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022A -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022A
KR20010092022A KR1020010055577A KR20010055577A KR20010092022A KR 20010092022 A KR20010092022 A KR 20010092022A KR 1020010055577 A KR1020010055577 A KR 1020010055577A KR 20010055577 A KR20010055577 A KR 20010055577A KR 20010092022 A KR20010092022 A KR 2001009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aper
tension device
hol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650B1 (ko
Inventor
강신량
Original Assignee
강신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량 filed Critical 강신량
Priority to KR10-2001-005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6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력 와이어를 인장하여 각종 건축물의 횡강성을 증대시키는 구조의 와이어 텐션장치에 있어서, 와이어를 양방향에서 인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장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텐션장치는 제 1관통공(32)과 연결되는 제 1내부 테이퍼(36) 및 상기 제 1관통공(32)과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제 2관통공(34)과 연결되는 제 2내부 테이퍼(38)를 지닌 정착구(30)와, 제 1외부 테이퍼(42)를 통해서 상기 제 1내부 테이퍼(36)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확장홀더(40)와, 상기 제 1확장홀더(40)와 대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 2외부 테이퍼(42')를 통해서 상기 제 2내부 테이퍼(38)에 밀착 고정되는 제 2확장홀더(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BIDIRECTIONAL WIRE TENSION DEVICE}
본 발명은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내부 테이퍼에 밀착 고정되는 제 1 및 제 2확장홀더를 이용하여 고장력 와이어를 인장시킴으로써, 인장력의 향상을 통해 건축물의처짐에 대한 보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의 구조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및 합성구조가 그것이다.
이중에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부담하고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철근이 인장력을 부담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는 단위체적당 단가가 저렴하나 인장력이 부족하여 단독으로는 모멘트나 인장응력을 받을 수 없으므로 단면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부위에 주로 값비싼 철근을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건축물은 철골구조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비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하여 변형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특히 내진면에서도 상당히 취약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2001년 4월 6일 공개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 2001-0025905호에는 강재 와이어 방식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진보강 구조체 및 내진보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에 개시된 내진보강 구조체(1)가 보 기둥으로 이루어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8)에 장착되어 있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내진보강 구조체(1)는 통상, 보(8a)와 기둥(8b)으로 이루어진 단순 프레임구조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8)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강해야할 구조물(8)의 보-기둥 접합부 내측 모서리에 부착되는 와이어 고정부재(2,2′)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2, 2′)에 양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서로 교차되어 X자형으로 배치되는 제 1 및 제 2강재 와이어(3, 4)로 구성된다. 와이어 고정부재(2, 2′)는 보강해야할 구조물(8)의 4개의 보-기둥 접합부 내측 모서리에 고정된다. 와이어고정부재(2, 2′)에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및 제 2강재 와이어(3, 4)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와이어 고정부재(2, 2′)는 앵커 볼트에 의하여 구조물(8)의 보-기둥 접합부 모서리 내측에 고정하게 된다. 부재번호 6, 7로 표시된 것은 강재 와이어(3, 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기(6, 7)이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보강 구조체는 어느 정도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갖고 있는 횡강성의 저하로 인한 변형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으며, 특히 양 기둥간에 가설된 보의 처짐현상을 보정하는데 있어서는 그다지 효율적인 구조라고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제출하는 실용신안등록출원서에는 고장력 와이어 및 이를 인장할 수 있는 정착구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를 비롯한 각종 건축물을 구성하는 보의 처짐현상을 막고, 처짐 변형시에는 처짐량만큼 와이어를 인장시켜 보정함으로써 구조물의 강도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와이어의 인장력을 이용한 건축물 보강장치를 개시하였다. 이것은 고장력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보강장치에 있어서, 일단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체결구에 의해 건축물에 고정되며 타단에는 안착부가 구비된 고정 플레이트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안착부에 고정되며 안쪽에는 내부 테이퍼가 형성된 정착구와, 고정수단에 의해 확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절개편으로 이루어지고외측면은 상기 정착구의 내부 테이퍼와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진 외부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인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확장홀더와, 상기 정착구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건축물 보강장치는 와이어의 양단을 잡고 인장기로 당겨서 보의 처짐상태를 예방 및 보정하기 때문에, 와이어 인장작업이 매우 힘든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에서는 와이어의 끝지점에서 일방향으로 와이어를 당기던 종래방식 대신에, 와이어의 중간 지점에서 양방향으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인장력의 향상을 통해 건축물의 처짐상태의 보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강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방향 텐션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텐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텐션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정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보 12:기둥
