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138A -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138A
KR20060080138A KR1020060031809A KR20060031809A KR20060080138A KR 20060080138 A KR20060080138 A KR 20060080138A KR 1020060031809 A KR1020060031809 A KR 1020060031809A KR 20060031809 A KR20060031809 A KR 20060031809A KR 20060080138 A KR20060080138 A KR 20060080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oy
sludge
separator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이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102006003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0138A/ko
Publication of KR2006008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하는 공정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하는 정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를 담아두어 정화하는 공기 부양조와 상기 공기 부양조 상단에 설치되어 깨끗한 물을 살수하는 소포용 살수 노즐과 상기 공기 부양조를 순차적으르 분리시키주는 부양조 격리판과 상기 부양조 격리판으로 분리된 상기 공기 부양조의 바닥 중앙에 설치하며 공기발생기에서 발생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밸브를 통해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발생관과 상기 공기 발생관으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로 인하여 생기는 상기 오폐수의 거품슬러지를 열을 가하여 상부로 부상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로 부상된 거품슬러지를 제거하는 스크리퍼 구동모터가 있는 거품제거 스트리퍼와 상기 거품제거 스트리퍼로 제거된 거품이 없는 정화된 오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으로 상기 거품제거 스트리퍼에서 제거되지 않은 거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거품 격리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이다.
공기발생기, 거품, 슬러지, 제거, 공기부양조, 격리판

Description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Air floating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 정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 정화 장치의 오폐수 정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공기 부양조 20 : 살수 노즐
30 : 부양조 격리판 40 : 공기 발생관
41 : 공기발생기 42 : 공기 조절밸브
50 : 히터 60 : 거품제거 스트리퍼
61 : 스트리퍼 구동모터 70 : 배출관
80 : 거품 격리판
본 발명은 오폐수를 처리하는 공정에서 오폐수로부터 부유물질을 분리하고 화학적 슬러지를 농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가압된 상태에서 공기가 오폐수에 주입되면 상기 오폐수가 대기압 상태에서 용존공기가 미세한 기포로 바뀌어 상기 기포가 슬러지들의 핵을 형성하여 거품형태로 떠오르게 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및 축산폐수는 특히 생활하수나 축사폐수를 처리에는 미생물을 배양시켜 미생물에 의해 오폐수 및 축산폐수가 처리되도록 하는 미생물처리방식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따라서 오폐수 및 축산폐수 등에서는 처리코자 하는 용수 내에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을 맞추기 위해 다량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공급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오폐수의 부유물질 및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엇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폐수의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공급장치를 이용한 공기부양방식으로 거품을 생성하여 제거하므로 공기 부양조의 상부가 항상 공기에 많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부양조에서 오폐수가 유입되면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기부양수로의 격리판을 순차적으로 조금씩 낮게 설치하여 물과 공기공급장치로 인하여 생긴 거품슬러지가 함께 다음 공기 부양조로 이동하게 하며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거품슬러지를 상기 공기 부양조의 상부로 부상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폐수를 처리하는 공정에서 오폐수로부터 부유물질을 분리하고 화학적 슬러지를 농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가압된 상태에서 공기가 오폐수에 주입되면 상기 오폐수가 대기압 상태에서 용존공기가 미세한 기포로 바뀌어 상기 기포가 슬러지들의 핵을 형성하여 거품형태로 떠오르게 하여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 로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폐수 처리하는 공정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하는 정화시키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를 담아두어 정화하는 공기 부양조(10);와
상기 공기 부양조(10) 상단에 설치되어 깨끗한 물을 살수하는 소포용 살수 노즐(20);과
상기 공기 부양조(10)를 순차적으로 분리시켜주는 부양조 격리판(30);과
상기 부양조 격리판(30)으로 분리된 상기 공기 부양조(10)의 바닥 중앙에 설치하며 공기발생기(41)에서 발생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밸브(42)를 통해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발생관(40);과
상기 공기 발생관(40)으로 유입된 공기의 발생으로 인하여 생기는 상기 오폐수의 거품슬러지를 열로 가하여 상부로 부상시키는 히터(50);와
상기 히터(50)로 부상된 거품슬러지를 제거하는 스크리퍼 구동모터(61)가 있는 거품제거 스트리퍼(60);와
상기 거품제거 스트리퍼(60)로 제거된 거품이 없는 정화된 오폐수를 다음 오폐수 처리 공정으로 배출하는 배출관(70);과
상기 배출관(70)으로 상기 거품제거 스트리퍼(60)에서 제거되지 않은 거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거품 격리판(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상기 공기 부양조(10a)에서 순차적으로 조금씩 낮게 형성되어 있는 부양조 격리판(30)을 통하여 정화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관(70)이 있는 공기 부양조(10b)까지 상기 오폐수가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부양조 격리판(30)으로 분리된 각각의 공기 부양조(10)의 바닥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발생관(40)에서 공기발생기(41)에서 발생한 공기가 공기 조절밸브(42)를 통하여 공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발생관(40)을 통해 들어온 공기와 상기 공기 부양조(10) 내부에 있는 오폐수와 접촉하여 상기 공기가 오폐수에 용존하게 되면 상기 용존공기가 미세한 기포로 바뀌어 상기 기포들이 상기 오폐수의 부유입자들의 핵을 형성하여 거품슬러지 형태로 떠오르게 한다.
