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212A - 제거가능한 전극 - Google Patents

제거가능한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212A
KR20010089212A KR1020010011955A KR20010011955A KR20010089212A KR 20010089212 A KR20010089212 A KR 20010089212A KR 1020010011955 A KR1020010011955 A KR 1020010011955A KR 20010011955 A KR20010011955 A KR 20010011955A KR 20010089212 A KR20010089212 A KR 20010089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electrode
conductive foil
grindston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097B1 (ko
Inventor
오모리히토시
Original Assignee
수니치 고바야시
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니치 고바야시, 리켄 filed Critical 수니치 고바야시
Publication of KR2001008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01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involving the use of electric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12Dressing tool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과 간극을 통해 대향하며, 상기 전도성 지석과 전극 사이로 전도성액을 흐르게 하고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지석을 전해 드레싱함과 동시에 피연삭재를 연삭하는 전해 드레싱 연삭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극은 지석의 가공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극을 통해 대향하는 면(12a)을 가진 전극지지부재(12)와, 상기 전극지지부재의 대향면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전도성 포일(14)과, 상기 전도성 포일에 접촉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전도성 단자(16)를 포함한다. 음극표면에 적층물이 적층되어도 단시간에 청소할 수 있으며, 반복 사용하여도 전극형상이 변하지 않고, 따라서, ELID 연삭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거가능한 전극{REMOVABLE ELECTRODE}
본 발명은 전해 드레싱 연삭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면을 단시간에 교환할 수 있는 제거가능한 전극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초정밀가공에 대한 요구가 비약적으로 고도화되었으며, 그 요구를 만족시키는 경면연삭수단으로서, 전해 인프로세싱 드레싱 연삭법(Electrolytic in-process Dressing; ELID 연삭법)이 본 출원인 등에 의해 개발되어 발표되었다(이화학연구소 심포지움 "경면연삭의 최신기술동향", 1991년 3월 5일 개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LID 연삭법은 종래의 전해연삭 대신 전극대신 전도성 지석(1)을 사용하는 단계; 상기 지석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전극(2)을 설치하는 단계; 지석과 전극 사이에 전도성액(3)을 흐르게 하고 상기 지석(1)과 전극(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지석을 전해 드레싱함과 동시에 상기 지석으로 피연삭재를 연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메탈 본드 지석(1)을 양극, 지석표면에 간극을 통해 대향 설치된 전극(2)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연삭작업과 동시에 지석의 전해 드레싱을 실시함으로써, 연삭성능을 유지 및 안정화할 수 있는 연삭법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4는 피연삭재이고, 5는 ELID 전원이며, 6은 합전체이고, 7은 전도성액의 노즐이다.
상기 ELID연삭법에서, 지석의 입자가 미세한 경우에도 상기 지석은 전해 드레싱에 의해 드레싱되며 들러붙지 않는다. 따라서, 미세한 지석 입자에 의해 경면과 유사한 우수한 가공면을 연삭가공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ELID 연삭법은 고능률연삭과 경면연삭에서 지석의 예리함을 유지할 수 있고, 종래의 기술에서는 불가능했던 고정밀 표면을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연삭가공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술한 ELID 연삭에서, 양극으로서 메탈 본드 지석(1)에 대향 설치된 음극(2)의 표면에는, 지석결합재의 전해용출인 양극반응과는 반대로, 전기도금의 원리에 기초하여 지석결합재의 금속성분이 적층된다.
