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186A -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186A
KR20010092186A KR1020000014251A KR20000014251A KR20010092186A KR 20010092186 A KR20010092186 A KR 20010092186A KR 1020000014251 A KR1020000014251 A KR 1020000014251A KR 20000014251 A KR20000014251 A KR 20000014251A KR 20010092186 A KR20010092186 A KR 20010092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ation tank
defoaming
foam
hopper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951B1 (ko
Inventor
김창근
정우술
Original Assignee
김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근 filed Critical 김창근
Priority to KR102000001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9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장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반드시 화학 약품인 소포제가 첨가된 소포수를 사용해야 하므로 인해 정화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거품을 처리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며, 방류수의 방출량이 증가하게 되고, 2차 수질 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정화 처리설비의 폭기조 내부에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폭기조의 외부로 오버 플로우되는 거품을 화학 약품인 소포제 및 소포수를 투입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써 정화시 소요되는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정화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거품을 제거할 때 폭기량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발생하는 거품을 빠른 시간내에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거품을 제거할 때 유발되는 악취 및 비산으로 인한 2차 수질 오염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방류수를 최소화시켜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BUBBLE REMOVAL APPARATUS FOR CLARIFICATION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 처리설비의 폭기조 내부에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폭기조의 외부로 오버 플로우되는 거품을 화학 약품인 소포제 및 소포수를 투입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폐수나 일반 오폐수 및 분뇨 폐수 등을 정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정화 처리설비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기조(10a) 내부에서 미생물의 원활한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송풍용 블로워(2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를 공급 배관(30)을 통해 상기 폭기조(10a)의 내부로 공급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폭기조(10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하게 일어나게 되므로 폭기조(10a)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거품이 폭기조(10a)의 외부로 넘쳐 흘러서 그 주변에 악취 등의 2차 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폭기조(10a)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거품의 량을 감소시키거나, 물탱크(200) 내부의 화학 약품인 소포제를 첨가한 소포수를 펌프(210)의 구동에 의해 물탱크(200)로부터 공급 배관(220)을 통해상기 폭기조(10a)의 내부에서 스프레이 노즐(221)에 의해 살수시키므로써 거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반드시 화학 약품인소포제가 첨가된 소포수를 사용해야 하므로 인해 정화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거품을 처리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며, 방류수의 방출량이 증가하게 되고, 2차 수질 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화 처리설비의 폭기조 내부에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폭기조의 외부로 오버 플로우되는 거품을 화학 약품인 소포제 및 소포수를 투입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화시 소요되는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정화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품을 제거할 때 폭기량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발생하는 거품을 빠른 시간내에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품을 제거할 때 유발되는 악취 및 비산으로 인한 2차 수질 오염 발생을 억제시킴과 아울러, 방류수를 최소화시켜 정화시킬 수 있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 흡입배관의 입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흡입배관의 입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폭기조 11; 단위셀
20; 송풍용 블로워 30; 공급 배관
40; 소포기 41; 소포기 본체
42; 호퍼 50; 흡입용 블로워
60; 흡입 배관 61; 공기 이송배관
70; 거품 흡입배관 71; 흡입 장공
80; 소포 부재 81; 몸체
82; 통공 83; 날개부
90; 다공 부재 100; 세정수 공급배관
101; 세정수 공급밸브 102; 노즐
110; 반송 배관 120; 거품량 감지센서
