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974Y1 - 컴퓨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컴퓨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974Y1
KR200216974Y1 KR2020000019489U KR20000019489U KR200216974Y1 KR 200216974 Y1 KR200216974 Y1 KR 200216974Y1 KR 2020000019489 U KR2020000019489 U KR 2020000019489U KR 20000019489 U KR20000019489 U KR 20000019489U KR 200216974 Y1 KR200216974 Y1 KR 200216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circulation
cover
cas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휘
Original Assignee
안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휘 filed Critical 안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 수를 대폭 줄이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는, 좌,우측지지대(11,12), 이 좌,우측지지대의 하단을 잇는 저면받침(13), 이 저면받침의 대략 중간에 좌,우측지지대 사이를 제 1 실(19)과 제 2 실(20)로 구획하는 간막이(14)를 일체로 압출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저면받침(13)의 제 1 실(19)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고정용 레일(131)을 형성하고, 좌측지지대(11)에는 제 1 실(19)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 및 카드의 기능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111,112)이 형성되며, 간막이(14)에는 CD-ROM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제 1 실(19) 및 제 2 실(20)을 연통시키는 공간부(141)가 형성된 케이스본체(15)와, 상기 케이스본체(15)의 정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조되고 제 2 실(20)과 대응하는 위치에 CD-ROM 및 FDD의 노출을 위한 노출구멍(161,162)이 형성된 정면덮개(16)와, 상기 케이스본체(15)의 배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압출성형으로 제조된 배면덮개(17)와, 상기 좌,우측지지대(11,12), 정면덮개(16) 및 배면덮개(17)의 상단에 조립되는 것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조된 상면덮개(1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우측지지대(12) 및 배면덮개(17)에 공기순환통로(122,173)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내에는 간막이(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차단판(176)을 설치함과 동시에, 공기순환통로(173)와 제 1 실(19) 및 제 2 실(20)로 통하는 연통구멍(174,175)을 형성하고, 배면덮개(17)의 제 1 실(19)측 공기순환통로(173) 끝단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211)을 가지는 제 1 마개(21)가 끼워맞춤되고, 제 2 실(20)측 공기순환통로(173) 끝단은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와 우측지지대(12)의 공기순환통로(122)를 연결하는 연결구멍(221)이 형성된 제 2 마개(22)가 끼워맞춤되며, 우측지지대의(12) 전방측 공기순환통로(122) 끝단과 정면덮개(16)의 우측 끝단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멍(231)을 가지는 제 3 마개(23)가 끼워맞춤되고, 정면덮개(16)의 좌측 끝단은 제 4 마개(24)가 끼워맞춤되어 이루어지는 공기순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컴퓨터 케이스 {COMPUTER CASE}
본 고안은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부품 수를 대폭 줄이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열 능력이 우수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컴퓨터 케이스는, 메인보드, HDD, FDD, CD-ROM 드라이브 등의 광디스크드라이브(MODD, DVD 등을 포함한다) 및 파워서플라이 등 각종 하드웨어를 장착하기 위한 내부 프레임과, 이 내부 프레임을 감싸 외관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로 구성된다.
내부 프레임은 본체의 바닥 및 배면과 내부 골격을 구성하는 것으로, 철판을 절단하여 필요한 형상으로 절곡한 여러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용접하거나 나사로 고정하여 조립되며, 각종의 하드웨어가 고정되므로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외부 케이스는 본체의 정면, 평면 및 좌우측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평면 및 좌우측면의 경우, 주로 철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제조되고, 정면의 경우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하여 조립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는, 내부 프레임 및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이 매우 많고, 이 부품들은 대부분 철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제조를 위해서는 절단기, 프레스, 금형 등의 제조설비를 부품의 종류별로 갖추어야 하고, 많은 부품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용이하지 않고, 인건비, 제조설비 등 부대비용의 증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의 내부 프레임 및 외부 케이스는 대부분 철판으로 제조되고,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컴퓨터 본체의 무게를 가중시키게 되었으며, 이로써 특히 여성들이 컴퓨터 본체를 운반하기에는 다소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컴퓨터 케이스를 직접 방열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거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볍고 구조적 강도가 높은 압출성형이 가능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를 압출성형하여 제조함으로써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워 운반하기 용이한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전의 많은 부품으로 구성된 내부 프레임 및 외부 케이스를 일체화하여 부품 수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CPU장치 등 컴퓨터 발열부품을 케이스에 직접 접촉하게 하는 등 열방출이 잘 되는 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내부를 케이스로 밀폐하는 등의 수단을 통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의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로 조립하였을 때 콤팩트한 구조로서 휴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압출성형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케이스 본체의 단면도, (b)는 정면덮개의 단면도, (c)는 배면덮개의 단면도.
도 3은 각종 하드웨어장치를 컴퓨터 케이스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를 일부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5의 (a),(b)는 케이스본체의 고정용 레일에 내부장치를 고정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제 1 실시예의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서 상면덮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상면덮개를 뒤집어 나타낸 사시도, (b)는 상면덮개의 압출성형시 단면구조도.
