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061A -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 Google Patents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061A
KR19980014061A KR1019960032872A KR19960032872A KR19980014061A KR 19980014061 A KR19980014061 A KR 19980014061A KR 1019960032872 A KR1019960032872 A KR 1019960032872A KR 19960032872 A KR19960032872 A KR 19960032872A KR 19980014061 A KR19980014061 A KR 19980014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body
plate
shielding devic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3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061A/ko
Publication of KR19980014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061A/ko

Links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몰드물로 성형된 케이스 본체(1)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부, 하면부 및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강철판 프레스 물로 성형되는 후면커버(10), 하면커버(20) 및 상부 커버(30)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 내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면커버(20),상부 커버(30) 및 파우어 피씨비(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요소을 가지는 쉴드 스플레이트(60)와 상기 메인 피씨비(40) 위에 결합되는 알에프 모듈(41)과 비에튜너(43)의 잭(42),(44)을 전기적으로 파우어부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세트 전체를 하나의 쉴드 케이스 화하여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나 노이즈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및 회로 부품이 망가지거나, 패턴이 쇼트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회로 특성상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낙뢰 발생시 보강 쉴드 구조에 의해 회로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장해 전파를 배출할 수 있어 회로 안정화에 크게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도1은 종래 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2도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2는 본 발명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의 본해 사시도
도3은 쉴드 플레이트, 하면 커버 및 상부 커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4는 상부 커버와 후면 커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5는 후면 커버와 알에프 모듈의 접속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본체1b : 리브2 : 후면판
3 : 측면판4 : 본리판7,9 : 보스
10 : 후면커버20 : 하면커버30 : 상부 커버
31 : 상면판33 : 접속편40 : 메인 피씨비
41 : 알에프 모듈42,44 : 잭43 : 비에스 튜너
50 : 파우어 피씨비60 : 쉴드 플레이트61 : 중간 접속편
62 : 하측 접속편63 : 상촉 접속편64 : 절곡편
70 : 접속 수단71,73 : 접속링72,74 : 접속선
본 발명은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트 전체를 하나의 쉴드 케이스 화하여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나 노이즈 및 낙뇌에 의한 장해 전파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및 회로 부품이 망가지거나, 패턴이 쇼트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회로 특성상의 오류를 감소 시킬 수 있도록 한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위성방송 수신기의 케이스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철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성형한 하부커버(100)에 플라스틱재 전면 판넬(101)을 결합하고, 강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한 후면 커버(102)와 상부 커버(103)를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위성방송 수신기의 케이스는 프레스 물(物)인 하부커버(100), 후면 커버(102) 및 상부 커버(103)에 각종 리그(lug)와 같은 전자파 차폐구조를 형성하여 낙뢰, 정전기 및 노이즈(noise)를 예방하고 있다.
