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653A -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653A
KR20010091653A KR1020000013570A KR20000013570A KR20010091653A KR 20010091653 A KR20010091653 A KR 20010091653A KR 1020000013570 A KR1020000013570 A KR 1020000013570A KR 20000013570 A KR20000013570 A KR 20000013570A KR 20010091653 A KR20010091653 A KR 20010091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reference voltage
output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874B1 (ko
Inventor
이경탁
전의석
Original Assignee
곽정소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소,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곽정소
Priority to KR102000001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87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개시된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기준전압이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값을 가지도록 하여 발전기가 최대 전압을 발전하면서 순간적으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로 낮아져도 부하 응답 특성회로가 동작하지 않고,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가 계속 동작하여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제어한다.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 검출한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상이거나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일 경우에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가 정상 동작되게 제어하는 인에이블 제어부;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와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가 출력하는 배터리 검출전압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로 증가 출력하는 부하 응답 특성회로; 톱니파를 발생하는 톱니파 발진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 또는 부하 응답 특성회로의 출력신호와 상기 톱니파 발진기의 톱니파를 비교하여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제어하는 발전기 구동부; 및 인에이블 제어부가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하임을 검출할 경우에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기준전압을 강압하는 히스테리시스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Charging control circuit of battery i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전압 레벨에 따라 발전기의 회전자 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배터리에 정격 충전전압이 충전되게 제어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의 운전 조작에 따라 도로를 주행하므로 외부에서 별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다. 그러므로 차량에는 배터리를 장착하고, 그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시동 모터, 전조등 및 와이퍼 등을 비롯한 각종 전기적인 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는 차량에 구비된 전기적인 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되어 있는 전원이 모두 방전되면,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할 수 없다. 그러므로 차량에는 별도의 발전기를 구비하고, 엔진을 구동시킬 경우에 이 발전기를 함께 동작시켜 발전 및 배터리에 발전 전원을 충전시키고 있다.
상기 배터리는 소정의 전압이 과충전되거나 또는 과방전될 경우에 사용수명이 단축되므로 차량에는 충전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이 충전 제어회로가 배터리의 충전전압 레벨에 따라 발전기의 회전자 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발전기의 발전 전압을 조절 및 배터리에 항상 적정한 레벨의 전압이 충전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제어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의 충전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LRDV) 이상이거나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일 경우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정상 동작되게 제어하는 인에이블 제어부(12)와,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12)가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출력하는 배터리 검출전압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로 증가 출력하는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와, 발진하여 소정 주기의 톱니파를 발생하는 톱니파발진기(16)와,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 또는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의 출력신호와 상기 톱니파 발진기(16)의 톱니파를 비교하여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제어하는 발전기 구동부(18)로 구성하였다.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12)는, 엔진 회전속도 전압(RPMV) 및 속도 기준전압(VX)이 연산 증폭기(OP11)의 비반전 입력단자(+) 및 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인가되게 접속되고, 최저 기준전압(LRDV) 및 배터리의 충전전압(B+)이 연산 증폭기(OP12)의 비반전 입력단자(+) 및 반전 입력단자(-)에 각기 인가되게 접속되며, 연산 증폭기(OP12)의 출력단자가 인버터(INV)를 통한 후 상기 연산 증폭기(OP11)의 출력단자와 함께 노아 게이트(NOR)의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되어 노아 게이트(NOR)의 출력단자에서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게 구성된다.
상기 부하 응답 특성회로(14)는,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12)의 노아 게이트(NOR)의 출력단자가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 전류 미러로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2)(Q13)의 베이스 및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2)(Q13)의 에미터에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게 접속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는 저항(R11)을 통해 접지 저항(R12), 접지 콘덴서(C11), 트랜지스터(Q14)의 에미터 및 연산 증폭기(OP1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연산 증폭기(OP13)의 출력단자가 다이오드(D11)(D12)를 통해 연산 증폭기(OP13)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연산 증폭기(OP13)의 출력단자가 다이오드(D13)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 및 상기 발전기 구동부(18)에 접속되며,트랜지스터(Q14)의 콜렉터에는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게 접속된다.