상기 음극표면의 적층물은 원리적으로 순금속에 가까운 조성을 가지며, 전도성은 상실되지 않는다. 그러나, 장시간 ELID 연삭가공이 실시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1) 상기 적층물에 의해 음극과 지석 사이의 간극이 충진되고, 전극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되며, 지석의 전해 드레싱이 불안정해진다. (2) 충분한 양의 연삭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수일(약 1일 내지 7일)마다 장치를 정지시키고, 전극과 지석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전극을 장치로부터 제거하고 그 표면에 부착된 적층물을 사포등으로 제거하였다. 그러나, 그 결과, (3) 장치의 보수 시간이 길어지고, 연속작업이 제한되어 가동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4) 반복적인 보수로 인하여, 전극표면의 형상이 변형되고, 전극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생기며, 그 결과, 전극의 교환이나 장치 전체의 재조정에 시간이 걸리고, 가동률이 더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속무인운전시, ELID 연삭효과가 유지될 수 없으며, 완전자동화를 위해 이러한 문제점은 극복되어야 하는 과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음극표면에 적층물이 적층되어도 단시간에 전극표면을 청소할 수 있으며, 반복 사용하여도 전극형상이 변하지 않고, 따라서, ELID연삭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방식으로 할 수 있는 전해 드레싱 연삭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과 간극을 통해 대향하며, 상기 간극으로 전도성액을 흐르게 하고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지석을 전해 드레싱함과 동시에 피연삭재를 연삭하는 전해 드레싱 연삭용 전극이 제공되며, 상기 전극은 지석의 가공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극을 통해 대향하는 면(12a)을 가진 전극지지부재(12)와, 상기 전극지지부재의 대향면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전도성 포일(14)과,상기 전도성 포일에 접촉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전도성 단자(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전극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전극지지부재(12)에 대향면(12a)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을 따라 전도성 포일(14)을 부착함으로써, 전도성 포일을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에 간극을 통해 대향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도성 단자(16)를 통해 전도성 포일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도성 지석과의 사이에 전도성액을 흐르게 하며, 상기 지석을 전해 드레싱함과 동시에 피연삭재를 연삭함으로써, 전해 드레싱 연삭(ELID 연삭)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포일(17)을 전극지지부재의 대향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때문에, 전극표면에 적층물이 적층되어도 전도성 포일을 교환함으로써 단시간에 전극표면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포일의 교환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도, 전극형상이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ELID연삭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상기 대향면(12a)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부착된다.
상기 전도성 포일이 단층인 경우, 상기 전도성 포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전극지지부재(12)로부터 전도성 포일(14)을 박피하고 다른 새로운 전도성 포일을 그 전극지지부재에 부착함으로써 전극표면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포일이 다층인 경우, 적층물이 적층된 표면 전도성 포일을 다층으로부터 박피하고, 아래의 전도성 포일이 간극을 통해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에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ELID 연삭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포일(14)이 테이프 형태인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포일은 대향면(12a)을 따라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구조에서, 적층물이 적층된 전도성 포일 부분은 적층물이 적층되지 않은 새로운 부분으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교환될 수 있으며, ELID연삭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절연재료로 제조되며, 대향면(12a)을 따라 전도성 포일을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강(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전도성 포일(14)이 일정한 간극을 통해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에 대향 배치되었을 때, 적층물이 적층된 전도성 포일 부분을 새로운 부분으로 안내강(13)을 통해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ELID 연삭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지석용 제거가능한 전극의 구조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컵형 지석용 제거가능한 전극의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도면에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지석용 제거가능한 전극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도 2a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b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c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d는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거간능한 전극(10)은 간극을 통해 전도성 지석(1)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된다. 상기 전극(10)은 간극을 통과하는 전도성액이 상기 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해 드레싱 연삭용으로서, 상기 지석(1)이 전해 드레싱됨과 아울러 피연삭재가 동시에 연삭된다. 이점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극(2)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2a의 제 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제거가능한 전극(10)은 전극지지부재(12), 전도성 포일(14) 및 전동성 단자(16)를 갖는다.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일정한 간극을 통해 직선형 지석(1)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된 대향면(12a)을 갖는다. 상기 일정한 간극은 예를 들어, 약 0.1㎜ 내지 0.3㎜ 이다. 또한,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절연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제조된다.