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770B1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70B1
KR850000770B1 KR1019800003676A KR800003676A KR850000770B1 KR 850000770 B1 KR850000770 B1 KR 850000770B1 KR 1019800003676 A KR1019800003676 A KR 1019800003676A KR 800003676 A KR800003676 A KR 800003676A KR 850000770 B1 KR850000770 B1 KR 85000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ead
movable fixing
extractor cylinder
cab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633A (ko
Inventor
맥치 로무알도
Original Assignee
맥치 로무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치 로무알도 filed Critical 맥치 로무알도
Priority to KR101980000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770B1/ko
Publication of KR83000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인장장치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로우드에 대한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나사와서에 대한 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좌측단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일부절개측면도.
제6도 내지 제10도는 제1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인장을 하는 단계를 도시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도.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 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을 인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케이블 인정장치에 있어서는, 필요로 하는 케이블의 길이 보다 더 길게 절단된 스트랜드(케이블을 구성하는 가논 실가닥)로 케이블을 만들어 사용했다. 이와같이, 케이블을 길게하는 이유는 잭으로 케이블의 자유단을 잡아당기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종래의 인장장치에 경우에는, 가동정착해드를 통하여 잭에까지 끼워진 스트랜드를 고정할 때에 쐐기형정착구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인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점을 갖고있다.
우선 잭이 너무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잭을 작동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자유단 둘레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공간의 확보는 항상 여의치 못하다. 그리고, 케이블을 인장하는 동안 계속해서 사용될 잭리프텅 수단을 갖춰야 한다. 그 외에도 케이블의 외부치수가 너무커서 상당한 불편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인장을 완료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예컨대, 연속비임을 연결케이블로 프리스트레스 할 때에 공사의 완공속도는 케이블을 인장하는데 소요된 시간에 따라 결정되므로 인장 시간의 지연은 공사비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한다.
각개의 스트랜드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절단해야 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많다.
케이블의 인장이 멈춰질때 마다 가동정착해드에 쐐기가 박히는 깊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직경이 0.5인치인 12내지 31개의 스트랜드로된 케이블의 최종 인장 길이는 항상 불확실하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케이블을 단계별로 인장할때 더욱 심화된다. 단계별로 인장을 할 경우에 있어서는 중간단계에서 케이블의 인장을 멈추고 그것을 이완시킨 다음 다시 인장을 할때마다 쐐기의 진입 깊이와 이완에 필요한 힘이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최장인장 길이는 정확히 추정할 수가 없다. 그러나, 파괴응력이 크고 최종응력이 항복응력과 거의 같은 강철스트랜드를 사용할 경우, 특히 케이블이 짧고 오차의 크기가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최종인장 길이를 정확히 산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미 한계점까지 인장된 케이블을 완전히 이완시킬 필요가 있을때에는 스트랜드에 과도한 장력을 가해야만 그것이 쐐기에서 빠지게 되며, 그렇게 할 경우에 있어서, 특히 케이블이 짧은 경우에는, 케이블에 허용치를 초과하는 과도한 응력이 발생한다. 더우기, 이러한 작업시에는 각개의 스트랜드를 하나씩 이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인장용 잭외에도 소형 특수잭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이완작업이 오래 걸리고 위험하기 조차하다.
