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146A -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 Google Patents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146A
KR20010087146A KR1020000075917A KR20000075917A KR20010087146A KR 20010087146 A KR20010087146 A KR 20010087146A KR 1020000075917 A KR1020000075917 A KR 1020000075917A KR 20000075917 A KR20000075917 A KR 20000075917A KR 20010087146 A KR20010087146 A KR 20010087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lide
grindstone
tool body
adjus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349B1 (ko
Inventor
이나가키요시테루
Original Assignee
이나가키 요시테루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이즈이나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가키 요시테루, 가부시키가이샤 아트라이즈이나켄 filed Critical 이나가키 요시테루
Publication of KR2001008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8Ho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2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in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e.g. of cylindrical or conical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지석의 은현기구를 구비한 호닝용 공구에 회전중에도 사용가능한 세정기능을 부여하여, 퇴적물을 배제하여 공구의 유효사용시간을 연장한다.
[해결수단]
원통으로 마련한 슬릿(64)에서 은현하는 지석대와 지석으로 된 슬라이드 요소(78, 88)를 공구본체와 누름봉(70, 80)을 동심원형상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형성한 슬라이딩구멍(65, 75) 벽면에 나선형상의 홈(67, 77)을 설치하고, 주입구(69)에서 홈을 개재하여, 세정액의 강한 흐름을 각 슬라이딩구멍내에 송출하여, 내부에 퇴적된 부스러기나 박리지석입자 등을 공구전면의 개구단에서 배출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GRINDING TOOL HAVING A BUILT-IN CLEANER}
본 발명은 호닝(honing)용 연산공구에 관한 것이다. 2개의 접촉면의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이 접촉을 유지하면서 움직이는 경우, 접촉면을 매끄럽게 마무리 할 필요가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 지석(砥石)을 장착한 호닝이라고 칭하는 공구(이하 공구라함)를 장착한 호닝머신 이라고 부르는 연삭(연마)기를 사용한다. 피연삭재가 작고 좁은 경우에는, 공구도 작은 형상과 구조 등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된다.
연삭기의 주축에 장착한 공구는, 피연삭재에 대하여 회전과 상하 양방향으로 주로 움직이지만, 연삭의 진행에 따라 공구내의 지석이 연마되므로, 지석과 연삭면의 접촉상태를 수정하면서 정밀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삭면에 대한 지석면을 공구에 내장한 은현기구(隱顯機構)로 반경방향으로 출입시키고, 양자의 당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조정기능을 구비한다.
이 공구는 선단에 사면(斜面)을 구비한 조정봉과 복수의 슬릿을 방사상으로 설치한 원통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이 슬릿내에 지석과 지석대를 고착한 슬라이드 요소(Slide element)를 삽입한다. 조정봉의 움직임에 따라서 선단사면에 당접한 지석대는 지석을 반경방향으로 움직여서 은현하는 구조로서, 슬라이드 요소에 조정봉의 움직임을 전하여, 슬릿에서의 튀어나옴을 방지하기 위해, 연삭에지장이 없는 부위의 지석대 양단에 0링이나 가터(garter)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방지재로서 장착한다.
이 방지재를 장착한 공구는 다수 사용하고 있지만, 방지재의 변형이나 절단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방지재의 손상이 슬라이드요소의 탈락이나 은현기능의 상실에 결부되는 것이 과제이다.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인 일본국 특개평10-249705호와 동 특개평10-249706호(도 7 참조)에서는, 이 과제를 해소한 공구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 요지는 조정봉 선단사면과 지석대의 접촉면에 개미굴형홈을 설치해서 결합하여, 슬라이드 요소의 탈락을 방지하는 내용이다.
또 연삭기는, 0링이나 가터스프링 등을 방지재로 하는 공구나 개미굴형홈을 방지재로한 공구에 관계없이 연삭을 개시하면 피연삭재와 지석 사이의 윤활과 냉각 이외에 연삭에 의한 박리지석입자나 피연삭재의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삭액을 대량으로 흘리고, 회수하여 여과한 후에 재이용하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다.