도 7은 도 6의 상면덮개에 의한 CPU장치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상면덮개에 의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6의 상면덮개에 의한 다른 타입의 CPU장치 설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압출성형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케이스본체의 단면도, (b)는 간막이의 단면도, (c)는 구획부재의 단면도, (d)는 정면덮개의 단면도.
도 12는 각종 하드웨어장치를 컴퓨터 케이스 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를 일부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케이스본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압출성형시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케이스본체에 디스플레이부를 힌지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7은 압출성형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케이스본체의 단면도, (b)는 구획부재의 단면도, (c)는 배면 덮개의 제1 배면 덮개부재의 단면도, (d)는 제2 배면 덮개부재의 단면도.
도 18는 각종 하드웨어장치를 컴퓨터 케이스 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상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19는 배면 덮개의 양 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컴퓨터 11,41 : 좌측지지대
12,42 : 우측지지대 13,43 : 저면받침
14,45 : 간막이 15,44 : 케이스본체
16,46 : 정면덮개 17,47 : 배면덮개
18,48 : 상면덮개 19,50 : 제 1 실
20,51 : 제 2 실 21,22,23,24,52,53,54,55 : 마개
111,112,471,472 : 접속구멍 122,173,412,422 : 공기순환통로
123,177,413,423 : 흡음재 131,431 : 고정용 레일
141 : 공간부 161,162,461,462 : 노출구멍
174,175,414,424 : 연통구멍 211,531 : 공기유입구멍
221 : 연결구멍 231,541 : 공기배출구멍
452 : 통로구멍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의 주요 부분을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를 압출 성형하는 것이다. 압출 성형하면 각 여러 구조용 부분들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형상의 설계도 종래의 판재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면받침의 양측에 제1 및 제2지지대가 앞뒤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단일체의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정면을 덮는 정면덮개와, 상기 본체의 배면을 덮는 배면덮개와, 상면을 덮는 상면덮개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는 금속재료를 압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받침에 앞뒤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와 같은 구성이 제공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제 1 실(50)과 제 2 실(51)로 구획하며 공기유통통로가 구비된 간막이(45)를 더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와 같은 구성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구조물이 금속재료의 압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저면받침의 양측에 세워진 양측 지지대와, 앞쪽을 막는 정면덮개와, 뒤쪽을 막는 배면덮개와, 윗 덮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면받침의 양측에 제1 및 제2지지대가 앞뒤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상부덮개가 양측 지지대 위에 형성된 단일체의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정면을 덮는 정면덮개와, 상기 본체의 배면을 덮는 배면덮개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는 금속재료를 압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10)는, 좌,우측지지대(11,12), 저면받침(13) 및 간막이(14)를 일체로 형성한 케이스본체(15)와, 정면덮개(16), 배면덮개(17) 및 상면덮개(18)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본체(15)의 간막이(14)는 메인보드가 있는 공간을 하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를 양분하는 위치 정도에 마련되어 내부를 좌,우의 제 1 실(19)과 제 2 실(20)로 구획하게 되며, 제 1 실(19) 및 제 2 실(20)을 연통함과 동시에 제 2 실(20)에 설치될 광디스크드라이브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간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저면받침(13)의 제 1 실(19)쪽 바닥면에는 고정홈(131a)을 가지는 3개의 고정용 레일(131)(본 고안은 3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하고자 하는 각 메인보드 규격에 맞는 수의 고정용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측지지대(11)에는 제 1 실(19)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 및 카드의 기능접속구(예를 들면, 각종 직렬포트, 병렬포트, 전화접속커넥터 등)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111,1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측지지대(11,12)의 상단부에는 상면덮개(18)와의 조립을 위한 단턱부(113,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지지대(11)에는 별도의 고정브라켓(114)이 나사로 조립되어 각종 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지지대(12)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순환통로(122)가 형성되고, 이 공기순환통로(122)내의 공기배출구측에는 흡음재(123)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케이스본체(15)는 압출성형이 용이한 금속재료(바람직하기로는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구조로 제조한 후, 도 1과 같이, 간막이(14)와 좌측지지대(11)를 레이저 커팅이나 기타 기계적인 방법으로 절단가공하여 공간부(141)와 접속구멍(111,112)을 형성하고, 각종 조립용 나사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공기순환통로(122) 내에 필터 겸용 흡음재(123)를 끼워 넣어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a)를 참조하면, 받침(13)이 좌우로 연장되고 좌측지지대(11)는 받침에 수직위쪽으로 연장된 후 그 상측 끝에서 내측으로 꺾여 연장된 후 다시 아래로 꺾여 연장되고 다시 내측으로 꺾여 연장되어 단턱부(113)를 형성한다. 각 레일(131)은 받침(B)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두 개의 지지대가 그 끝에서 서로 마주보는 쪽으로 꺾여 연장되어 있으며 그 끝은 일정거리 만큼 떨어져 있다. 간막이(14)는 받침(13)에서 수직위쪽으로서 있다. 