따라서 상기 거품슬러지는 순차적으로 조금씩 낮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부양조 격리판(30)을 통하여 상기 공기 부양조(10)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소포용 살수 노즐(20)에서 나오는 깨끗한 물과 함께 다음 공기 부양조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배출관(70)가 있는 공기 부양조(10b)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50)를 통해서 상기 거품슬러지가 있는 오폐수에 열을 가하여 상기 거품슬러지를 상기 공기 부양조(10b) 상부로 부상시켜 스트리퍼 구동모터(61)가 있는 거품제거 스트리퍼(60)에서 상기 거품슬러지를 제거하여 상기 공기 부양조(10) 밖으로 배출하므로 각 공기 부양조(10)의 상부가 항시 공기에 많이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70)으로 이동하는 정화된 오폐수를 상기 히터(50)에 의해 부상되지 않은 거품슬러지가 배출되지 않도록 거품 격리판(80)이 막아 거품슬러지 없는 정화된 오폐수가 다음 오폐수 처리 공정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부양조 격리판(30)은 상기 공기 부양조(10)에서 오폐수의 처리해야할 양이 많을 경우에는 여러 개로 늘려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부양조 격리판(30)은 상기 공기 부양조(10)에서 오폐수와 거품슬러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이다.
상기 히터(50)는 오폐수 처리 공정에서 미생물의 번식이 가능한 수질온도로 맞추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 장치의 오폐수 정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폐수 처리하는 공정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하는 정화시키는 공기 부양 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를 격리판이 순차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는 공기 부양조에 유입시키는 제 1단계(S1);와
상기 제 1단계(S1)의 유입된 오폐수에 상기 공기 부양조의 바닥 중앙에 있는 공기 발생관을 통해 공기를 발생시키는 제 2단계(S2);와
상기 제 2단계(S2)에서 공기 발생관을 통해 들어온 공기와 상기 오폐수가 접 촉하면서 부유입자의 핵을 거품슬러지 형태로 형성하는 제 3단계(S3);와
상기 제 3단계(S3)에서의 거품슬러지 형태의 부유입자의 핵을 히터로 열을 가하여 상기 공기 부양조의 상부로 부상시키는 제 4단계(S4);와
상기 제 4단계(S4)의 공기 부양조의 상부로 부상한 거품슬러지를 거품제거 스트리퍼로 제거하는 제 5단계(S5);와
상기 제 5단계(S5)의 거품슬러지를 제거한 정화된 오폐수를 다음 오폐수 처리 공정으로 배출하는 제 6단계(S6);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 정화 장치는 공기발생기를 이용하여 거품슬러지를 생성하고 상기 거품슬러지를 거품제거 스트리퍼로 제거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작비가 저렴하며, 상기 간단한 구성으로 인하여 잔고장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 장치는 공기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한 공기 전달 효율을 높여 호기성 발효를 일으키므로 냄새 및 악취의 발생을 감소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오폐수 처리하는 공정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하는 정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를 담아두어 정화하는 공기 부양조;
    상기 공기 부양조 상단에 설치되어 깨끗한 물을 살수하는 소포용 살수 노즐;
    상기 공기 부양조를 순차적으로 분리시켜주는 부양조 격리판;
    상기 부양조 격리판으로 분리된 상기 공기 부양조의 바닥 중앙에 설치하며 공기발생기에서 발생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밸브를 통해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발생관;
    상기 공기 발생관으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로 인하여 생기는 상기 오폐수의 거품슬러지를 열로 가하여 상부로 부상시키는 히터;
    상기 히터로 부상된 거품슬러지를 제거하는 스크리퍼 구동모터가 있는 거품제거 스트리퍼;
    상기 거품제거 스트리퍼로 제거된 거품이 없는 정화된 오폐수를 다음 오폐수 처리 공정으로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으로 상기 거품제거 스트리퍼에서 제거되지 않은 거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거품 격리판;
    으로 구성되어 있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공기 부양조에서 오폐수의 처리해야할 양이 많을 경우에는 여러 개로 늘려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공기 부양조에서 오폐수와 거품슬러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미생물의 번식이 가능한 수질온도로 맞추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 정화 장치.