상기 발전기 구동부(18)는,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 및 상기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의 출력단자가 비교기(CP)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비교기(CP)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상기 톱니파 발진기(16)의 출력단자가 접속되어 비교기(CP)의 출력단자가 트랜지스터(Q15)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15)의 콜렉터에는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병렬 접속된 회전자 코일(L) 및 역방향 다이오드(D14)를 통해 인가되게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충전 제어회로는 배터리의 충전전압(B+), 기준전압(Vref) 및 속도 기준전압(VX)이 인가된 상태에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입력되는 엔진 회전속도 전압(RPMV)의 레벨이 속도 기준전압(VX)의 레벨 이상일 경우에 인에이블 제어부(12)의 연산 증폭기(OP11)가 고전위를 출력하고,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하로 입력되는 엔진 회전속도 전압(RPMV)의 레벨이 속도 기준전압(VX)의 레벨 이하일 경우에 인에이블 제어부(12)의 연산 증폭기(OP11)가 저전위를 출력하여 노아 게이트(NOR)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리고 배터리의 충전전압(B+)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저 기준전압(LRDV)의 레벨 이상일 경우에 인에이블 제어부(12)의 연산 증폭기(OP12)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B+)의 레벨이 최저 기준전압(LRDV)의 레벨 이하일 경우에 인에이블 제어부(12)의 연산 증폭기(OP12)가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며, 연산 증폭기(OP12)의 출력신호는 인버터(INV)를 통해 반전되어 노아 게이트(NOR)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여기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입력되는 엔진 회전속도 전압(RPMV)의 레벨이 속도 기준전압(VX)의 레벨 보다 높아 연산 증폭기(OP11)가 고전위를 출력하거나 또는 배터리의 충전전압(B+)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저 기준전압(LRDV)의 레벨보다 높아 연산 증폭기(OP12)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인버터(INV)가 고전위를 출력할 경우에 노아 게이트(NOR)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출력한 저전위가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에 인가되므로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인에이블되어 정상으로 동작함과 아울러 노아 게이트(NOR)가 출력하는 저전위가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의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1)가 오프되고, 전류 미러가 구성된 트랜지스터(Q12)(Q13)가 모두 오프되어 부하 응답 특성회로(14)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는 배터리의 충전전압 레벨에 따른 소정의 배터리 충전 검출전압을 출력하여 발전기 구동부(16)의 비교기(CP)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비교기(CP)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톱니파 발진기(16)에서 발진 출력되는 톱니파가 인가된다.
그러면, 비교기(CP)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출력하는 배터리 충전 검출전압 및 톱니파 발진기(16)에서 출력되는 톱니파의 레벨을 비교하여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출력하는 배터리 충전 검출전압의 레벨에 따라 폭이 가변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한 PWM 신호는 트랜지스터(Q15)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5)는 상기 PWM 신호에 따라 온 및 오프되면서 회전자 코일(L)로 소정 레벨의 전류가 흘러 발전기의 발전 전압이 조절 및 배터리에 정격 전압이 충전된다.
이 때,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출력하는 배터리의 충전 검출전압은 부하 응답특성회로(14)의 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4)가 온되고, 기준전압(Vref)이 트랜지스터(Q14)를 통해 출력되어 콘덴서(C11)에 충전된다. 상기 콘덴서(C11)의 충전 전압은 저항(R12)을 통해 방전되면서 연산 증폭기(OP13)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연산 증폭기(OP13)의 출력전압은 다이오드(D11)(D12)를 통해 소정 레벨 강압되어 연산 증폭기(OP13)의 반전 입력단자(-)에 궤환 입력되므로 연산 증폭기(OP13)의 출력전압 및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압레벨 검출부(10)가 출력하는 배터리의 충전 검출전압의 레벨을 추종하여 가변된다.