상기 종래 위성방송 수신기의 케이스와 같이 하부커버(100), 후면 커버(102)및 상부 커버(103)를 프레스 물로 형성한 것은 케이스 자체 구조로 내외부 전자파 장애 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나, 강철판 프레스 물로 제작한 케이스는 층격에 취약하여, 국내 뿐아니라, 특히 구미에서 행하여지는 제품 적정성 테스트 중 충격 테스트에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제품을 수출 판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으며, 또 강철판으로 형성한 케이스는 세트가 조잡하고 벤딩(bending) 부분등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위성방송 수신기 케이스 본체를 플라스틱 몰드물(mold物)로 형성하게 되면 내층격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외관이 우수한 이점 및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나 플라스틱 몰드물 케이스는 낙뢰, 정전기 및 노이즈에 대한 적합한 차폐 구조를 갖지 못하는 한 상용으로 채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몰드물로 케이스를 형성한 위성방송 수신기의 세트 전체를 하나의 쉴드 케이스화하여 정전기나 노이즈 및 낙뇌에 의한 장해 전파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함으로써 제품이 손상됨을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몰드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부, 하면부 및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강철판 프레스 물로 성형되는 후면커버, 하면커버 및 상부 커버와:상기 케이스 본체의후면판 내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면커버, 상부커버 및 파우어 피씨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요소을 가지는 쉴드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피씨비 위에 결합되는 알에프 모듈과 비에스 튜너의 잭을 전기적으로 파우어부에 접속시키는 접속수단으로 구성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제 3 도는 쉴드 플레이트, 하면커버 및 상부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 4 도는 상부커버와 후면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 5 도는 후면커버와 알에프 모듈의 접속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는 플라스틱 몰드물로 성형된 케이스 본체(1)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부, 하면부 및 상부에 결합되고 강철판 프레스물로 성형되는 후면커버(10), 하면커버(20) 및 상부커버(30)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 내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면커버(20), 상부커버(30) 및 파우어 피씨비(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요소을 가지는 쉴드 플레이트(60)와 상기 후면커버(10), 그리고 메인 피씨비(40) 및 그위에 결합되는 알에프 모듈(41)과 비에스 튜너(43)의 잭(42),(4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쉴드 플레이트(60)에 접속시키는 접속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는 후면판(2)에 개구부(1a)가 형성되고, 측면판(3)과 평행하게 분리판(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커버(10)는 통공(11)에 삽입되는 나사(71)로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 내면에 형성되는 보스(9),(9a)에 체결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측면판(3)과 분리판(4)의 후방단부에는 리브(1b)가형성되어 케이스 본체(1)의 내면과 안내 홈을 이루고 있고, 상기 쉴드 플레이트(60)가 상기 안내 홈에 양측변부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쉴드 플레이트(50)의 상단부에 형성한 절곡편(64)이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 상단 부에 결려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의 내부에는 메인 피씨비(40)와 파우어 피씨비(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쉴드 플레이트(60)의 접속 요소는 제 3 도와 같이, 그의 하측 중간 부에 형성되어 파우어 피씨비(50)의 일단 부와 함께 케이스 본체(1)의 보스(7)에 체결되는 중간 접속편(61)과 그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하면커버(20)의 상면에 접촉되는 하측 접속편(62)과 그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부 커버(30)의 하면에 접촉되는 상측 접속편(6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쉴드 플레이트(60)의 중간 접속편(61)은 그 일부가 케이스 본체(1)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 편(5)에 접촉 지지되며, 하측 접속편(62)은 케이스 본체(1)의 하면에 형성된 통공(5)을 통하여 하측으로 돌출 되어 하면커버(20)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상부 커버(30)는 그의 상면판(31) 후방변부에 접속편(33)이 형성되어있어 제 4 도와 같이, 상기 투면커버(10)와 함께 케이스 본체(1)의 보스(9)에 나사(75)로 체결되며, 양측판(32)의 루단 절곡부에 고정공(34)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에 형성한 보스(8)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메인 피씨비(40)에는 알에프 모들(RF moudle)(41)과 비에스 튜너(BStunner)(43)가 고정되어 있으며, 알에프 모듈(41)과 비에스 튜너(43)의 잭(42),(44)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개구부(1a)와 후면커버(10)에 형성한 결합공(12),(13)을 통하여 후방으로 노츨되어 있다.
상기 파우어 피씨비(50)는 제 3 도와 같이 그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고정공(51)에 삽입되는 나사(76)로 케이스 본체(1)의 하면에 형성된 보스(7)에 체결된다.
제 5 도는 상기 알에프 모듈(41)의 잭(42), 접속링(71) 및 후면커버(10)의 결합구조를 보이고 있다.