연삭가공중에 공구자체의 표면 또는 다른 공구원에서 피연삭재와 지석 사이에 공급하는 연삭액에 의한 세정범위는 연삭면과 공구표면에 한정된다. 그러나, 공구는 내부에 복수의 부재로된 지석을 움직이는 기구를 구비하고, 내면에 많은 요부(凹部)와 단부(段部) 및 구멍 등을 형성하였으므로, 사용시간의 경과와 함께 이물질이 괴어서 공구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게 된다.
연삭면에 대한 공구는 회전과 상하 양방향으로 빠른 움직임이 가해지지만,공구자체를 구성하는 부재 상호간의 움직임이 아주 작은 것과, 이 부분에서의 연삭액의 둘레도 거의 없기 때문에, 이물질이 배제되기 어려워 서서히 내부에 침투 퇴적하여 공구본체의 슬라이딩구멍과 조정봉 및 슬라이드 요소의 3자로 형성하는 슬라이드부의 움직임이 나쁘고, 공구의 분해 정비를 필요로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과제는 더욱 강조될 가능성을 구비한다. 통상, 분해 정비에 필요한 시간은 숙련도에 따라 상당한 시간을 요하고, 연삭액이 유성인 경우는 별도로 하며, 수용성인 경우는 공구정지후로부터 분해에 이르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길면 급속부분에 녹이 발생하고, 본래의 작업에 첨가하여 녹을 떼는 수고가 필요하게 되어, 분해정비시간이 수일이 소요되는 경우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인 연삭공구내에 퇴적하는 이물질의 해소를 목적으로 하여, 공구자신의 움직임을 이용한 세정기능을 내장하는 공구를 제공한다.
도 1(A)는 실시예 1의 공구의 정면도를, 도 1(B)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2(A)는 실시예 1의 조정봉의 정면도를, 도 2(B)는 도 2(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3(A)는 실시예 2의 공구의 정면도를, 도 3(B)는 도 3(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4(A)는 실시예 2의 공구본체의 정면도를, 도 4(B)는 도 4(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5(A)는 실시예 3의 공구의 정면도를, 도 5(B)는 도 5(A)의 e-e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6(A)는 실시예 4의 공구의 정면도를, 도 6(B)는 도 6(A)의 f-f선에 따른 단면을 각각 표시한다.
도 7(A)는 비교예 5의 공구의 정면도를, 도 7(B)는 도 7(A)의 g-g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8(A)는 비교예 5의 공구본체의 정면도를, 도 8(B)는 도 8(A)의 h-h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9(A)는 비교예 5의 외조정봉의 정면도를, 도 9(B)는 도 9(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41, 51, 61 : 공구
2, 22, 62 : 공구본체
4, 24, 64 : 슬릿
5, 25, 65, 75 : 슬라이딩구멍
6, 26, 66, 91 : 개구부
10, 30, 42, 70, 80 : 조정봉
11, 31, 43, 71, 81 : 사면(斜面)
12, 32, 44, 72, 82 : 슬라이드 본체
13, 73, 83 : 핀
14, 34, 74, 84 : 연결봉
15 : 공동(空洞)
16 : 분사구멍
17, 29, 69 : 주입구
18, 38, 48, 58, 78, 88 : 슬라이드 요소
19, 39, 79, 89 : 스프링
27, 67, 77 : 홈
37 : 훅
45, 49 : 개미굴형홈
90 : 캡
본 발명은 원통의 반경방향을 방사상으로 관통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공구본체와 그 공구본체에 조정봉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여, 그 조정봉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 선단의 사면에, 앞 슬릿에 활동가능하게 삽입한 지석대와 지석으로 된 슬라이드 요소의 밑을 당접시키고, 상기 조정봉의 움직임을 반경방향으로 변환하여 지석과 원통표면에서 은현(隱顯)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며,
공구본체에 삽입한 상기 조정봉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 전면이나 연결봉쪽으로 주입구를 설치하여, 그 주입구에서 슬라이드 본체에 걸처서 연통하는 통로를 천설(穿設)하여, 슬라이드 본체의 표면에 개구한 분사구멍과 접속하고, 세정액이 주입구에서 통로와 분사구멍 및 슬라이딩구멍을 지나서, 공구본체의 개구단에서 배출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작공구이며,
