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048Y1 -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048Y1
KR200231048Y1 KR2020010000442U KR20010000442U KR200231048Y1 KR 200231048 Y1 KR200231048 Y1 KR 200231048Y1 KR 2020010000442 U KR2020010000442 U KR 2020010000442U KR 20010000442 U KR20010000442 U KR 20010000442U KR 200231048 Y1 KR200231048 Y1 KR 200231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contact
water
up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김순용
Original Assignee
김정태
김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태, 김순용 filed Critical 김정태
Priority to KR2020010000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048Y1/ko

Links

Landscapes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처리장 하천 호수등의 수처리 정화에있어서 다단의 호퍼형 구조로 된 탱크내부에 각각 접촉여재를 구성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미생물을 접촉여재에 배양하며 상향류로 흐르는 원수가 충분한 체류시간을 거치면서 수질을 개선하고 하부로 배출되는 오니는 오니활성화조를 통해 미생물이 배양 및 활성화 될 수 있는 온도 공기 영양분이 공급되어 상향류식 탱크로 재순환시켜 활성화된 오니가 접촉여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미생물 배양 접촉산하장치 기술이다.

Description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omitted}
본 고안은 상,하수처리장 하천 호수등의 수처리 정화에 있어서 다단의 호파형 구조로된 탱크내부에 각각 접촉여재을 구성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미생물을 접촉여재를 구성하는 구성하는 공간을 확보하여 미생물을 접촉여재에 배양하며 상향류로 흐르는 원수가 충분한 채류시간을 거치면서 수질을 개선하고 하부로 배출되는 오니는 활성화조를 통해 미생물이 배양 및 활성화 될수있는 온도,공기,여양분이 공급되어 상향류식 탱크로 재순환시켜 활성화된 오니가 접촉여재에 공급될수있도록 하는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처리장 하천 호수등의 수처리 정화에있어서 미생물에의한 접촉산화 방식에는 탱크내부에 다단을 형성하여 접촉여재을 충진한후 중력식 여과방식을 채택하여 각종여재을 고정시켜 여재의 다공이 막히게되고 공기와의 접촉효율이 저하되고있다.
또한 접촉여재 사이에 퇴적물이 누적되어 MUD-BALL 현상이 발생되어 접촉여재 다공이 쉽게 막혀 미생물이 활성화가 되지못하고 수질은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인해 퇴적된 오니와 접촉여재가 결합되어 청소및 유지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용존산소량이 부족하여 주변에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향류식 접촉산화방식을 채택하여 다공물질인 접촉여재(11)가 일정한 부력을 갖으며 다단의 호퍼구조로된 다공판(12)이 일정한 공간을 확보한다.
호파형구조의 다공판(12)이 갖은 공간은 다공물질인 접촉여재 층보다 2배정도 여유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원수펌프(21)의 수압에의해 하부에서 상부로 부상되고 접촉여재(11)의 부력에의해 물에뜨면서 여재의 막힘현상이 없이 공기와 접촉면적이 넓어져 미생물의 활동이 활성화 될뿐만아니라 다층의 여재층으로 구성되어 효율이 극대화 된다.
뿐만아니라 상향류식 탱크(10)의 하부에 오니배출밸브(17)가 설치되어 있어 배출되는 오니를 오니활성화조(40)에 투입하여 미생물이 배양및 활성화 될수있도록 공기를 공급할수있는 블로워(41)에 공기공급배관(42)이 설치되며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수 있도록 오니활성화조(40) 외부에 히팅코일(43)을 구성하여 활성화된 미생물을 배양한후 상향류식 탱크(10)로 재공급되도록 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것이다.
첫째,상향류식 탱크의(10)의 다공판(12)을 호파형 구조로 형성하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여재의 문막힘이 없고 공기와 접촉면적이 넓어져 미생물 활동을 극대화 시킬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둘째,상향류식 탱크(10)의 하부로 배출되는 오니를 오니활성화조(40)에 투입하여 적정한 온도,공기,영향분을 공급함으로써 활성화된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뿐만아니라 오니활성화조(40)에서 배양된 미생물을 상향류식 탱크(10)로 재순환 함으로써 접촉여재(11)에 앙시 활성화된 미생물이 접착되어 수질을 현저히 개선시키고 주변의 냄새를 제거할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향류식 탱크 20 : 원수 유입배관
11 : 접촉여재 21 : 원수 유입펌프
12 : 다공판 30 : 오니 순환배관
13 : 여재 드레인 밸브 31 : 오니 순환펌프
14 : 맨홀 40 : 오니 활성화조
15 : 사다리 41 : 블로워
16 : 에어벤트 42 : 공기 분배관
17 : 오니 드레인 밸브 43 : 히팅 코일
50 : 처리수 유출배관 51 : 공기흡입용 이젝터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하수처리장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된 원수를 원수유입펌프(21)로 펌핑하여 내부가 다단으로 구성된 탱크구조로된 상향류식 탱크(10)의 하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향류식 탱크(10)은 내부에는 호퍼구조로 된 다공판(12)를 다단으로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다공판(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어져 있어 상향류 되는 원수가 유출될수 있는 구조로 되며 다공판과 다공판의 공간은 접촉여재(11)층보다 약2배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원수펌프(21)의 수압에 의해 접촉여재(11)이 부상되고 부력에 의해 뜰수 있도록 하여 접촉여재의 눈막힘이 없이 공기와 접촉면적을 넓혀 미생물이 활성화 될수 있는 구조로 한다.
뿐만아니라 상향류식 탱크(10)의 하부에 오니배출밸브(17)이 설치되어 있어 배출되는 오니를 오니활성화조(40)에 투입하여 미생물이 배양 및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할수 있는 블로워(41)에 공기공급배관(42)이 설치되며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오니활성화조(40)외부에 히팅코일(43)을 구성하여 활성화된 미생물을 배양한 후 상향류식 탱크로 재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접촉여재에 항시 활성화된 미생물이 접착될수 있는 구조로 되어 상.하수처리장 하천 호수 유입수 수질을 현저히 개선시키고 냄새를 제거하여 처리수 유출배관(50)을 통해 방류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정수장 하수처리장 하천 호수 등의 유입수를 미생물 배양 접촉산하 장치에 의해 수질을 개선시키는 목적으로 아래와 같은 효과를 이룰수 있다.
첫째,상향류식 탱크(10)내부에 다공판(12)를 호퍼형 구조로 개선하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여재의 눈막힘이 없이 공기와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미생물 활동을 극대화 할 수있다.
둘째,배출되는 오니를 오니활성화조(40)에 투입하여 적정한 온도 공기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셋째,상향류식 탱크(10)내부에는 항시 활성화된 미생물이 접촉여재에 접착되어있어 방류수의 수질을 현저히 개선시키고 주변의 냄새를 제거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정수장 하수처리장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한 원수를 원수유입펌프(21)로 유입하여 내부가 다단으로 구성된 상향류식 탱크(10)내부에 호퍼형구조로된다공판(12)를 다단으로 설치하고,다공판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다공판(12)사이의 공간은 접촉여재(11)층보다 약 2배정도의 충분한 공간이확보되고원수펌프(21)의 수압에 의해 접촉여재(11)가 부상되고 부력에 뜰수 있는 구조로 되며 상향류식 탱크(10)하부에는 오니배출밸브(17)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오니를 오니활성화조(40)에 투입되고 미생물이 배양및 활성화 될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할수 있는블로워(41)에 공기공급배관(42)가 설치되고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오니활성화조(40) 외부에 히팅코일(43)을 구성하여 충분하게 미생물을 배양하며 오니순환펌프(31)에 의해 상향류식 탱크(10)으로 재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유입수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냄새를 제거하여 처리수유출배관(50)을 통해 방류시키는 미생물배양 접촉산화장치.
KR2020010000442U 2001-01-08 2001-01-08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KR200231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42U KR200231048Y1 (ko) 2001-01-08 2001-01-08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442U KR200231048Y1 (ko) 2001-01-08 2001-01-08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048Y1 true KR200231048Y1 (ko) 2001-07-03