상기 접속수단(70)은 제 5 도와 같이, 상기 알에프 모듈(41)의 잭(42)에 끼워져 상기 후면커버(10)의 내면에 접촉되는 접속링(71) 상기 비에스 튜너(43)의 잭(44)에 끼워져 상기 후면커버(10)의 내면에 접촉되는 접속링(73) 상기 접속링(71),(73)을 연결하는 접속선(72) 상기 접속링(73)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낙뇌발생시 전파가 알에프 모듈(42)과 비에스 튜너(44)에 전달되지 않도록 접지에 연결되는 접속선(74)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주요부분 조립작업을 먼저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케이스 본체(1)에 쉴드 플레이트(60)를 위에서 아래로 밀어서 결합하며, 이때 쉴드 플레이트(60)의 양측 면을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에 형성된 리브(1b) 내축의 안내 홈에 삽입하여 하측으로 밀고, 하측 접속편(62)이 케이스 본체(1)의 하면판에 형성된 통공(6)을 통하여 하면커버(20)에 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간 접속편(61)이 보스(7) 위에 동일 센터를 유지하도록 하고, 쉴드 플레이트(60)의 절곡편(64)이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의 상단부에 결려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파우어 피씨비(50)를 그의 루단부 고정공(51)에 삽입되는 나사(76)로 상기 보스(7)에 결합하며, 이렇게 하면 파우어 피씨비(50)의 접지 패턴 부분과 쉴드 플레이트(60)의 중간 접속편(8)이 접축된다.
그리고, 제 2 도 및 제 5 도와 같이, 알 에프 모듈(41)과 비에스 튜너(43)가 고정되어 있는 메인 피씨비(40)를 케이스 본체(1) 내부에 고정하고, 알 에프 모듈(41)과 비에스 튜너(43)의 잭(42),(44)에 접속링(71),(73)을 제 5 도와 같이, 앞쪽으로 절곡시켜 결합한후, 후면커버(10)의 결합공(12),(13)을 통하여 잭(42),(44)을 외축으로 돌출시켜 너트로 조여주고, 접속링(71)의 단부 연결공에 접속선(72)의 일단부를 결어 연결함과 아울리 접속링(73)의 단부 연결공에 접속선(74)의 일단부와 상기 접속선(72)의 타단부를 걸어 접속선(74)의 타단부를 파우어단 쪽으로 연결한다.
이후 제 2 도 및 제 4 도를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에 후면커버(10)를 나사(75)로 보스(9),(9a)에 체결하되, 상부 커버(30)의 접속편(33)을 후면판(2) 위에 접촉되도록 나사(75)로 보스(9)에 함께 체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는 제품의 세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노이즈 및 낙뇌에 의한 장해 전파가메인 피씨비(40)와 파우어 피씨비(50)에 형성되어 있는 접지 패턴(ground pattern)과 세트 내부에 설치된 쉴드 플레이트(60) 및 접속수단(70)을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우어 피씨비(50)의 접지 패턴으로 흡수된 정전기나 노이즈 등의 장해 전파는 중간 접속편(61)을 통해 쉴드 플레이트(60)로 전달됨과 아을러 세트의 내부 및 하면커버(20)에서 생성된 장해 전파는 하면커버(20)에서 하측 접속편(52)을 통해 쉴드 플레이트(60)에 전달되고 쉴드 플레이트(60)에서 접속편(63)을 통하여 상부 커버(30)로 전달되어 배츨되며, 후면커버(10)에서 발생된 장해 전파는 접속편(33)을 통하여 상부커버(30)에 바로 전달되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세트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된 정전기 및 노이즈 등의 장해 전파는 상부커버(30)로 전달되어 신속히 배츨되고, 알에프 모듈(41) 및 비에스 튜너(43)에 떨어진 낙뇌는 후면커버(10)를 통하여 상부커버(30)와 파우어부로 전달되기도 하지만 낙뇌량이 많을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보강하기 위하여 접속링(71),(73) 및 접속선(72),(74)이 채용되어 있으므로 알에프 모듈(41)과 비에스튜너(43)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낙뇌의 전파신호를 중간에서 걸러(filttering) 접속선(72),(74)을 통해 파우어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는 세트 전체를 하나의 쉴드 케이스화하여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나 노이즈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및 회로부품이 망가지거나, 패턴이 쇼트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회로 특성상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낙뢰 발생시 보강 쉴드 구조에 의해 회로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장해 전파를 배출할 수 있어 회로 안정화에 크게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강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외관이 우수한 플라스틱 몰드물 케이스 본체의 취약점인 장해 전파 쉴드 문제를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으므로 위성방송수신기의 케이스에 매우 유리하게 적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플라스틱 몰드물로 성형된 케이스 본체(1)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부, 하면부 및 상부에 각각 결합되고 강철판 프레스물로 성형되는 후면커버(10), 하면커버(20) 및 상부커버(30)와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 내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면커버(20),상부커버(30) 