케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컴퓨터에 장착되는 저장장치 등의 하드웨어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형상이 대체로 일정한 장착구조물을 더 구비한 컴퓨터 케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일체로 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구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제공하는 힌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회전을 허용하는 제1 힌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자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을 허용하는 제2 힌지를 구비한 컴퓨터 케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에는 사전 설정된 회전수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컴퓨터 케이스.
  21. 제1항에 있어서, 측면 지지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이동용 손잡이가 부착된 컴퓨터 케이스.
KR1020010013383A 2000-03-15 2001-03-15 컴퓨터 케이스 KR20010092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3034 2000-03-15
KR1020000013034 2000-03-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972U Division KR200237388Y1 (ko) 2000-03-15 2001-03-30 컴퓨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366A true KR20010092366A (ko) 2001-10-24

Family

ID=1965538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799A KR20010091842A (ko)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KR2020000019489U KR200216974Y1 (ko)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KR1020010013383A KR20010092366A (ko) 2000-03-15 2001-03-15 컴퓨터 케이스
KR2020010008972U KR200237388Y1 (ko) 2000-03-15 2001-03-30 컴퓨터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799A KR20010091842A (ko)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KR2020000019489U KR200216974Y1 (ko)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972U KR200237388Y1 (ko) 2000-03-15 2001-03-30 컴퓨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100918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82B1 (ko) * 2008-04-02 2009-01-13 송수현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컴퓨터 케이스
KR101666126B1 (ko) * 2016-06-01 2016-10-13 주식회사 엘레판트 컴퓨터 데스크
KR20200001453U (ko) * 2018-12-22 2020-07-01 배준복 단일보드컴퓨터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878B1 (ko) * 2009-03-26 2011-06-15 신준호 튀김장치용 찌꺼기 제거장치
KR101117096B1 (ko) * 2010-09-17 2012-06-12 주식회사 다이나젠 일체형 컴퓨터 케이스
KR101411358B1 (ko) 2012-11-29 2014-06-25 주식회사 다오테크 컴퓨터 본체장치
KR200473974Y1 (ko) * 2013-10-10 2014-09-23 (주)쓰리알시스템 그래픽 카드 지지대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CN107239124A (zh) * 2017-08-15 2017-10-10 任剑岚 一种计算机主板散热结构
KR102147606B1 (ko) * 2019-09-10 2020-08-25 (주)대우루컴즈 공기청정유닛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493A (en) * 1992-05-15 1993-08-10 Sinotek International Co., Ltd. Alternately horizontal or vertical computer main frame housing
KR19980014061A (ko) * 1996-08-07 1998-05-15 배순훈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KR20000009064U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위성방송수신기의 메인섀시
KR200164603Y1 (ko) * 1998-11-25 2000-02-15 주대규 컴퓨터용데스크탑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82B1 (ko) * 2008-04-02 2009-01-13 송수현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컴퓨터 케이스
KR101666126B1 (ko) * 2016-06-01 2016-10-13 주식회사 엘레판트 컴퓨터 데스크
KR20200001453U (ko) * 2018-12-22 2020-07-01 배준복 단일보드컴퓨터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974Y1 (ko) 2001-03-15
KR200237388Y1 (ko) 2001-10-10
KR20010091842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27706A (ja) コンピュータケース
US6157104A (en) Electronic component cooling apparatus
US6377456B1 (en) Multi-drive portable computer
US7816604B1 (en) Recessed low voltage mounting assembly
KR200237388Y1 (ko) 컴퓨터 케이스
US8243445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177150B2 (en) Adjustable flat-type cooling device
US20110122576A1 (en) Computer
US8089761B2 (en) Computer
CN207586840U (zh) 高效散热电脑一体机
US8085536B2 (en) Computer
US8154865B2 (en) Computer including a disk drive, motherboard and fan
CN207067906U (zh) 一种散热旋转计算机主机安装装置
JP7204246B2 (ja) 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WO2021073509A1 (zh) 连接臂、风扇头、风扇组件以及风扇
WO2016197302A1 (zh) 分体式电脑机箱
TWM381817U (en) Computer system
TWI392441B (zh) 電子裝置
KR101674810B1 (ko) 인터넷 카페용 매립형 책상
US20020057811A1 (en) Apparatus using cooling spaces as speaker chambers
CN215566769U (zh) 一种方便收纳的桌面循环扇
JP2002305394A (ja) 電子部品冷却装置
TWM540436U (zh) 串聯風扇傾斜結構
JP2007180756A (ja) 電子機器
TWM629758U (zh) 電風扇及其外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