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전극지지부재(12)의 대향면(12a)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전도성 포일(14)은 예를 들어, 동, 황동, 알루미늄, 금, 스테인레스강 또는 그 동등물로 된 포일이다. 상기 전도성 포일(14)의 두께는 임의로 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약 10㎛ 내지 50㎛ 이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전도성 단자(16)는 전도성 포일(14)에 접촉되도록 나사 또는 그 동등물로 상기 전극지지부재(12)에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음(-)의 전압이 전도성 단자(16)에 인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지지부재의 상하표면에 한쌍의 전도성 단자(16)가 부착되며, 동일한 전압이 상기 전도성 단자에 인가되며, 상기 전도성 단자 사이의 전압은 균등화된다. 그러나, 상기 전도성 단자(16)는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전도성 단자는 전도성 포일(14)과 접촉하도록 전극지지부재(12)를 관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극지지부재(12)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지지부재의 일부가 전도성 포일(14)과 접촉되며, 이 경우, 전도성 단자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2a의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단층 전도성 포일(14)은 착탈가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극지지부재(12)의 대향면(12a)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대향면(12a)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포일(14)이 대향면(12a)을 따라 부착될 때,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적절한 간극(예를 들어, 약 0.1㎜ 내지 0.3㎜)을 통해 상기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전도성 단자(16)를 통해 전도성 포일(14)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도성 포일과 전도성 지석(1) 사이로 전도성액이 흐르며, 상기 지석이 전해 드레싱됨과 동시에 피연삭재가 연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층 전도성 포일(14)이 전극지지부재(12)의 대향면(12a)에 접착제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전극표면에 적층물이 적층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성 포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지지부재(12)로부터 전도성 포일(14)을 박피하고 새로운 다른 전도성 포일(14)을 상기 전극지지부재에 부착함으로써 전극표면을 간단히 단시간에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포일(14)의 교환이 반복되어도, 전극형상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ELID 연삭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b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얇은(예를 들어, 2 내지 5㎜)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단층 전도성 포일(14)이 접착제로 전극지지부재의 내면(대향면(12a))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석(1)은 지석 커버(17)로 덮히며,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볼트 및 그 동등물로 상기 지석 커버의 내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적절한 간극(예를 들어, 약 0.1㎜ 내지 0.3㎜)을 통해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지석이 전해 드레싱됨과 동시에 피연삭재가 연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지지부재(12)가 지석 커버(17)의 내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전극지지부재(12)가 커버로부터 탈거되고, 상기 전도성 포일(14)이 새로운 다른 전도성 포일(14)로 간단히 대체됨으로써, 상기 전도성 코일은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다.
도 2c의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전극지지부재(12)의 대향면(12a)에 적층 부착된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적층물이 적층된 표면 전도성 포일(14)은 ELID연삭에 의해 간단하게 박피되며, 그 아래의 전도성 포일(14)이 간극을 통해 상기 전도성 지석(1)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됨으로써, ELID 연삭이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두꺼운 전도성 포일(예를 들어, 30 내지 50㎛)이 사용되면, 상기 전도성 포일과 가공면(1a) 사이의 간극이 약간 변하지만, ELID 연삭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또는 ELID 전원의 전압 등을 자동제어함으로써, ELID 연삭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d의 제 4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테이프 형태이다. 또한, 전극지지부재(12)는 절연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구성되고, 한쌍의 릴(15) 사이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대향면(12a)을 따라 테이프 형태의 전도성 포일(14)을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강(13)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강(13)은 원호형태의 그루브이며, 이를 통해 상기 테이프 형태의 전도성 포일(14)의 폭 방향의 양 단부가 대향면(12a)을 따라 안내된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안내강(13)을 통해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상기 전도성 포일은 일정한 간극을 통해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전도성 포일(14)의 일부분에 적층물이 적층된 경우, 그 부분은 새로운 부분으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ELID 연삭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형태의 지석용 제거가능한 전극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 3a는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3b는 제 6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3c는 제 7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거가능한 전극(10)은 간극을 통해 전도성 지석(컵형태의 지석)(1)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된다. 상기 전극은 간극을 통과하는 전도성액이 상기 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해 드레싱 연삭용으로서, 상기 지석(1)이 전해 드레싱됨과 아울러 피연삭재가 동시에 연삭된다. 이점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극(2)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3a의 제 5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제거가능한 전극(10)은 전극지지부재(12), 전도성 포일(14) 및 전동성 단자(16)를 갖는다.