우측지지대(12)는 대체로 ㅁ(미음자) 형상이되 외부에 나타나는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되고 내측으로 단턱부(121)가 형성되도록 받침(13)위에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정면덮개(16)는 케이스본체(15)의 정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제 2 실(20)에 설치될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FDD와 대응하는 위치에 광디스크드라이브 및 FDD의 노출을 위한 노출구멍(161,162)이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상면덮개(18) 및 저면받침(13)과의 조립을 위한 단턱부(163,164)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종 스위치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정면덮개(16)는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하여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출구멍(161,162) 및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도 2(b)를 참조하며, 대체로 큰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처리된 앞면 상하단에서 뒤쪽으로 꺾여 연장된 후, 아랫부분은 다시 위쪽으로 꺾여 연장되고 윗부분은 다시 아래쪽으로 꺾여 연장된 후, 다시 뒤쪽으로 꺾여 연장되어 단턱부(163,164)가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면덮개(17)는 케이스본체(15)의 배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상,하단부에 상면덮개(18) 및 저면받침(13)과의 조립을 위한 단턱부(171,172)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방향의 공기순환통로(17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면덮개(17)는 케이스본체(15)의 제 1 실(19) 및 제 2 실(20)과 각각 연통하는 연통구멍(174,175)이 형성되어 있고, 각 연통구멍(174,175)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순환통로(173) 내에는 차단판(176)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순환통로(173)의 제 1 실(19)측 끝단 가까이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소음을 흡수하는 필터겸용 흡음재(17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배면덮개(17)는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하여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구멍(174,175) 및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형성되고, 차단판(176) 및 흡음재(177)를 공기순환통로(173)내에 끼워 넣어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c)를 참조하면, 배면덮개(17)는 대체로 ㅁ(미음자) 형상이되, 외부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처리되고 앞쪽으로는 상,하단부에서 약간 이격된 위치에 앞쪽으로 연장된 단턱부(171,172)가 형성된다. 제 1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동일한 형상의 배면덮개를 대체로 ㄷ(디귿)자 단면의 압출부재와 판 형상에 단턱부를 갖는 단면의 압출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면덮개(18)는 좌,우측지지대(11,12), 정면덮개(16) 및 배면덮개(17)의 단턱부(113,121,163,171)에 조립되는 것으로, 알루미늄재를 판상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조한 후,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제 1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정면덮개, 배면덮개는 플라스틱수지를 사출성형한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면덮개는 금속판재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케이스본체(15)는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와 우측지지대(12)의 공기순환통로(122)의 양끝단에 끼워맞춤되는 제 1 내지 제 4 마개(21,22,23,24)를 구비한다.
제 1 마개(21)는 배면덮개(17)의 제 1 실(19)측 공기순환통로(173) 끝단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마개(22)는 배면덮개(17)의 제 2 실(20)측 공기순환통로(173) 끝단과 우측지지대(12)의 후방측 공기순환통로(122) 끝단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와 우측지지대(12)의 공기순환통로(122)를 연결하는 연결구멍(221)이 배면덮개(17)측과 우측지지대(12)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마개(23)는 우측지지대(12)의 전방측 끝단과 정면덮개(16)의 우측 끝단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정면덮개(16)쪽은 막혀있고, 우측지지대(12)쪽은 공기순환통로(122)로부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제 4 마개(24)는 정면덮개(16)의 좌측 끝단에 끼워맞춤되어 끝단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마개(21,22,23,24)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되고, 정면덮개(16), 좌,우측지지대(11,12) 및 배면덮개(17)의 연결부위를 덮음과 동시에 모서리부분을 곡면처리하게 된다. 제 1마개 내지 제 4마개 중 컴퓨터 사용할 때 사용자의 좌우에 위치할 마개부재에는 스피커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실시예의 구성을 조립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마개(21) -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 - 구멍(174) - 제 1 실(19) - 간막이(14)의 공간부(141) - 제 2 실(20) - 구멍(175) -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 - 제 2 마개(22) - 우측지지대(12)의 공기순환통로(122) - 제 3 마개(23)를 경유하는 공기순환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공기가 컴퓨터 내부의 모든 곳을 순환하게 되고, 또한 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냉각 효과가 향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 본체 케이스(10)의 조립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5)의 정면 및 배면에 정면덮개(16) 및 배면덮개(17)를 각각 위치시키고, 정면덮개(16) 및 배면덮개(17)의 하측 단턱부(164,172)와 저면받침(13)의 고정용 레일(131)을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함으로써 정면덮개(16) 및 배면덮개(17)가 케이스본체(15)에 조립된다. 