원통의 방경방향을 반사상으로 관통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공구본체와, 그 공구본체에 복수의 조정봉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조정봉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 선단의 사면에 앞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 지석대와 지석으로된 슬라이드 요소의 밑을 각각 당접시키고, 조정봉의 움직임을 반경방향으로 변환하여, 지석이 원통표면에서 은현하는 구성으로 하고,
공고분체의 슬라이드부에 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주입구에서 홈에 이르는 통로를 천설하여, 세정액이 주입구에서 통로 및 슬라이딩구멍을 지나서, 공구본체의 개구단에서 배출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내장한 공구이고,
원통의 반경방향을 방사상으로 관통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공구본체와, 그 공구본체에 복수의 조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조정봉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 선단의 사면에 앞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 지석대와 지석으로 된 슬라이드 요소의 밑을 각각 당접시켜서, 조정봉의 움직임을 반경방향으로 변환하여, 지석이 원통표면으로부터 은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며,
공구본체와 조정봉으로 형성한 복수의 슬라이딩구멍에 복수의 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주입구에서 홈에 이르는 통로를 천설하여, 세정액을 주입구에서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슬라이딩구멍을 지나서, 공구본체의 개구단에서 배출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이다.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은 연삭의 진행에 수반하여 공구에, 박리지석입자나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이 연삭액에 운반되어서 퇴적되고, 공구내의 슬라이드 부재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한 연산액의 분액(分液) 기름을 세정액으로하여 슬라이딩구멍에 안내하여 주요부에의 이물질의 침입과 퇴적의 방지와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세정기능에 관한 것이다.
공구는 주축에 장착한 대로 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축의 형상과 공구의 운동상태로 세정형식이 나누어지는 외에 주축에서 떼어낸 공구의 세정도 고려에 넣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회전중에 공구에는 공구본체내의 슬라이딩구멍 벽면에 홈을 설치하고, 세정액에 선회와 하향흐름을 부여하는 구조로하면 높은 세정효과가 얻어진다. 이 세정기능은 정지상태에서도 이용할 수 있지만, 효과는 세정액의 압력에 관계한다.
홈의 형상은 지석의 수와 활동구멍의 지름 등을 감안하여 폭을 결정하고, 깊이는 0.1∼2㎜의 범위, 바람직한 것은 0.5∼1㎜의 범위에서 선택한 치수로서, 적어도 1개의 직선이 나선으로서, 슬라이딩구멍벽의 안에서 개구단의 사이에 구비한다. 이 홈을 나선상으로하면 공구에 장착한 슬라이딩요소가 홈을 가로지르므로 세정액은 홈으로부터 넘쳐서, 공구본체와 조정봉 및 슬라이딩요소에 의한 공간에 흘러들어, 슬릿 등의 공구본체의 개구단에서 배출하여 이물질이 퇴적하여 어렵게 한다.
주축에 장착한 대로 정지한 공구의 세정구조는 공구본체내의 조정봉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본체 선단이 연결봉 후단의 주입구에서, 슬라이드 본체 표면에 복수의 군사구멍을 마련하여 그 구경을 1∼4㎜의 범위, 바람직한 것은 2∼3㎜의 범위에서 선택하고, 세정액을 넣어서 슬라이딩구멍 주위를 세정한다. 이 세정기능은 주축에서 떼어낸 공구에도 적용되지만, 어느 경우에도 효과는 세정액의 압력에 관계한다. 거칠은 마무리와 마무리 지석을 내장하는 복합형 공구에는 상술의 세정구조를 조합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삭공구는 구성부재에 세정액이 회전하도록 주입구에서 슬라이딩구멍을 지나서 개구단에 이르는 사이에 통로와 홈 또는 분사구멍을 천설하여서 연통하고, 이물질의 침입과 퇴적의 방지 또는 제거를 한다.