우수한 강도 특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는 현대의 고도화된 건축공법에 있어서는 정밀하고 간단하면서도 안전 신속한 프리스트레스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결점이 해소된 케이블 인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가종정착헤드에는 각 스트랜드의 끝부분을 끼울 수 있도록 다수의 통 공이뚫려 있고, 그 통공내에는 스트랜드의 끝부분을 고정시키는 정착수단이 내설되고, 가동정착헤드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수나사부에는 로크너트가 나합되어 가동정착헤드를 지지판상에 지지시키므로써 케이블을 인장된 상태로 유지하게끔 된 종래의 케이블 인장장치에다 추출기실린더를 부가적으로 설치하고, 그 추출 기실린더에는 가동정착헤드의 통공과 동일한 수의 통공을 형성시키고, 이들 각각의 통공에는 로우드를 삽통한 다음, 가동정착헤드의 대응통공과 나사체결해서 추출기실린더와 가동정착헤드를 결합하고, 추출기실린더의 수나사부에는 로크너트를 나합하여 케이볼이 인장되는 동안 추출기실린더가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하고, 추출기실린더의 수나사부에는 케이블 인장용 잭을 분해 가능하게 나사결합 함으로써 인장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잭과 추출기 실린더를 가동정착헤드로 부터 떼어낼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각각의 스트랜드는 가동정착헤드의 통공내에 고정되고, 가동정착헤드의 외면에 가공된 시나사부에는 로크너트가 나합되어 가동정착헤드에 대한 반동지지대 구실을 하도록 되어 있고, 추출기실린더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그 통공에는 로우드를 삽통해서 가동정착헤드의 암나사통공에 나합시키므로써 추출기실린더와 가동정착헤드를 결합하고, 케이블 인장용 잭과추출기실린더리 결합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추출기실더의 수나사부에는 로크너트를 나합시켜서 케이블을 인장하는 동안 반동지지대가 되게한 케이블 인장용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정착헤드(1)는 금속제 실린더로 된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나사부(1A)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스트랜드(5)정착용 통공(3)이 벌집형으로 여러개가 뚫려 있다. 상기 통공(3)은 직경이 비교적 큰 원통형 나사부(3A)와, 절두원추형테이퍼부 (3B)및 소직경부(3C)로 구성된다. 절두원추형 테이퍼부(3B)에는 톱니쐐기(7)가 끼워져서 스트랜드(5)를 가동정착헤드(1)에 고정하는 한편, 원통형나사부(3A)에는 수나사가 가공된 나사로우드(9)가 조립되어 가동정착헤드(1)를 파지함으로써 스트랜드를 당길 수 있게 한다. 스트랜드(5)를 고정하는데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톱니쐐기(7)를 사용하지 않고 원통형 슬리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수단에 관계없이 스트랜드(5)를 가동정착헤드(1)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고정해서 인장할 수가 있다. 톱니쐐기(7)로 스트랜드를 정착시키는데 있어서는, 먼저 동일한 길이로 절단된 각각의 스트랜드(5)를 가종정착헤드(1)의 통공(3)내에 끼운 다음, 톱니쐐기(7)를 스트랜드(5)의 끝부분 둘레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나사와서(10)를 사용하여 상기 톱니쐐기(7)를 통공(3)의 절두원추형 테이퍼부(3B)로 집입시켜서 톱니쐐기의 마찰력에 의해 스트랜드(5)를 정착시키게 된다. 나사와서(10)를 동력스패너로 돌려서 쐐기를 고정하면 운반등을 할때에 쐐기(7) 가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트랜드를 인장한 후에는 나사와서(1)를 회수해서 재사용할 수도 있고, 가동정착헤드(1)내에 그대로 방치해도 된다.
가동정착헤드(1)를 잭(M)에 연결해서 스트랜드로 인장하기 위해서는 추출기 실린더(12)를 사용하는데, 이 추출기실린더(12)는 가동정착헤(1)드와는 별개의 것으로, 잭과 가동정착헤드를 연결하는 교량역할을 한다. 추출기실린더(12)의 직경은 가동정착헤드(1)의 직경과 동일하며, 그 둘레에는 나사부(12A)와 직선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추출기실린더(12)에는 가동정착헤드(1)의 통공(3)과 동일한 숫자의 직선통공(14)이 동일한 배치간격으로 뚫려있다. 상기 직선통공(14)내에는 나사로우드(9)가 삽통되어 가동정착헤드(1)에 뚫려있는 통공(3)의 원통형 나사부(3A)에 나합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나사로우드(9)의 헤드(9A)가 추출기실린더(12)의 단부에 닿을때까지 나사로우드를 충분히 죄어야만 추출기실린더(12)와 가동정착헤드(1)가 견고.히결된다. 각각의 나사로우드(9)를 동력스패너를 사용하여 동일한 함으로 죄면 추출기실린더(12)와 가동정착헤드(1)를 균일한 고정력으로 완전하게 결합할 수가 있다. 추출기실린더(12)의 유효길이는 가동정착헤드의 나사부(1A)뿐만 아니라, 추출기실린더의 나사부(12A)에도 조립될 수 있도록 된 로크너트(16)를 인장작업을 하기전에 추출기실린더(12)자체의 나사부(12A)에 나합시켜서 조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로크너트(16)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하우징구멍(18)에 위치한 가동청착헤드와 추출기실린더 조립체의 중심을 설정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로크너트(16)와 접하게되는 하우징구멍(18)의 개구부근에는 센터링마크가 표시된 반동지지판(20)을 매설한다. 로크너트(16)의 상방으로 노출된 추출기실린더(12)의 나사부(12A)는 잭(M)의 구동헤드(M1)와 나사결합 됨으로써 지탱부재(M2)를 반동지지판(20)쪽으로 가압하면서, 잭을 작동시키게 되면 스트랜드가 인장되게 된다.