이어서 상면덮개(18)는 케이스본체(15)의 상면에 위치시켜 좌,우측지지대(11,12), 정면덮개(16) 및 배면덮개(17)의 상측 단턱부(113,121,163,171)와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물론 본 고안의 조립을 위한 체결위치 및 체결구는 위 실시예의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제 1 마개(21)는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 끝단에 끼워맞춤하여 조립하고, 제 2 마개(22)는 배면덮개(17) 및 우측지지대(12)의 공기순환통로(173,122) 끝단에 동시에 끼워맞춤하여 조립하며, 제 3 마개(23)는 우측지지대(12)의 공기순환통로(122)의 끝단과 정면덮개(16) 끝단에 동시에 끼워맞춤하여 조립하고, 제 4 마개(24)는 정면덮개(16) 끝단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조립된다. (물론, 이렇게 케이스부품을 조립하기 전에 컴퓨터 내부부품들이 조립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 3에는 케이스본체(15)에 각종 하드웨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19)에는 메인보드(25), 각종 카드(26) 및 HDD(27)가 설치된다. 즉 메인보드(25) 및 HDD(27)는 고정용 레일(131)위에 올려놓고,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드에 고정된 클립(132)(클립은 레일 안쪽에 끼워져 이동이 가능한 머리)을 이용하여 고정홈(131a)을 통해 고정할 수도 있으며,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홈(131a)을 통해 볼트(133)(볼트머리는 레일 한쪽 끝에서 넣어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및 너트(134)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절연을 위해 메인보드의 양측에는 절연용 재료로 이루어진 와셔(133a)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워진 수직 슬롯카드(260)(통상, 라이저 카드라고도 한다)에 구비된 슬롯(카드연결용 각종 카드(26)는 메인보드(25)에 커넥터)에 꽂은 후, 좌측지지대(11)에 형성한 접속구멍(111)을 통해 기능접속부(261)를 노출시키고 고정브라켓(114)(카드 고정용 브라켓은 미리 좌측지지대에 나사 등의 체결구로 미리 고정된다)에 나사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좌측지지대(111)의 또 다른 접속구멍(112)으로는 메인보드(25)의 각종 기능접속부(251),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파워서플라이의 전원콘센트 등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 1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는 카드용 노출구멍이, 통상의 컴퓨터 케이스와 같이, 메인보드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의 전체두께가 두꺼워질 수도 있다.
제 2 실(20)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28), FDD(29) 및 파워서플라이(30)가 설치된다. 즉 광디스크 드라이브(28)와 FDD(29)는 전방측에 상,하로 위치시켜 간막이(14) 및 우측지지대(12)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등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파워서플라이(30)는 후방측에 위치시켜 역시 간막이(14) 및 우측지지대(12)에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19) 및 제 2 실(20)과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를 연통하는 연통구멍(174,175)에는 송풍팬(31,32)을 각각 설치할 수 있으며, 제 1 실(19)측 송풍팬(31)은 공기순환통로(173)로부터 제 1 실(19)로 공기가 흐르게 하고, 제 2 실(20)측 송풍팬(32)은 제 2 실(20)로부터 공기순환통로(173)로 공기가 흐르게 하여 공기가 경로를 따라 강제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실(19) 및 제 2 실(20)에 설치된 각종 하드웨어의 과열을 방지한다.
도 6의 (a) 및 (b)은 상면덮개(18)의 변형예를 뒤집어서 아래쪽이 노출되도록 도시한 것으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용 돌출부(181)를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단면형상으로 하여 압출성형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상면덮개(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252)가 메인보드(25)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소켓타입인 경우, 고정용 돌출부(181)에 히트싱크(253)를 나사(이와는 달리 용접 등의 다른 기계적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로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상면덮개(18)를 케이스본체(15)에 조립하게 되면, CPU(252)의 열이 히트싱크(253)를 통하여 직접 케이스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되므로, 케이스의 상면덮개(18)가 케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방열판으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디스크 드라이브(28)의 경우에도, 상면덮개(18)의 고정용 돌출부(181)를 이용하여 광디스크 드라이브(28)를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 장치(254)가 슬롯타입(대체로 슬롯에 꽂는 CPU 장치는 CPU 보드(회로기판)에 CPU 소자(254b)가 꽂히고 그 CPU 보드를 슬롯에 삽입하는 형태이다)인 경우, 하나의 고정용 돌출부(181)에 히트싱크(255)와 CPU(254)가 결합된 회로기판을 CPU가 상면 판에 접하도록 고정한다. 이 때 CPU(254)가 구비된 회로기판은 메인보드(25)의 슬롯(25a)에 끼워 연결되는 케이블(256)(인쇄된 플렉서블 와이어의 형태일 수도 있음)의 끝에 달린 슬롯(256b)에 끼워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위 변형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돌출부를 연장 성형하면 FDD를 고정하도록 압출성형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10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2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40)는, 좌,우측지지대(41,42), 저면받침(43)을 일체로 형성한 케이스본체(44)와, 좌우로 연장되는 간막이(45), 정면덮개(46), 배면덮개(47), 상면덮개(48) 및 구획부재(49)로 구성된다.
케이스본체(44)의 저면받침(43)에는 2개의 고정용 레일(43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측지지대(41,42)의 상단부에는 상면덮개(48)와의 조립을 위한 단턱부(411,4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측지지대(41,42)에는 전후방향으로 뚫린 공기순환통로(412,42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순환통로(412,422)에는 흡음재(413,42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내부와 연통하는 연통구멍(414,4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케이스본체(44)는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하여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음재(413,423)를 공기순환통로(412,422) 내에 끼워 설치하고, 연통구멍(414,424)과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지지대(41,42)는 대체로 ㅁ(미음)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모서리가 라운드되게 처리되고 상단부에 내측으로 향해 연장되는 단턱부(411,412)가 형성된다. 레일(431)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다.