(실시예 1)
주축에 장착하여 정지상태의 공구를 대상으로 한 세정구조이지만, 이 구조는 주축에서 도 1(A, B)은 공구전체의 정면과 단면도로서, 조정봉이 슬라이딩구멍의 안으로 후퇴하여 지석이 가장 숨겨진 상태를, 도 2(A, B)는 공구본체내에서 끄집어낸 조정봉 단체의 정면과 단면도의 상태를 각각 표시한다.
도 1(A)은 공구본체(2)의 외주보호용의 초강등의 내마모재(3)와 지석과 지석대로된 슬라이드 요소(18)를 삽입한 슬릿(4)을 배치한 공구(1)의 정면도를, 도 1(B)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공구의 전개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슬라이딩구멍(5) 내에 2개의 사면(11)을 구비한 슬라이드 본체(12)와 연결봉(14)으로 된 조정봉(10)을 삽입하여, 연결봉과 공구본체 후부의 틈새에 스프링(19)을 봉입한 구조이다.
슬라이드 본체(12)가 움직이면, 선단사면(11)에 당접하여 슬라이드 요소(18)의 밑이 오름과 내림하고 지석이 피연삭재(도면에 없음)에 대하여 은현하는 구조로서, 슬릿(4)에서 슬라이드 요소(18)의 탈락방지의 방지재로서, 슬라이드 본체(12)에 핀(13)을 장착하여 슬라이드 요소에 찔러 넣고, 개구부(6)에서 조정봉 선단에 붙은 연결기 등의 주입구(17)에 세정액을 들여보내고, 지석에 의한 박리지석이나 부스러기가 공구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A)는 구경 3㎜로서 6개의 분사구멍(16)과 통로를 점선으로 표시한 조정봉(10)의 정면도를, 도 2(B)는 도 2(A)의 b-b선에 따른 조정봉의 전개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내부는 공동(15)으로하여 슬라이드 본체(12)의 표면에 합계 12개의 분사구멍을 구비하고, 주입구(17)에서 들여보낸 세정액을 분사구멍에 인도하여 슬라이드구멍(15)으로 흐르고, 공구본체의 개구부(6)나 슬릿(4)에서 이물질과 동시에 유출한다. 세정액을 들여 보냄과 동시에 조정봉을 움직이면 세정효과가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구(1)의 전면에 주입구를 설치하였지만, 주축측에서 세정액의 공급이 가능하면, 전면의 주입구에 대신해서 조정봉(10)을 구성하는 연결봉(14)을 중공(中空)으로 하고, 축끝을 주입구로하여 분사구멍(16)에 접속하여도 좋다. 단 이 세정구조는 주축에서의 세정액의 공급을 전제로한것이므로, 불가능한 때에는 공구를 주축에서 떼어내어서 세정하는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
(실시예 2)
주축에 장착하여 회전상태의 공구를 대상으로 한 세정구조이지만, 이 구조는 공구를 정지하거나 주축에서 떼어낸 상태에서도 기능한다. 도 3(A, B)는 공구전체의 정면과 단면도로서, 조정봉이 슬라이딩구멍의 속으로 후퇴하여 지석이 가장 숨겨진 상태를, 도 4(A, B)는 공구본체 단체의 정면과 단면도의 상태를 각각 표시한다.
도 3(A)는 공구본체(22) 외주를 보호하는 내마모재(23)와 지석과 지석대로된 슬라이드 요소(38)를 삽입한 슬릿(24)을 배치한 공구(21)의 정면도를, 도 3(B)은 도 3(A)의 c-c선에 따른 공구의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슬라이딩구멍(25)에는 2개의 사면(31)을 구비한 슬라이드 본체(32)와 연결봉(34)으로 된 조정봉(30)을 삽입하여, 연결봉과 공구본체 후부의 틈새에 스프링(39)을 봉입한 구조이다.