130; 공기 유입량 감지센서 140; 콘트롤 박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폭기조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어 폭기조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소포기와; 상기 소포기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폭기조에서 미생물의 활동에의해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시 작동하는 흡입용 블로워와; 상기 폭기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셀과 소포기를 구성하는 소포기 본체 내부의 호퍼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하기 위한 거품 흡입배관과; 상기 호퍼와 연통되는 거품 흡입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거품 흡입배관을 통해 호퍼의 내부로 유입되는 거품을 소포시키기 위한 소포 부재와; 상기 호퍼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소포 부재를 통과한 호퍼 내부의 미량의 거품을 완전 소포시키기 위한 다공 부재와; 상기 소포기 내부의 공기를 다시 폭기조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 흡입배관의 입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흡입배관의 입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포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축산 폐수나 일반 오폐수 및 분뇨 폐수 등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 처리설비의 폭기조(10)의 일측에 폭기조(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시 작동하는 송풍용 블로워(20)가 장착되고, 송풍용 블로워(20)와 상기 폭기조(10)의 사이에는 폭기조(10) 내부에서 미생물의 원활한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송풍용 블로워(2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를 상기 폭기조(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30)의 양단이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폭기조(10)의 상부 일측에는 폭기조(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소포기(40)가 장착되며, 소포기(4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폭기조(10)에서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시 작동하는 흡입용 블로워(50)가 장착되고, 흡입용 블로워(50)와 상기 소포기(40)의 소포기 본체(41) 상부 사이에는 흡입 배관(60)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입용 블로워(50)와 폭기조(10)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 배관(60)을 통해 흡입되는 소포기(40) 내부의 공기를 다시 폭기조(1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이송배관(61)이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폭기조(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셀(11)과 소포기 본체(41) 내부의 호퍼(42) 사이에는 폭기조(10)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하기 위한 거품 흡입배관(70)이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데, 이때 상기 각각의 단위셀(11)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위한 각각의 거품 흡입배관(70)의 입구는 단부 일측면이 60°정도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고, 단부 타측면에는 흡입 장공(7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포기 본체(41) 내부의 호퍼(42)와 연통되는 거품 흡입배관(70)의 단부에는 거품 흡입배관(70)을 통해 호퍼(42)의 내부로 유입되는 거품의 대부분을 소포시키기 위한 소포 부재(80)가 설치되는 데, 소포 부재(80)의 몸체(81) 중앙에는 통공(82)이 형성되고, 통공(82)을 중심으로 몸체(81)의 내주면에는 상기 통공(82)을 통과하는 거품을 소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날개부(83)가 중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포기 본체(41) 내부의 호퍼(42) 상단에는 상기 소포 부재(80)를통과한 호퍼(42) 내부의 미량의 거품을 완전 소포시키기 위해 여과 면적이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도록 형성되어 미세한 다공 형상을 갖는 다공 부재(90)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공 부재(90)의 상부에는 세정수 공급밸브(101)를 개폐시킴에 따라 복수개의 노즐(102)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다공 부재(90)를 주기적으로 자동 세척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배관(100)이 설치되고, 상기 호퍼(42)의 하단과 폭기조(10)의 사이에는 다공 부재(90)를 세척한 물을 폭기조(1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반송 배관(110)이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폭기조(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셀(11) 상부에는 발생되는 거품량을 감지하기 위한 거품량 감지센서(120)가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단위셀(11)에는 단위셀(11)의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 유입량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 유입량 감지센서(130)가 부착되며, 상기 각각의 단위셀(11)에는 그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센서(도시는 생략함)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거품량 감지센서(120)와 공기 유입량 감지센서(130)의 감지 상태에 따라 송풍용 및 흡입용 블로워(20)(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박스(14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산 폐수나 일반 오폐수 및 분뇨 폐수 등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 처리설비의 폭기조(10)의 일측에 장착된 송풍용 블로워(20)의 작동에 의해 공급 배관(30)을 통해 폭기조(10)의 내부로 미생물의 원활한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폭기조(10) 내부의 유면 위에서는 거품이 발생하게된다.
이때, 상기 폭기조(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셀(11) 상부에 부착된 거품량 감지센서(120)가 폭기에 의해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면 콘트롤 박스(140)에서 상기 흡입용 블로워(50)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단위셀(11)로부터 거품 흡입배관(70)을 통해 거품을 흡입하여 상기 폭기조(1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 소포기(40)의 소포기 본체(41) 내부에 설치된 호퍼(42)로 유입되기 직전에 호퍼(42)와 연통되는 거품 흡입배관(70)의 단부에 설치된 소포 부재(80)의 몸체(81) 중앙에 형성된 통공(82)을 통과하면서 상기 몸체(81)의 내주면에 중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날개부(83) 모서리면과 접촉함에 따라 거품의 대부분이 소포된 상태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흡입용 블로워(50)의 작동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호퍼(42)의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소포되지 