상기 콘덴서(C21)의 충전전압의 레벨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V11 = V10 - VBE14
여기서, V11은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이고, V10은 배터리 전압레벨 검출부(10)의 출력전압이며, VBE14는 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전압이다.
그리고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하로 입력되는 엔진 회전속도 전압(RPMV)의 레벨이 속도 기준전압(VX)의 레벨 보다 낮아 연산 증폭기(OP11)가저전위를 출력하고, 또한 배터리의 충전전압(B+)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저 기준전압(LRDV)의 레벨보다 낮아 연산 증폭기(OP12)가 고전위를 출력하고 인버터(INV)가 저전위를 출력할 경우에 노아 게이트(NOR)가 고전위를 출력하여 상기와는 반대로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디스에이블 및 동작이 정지됨과 아울러 노아 게이트(NOR)가 출력하는 고전위가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의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1)가 온되고, 구성된 트랜지스터(Q12)(Q13)가 모두 온되어 트랜지스터(Q13)가 소정 레벨의 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Q13)가 출력하는 소정 레벨의 전류는 콘덴서(C11)에 충전되어 콘덴서(C11)의 충전전압 레벨이 증가하게 되고,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에 따라 연산 증폭기(OP13)의 출력전압이 증가하여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의 출력전압이 소정의 비율로 점차 증가하게 된다.
상기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의 출력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발전기 구동부(18)의 비교기(CP)가 출력하는 PWM 신호의 폭이 점차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발전기의 회전자 코일(L)로 흐르는 전류가 점차 증가하여 발전기의 발전 전압이 증가하고, 배터리에는 점차 많은 전압이 충전되어 정격 충전전압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종래의 충전 제어회로는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거나 또는 엔진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인 상태에서 과부하가 걸려 배터리의 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 발전기의 발전 전압을 일정 비율로 증가시켜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배터리의 충전전압 레벨이 최저기준전압(VX) 이하로 되어도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예를 들면, 3000rpm 이상일 경우에 부하 응답 특성회로(14)가 동작하지 않고,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의 출력전압 레벨에 따라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충전 제어회로는 엔진이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부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여 배터리의 충전 전압의 레벨이 최저 기준전압(VX)의 레벨 이하로 급강하되고, 급강하된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검출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충전 검출전압에 따라 발전기 구동부(18)가 회전자 코일(L)로 많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발전기가 최대 전압을 발전하며, 최대 전압의 발전에 따라 발전기에서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여 순간적으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로 낮아질 경우에 인에이블 제어부(12)의 연산 증폭기(OP11)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노아 게이트(NOR)가 고전위를 출력하여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동작하지 않고, 부하 응답 특성회로(14)가 동작하게 되는 오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기준전압이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값을 가지도록 하여 발전기가 최대 전압을 발전하면서 순간적으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로 낮아져도 부하 응답 특성회로가 동작하지 않고,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가 계속 동작하여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제어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설정된 최저 기준전압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최저 기준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속도 기준전압의 레벨이 히스테리시스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 상기 검출한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상이거나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일 경우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가 정상 동작되게 제어하는 인에이블 제어부;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가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가 출력하는 배터리 검출전압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로 증가 출력하는 부하 응답 특성회로; 톱니파를 발생하는 톱니파 발진기;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 또는 부하 응답 특성회로의 출력신호와 상기 톱니파 발진기의 톱니파를 비교하여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제어하는 발전기 구동부; 및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가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하임을 검출할 경우에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기준전압을 강압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상임을 검출할 경우에 속도 기준전압을 증가시키는 히스테리시스 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스테리시스 회로는; 기준전압을 분할하여 상기 속도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복수의 저항; 및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가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하임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저항이 출력하는 속도 기준전압을 강압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충전 제어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제어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 12 : 인에이블 제어부
14 : 부하 응답 특성회로 16 : 톱니파 발진기
18 : 발전기 구동부 20 : 히스테리시스 회로
Q21 : 트랜지스터 Q21∼R23 : 저항
이하, 첨부된 도 2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제어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에이블 제어부(12)의 연산 증폭기(OP12)가 배터리의 충전전압(B+)이 설정된 최저 기준전압(LRDV) 이하임을 검출할 경우에 속도 기준전압(VX)을 강압하고 연산 증폭기(OP12)가 배터리의 충전전압(B+)이 설정된 최저 기준전압(LRDV) 이상임을 검출할 경우에 속도 기준전압(VX)을 증가시켜 연산 증폭기(OP11)에 인가하는 히스테리시스 회로(20)를 구비한다.