및 파우어 피씨비(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요소를 가지는 쉴드 플레이트(60)와 상기 메인 피씨비(40) 위에 결합되는 알에프 모듈(41)과 비에스 튜너(43)의 잭(42),(44)을 전기적으로 파우어부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플레이트(60)의 접속요소는 그의 하측 중간부에 형성되어 파우어피씨비(50)의 일단부와 함께 케이스 본체(1)의 보스(7)에 체결되는 중간 접속편(61)과 그의 하단 양축에 형성되어 하면커버(20)의 상면에 접촉되는 하측 접속편(62)과 그의 상단부 양축에 형성되어 상부커버(30)의 하면에 접촉되는 상측 접속편(63)으로 구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30)의 상면판(31) 후방변부에 접속편(33)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커버(10)와 함께 케이스 본체(1)의 보스(9)에 나사 체결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70)은 상기 알에프 모듈(41)의 잭(42)에 끼워져 상기 후면커버(10)의 내면에 접축되는 접속링(71)과 상기 비에스 튜너(43)의 잭(44)에 끼워져 상기 후면커버(10)의 내면에 접축되는 접속링(73)과 상기 접속링(71),(73)을 연결하는 접속선(72)과 상기 접속링(73)을 파우어부에 연결하는 접속선(74)으로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의 측면판(3)과 분리판(4)의 후방단부에 리브(1b)가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1)의 내면과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쉴드 플레이트(60)가 상기 안내 홈에 양축변부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쉴드 플레이트(60)의 상단 부에 형성한 절곡편(64)이 상기 케이스 본체(1)의 후면판(2) 상단 부에 걸려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방송수신기의 쉴드장치.
KR1019960032872A 1996-08-07 1996-08-07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KR19980014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872A KR19980014061A (ko) 1996-08-07 1996-08-07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872A KR19980014061A (ko) 1996-08-07 1996-08-07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061A true KR19980014061A (ko) 1998-05-15

Family

ID=6625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872A KR19980014061A (ko) 1996-08-07 1996-08-07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0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842A (ko) * 2000-03-15 2001-10-23 안휘 컴퓨터 케이스
KR100577429B1 (ko) * 2004-09-03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842A (ko) * 2000-03-15 2001-10-23 안휘 컴퓨터 케이스
KR100577429B1 (ko) * 2004-09-03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534B2 (en) Socket connector
US4983127A (en) Electrical connector
EP0897656B1 (en) Electromagnetic shield for a radiotelephone
JP2913156B2 (ja)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US8052467B1 (en) Electrical connector
US4829432A (en) Apparatus for shielding an electrical circuit from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P0697138A1 (en) Hand-held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apparatus
US6011700A (en) Shielding case
US5890917A (en) PC card socket connector and PC card with same
US7180392B2 (en) Coaxial DC block
KR19980014061A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EP2034560B1 (en) Connector unit and connector thereof
JPH09245861A (ja) 電気コネクタ
US7247053B2 (en) High-frequency apparatus having high performance and capable of preventing entry of interfering wave into terminal
US5557068A (en) Capacitive coupled BNC connector
JP6960942B2 (ja) アンテナ装置
CN201160170Y (zh) 电连接器
JPS6322625Y2 (ko)
KR100339124B1 (ko) 송수신 유닛
JP2553438Y2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3108535B2 (ja) リレーのシールド構造
CN216121055U (zh) 双rf输入的电子调谐器
KR19980031727A (ko) 위성 방송용 수신기의 쉴드 장치
JP3293806B2 (ja) 同軸コネクタのレセプタクル
KR100571217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및 비디오 잭 차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