않은 미량의 거품은 호퍼(42) 상단에 호퍼(4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미세한 다공 형상을 갖는 다공 부재(90)를 통과하면서 완전한 상태로 소포시킬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소포기(40)의 내부에 거품으로 인하여 발생한 악취는 흡입 배관(60)과 흡입용 블로워(50) 및 공기 이송배관(61)을 통과하여 폭기조(10)의 내부로 환원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단위셀(11)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위한 각각의 거품 흡입배관(70)의 입구는 단부 일측면이 60°정도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며, 그 단부 타측면에는 흡입 장공(71)을 형성시켰는 데, 이와 같은 흡입 장공(71)은 거품의 비중량이 클 경우에는 크게 형성하고, 거품의 비중량이 작을 경우에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흡입 효율에 따라 동력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호퍼(42)의 상단에 연통되어 설치된 다공 부재(90)는 여과 면적이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도록 형성시킨 것은 거품의 소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다공 부재(90)의 상부에는 세정수 공급배관(10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다공 부재(90) 하부의 좁은 부분에 이물질 등이 걸려 있을 경우나,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콘트롤 박스(140)의 지령에 의해 세정수 공급밸브(101)가 개방됨에 따라 복수개의 노즐(102)을 통해서 세정수를 분사시키므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또는 주기적으로 자동 세척할 수 있고, 세척한 물은 상기 호퍼(42)의 하단과 폭기조(10)의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반송 배관(110)을 통해서 폭기조(10)의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정화 처리장치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정화 처리장치 이외의 곡물을 세척할 때 발생하는 거품 제거장치 등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응용은 본 발명의 본질에도 어긋남이 없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화 처리설비의 폭기조 내부에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폭기조의 외부로 오버 플로우되는 거품을 화학 약품인 소포제 및 소포수를 투입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써 정화시 소요되는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정화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으며, 거품을 제거할 때 폭기량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발생하는 거품을 빠른 시간내에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거품을 제거할 때 유발되는 악취 및 비산으로 인한 2차 수질 오염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방류수를 최소화시켜 정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폭기조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어 폭기조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소포기와;
    상기 소포기의 일측 하부에 장착되어 폭기조에서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시 작동하는 흡입용 블로워와;
    상기 폭기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셀과 소포기를 구성하는 소포기 본체 내부의 호퍼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폭기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하기 위한 거품 흡입배관과;
    상기 호퍼와 연통되는 거품 흡입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거품 흡입배관을 통해 호퍼의 내부로 유입되는 거품을 소포시키기 위한 소포 부재와;
    상기 호퍼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소포 부재를 통과한 호퍼 내부의 미량의 거품을 완전 소포시키기 위한 다공 부재와;
    상기 소포기 내부의 공기를 다시 폭기조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거품 흡입배관의 입구는 단부 일측면이 60°정도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고, 단부 타측면에는 흡입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 부재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몸체 중앙의 통공을 통과하는 거품을 소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날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부재가 여과 면적이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미세한 다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부재의 상부에는 세정수 공급밸브를 개폐시킴에 따라 복수개의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다공 부재를 주기적으로 자동 세척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호퍼의 하단과 폭기조의 사이에는 다공 부재를 세척한 물을 폭기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반송 배관이 연통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수단이 흡입용 블로워와 소포기의 소포기 본체 상부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흡입 배관과, 상기 흡입용 블로워와 폭기조의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흡입 배관을 통해 흡입되는 소포기 내부의 공기를 다시 폭기조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이송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KR1020000014251A 2000-03-21 2000-03-21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KR100334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251A KR100334951B1 (ko) 2000-03-21 2000-03-21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251A KR100334951B1 (ko) 2000-03-21 2000-03-21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186A true KR20010092186A (ko) 2001-10-24
KR100334951B1 KR100334951B1 (ko) 2002-05-27