슬라이드 본체(32)가 움직이면, 선단사면(31)에 당접된 슬라이드 요소(38)의 밑이 오름과 내림하고, 지석이 피연삭재(도면에 없음)에 대하여 은현하는 구조로서, 슬릿(24)에서 슬라이드 요소의 탈락방지에 훅(37)을 방지재로서 장착하고, 공구본체의 후방에 주입구(29)를 설치해서 슬라이딩구멍(25) 벽면의 나선형상 홈(27)에 세정액을 들여 넣고, 연삭에 의한 박리지석 입자나 부스러기가 공구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A)는 공구본체(22)의 정면도를, 도 4(B)는 도 4(A)의 d-d선에 따른 공구본체의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슬라이딩구멍 벽면에 나선형상으로 홈(27)을 형성하고, 이 홈과 주입구(29)와의 사이에 통로(28)를 마련하여서 접속하여 세정액을 들여보내면, 파선으로 표시한 슬라이드 요소(38)로 분단되고, 회전과 홈의 경사로서 강한 흐름을 부여한 세정액이 넘쳐 나오고, 슬라이딩구멍(25) 내의 슬라이드 요소 등을 세정하면서 통과하여, 바람직한 세정효과를 인출하여서, 공구본체 전면의 개구부(26)나 슬릿(24)에서 이물질과 동시에 산출된다. 연삭기와 주입구(29)와의 사이에 적당한 세정액 이음매를 개재시킨다.
주축의 회전은 위에서 보아서 우회전하므로서 홈은 좌로 비틀림한 나선이 붙었다. 따라서 주축에 장착된 공구의 회전으로 세정액에 하향하는 힘의 작용이 강한 흐름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선의 현권각(弦券角)을 작게하여 나선을 1조로하였지만, 공구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지 않은 범위에서 나선의 현권각을 크게하여 순차 조의수를 늘려도 좋다.
(실시예 3)
도 5(A, B)는 조정봉이 슬라이딩구멍의 속으로 후퇴하여, 지석이 가장 숨겨진 연삭공구 전체의 정면과 단면도(도 5A의 e-e선에 따른)를 각각 표시한다. 공구(41)는 실시예 2와 같은 세정구조로서 기능도 변하지 않는다. 실시예 2가 슬라이드 요소의 탈락 방지용 방지재를 훅으로 한데 대하여, 조정봉(42)을 구성하는 사면(43)이 붙은 슬라이드 본체(44)와 지석과 지석대로 된 슬라이드 요소(48)가 당접하는 부분에 개미굴형홈(45, 49)을 형성하여 방지재로 한 것과 사면이 1개인 이외에 나선형상의 홈(47) 부분의 형상과 구조는 대략 같다.
(실시예 4)
도 6(A, B)은 조정봉이 슬라이딩구멍의 속으로 후퇴하고, 지석이 가장 숨은 상태의 연삭 공구 전체의 정면과 단면도(도 6A의 f-f선에 따른)를 각각 표시한다. 공구(51)는 실시예 2와 같은 세정구조로서 기능을 변하지 않는다. 실시예 2가 슬라이드 요소의 탈락방지용 방지재를 훅으로 한데 대하여 가터스프링(52)을 사용하고, 지석과 지석대로된 슬라이드 요소(58)의 탈락방지와 은현기구용 탄성체로한 이외에 나선형상의 홈(57) 부분의 형상과 구조는 대략 같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2의 세정기능을 구비한 2종류의 지석을 내장한 공구로서, 주축에 장착한 회전상태를 대상으로 하고, 주축에서 떼어낸 상태에서도 기능을 한다. 도 7(A, B)은 동심원형상으로 끼워진 2개의 조정봉이 슬라이딩구멍의 속으로 후퇴하여 지석이 가장 숨겨진 상태의 공구전체의 정면과 단면도를, 도 8(A, B)은 공구본체 단체의 정면과 단면도를, 도 9(A, B)는 외측의 조정봉 단체의 정면과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도 7(A)은 공구본체(62)의 외주보호용의 내마모재(62)와 2종류의 슬라이드 요소를 삽입한 슬릿(64)을 번갈아 배치한 공구(61)의 정면도를, 도 7(B)은 도 7(A)의 g-g선에 따른 공구본체와 2개의 조정봉(70, 80)을 동심원형상으로 조합해서, 형성한 슬라이드구멍(65, 75)을 구비한 공구의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조정봉은 각각 2개의 사면(71, 81)이 붙은 슬라이드 본체(72, 82)와 연결봉(74, 84)으로 되었으며, 연결봉과 공구본체후부에서 포위되는 틈새에 스프링(79, 89)을 봉입한 구조이다.