30:정착구 32, 34:제 1, 2관통홀
36, 38:제 1, 2내부 테이퍼 40, 40':제 1, 2확장홀더
42, 42':제 1, 2 외부 테이퍼 50, 50':고정링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는 고정링에 의해 확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절개편으로 이루어진 확장홀더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인장시킴으로써 건축물의 횡강성을 증대시키는 와이어 텐션장치에 있어서, 제 1관통공과 연결되는 제 1내부 테이퍼 및 상기 제 1관통공과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제 2관통공과 연결되는 제 2내부 테이퍼를 지닌 정착구와, 제 1외부 테이퍼를 통해서 상기 제 1내부 테이퍼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확장홀더와, 상기 제1확장홀더와 대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 2외부 테이퍼를 통해서 상기 제 2내부 테이퍼에 밀착 고정되는 제 2확장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방향 텐션장치가 설치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텐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텐션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정면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빌딩이나, 공장, 교각 등의 건축물을 구성하는 보(10)는 다수의 기둥(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때, 보(10)의 횡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고장력 와이어(20, 22, 24) 및 텐션장치(30)를 이용하여 보(10)의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즉, 도면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2개의 와이어(20, 22)가 만나는 중간 지점에 텐션장치(30)를 설치함과 동시에, 좌측에 배치되는 2개의 와이어(22, 24)가 만나는 중간 지점에도 텐션장치(30)를 설치한 다음, 이들 텐션장치(30)를 이용하여 와이어(20, 22, 24)를 인장시킨다. 중앙에 배치되는 와이어(22)의 중앙은 보(10)에 부착된 중간 지지구(1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양단은 각각 본 발명의 텐션장치(30)에 의해서 인장된 상태로 보(10)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우측 와이어(20)의 끝단은 연결고리(26)와 볼트(28)에 의해서 보(10)에 고정되어 있고, 좌측 와이어(24)의 끝단은 연결고리(26)와 볼트(28)에 의해서 보(10)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연결고리(26)와 볼트(28)에 의한 결합방식은 일예로서 예시한 것으로,그 밖의 여러 가지 결합수단에 의해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텐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제 1관통공(32)과 연결되는 제 1내부 테이퍼(36) 및 상기 제 1관통공(32)과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제 2관통공(34)과 연결되는 제 2내부 테이퍼(38)를 지닌 정착구(30)와, 제 1외부 테이퍼(42)를 통해서 상기 제 1내부 테이퍼(36)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확장홀더(40)와, 상기 제 1확장홀더(40)와 대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 2외부 테이퍼(42')를 통해서 상기 제 2내부 테이퍼(38)에 밀착 고정되는 제 2확장홀더(4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정착구(30)의 내측에 형성된 제 1내부 테이퍼(36)와 제 2내부 테이퍼(38)는 제 1 및 제 2확장홀더(40, 40')의 외측면에 형성된 외부 테이퍼(52, 52)와 대략 동일하게 경사져 있어, 확장홀더(40, 40)와의 분리 및 밀착고정을 가능케 한다.
또한, 확장홀더(40, 40')는 정착구(30)에 대해서 분리 및 밀착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3개의 절개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는 정착구(30)의 내부 테이퍼(36, 38)와 상응하는 외부 테이퍼(42, 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는 와이어(20, 22)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48, 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고정홈(46, 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홈(46, 46')에는 고정링(50, 50')이 삽입되어 확장홀더(40, 40')의 일단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확장홀더(40, 40')의 일단이 고정링(50, 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동안에 타단은 슬릿(44, 44')을 중심으로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통공(48,48')에 삽입된 와이어(20, 22)의 인장시에는 고정링(50, 50')을 중심으로 확장되면서 와이어(20, 22)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당기고 있던 와이어(20, 22)를 놓게 되면, 와이어(20, 22)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부 테이퍼(36, 38)와 외부 테이퍼(42, 42')의 미끄럼 접촉을 통해서 확장홀더(40, 40')의 타단이 고정링(50, 50')을 중심으로 수축되면서 내부의 와이어(20, 22)를 가압 밀착시킴으로써, 정착구(30)에 대해 와이어(20, 22)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확장홀더(40, 40')의 일단을 분리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고리 형태의 고정링(50, 50')을 채용하였다. 고정링(50, 50')의 양단은 분리되어 있어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므로, 조립시에는 고정링(50, 50')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확장홀더(40, 40')의 고정홈(46, 46')에 삽입하게 되면, 고정링(50, 5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고정홈(46, 46')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확장홀더(40, 40')의 이탈을 제지하게 된다.