다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간막이(45)는 저면받침(43)에 조립되는데, 메인보드가 있는 공간을 하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를 양분하는 위치 정도에 조립되어 케이스본체(44)의 내부를 전,후방향의 제 1 실(50)과 제 2 실(51)로 구획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고정부(451)가 형성되어 케이스본체(44)의 고정용 레일(431)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일측에 제 1 실(50) 및 제 2 실(51)을 연통함과 동시에 제 1 실(50) 및 제 2 실(51)에 설치되는 장치들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등이 통과하는 통로구멍(4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간막이(45)의 상단부에는 고정편(453)이 나사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고, 이 고정편(453)을 통해 간막이(45)와 상면덮개(48)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간막이(45)는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하여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통로구멍(452) 및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별도로 제작된 고정편(453)을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제 2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간막이(45)를 판재를 성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구획판(49)은, 케이스본체(44)의 제 1 실(50)에 위치하여 고정용 레일(431)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에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공간부(491)와,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FDD 및 HDD를 수납하기 위한 제 2 공간부(492) 및 제 3 공간부(493)를 상,하로 구획하는 수평판(494) 및 4개의 측판(495,496,497,498)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좌측 및 중간 측판(497,498)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 고정부(497a,498a)가 형성되어 고정용 레일(431)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우측 측판(495)의 상단부에도 수평방향 고정부(495a)가 형성되어 우측지지대(42)의 단턱부(421)와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구획판(49)은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하여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정면덮개(46)는 케이스본체(44)의 정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제 1 실(50)에 설치되어질 CD-ROM 및 FDD와 대응하는 위치에 CD-ROM 및 FDD의 노출을 위한 노출구멍(461,462)이 형성되고, 상,하단부에 상면덮개(48) 및 저면받침(43)과의 조립을 위한 단턱부(463,46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정면덮개(46)는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하여 도 1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노출구멍(461,462) 및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의 정면덮개(46)는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배면덮개(47)는 케이스본체(44)의 배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제 2 실(51)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 및 카드의 기능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471,472)이 형성되어 있고, 각종 카드가 노출되는 접속구멍(471)의 근접 위치에는 고정브라켓(473)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배면덮개(47)는 압출성형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나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면덮개(48)는 좌,우측지지대(41,42), 정면덮개(46) 및 간막이(45)의 상단에 조립되는 것으로, 알루미늄재를 판상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조한 후,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스본체(44)는 좌,우측지지대(41,42)의 공기순환통로(412,422) 양끝단에 끼워맞춤되는 제 1 내지 제 4 마개(52,53,54,55)를 구비한다.
제 1 마개(52)는 좌측지지대(41)의 전방측 공기순환통로(412) 끝단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되어 있다. 제 2 마개(53)는 좌측지지대(41)의 후방측 공기순환통로(412) 끝단에 끼워맞춤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531)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마개(54)는 우측지지대(42)의 후방측 공기순환통로(422) 끝단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제 2 실(51)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541)이 형성되어 있다. 제 4 마개(55)는 우측지지대(42)의 전방측 공기순환통로(422) 끝단에 끼워맞춤되어 끝단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마개(52,53,54,55)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되고, 정면덮개, 좌,우측지지대 및 배면덮개의 연결부위를 덮음과 동시에 모서리부분을 곡면처리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마개(53) - 좌측지지대(41)의 공기순환통로(412) - 제 1 실(50) - 간막이(45)의 통로구멍(452) - 제 2 실(51) - 우측지지대(42)의 공기순환통로(422) - 제 3 마개(54)를 경유하는 공기순환수단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공기순환시킬 수도 있다. 즉, 제 3 마개(54) - 우측지지대(42)의 공기순환통로(422) - 제 2 실(51) - 간막이(45)의 통로구멍(452) - 제 1 실(50) - 좌측지지대(41)의 공기순환통로(412) - 제 2 마개(53)를 경유하는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공기가 먼저 CPU가 있는 공간을 통과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 본체 케이스(40)의 조립은,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44)의 정면에 정면덮개(46)를 위치시켜 정면덮개(46)의 하측 단턱부(464)와 저면받침(43)의 고정용 레일(431)을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하고, 정면덮개(46)의 상측 단턱부(463)를 좌,우측지지대(41,42)의 단턱부(411,421)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되며, 배면덮개(47)는 케이스본체(44)의 배면에 위치시켜 좌,우측지지대(41,42)와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간막이(45) 및 구획부재(49)는 저면받침(43)의 고정용 레일(431) 위에 위치시켜 각각의 고정부(451,497a,498a)를 고정용 레일(431)과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되고, 상면덮개(48)는 케이스본체(44)의 상면에 위치시켜 좌,우측지지대(41,42) 및 정면덮개(46)의 단턱부(411,421,463)와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이어서 제 1 마개(52) 및 제 2 마개(53)는 좌측지지대(41)의 공기순환통로(412) 양끝단에 각각 끼워맞춤하여 조립하고, 제 3 마개(54) 및 제 4 마개(55)는 우측지지대(42)의 공기순환통로(422) 양끝단에 각각 끼워맞춤하여 조립한다.