슬라이드 본체(72, 82)가 움직이면, 선단사면(71, 81)에 당접한 슬라이드 요소(78, 88)의 밑이 오름과 내림하여 지석이 피연삭재(도면에 없음)에 대하여 은현하는 구조로서, 조정봉(70, 80)의 움직이므로 한개 걸어서 반수의 슬라이드 요소가 오름과 내림하여, 슬릿(64)에서 슬라이드 요소의 탈락방지용의 방지재로하고, 각 슬라이드 본체에 핀(73, 83)을 장착하여 슬라이드 요소에 찔러 넣고, 공구본체 후부의 주입구(69)와 홈(67, 77)을 통로(68, 76)로 접속하여 세정액을 들어가게 하고, 연삭에 의한 박리지석입자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A)은 공구본체(62)의 정면도를, 도 8(B)은 도 8(A)의 h-h선에 따른 슬릿(64)과 슬라이드구멍(65) 벽면에 형성한 나선형상의 홈(67)이 붙은 공구본체의 단면을 각각 표시한다. 이 홈과 공구본체의 주입구(69) 사이에 통로(68)를 마련하여 접속한다. 도 9(A)는 외측의 조정봉(70)의 정면도를, 도 9(B)는 도 9(A)의 i-i선에 따른 슬라이드 구멍(75) 내면에 형성한 나선형상의 홈(77)이 있는 조정봉의 단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이 홈은 분기통로(76)를 개재하여 공구본체(62) 쪽 홈(67)에 접속한다.
홈(67, 77)에 세정액을 들어가게 하면, 슬릿(64)에 넣은 슬라이드 요소(78, 88)로 각각 분리되어, 회전과 홈의 경사로서 강한 흐름을 부여한 세정액이 넘처흐르고, 슬라이딩구멍(65, 75) 내의 슬라이드 요소 등의 사이를 세정하면서 통과하여 바람직한 세정효과가 생겨서 공구본체(62) 전면의 개구부(66)와 캡(90)의 구멍(91)이나 슬릿에서 이물질과 동시에 흘러나온다. 연삭기와 주입구(69) 사이에 적당한 세정액용 이음매를 개재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는 하기의 효과를 가진다.
(1) 공구에 내장한 세정기능으로 운전상태에 관계없이 이물질의 퇴적방지 또는 배제를 가능하게 한다.
(2) 회전중의 공구에 대하여 세정효과는 홈에 나선을 마련한 것으로서 일단 향상된다.
(3) 세정액이 수용성절삭액의 경우는 세정완료후에 유성용액을 단시간 통과하는 것으로 녹의 발생을 방지한다.
(4) 공구의 사용기간이 증가하여 분해정비의 수고가 감소하고, 가동율을 향상하여 생력화(省力化)에 공허하였다.