Family

ID=7306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442U KR200231048Y1 (ko) 2001-01-08 2001-01-08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0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704B1 (ko) * 2001-12-06 2003-10-17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생물학적 폐수처리공정에서의 미생물 배양장치 및 그 방법
KR100752402B1 (ko) * 2006-04-12 2007-08-28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모듈
KR101757333B1 (ko) * 2016-07-29 2017-07-12 (주) 영동엔지니어링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컴팩트화 한 고도수처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704B1 (ko) * 2001-12-06 2003-10-17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생물학적 폐수처리공정에서의 미생물 배양장치 및 그 방법
KR100752402B1 (ko) * 2006-04-12 2007-08-28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수처리를 위한 여과장치모듈
KR101757333B1 (ko) * 2016-07-29 2017-07-12 (주) 영동엔지니어링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컴팩트화 한 고도수처리 장치
WO2018021840A1 (ko) * 2016-07-29 2018-02-01 (주)영동엔지니어링 스펀지 여재를 이용한 컴팩트화 한 고도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76498B (zh) 一种通气式生物过滤系统及其废水处理方法
KR100303811B1 (ko) 생물·산화 여과장치
CN105060476A (zh) 一种深度脱氮v型滤池
CN201296713Y (zh) 内循环曝气生物滤池与澄清池联合处理系统
CN104291519B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装置
KR200231048Y1 (ko) 미생물 배양 접촉산화 장치
KR101667932B1 (ko) 막증류 결합형 혐기하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7136378A (ja) 浄化槽
JP2005000784A (ja) 閉鎖性水域浄化装置
JP3263267B2 (ja) 浄化槽
CA2565052A1 (en) System for improved dissolved air floatation with a biofilter
JPH08215692A (ja) 浄化装置
CN203768096U (zh) 一种曝气生物反滤装置
CN207903981U (zh) 一种高效的升流式生物反应装置
WO2007003290A3 (en) Bioreactors with floating carriers
KR200277533Y1 (ko) 탈취 및 상향류식 접촉 산화장치
KR100444411B1 (ko) 오수 정화장치
CN205953641U (zh) 一种炼油轻度污染废水处理系统
JP4126832B2 (ja) 好気濾床槽及びこの好気濾床槽を備える汚水浄化槽
JP4187889B2 (ja) 好気濾床槽及び汚水浄化槽
JP2005087830A (ja) 膜分離式活性汚泥処理装置
CN212387919U (zh) 一种带阶梯式人工湿地的处理分散性生活污水的集装箱
JPH10249367A (ja) 汚水浄化装置
CN214004177U (zh) 一种生物活性炭滤池
JP4242025B2 (ja) 濾過層洗浄用散気管、好気濾床槽及び汚水浄化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