도 12에는 케이스본체(44)에 각종 하드웨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50)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56), FDD(57), HDD(58) 및 파워서플라이(59)가 설치되는 것으로, 광디스크 드라이브(56)는 구획부재(49)의 제 1 공간부(491)에 위치시키고 구획부재(49)와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FDD(57) 및 HDD(58)는 제 2 및 제 3 공간부(492,493)에 각각 위치시키고 구획부재(49)와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 2 실(51)에는 메인보드(60) 및 각종 카드(61)가 설치되는 것으로, 메인보드(60)는 고정용 레일(431) 위에 올려놓고,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132)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며,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33) 및 너트(134)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각종 카드(61)는 메인보드(60)에 세워진 라이저 카드의 슬롯에 꽂은 후, 배면덮개(47)에 형성한 접속구멍(471)을 통해 기능접속부(611)를 노출시키고 고정브라켓(473)에 나사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면덮개(47)의 또 다른 접속구멍(472)으로는 메인보드(60)의 각종 기능접속부(601),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파워서플라이(59)의 전원콘센트 등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50)과 좌측지지대(41)의 공기순환통로(412)를 연통하는 연통구멍(414)과, 제 2 실(51)과 우측지지대(42)의 공기순환통로(422)를 연통하는 연통구멍(424)에는 송풍팬(62,63)을 각각 설치할 수 있으며, 제 1 실(50)측 송풍팬(62)은 공기순환통로(412)로부터 제 1 실(50)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고, 제 2 실(51)측 송풍팬(63)은 제 2 실(51)로부터 공기순환통로(422)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여 공기가 경로를 따라 강제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실(50) 및 제 2 실(51)에 설치된 각종 하드웨어의 과열을 방지한다.
상면덮개(48)는 도 6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고정용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는 케이스본체(44)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성형시 케이스본체(44)의 상부, 예를 들면 좌측지지대(41)의 상부에 힌지구멍(441)을 가지는 힌지부(44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의해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42)에 LCD등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부(443)를 힌지결합함으로써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본체(44)에는 손잡이(502)가 마련된다. 손잡이(502)는 케이스본체(44) 일측에 마련된 손잡이 지지대(504)에 힌지결합된다.
<실시예 3>
도 16 내지 도 19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3 실시예의 컴퓨터 케이스(70)는, 좌,우측지지대(71,72), 저면받침(73)과 상면덮개(78)을 일체로 형성한 케이스본체(74)와, 좌우로 연장되는 간막이(75), 정면덮개(76), 배면덮개(77) 및 구획부재(79)로 구성된다. 대체로 제2 실시예의 케이스와 유사한 구성이지만 기본적으로 상부덮개(7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케이스본체(74)의 저면받침(73)에는 2개의 고정용 레일(73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면받침(73) 위와 상면덮개(78) 아래에는 나사자리형성용 돌기(735)가 마련된다. 이 돌기(735)는 앞뒤로 연장되는데, 필요한 곳에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머리 나사자리(735a)를 만들 수 있다.
좌,우측지지대(71,72)에는 전후방향으로 뚫린 공기순환통로(712,72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중 공기순환통로(722)의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다른 공기순환통로(712)는 위에서 아래쪽으로 중간정도까지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케이스본체(74)는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하여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음재(713,723)를 공기순환통로(712,722) 내에 끼워 설치하고, 연통구멍(724)과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부덮개(78)는 좌,우측지지대(71,72)에 그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레일(731)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다.
다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간막이(75)가 메인보드가 있는 공간을 하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를 양분하는 위치 정도에 조립되어 케이스본체(74)의 내부를 전,후방향의 제 1 실(80)과 제 2 실(81)로 구획한다. 간막이(75)는 일측에는 제 1 실(80) 및 제 2 실(81)을 연통하는 통로구멍(752a, 75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통로구멍()에는 송풍팬(754)이 부착된다. 제 1 실(80) 및 제 2 실(81)에 설치되는 장치들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등이 미리 부착된다. 또한, 간막이(75)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고정편(753)이 나사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 고정편(753)은 상기 나사자리형성용 돌기(735)와 위치가 맞추어지며, 나사를 통하여 돌기(735)가 형성된 본체에 결합된다. 한편, 간막이(75)와 본체 사이에 생길 수 있는 틈새는 실리콘고무 또는 고무 그로멧과 같은 실링재료로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각 실을 잘 격리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의 간막이(75)는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한 후 후가공하거나, 금속판재를 판금가공하여 이루어진다.