한편, 정착구(30)의 일측에는 빗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캡을 씌우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홀더(40, 40')의 일단은 고정링(46, 46')에 의해 확장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링(46, 46')을 중심으로 각 절개편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정착구(30)의 제 1관통공(32)과 제 2관통공(34)을 통해 유입된 와이어(20, 22)의 일단을 끼우게 되면, 와이어(20, 22)는 확장홀더(40, 40')의 내부 관통공(48, 48')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확장홀더(40, 40')를 정착구(30)내에 조립하면, 확장홀더(40, 40')의 외부 테이퍼(42, 42')가 정착구(30)의 제 1 및 제 2내부 테이퍼(36, 38)와 밀착 가압되면서 와이어(20, 22)를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조립된 후에, 보(10)의 처짐을 막기 위해 와이어(20, 22)를 인장시키기 위해 와이어(20, 22)의 끝에 인장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와이어를 당기면, 정착구(30)안에 결합되어 있는 확장홀더(40, 40')가 와이어(20, 22)와 함께 인출하면서 다수의 절개편이 약간 벌어지면서 와이어(20, 22)의 인장을 가능케 한다. 적절한 길이로 와이어(20, 22)를 당긴 후에 놓게 되면, 와이어(20, 22)에 의해 확장홀더(40, 40')가 후퇴하게 되고, 그로 인해 그의 외부 테이퍼(42, 42')가 정착구(30)의 내부 테이퍼(36, 38)와 밀착되면서 더 이상 후퇴되지 않도록 제지됨으로써, 와이어(20, 22)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장력 와이어를 인장 및 고정할 수 있는 확장홀더 및 정착구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를 비롯한 각종 건축물을 구성하는 보의 횡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처짐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와이어를 중간지점에서 양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인장력의 증대를 통해 처짐상태의 보정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

  1. 고정링에 의해 확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절개편으로 이루어진 확장홀더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인장시킴으로써 건축물의 횡강성을 증대시키는 와이어 텐션장치에 있어서,
    제 1관통공(32)과 연결되는 제 1내부 테이퍼(36) 및 상기 제 1관통공(32)과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제 2관통공(34)과 연결되는 제 2내부 테이퍼(38)를 지닌 정착구(30)와,
    제 1외부 테이퍼(42)를 통해서 상기 제 1내부 테이퍼(36)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확장홀더(40)와,
    상기 제 1확장홀더(40)와 대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 2외부 테이퍼(42')를 통해서 상기 제 2내부 테이퍼(38)에 밀착 고정되는 제 2확장홀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KR10-2001-0055577A 2001-09-10 2001-09-10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KR10045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77A KR100457650B1 (ko) 2001-09-10 2001-09-10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77A KR100457650B1 (ko) 2001-09-10 2001-09-10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022A true KR20010092022A (ko) 2001-10-24
KR100457650B1 KR100457650B1 (ko) 2004-11-18

Family

ID=1971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577A KR100457650B1 (ko) 2001-09-10 2001-09-10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85B1 (ko) * 2001-11-14 2004-07-12 강신량 와이어 텐션장치를 이용한 바닥 슬래브 보강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197B1 (ko) * 2007-03-28 2008-12-09 이정오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1115160B1 (ko) * 2009-02-27 2012-02-2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교차형 양방향 긴장 정착구를 이용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재보
KR101042945B1 (ko) 2009-05-13 2011-06-20 이상철 2단 일체형 양방향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770B1 (ko) * 1980-09-18 1985-05-29 맥치 로무알도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KR850000434B1 (ko) * 1983-06-07 1985-04-03 최인선 레피어식 직기의 레피어 구동방법 및 그 장치
KR0119525Y1 (ko) * 1995-02-20 1998-07-01 이대원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19980015795U (ko) * 1996-09-12 1998-06-25 황현진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긴장부재 고정장치
JP2000345656A (ja) * 1999-06-04 2000-12-12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Pc鋼材の圧着グ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85B1 (ko) * 2001-11-14 2004-07-12 강신량 와이어 텐션장치를 이용한 바닥 슬래브 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650B1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20190083298A (ko) 조립식 천막용 기둥과 지붕 트러스 연결방법 및 장치
KR101530420B1 (ko)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KR100457650B1 (ko)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KR20200068205A (ko) 강연선과 길이조절 가능형 트러스 구조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US20090152430A1 (en) Brace
JP3924192B2 (ja) 橋梁の上部工と下部工の連結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277606B1 (ko) 양방향 트러스를 이용한 구조보강 방법
KR102019396B1 (ko) 낙석방지책 구조물
WO2023071660A1 (zh) 一种用于多杆件固定结构的端部分离装置和张拉方法
KR200257224Y1 (ko) 와이어의 인장력을 이용한 건축물 보강장치
KR200257225Y1 (ko) 로드셀을 구비한 와이어 텐션장치
KR20020035538A (ko) 소형 바닥 슬라브 보강공법 및 그 장치
JP4431986B2 (ja) 建物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KR101250473B1 (ko) 입체 언더텐션 시스템
KR101761726B1 (ko) 프리스트레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장치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KR101906390B1 (ko) 구조체 내력 보강장치, 내력보강 구조체 및 내력구조체 보강공법
JP2007085098A (ja) 耐震補強ブレース構造
KR100442969B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102616443B1 (ko) 막구조물 강관 연결 조립체
JP6474575B2 (ja) 既存建物のブレース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KR102598628B1 (ko) 철근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배치구조 조정 가능한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JPH11182633A (ja) ケーブルの張力付与装置およびケーブルの張設方法
JP2003184176A (ja) 柱・梁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