  5. 오폐수 처리하는 공정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하는 정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를 격리판이 순차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는 공기 부양조에 유입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유입된 오폐수에 상기 공기 부양조의 바닥 중앙에 있는 공기 유입관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유입된 공기와 상기 오폐수가 접촉하면서 부유입자의 핵을 거품슬러지 형태로 형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의 거품슬러지 형태의 부유입자의 핵을 히터로 열을 가하여 상기 공기 부양조의 상부로 부상시키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의 공기 부양조의 상부로 부상한 거품슬러지를 거품제거 스트리퍼로 제거하는 제 5단계;
    상기 제 5단계의 거품슬러지를 제거한 정화된 오폐수를 다음 오폐수 처리 공정으로 배출하는 제 6단계;
    로 이루어진 공기 부양 정화 방법.
KR1020060031809A 2006-04-07 2006-04-07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0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809A KR20060080138A (ko) 2006-04-07 2006-04-07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809A KR20060080138A (ko) 2006-04-07 2006-04-07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635U Division KR200422415Y1 (ko) 2006-04-11 2006-04-11 공기 부양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138A true KR20060080138A (ko) 2006-07-07

Family

ID=3717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809A KR20060080138A (ko) 2006-04-07 2006-04-07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01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29B1 (ko) * 2011-07-19 2013-07-01 조경수 오폐수의 거품 제거장치
CN114620855A (zh) * 2021-12-24 2022-06-14 上海相出净流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应用于煤化工废水物化段的高级氧化耦合反应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29B1 (ko) * 2011-07-19 2013-07-01 조경수 오폐수의 거품 제거장치
CN114620855A (zh) * 2021-12-24 2022-06-14 上海相出净流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应用于煤化工废水物化段的高级氧化耦合反应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0411B (zh) 使用脉冲气提泵的膜清洗
WO2007089168A1 (fr) Procédé auto-régulateur d'épuration des eaux usées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CN101233084A (zh) 模块化水处理单元
KR101810362B1 (ko) 버블 크기를 이용한 무필터 수처리 장치
KR101682392B1 (ko) 폐수처리설비
KR101782735B1 (ko)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KR20060080138A (ko) 공기 부양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36378A (ja) 浄化槽
JPH10290993A (ja) 浄水処理装置
KR200422415Y1 (ko) 공기 부양 정화 장치
RU2009108196A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11289911A (ja) 水族館等における水質淨化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並びに処理システム
RU200210978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100029009A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정수시스템
RU23753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езреагент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 модуль интенсивной аэрации и дегазации (миад)
JP2011189308A (ja) 活性汚泥処理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0382519Y1 (ko) 하수처리용 산기장치
KR200371017Y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JP3605683B2 (ja) 微生物を利用する廃水処理装置
RU729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219603303U (zh) 一种高效型气浮机
KR200282828Y1 (ko) 산소흡수를 극대화시킨 폭기장치와 접촉여재가 설치된오·폐수 처리시설
KR200231048Y1 (ko)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KR20040048679A (ko) 모듈형 여과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하폐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