구획판(79)은, 케이스본체(74)의 제 1 실(80)에 위치하여 고정용 레일(731)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에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공간부(791)와, 하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FDD 및 HDD를 수납하기 위한 제 2 공간부(792) 및 제 3 공간부(793)를 상,하로 구획하는 수평판(794) 및 4개의 측판(795,796,797,798)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좌측 측판(797)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 고정부가 형성되어 고정용 레일(731)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우측 측판(795)은 우측지지대(7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구획판(79)은 알루미늄재를 압출성형하여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제조한 후, 조립용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정면덮개(76)는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배면덮개(77)는 케이스본체(74)의 배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두 개의 부분, 즉 제1 배면덮개 부재(77a)와 제2 배면덮개 부재(77b)로 구성된다. 제1 배면덮개 부재(77a)는 제 2 실(81)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 및 카드의 기능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 및 고정브라켓이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련된다. 제1 배면덮개 부재(77a)의 안쪽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771)가 아래쪽과 위쪽에 구비된다. 이 리브(771)에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본체의 돌기(735)와 결합된다. (도19 참조)
제1 배면 덮개(77a)의 뒷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마련된다. 하단 돌기부(772)에는 단면이 대체로 원형인 그루브(773)가 마련된다. 상단 돌기부(774)의 밑면에는 결합용 홈(775)가 마련된다.
제2 배면 덮개(77b)에는 하단부에 좌우로 연장되는 돌기부(779)가 마련되는데, 그 끝단에는 회전중심봉(776)이 달려있다. 회전중심봉(776)은 상기 그루브(773)에 끼워진다. 이렇게 구성하면, 회전중심봉(776)을 중심으로 제2 배면덮개(77b)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단부에는 결합구(777)가 좌측에서 우측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데, 위쪽으로 둥그스름하게 돌출된 걸림부(778)을 구비한다. 걸림부(778)는 상기 결합용 홈(775)에 끼워져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제2 배면덮개(77b)에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결합 또는 결합의 해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을 위한 구성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케이스는 제2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공기 순환로를 갖는다. 이러한 공기 순환은 내부 송풍팬을 가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팬이 안쪽에 있으므로, 소음발생 방지에 유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 본체 케이스(70)의 조립은, 먼저 내부에 간막이(75)를 넣어 조립하고 우선, 배면덮개 부재(77a,77b)를 결합하여 배면덮개를 완성한다. 각 부품은 메인보드에 우선 조립하고 파워라인 등의 각종 케이블을 연결한 후 배면덮개와 메인보드를 결합한다. 이 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면덮개에 갈고리가 마련되어 이 갈고리로 결합된다. 이들을 레일을 따라 안으로 밀어넣어 컴퓨터 내에 장착한다.
그 후 제1실(80)에는 구획판에 광디스크 드라이브, FDD, HDD 등을 미리 조립하고 간막이를 통과흔 배선을 연결한 후 고정용 레일을 따라 밀어 넣은 후 고정한다.
이상, 본 고안을 위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 또는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압출성형의 장점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케이스 내면 및/또는 외면에 방열핀(FIN)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진동특성 변경과 소음 저감을 위해 진동 소음 집중 발생 부위는 두껍게 성형하는 등의 설계 대응이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 의하면, 케이스는 압출성형된다. 압출성형되므로 사용자가 부분적으로 강도를 높이거나 고유진동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조의 적용 등 형상설계의 자유도가 종래의 판재프레임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케이스의 구조적 강도가 높아짐으로써 각종의 하드웨어를 케이스에 직접설치 할 수 있다. 아울러 소음에 대한 대비도 가능하다. 하드웨어 설치를 위한 종전의 내부프레임이 제거되므로 부품수가 대폭 절감됨과 동시에 조립공정수가 감소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스가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므로 종전의 철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제조하는 것보다 제조설비가 적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알루미늄재료를 사용하면 철판에 비하여 가벼워 컴퓨터 본체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특히 여성들도 컴퓨터 본체의 운반이 용이해진다. 케이스를 통한 열방출도 가능하며, 직접 핀(FIN)등 열방출 구조물을 케이스외면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는 등 열방출 구조 만들기에 유리하다.

Claims (16)

  1. 저면받침의 양측에 제1 및 제2지지대가 앞뒤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단일체의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정면을 덮는 정면덮개와, 상기 본체의 배면을 덮는 배면덮개와, 상면을 덮는 상면덮개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는 금속재료를 압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덮개가 상기 양측 지지대에 연결되도록 금속재료로 일체로 압출성형됨으로써 상기 상면덮개와 상기 본체는 단일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받침에 앞뒤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용 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저면받침(13)의 대략 중간에 제 1 및 제 2지지대 사이를 제 1 실(19)과 제 2 실(20)로 구획하는 간막이(14)가 설치되며, 상기 간막이의 앞부분에는 제 1 실과 제 2 실 사이를 연통하도록 공기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대 및 배면덮개(17)는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순환통로(122,173)를 구비하되,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 내에는 차단부재(176)를 설치함과 동시에, 공기순환통로(173)와 제 1 실(19) 및 제 2 실(20)로 통하는 연통구멍(174,175)을 형성하고, 제 2 실(20)과 연결된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 끝단은 제 2 지지대의 공기순환통로(12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덮개(17)의 공기순환통로(173) 내와, 제 2 지지대의 공기순환통로(122) 내에는 필터(177,123)를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대에는 제 1 실(19)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 및 카드의 기능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접속구멍(111,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전, 후방향으로 제 1 실(50,80)과 제 2 실(51,81)로 구획하며 공기유통통로가 구비된 간막이(45,75)를 더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조기억장치들을 설치하도록 공간이 나뉘어진 압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구획부재를 더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면덮개에는 내부에 설치된 각종 장치 및 카드의 기능접속부가 노출되는 접속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면덮개(77)는 제1 부재(77a)와 제2 부재(77b)를 구비하되, 제1 부재(77a)는 컴퓨터 내부에 설치된 각종 장치 및 카드의 기능접속부가 노출되는 접속구멍이 형성되며, 제2 부재(77b)는 제1 부재(77a)를 덮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에 송풍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스본체의 상부에 디스플레이부를 힌지결합하기 위한 힌지구멍을 가지는 힌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CPU를 장착하기 위한 소켓이 마련되어 있는 컴퓨터의 메인보드가 설치되어 있으되, 상기 상면 덮개에는 고정용 돌출부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용 돌출부에 히트 싱크가 고정되며, 상기 메인보드에는 장착된 CPU의 열발산면과 상기 히트싱크의 하단면이 접촉하며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과 상면 덮개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슬롯이 마련된 컴퓨터의 메인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CPU가 일측에 설치된 CPU 보드가 상기 상면 덮개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CPU의 열발산면이 상기 상면 덮개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케이스.