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일정한 간극을 통해 지석(1)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된 대향면(12a)을 갖는다. 상기 일정한 간극은 예를 들어, 약 0.1㎜ 내지 0.3㎜ 이다. 또한,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절연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제조된다.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전극지지부재(12)의 대향면(12a)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전도성 포일(14)은 예를 들어, 동, 황동, 알루미늄, 금, 스테인레스강 또는 그 동등물로 된 포일이다. 상기 전도성 포일(14)의 두께는 임의로 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약 10㎛ 내지 50㎛ 이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전도성 단자(16)는 전도성 포일(14)에 접촉되도록 나사 또는 그 동등물로 상기 전극지지부재(12)에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음(-)의 전압이 전도성 단자(16)에 인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지지부재의 대향면에 한쌍의 전도성 단자(16)가 부착되며, 동일한 전압이 상기 전도성 단자에 인가되며, 상기 전도성 단자 사이의 전압은 균등화된다. 그러나, 상기 전도성 단자(16)는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전도성 단자는 전도성 포일(14)과 접촉하도록 전극지지부재(12)를 관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극지지부재(12)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지지부재의 일부가 전도성 포일(14)과 접촉되며, 이 경우, 전도성 단자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3a의 제 5 실시예에서, 상기 단층 전도성 포일(14)은 착탈가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극지지부재(12)의 대향면(12a)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대향면(12a)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포일(14)이 대향면(12a)을 따라 부착될 때,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적절한 간극(예를 들어, 약 0.1㎜ 내지 0.3㎜)을 통해 상기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전도성 단자(16)를 통해 전도성 포일(14)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도성 포일과 전도성 지석(1) 사이로 전도성액이 흐르며, 상기 지석이 전해 드레싱됨과 동시에 피연삭재가 연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층 전도성 포일(14)이 전극지지부재(12)의 대향면(12a)에 접착제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전극표면에 적층물이 적층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성 포일을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지지부재(12)로부터 전도성 포일(14)을 박피하고 새로운 다른 전도성 포일(14)을 상기 전극지지부재에 부착함으로써 전극표면을 간단히 단시간에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포일(14)의 교환이 반복되어도, 전극형상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ELID 연삭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b의 제 6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전극지지부재(12)의 대향면(12a)에 적층 부착된다. 다른 구조는 제 5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적층물이 적층된 표면 전도성 포일(14)은 ELID연삭에 의해 간단하게 박피되며, 그 아래의 전도성 포일(14)이 간극을 통해 상기 전도성 지석(1)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됨으로써, ELID 연삭이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두꺼운 전도성 포일(예를 들어, 30 내지 50㎛)이 사용되면, 상기 전도성 포일과 가공면(1a) 사이의 간극이 약간 변하지만, ELID 연삭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또는 ELID 전원의 전압 등을 자동제어함으로써, ELID 연삭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c의 제 7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테이프 형태이다. 또한, 전극지지부재(12)는 절연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구성되고, 한쌍의 릴(15) 사이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움직인다.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상기 한쌍의 릴(15) 사이에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상기 전도성 포일은 일정한 간극을 통해 전도성 지석(1)의 가공면(1a)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전도성 포일(14)의 일부분에 적층물이 적층된 경우, 그 부분은 새로운 부분으로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ELID 연삭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거가능한 전극에 따르면, 음극표면에 적층물이 적층되어도, 상기 음극표면을 단시간에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반복 사용하여도, 전극형태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ELID 연삭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무인운전 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등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거가능한 전극은 도 1에 도시된 전해 드레싱 연삭용 전극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전해 드레싱 연삭용 모든 전극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전도성 지석의 가공면과 간극을 통해 대향하며, 상기 간극으로 전도성액을 흐르게 하고 전압을 인가하며, 상기 지석을 전해 드레싱함과 동시에 피연삭재를 연삭하는 전해 드레싱 연삭용 전극으로서,
    상기 지석의 가공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극을 통해 대향하는 면(12a)을 가진 전극지지부재(12)와, 상기 전극지지부재의 대향면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전도성 포일(14), 및 상기 전도성 포일에 접촉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전도성 단자(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상기 대향면(12a)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전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포일(14)은 테이프 형태이며, 상기 대향면(12a)을 따라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전극.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지지부재(12)는 절연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대향면(12a)을 따라 상기 전도성 포일을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강(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가능한 전극.