결합상태의 가동정착헤드(1)와 추출기실린더(12)는 사실상 단일조립체를 이루고 있으므로 로크너트(16)와 가동정착헤드(1)간의 간격을 조정하기만 하면 스트랜드의 인장 길이를 신속 정확 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인장이 완료된 후에는 잭(M)의 구동헤드(M1)를 위쪽으로 풀어서 추출기실린더(12)로부터 잭(M)를 떼어내고, 그 다음에는 나사로우드(9)를 풀어서 가동정착헤드(1)로부터 추출기실린더(12)를 분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로크너트(16)를 추출기실린더의 나사, (12A)로부터 직선부(12B)를 거쳐 가동정착헤드의 나사부(1A)를 향해 점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케이블의 인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인장된 스트랜드를 이완시킬때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소형경량의 잭을 사용하면 스트랜드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으면서 정확한 길이로 부분 이완시키거나 완전히 이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중량이 가벼운 본 발명의 잭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사람 만의 힘으로도 다른 리프링 장치의 도움없이 350t의 장력을 스트랜드에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형태로의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1)

  1. 가동정착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정착헤드에는 각 스트랜드의 끝부분을 끼울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뚫려 있으며, 상기 가동정착헤드의 통공내에는 상기 스트랜드의 끝부분을 고정시키는 정착수단이 내설되고, 상기 가동정착헤드의 외면은 나사부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부에는 로크너트가 나합되어, 가동정착헤드를 지지판상에 지지시키므로써 케이블을 인장상태로 유지하게끔 된 케이블 인장장치에 있어서,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추출기 실린더를 가지며, 추출기실린더에는 가동정착헤드의 통공과 동일한 수의 통공을 형성시켜 서로 일치되게 배열하고, 추출기실린더, 나사부와 가동정착헤드 사이에는 직선부를 형성시켜서 로크너트가 추출기실린더의 나사부에서 분해된 다음에는 가동정착헤드의 나사부로 미끄럼이 동하여 나합될 수 있게 하고, 추출기실린더의 뚫린 각각의 통공에는 로우드를 삽통한 다음 가동정착헤드의 대응통공과 나사체결해서 추출기실린더와 가동정착헤드를 결합시키고, 추출기실린더의 수나사부에는 로크너트를 나합되게 하여 케이블 인장시 추출기실린더를 고정할 수 있게하고, 추출기실린더의 수나사부에는 케이블 인장용 잭을 분해가능하게 구동헤드와 나사결합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KR1019800003676A 1980-09-18 1980-09-18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KR85000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676A KR850000770B1 (ko) 1980-09-18 1980-09-18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676A KR850000770B1 (ko) 1980-09-18 1980-09-18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633A KR830003633A (ko) 1983-06-21
KR850000770B1 true KR850000770B1 (ko) 1985-05-29

Family

ID=1921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676A KR850000770B1 (ko) 1980-09-18 1980-09-18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650B1 (ko) * 2001-09-10 2004-11-18 강신량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633A (ko) 198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5361A (en) Tendon anchorage
US3895879A (en) Combined post tensioning anchor and cable
KR850000770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케이블 인장장치
US3843288A (en) Tendon anchorage with threaded support element
US4345740A (en) Tensioning system for cables in prestressed concrete
US20050284049A1 (en) Anchor wedge for post tension anchor system and anchor system made therewith
CN110184954B (zh) 一种桥梁预应力体外索拆除方法
US396556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ightening high-strength steel bolts
JP3878616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
US3936256A (en) Tendon anchorage and mounting means
US2783024A (en) Bar gripping mean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prestressed concrete
US2916785A (en) Wedge anchors
JP2007255149A (ja) 緊張材定着具及び緊張材定着方法
US3921353A (en) Tendon anchorage assembly and bore mounting apparatus therefor
JPS62117940A (ja) Pcケ−ブルの定着装置
JPS6231140B2 (ko)
JPH06116948A (ja) Frp製緊張材の緊張定着方法
JP2000220254A (ja) 緊張定着構造
CN113445427B (zh) 预应力钢绞线临时拉索整体卸锚装置及其施工工艺
KR960004992B1 (ko) 포우스트 텐션 공법의 피.에스 콘크리트 빔용 스트랜드 강선의, 보조 쐐기를 가진 정착구 및 그것을 이용한 정착방법
JPH0641704B2 (ja) Frp製ロープの緊張定着方法
JPH0322319Y2 (ko)
KR102454711B1 (ko) 하중계를 이용한 강연선의 인장 확인과 관리를 위한 그라운드 앵커의 재-인장장치 및 방법
KR200392134Y1 (ko) 제거형 앵커
JPH03256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