KR2020000019489U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KR2002169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3034 2000-03-15
KR1020000013034 2000-03-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799A Division KR20010091842A (ko)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974Y1 true KR200216974Y1 (ko) 2001-03-15

Family

ID=1965538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799A KR20010091842A (ko)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KR2020000019489U KR200216974Y1 (ko)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KR1020010013383A KR20010092366A (ko) 2000-03-15 2001-03-15 컴퓨터 케이스
KR2020010008972U KR200237388Y1 (ko) 2000-03-15 2001-03-30 컴퓨터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799A KR20010091842A (ko) 2000-03-15 2000-07-07 컴퓨터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383A KR20010092366A (ko) 2000-03-15 2001-03-15 컴퓨터 케이스
KR2020010008972U KR200237388Y1 (ko) 2000-03-15 2001-03-30 컴퓨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100918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9124A (zh) * 2017-08-15 2017-10-10 任剑岚 一种计算机主板散热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82B1 (ko) * 2008-04-02 2009-01-13 송수현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컴퓨터 케이스
KR101041878B1 (ko) * 2009-03-26 2011-06-15 신준호 튀김장치용 찌꺼기 제거장치
KR101117096B1 (ko) * 2010-09-17 2012-06-12 주식회사 다이나젠 일체형 컴퓨터 케이스
KR101411358B1 (ko) 2012-11-29 2014-06-25 주식회사 다오테크 컴퓨터 본체장치
KR200473974Y1 (ko) * 2013-10-10 2014-09-23 (주)쓰리알시스템 그래픽 카드 지지대를 구비하는 컴퓨터 케이스
KR101666126B1 (ko) * 2016-06-01 2016-10-13 주식회사 엘레판트 컴퓨터 데스크
KR200491948Y1 (ko) * 2018-12-22 2020-07-06 배준복 단일보드컴퓨터케이스
KR102147606B1 (ko) * 2019-09-10 2020-08-25 (주)대우루컴즈 공기청정유닛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493A (en) * 1992-05-15 1993-08-10 Sinotek International Co., Ltd. Alternately horizontal or vertical computer main frame housing
KR19980014061A (ko) * 1996-08-07 1998-05-15 배순훈 위성방송 수신기의 쉴드장치
KR20000009064U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위성방송수신기의 메인섀시
KR200164603Y1 (ko) * 1998-11-25 2000-02-15 주대규 컴퓨터용데스크탑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9124A (zh) * 2017-08-15 2017-10-10 任剑岚 一种计算机主板散热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366A (ko) 2001-10-24
KR200237388Y1 (ko) 2001-10-10
KR20010091842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76652A1 (en) Computer case
JP6273388B2 (ja) 電子装置ハウジング及び組み立て方法
US6137680A (en) Electronic component cooling apparatus
KR100561328B1 (ko) 휴대용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의 방열기
KR200216974Y1 (ko) 컴퓨터 케이스
US20140369002A1 (en) Fan plate
US20070193724A1 (en) Heat dissipating device
US20080286100A1 (en) Fan bracket and brackt set
US20110122576A1 (en) Computer
US7374397B2 (en) Mounting device for fans
CN113280408A (zh) 一种电控盒和整体式空调器
US7255529B2 (en) Cooling fan mounting arrangement with vibration isolation member
JP2008205582A (ja) 音響調節器の筐体構造
AU2023211362A1 (en) Server
US20020141153A1 (en) Case for mounting slidably a data storage medium in a computer housing
US20110122568A1 (en) Computer
KR100299592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TWM381817U (en) Computer system
CN219876248U (zh) 一种mcu控制器热管理散热结构
CN210038655U (zh) 电脑主机壳及电脑主机壳组件
CN220493471U (zh) 车载域控制器外壳及车载域控制器
TWI782876B (zh) 導風罩結構
US20240057280A1 (en) Server
US20240057281A1 (en) Server
KR200323221Y1 (ko) 노트북 컴퓨터의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