KR1020010011955A 2000-03-09 2001-03-08 제거가능한 전극 KR100715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5048A JP3485170B2 (ja) 2000-03-09 2000-03-09 リムーバブル電極
JP2000-65048 2000-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212A true KR20010089212A (ko) 2001-09-29
KR100715097B1 KR100715097B1 (ko) 2007-05-07

Family

ID=1858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955A KR100715097B1 (ko) 2000-03-09 2001-03-08 제거가능한 전극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31037B2 (ko)
EP (1) EP1134056B1 (ko)
JP (1) JP3485170B2 (ko)
KR (1) KR100715097B1 (ko)
AT (1) ATE244619T1 (ko)
CA (1) CA2339512C (ko)
DE (1) DE60100441T2 (ko)
SG (1) SG90238A1 (ko)
TW (1) TW4719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2706A (zh) * 2018-09-07 2019-01-15 大连理工大学 一种具有在线电解修整功能的磨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7505B2 (en) * 2002-03-14 2005-01-25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The Netherlands B.V.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disk drive integrated lead suspension
CN110328617A (zh) * 2019-06-21 2019-10-15 郑州磨料磨具磨削研究所有限公司 非导电砂轮的修整设备
CN111531411B (zh) * 2020-04-27 2021-07-23 北京工业大学 一种铝基金刚石复合材料精密加工方法
CN111993228A (zh) * 2020-07-30 2020-11-27 哈尔滨理工大学 一种适用于硬脆材料加工的磨削设备
TWI832109B (zh) * 2021-10-21 2024-02-11 瑞洲科技股份有限公司 電化學加工機之電力傳輸用萬向壓緊裝置
JP7157990B1 (ja) * 2022-06-27 2022-10-21 株式会社シントク 鋼製ロールの円筒研削に適した電解ドレッシ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6291A (en) * 1969-06-04 1974-06-11 K Inoue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electrochemical grinding process
FR2030516A5 (ko) * 1969-03-31 1970-11-13 Norton Co
WO1986000037A1 (en) * 1984-06-14 1986-01-03 Yugenkaisha Ohyojiki Kenkyujo Cutting and grinding method using conductive grinding wheel
JPS63245370A (ja) 1987-03-31 1988-10-12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メタルボンド砥石の再生方法
DE4033137C1 (ko) * 1990-10-18 1991-11-14 Wendt Gmbh, 4005 Meerbusch, De
EP0576937B1 (en) 1992-06-19 1996-11-20 Rikagaku Kenkyusho Apparatus for mirror surface grinding
JPH07310861A (ja) 1994-05-20 1995-11-28 Sekisui Chem Co Ltd 地下埋設管の敷設方法
JP2789176B2 (ja) * 1995-05-11 1998-08-20 セイコー精機株式会社 ドレッシング装置
JP3214694B2 (ja) 1997-12-02 2001-10-02 理化学研究所 動圧発生電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2706A (zh) * 2018-09-07 2019-01-15 大连理工大学 一种具有在线电解修整功能的磨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31037B2 (en) 2003-03-11
DE60100441D1 (de) 2003-08-14
KR100715097B1 (ko) 2007-05-07
JP3485170B2 (ja) 2004-01-13
US20010020585A1 (en) 2001-09-13
EP1134056A1 (en) 2001-09-19
SG90238A1 (en) 2002-07-23
ATE244619T1 (de) 2003-07-15
JP2001252869A (ja) 2001-09-18
DE60100441T2 (de) 2003-12-24
TW471991B (en) 2002-01-11
EP1134056B1 (en) 2003-07-09
CA2339512A1 (en) 2001-09-09
CA2339512C (en) 200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7733B2 (ja) 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US503223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lectropolishing and grinding
KR100715097B1 (ko) 제거가능한 전극
JPH0343144A (ja) レンズ研削方法および研削装置
US6117001A (en) Electrolytic in-process dressing method, electrolytic in-process dressing apparatus and grindstone
EP1033908A2 (en) Plasma discharge truing apparatus and fine-machining methods using the apparatus
JP3214694B2 (ja) 動圧発生電極
WO2001036138A1 (en) Combined electrolytic polishing and abrasive super-finishing process
JP3530562B2 (ja) レンズ研削方法
Ohmori et al. Efficient grinding technique utilizing electrolytic in-process dressing for precision machining of hard materials
JPH0675823B2 (ja) 研削加工装置
JP2565385B2 (ja) 電解ドレッシング研削法と導電性砥石を工具に兼用した研磨法の複合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S6239175A (ja) 対電極放電によるツル−イング・ドレツシング方法
JP4274461B2 (ja) 電解ドレッシング用自在電極を用いた電解ドレッシング方法
JPH04135174A (ja) 電解ドレッシング研削装置
JP2846056B2 (ja) 研削装置および研削方法
JP2599997B2 (ja) 研削方法と研削砥石
JPS62120918A (ja) 溝入れ・切断装置
KR100561771B1 (ko) 플라즈마 방전 트루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미세가공방법
JP2886203B2 (ja) 電解研削方法および装置
JP2684624B2 (ja) 研削切断装置
JPH05318313A (ja) 複合材の研削加工方法
Itoh et al. ELID Grinding with a Tape Type Electrode
JPH0587884B2 (ko)
JPS59182028A (ja) 電解複合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