상기 히스테리시스 회로(20)는, 인버터(INV)의 출력단자가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기준전압(Vref)에 저항(R21∼R23)이 직렬 접속되어 저항(R22)(R23)의 접속점에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콜렉터가 접속되게 하며, 저항(R21)(R22)의 접속점에서 속도 기준전압(VX)이 출력되어 연산 증폭기(OP11)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충전 제어회로는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입력되는 엔진 회전속도 전압(RPMV)의 레벨이 속도 기준전압(VX)의 레벨 보다 높아 연산 증폭기(OP11)가 고전위를 출력하거나 또는 배터리의 충전전압(B+)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저 기준전압(LRDV)의 레벨보다 높아 연산 증폭기(OP12)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인버터(INV)가 고전위를 출력할 경우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노아 게이트(NOR)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출력한 저전위에 따라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인에이블되고, 부하 응답 특성회로(14)는 동작하지 않아 발전기의 발전 전압은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출력하는 배터리 충전 검출전압의 레벨에 따라 제어된다.
그리고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하로 입력되는 엔진 회전속도 전압(RPMV)의 레벨이 속도 기준전압(VX)의 레벨 보다 낮아 연산 증폭기(OP11)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또한 배터리의 충전전압(B+)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최저 기준전압(LRDV)의 레벨보다 낮아 연산 증폭기(OP12)가 고전위를 출력하고 인버터(INV)가 저전위를 출력할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디스에이블되고, 부하 응답 특성회로(14)가 동작하여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의 출력전압이 소정의 비율로 점차 증가하게 되며, 발전기의 발전 전압이 소정의 비율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함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 즉, 입력되는 엔진 회전속도 전압(RPMV)이 속도 기준전압(VX) 이상인 상태에서 순간적인 과부하로 배터리의 충전전압(B+)이 최저 기준전압(LRDV) 이하로 되어 연산 증폭기(OP12)가 저전위를 출력하고, 인버터(INV)가 고전위를 출력할 경우에 히스테리시스 회로(20)의 트랜지스터(Q21)가 온되고, 저항(R22)이 트랜지스터(Q21)를 통해 등가적으로 접지되므로 기준전압(Vref)을 저항(R21)(R22)이 분할 및 속도 기준전압(VX)으로 출력하여 속도 기준전압(VX)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인 상태에서 순간적인 과부하로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동작하여 발전기가 최대 전압을 발전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발전기에서의 자기장 변화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보다 약간 낮은 상태로 구동되어도 설정된 속도 기준전압(VX)이 낮아져 연산 증폭기(OP11)가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고, 노아 게이트(NOR)가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부하 응답 특성회로(14)가 동작하지 않고,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계속 동작하여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인 상태에서 순간적인 과부하로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동작하여 발전기가 최대 전압을 발전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발전기에서의 자기장 변화로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매우 낮아져 강압 설정된 속도 기준전압(VX) 이하로 될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연산 증폭기(OP11)가 저전위를 출력하여 노아 게이트(NOR)가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10)가 디스에이블되어 동작하지 않고, 부하 응답 특성회로(14)가 동작하게 되어 부하 응답 특성회로(14)의 출력전압에 따라 발전기의 발전전압이 제어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제어회로에 따르면, 배터리에 순간적인 과부하가 걸려 발전기가 최대 전압을 발전하도록 할 경우에 엔진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기준전압을 강압시킴으로써 발전기가 구동되면서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되어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로 떨어져도 계속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의 출력전압에 따라 발전기의 발전전압이 조절되고, 또한 부하 응답 특성회로가 동작하게 되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배터리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
    상기 검출한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상이거나 엔진의 회전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일 경우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가 정상 동작되게 제어하는 인에이블 제어부;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가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가 출력하는 배터리 검출전압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로 증가 출력하는 부하 응답 특성회로;