Family

ID=1965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251A KR100334951B1 (ko) 2000-03-21 2000-03-21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9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8884A (zh) * 2017-12-08 2018-06-08 浙江海洋大学 一种污水处理厂生物池消泡装置
CN111977783A (zh) * 2020-08-19 2020-11-24 徐张 一种含铬离子废水处理系统
CN117815747A (zh) * 2024-03-06 2024-04-05 山西金馥康生物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丝兰提取物制备用浓缩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8044B (zh) * 2010-03-17 2012-05-02 哈尔滨工业大学 鲁奇炉煤制气废水处理过程中消除泡沫的方法及装置
KR102035489B1 (ko) * 2019-04-16 2019-10-23 함창우 발전소 방류 냉각수의 친환경 거품 제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7574A (en) * 1975-11-06 1977-05-12 Ataka Kensetsu Kougiyou Kk Defoamer
JPS5591998U (ko) * 1978-12-22 1980-06-25
JPS55116406A (en) * 1979-02-28 1980-09-08 Shin Meiwa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foaming in sewage treatment system
JPS5949810A (ja) * 1982-09-14 1984-03-22 Toshiba Corp 消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8884A (zh) * 2017-12-08 2018-06-08 浙江海洋大学 一种污水处理厂生物池消泡装置
CN111977783A (zh) * 2020-08-19 2020-11-24 徐张 一种含铬离子废水处理系统
CN117815747A (zh) * 2024-03-06 2024-04-05 山西金馥康生物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丝兰提取物制备用浓缩设备
CN117815747B (zh) * 2024-03-06 2024-04-26 山西金馥康生物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丝兰提取物制备用浓缩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951B1 (ko) 200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93988A (ja) 繊維物質懸濁液を脱インキする装置
KR100471419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334951B1 (ko) 정화 처리설비의 거품 제거장치
CN208964562U (zh) 一种高效气浮机
CN106966543B (zh) 一种车载粪便污水处理设备
CN215480262U (zh) 一种改进型混凝气浮装置
JPH06315696A (ja) 活性汚泥槽のための消泡装置
KR102262478B1 (ko) 에너지 저감형 산기관
JP4374885B2 (ja) 膜分離装置
CN108793599A (zh) 一种低浓度有机污水处理系统
CN212954748U (zh) Mbr和斜板沉淀处理一体化连接设备
CN210845703U (zh) 一种组合式喷漆车间漆雾及废气处理装置
KR100301521B1 (ko) 거품 부상식 슬러지 제거장치
KR200258000Y1 (ko)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KR20020005864A (ko) 거품의 부상분리와 생물막에 의한 오염수계의 정화방법 및장치
KR200299975Y1 (ko)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스크린장치
KR20010074161A (ko) 오수처리장치의 처리수 배출장치
CN218636687U (zh) 一种浸泡缓流有效防起泡装置
JPH10309579A (ja) 膜組込み型水処理装置
JPH0457383B2 (ko)
CN207511961U (zh) 高效折流自动监测混凝气浮设备
JP3659672B2 (ja) 循環水路型曝気槽におけるスカムの除去装置
KR20060080138A (ko)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CN109248559A (zh) 一种曝气池废气脱硫工艺
KR100331937B1 (ko) 마그네틱 필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812

Effective date: 2005060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227

Effective date: 2005060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50909

Effective date: 20061106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711

Effective date: 2006122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711

Effective date: 2006122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119

Effective date: 2007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