    톱니파를 발생하는 톱니파 발진기;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배터리 충전전압 검출부 또는 부하 응답 특성회로의 출력신호와 상기 톱니파 발진기의 톱니파를 비교하여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제어하는 발전기 구동부; 및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가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하임을 검출할 경우에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기준전압을 강압하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상임을 검출할 경우에 속도 기준전압을 증가시키는 히스테리시스 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 회로는;
    기준전압을 분할하여 상기 속도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복수의 저항; 및
    상기 인에이블 제어부가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저 기준전압 이하임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저항이 출력하는 속도 기준전압을 강압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KR1020000013570A 2000-03-17 2000-03-17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KR100340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570A KR100340874B1 (ko) 2000-03-17 2000-03-17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570A KR100340874B1 (ko) 2000-03-17 2000-03-17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653A true KR20010091653A (ko) 2001-10-23
KR100340874B1 KR100340874B1 (ko) 2002-06-20

Family

ID=1965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570A KR100340874B1 (ko) 2000-03-17 2000-03-17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350B1 (ko) * 2010-01-12 2010-07-09 현성정밀 주식회사 부선의 포스트 클램핑장치
CN109653799A (zh) * 2018-12-26 2019-04-19 山西工程技术学院 一种区别于传统结构的瓦斯报警器及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78366A1 (en) * 1991-09-18 1993-03-19 Joel L. Martin Polyethylene blends
JP3275395B2 (ja) * 1992-11-05 2002-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発電制御装置
JPH06292328A (ja) * 1993-04-06 1994-10-18 Toyota Motor Corp 充電器
JPH07212986A (ja) * 1994-01-19 1995-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発電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350B1 (ko) * 2010-01-12 2010-07-09 현성정밀 주식회사 부선의 포스트 클램핑장치
CN109653799A (zh) * 2018-12-26 2019-04-19 山西工程技术学院 一种区别于传统结构的瓦斯报警器及实现方法
CN109653799B (zh) * 2018-12-26 2023-12-22 山西工程技术学院 一种区别于传统结构的瓦斯报警器及实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874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4354A (en) Charging generator control for vehicles
US5718373A (en) System for controlling automobile cooling fan
EP10914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an alternator
KR100282995B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제어장치
US6344734B1 (en) Controller of AC generator for use in vehicles
US5517064A (en) Protective device for lighting system used in motor vehicle
US4839576A (en) Controller for AC generator in vehicles
KR19990072557A (ko) 차량용충전발전기의제어장치
JP3574146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US5936364A (en) Drive control apparatus for brushless motor
JP4316568B2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システム
US8120402B2 (en) PWM control circuit having adjustable minimum duty cycle
JP3627047B2 (ja) 発電機の出力電圧を制御する電圧制御器
KR10034087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JP3289411B2 (ja)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JP2624524B2 (ja) 電動機の過負荷検出装置
KR100332627B1 (ko) 차량용 발전기의 여자 제어회로
JP3149520B2 (ja) 車両用電気負荷への電力供給装置
JPH0715886A (ja) 車両用発電機の出力電圧制御装置
US7173398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ular generator
JP3232739B2 (ja) スイッチ投入検出回路
JP3429434B2 (ja) バッテリ電圧調整装置
KR100211496B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전압 조정장치
JP3065173B2 (ja) 発電機の励磁電流制御装置
KR100335938B1 (ko) 차량용 팬 모터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