Claims (6)

  1. 원통의 반경방향을 관통한 복수의 슬릿(4)을 구비한 공구본체(2)와, 그 공구본체에 조정봉(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조정봉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12) 선단의 사면(11)에, 앞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 지석대와 지석으로 된 슬라이드 요소(18)의 밑을 당접시켜서, 조정봉의 움직임을 반경방향으로 변환하여, 지석이 원통표면에서 은현하는 구성으로 하고,
    공구본체(2)에 삽입한 조정봉(1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12) 전면이 연결봉(14) 쪽에 주입구(17)를 마련하고, 그 주입구에서 슬라이드 본체에 걸쳐서 연통하는 통로를 천설하여, 슬라이드 본체 표면에 개구한 분사구멍(16)과 접속하고, 세정액이 주입구에서 통로와 분사구멍 및 슬라이딩구멍(5)을 지나서, 공구본체의 개구단에서 배출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조정봉의 슬라이드 본체(12)에 형성한 분사구멍(16)을 슬릿(4)의 사이에 상당하는 부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3. 원통의 반경방향을 방사상으로 관통한 복수의 슬릿(24)을 구비한 공구본체(22)와, 그 공구본체에 조정봉(3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조정봉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32) 선단의 사면(31)에, 앞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 지석대와 지석으로 된 슬라이드 요소(38)의 밑을 당접시켜서, 조정봉의 움직임을 반경방향으로 변환하여, 지석이 원통표면에서 은현하는 구성으로 하고, 공구본체(22) 내의 슬라이딩구멍(25) 내면에 홈(27)을 형성함과 동시에, 주입구(29)에서 홈에 이르는 통로를 천설하여, 세정액을 주입구에서 통로 및 슬라이딩구멍을 지나서, 공구본체의 개구단에서 배출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슬라이딩구멍(25)에 형성한 홈(27)이 나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5. 원통의 반경방향을 관통한 복수의 슬릿(64)을 구비한 공구본체(62)와, 그 공구본체에 복수의 조정봉(70, 8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고, 그 조정봉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본체(72, 82) 선단의 사면(71, 82)에, 앞 슬릿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 지석대와 지석으로 된 슬라이드 요소(78, 88)의 밑을 당접시켜서, 조정봉의 움직임을 반경방향으로 변환하여, 지석이 원통표면에서 은현하는 구성으로 하고,
    공구본체(62)와 조정봉(70)으로 형성한 복수의 슬라이딩구멍(65, 75)에 복수의 홈(67, 77)을 형성함과 동시에, 주입구(69)에서 홈에 이르는 통로를 천설하고, 세정액을 주입구에서 복수의 통로 및 복수의 슬라이딩구멍을 지나서, 공구본체의 개구단에서 배출하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슬라이딩구멍(65, 75)에 형성한 홈(67, 77)이 나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KR1020000075917A 2000-03-06 2000-12-13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KR100712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59996 2000-03-06
JP2000059996A JP4119067B2 (ja) 2000-03-06 2000-03-06 洗浄機能を内蔵した研削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146A true KR20010087146A (ko) 2001-09-15
KR100712349B1 KR100712349B1 (ko) 2007-05-02

Family

ID=1858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917A KR100712349B1 (ko) 2000-03-06 2000-12-13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119067B2 (ko)
KR (1) KR100712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2415A (zh) * 2019-02-20 2019-05-10 天津跃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杆用打磨清洗装置
CN116237826A (zh) * 2023-05-11 2023-06-09 四川省卓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阀块油孔打磨工具及打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2783C (zh) * 2005-01-11 2007-08-22 夏建敏 弹性珩磨头
CN102554739B (zh) * 2010-12-20 2015-08-19 如皋市江海技工学校 一种快速磨光装置
JP2021074825A (ja) * 2019-11-11 2021-05-20 株式会社ディスコ 保持面洗浄装置
CN114227433A (zh) * 2021-12-28 2022-03-25 扬州华若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金属压铸件去毛边装置
CN114309169B (zh) * 2022-01-06 2022-12-16 泰州市长征冷机管件有限公司 一种冰箱压缩机连接管压弯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464B2 (ja) * 1993-09-09 2000-08-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ホーニング加工方法及びホーニング加工装置
JPH10249705A (ja) * 1997-03-06 1998-09-22 Atoraizu Inaken:Kk 研磨工具からの砥石付摺動子の脱落防止構造
JPH11254279A (ja) * 1998-03-12 1999-09-21 Sumikin Stainless Kokan Kk 金属管内面の仕上げ研磨装置および研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2415A (zh) * 2019-02-20 2019-05-10 天津跃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杆用打磨清洗装置
CN116237826A (zh) * 2023-05-11 2023-06-09 四川省卓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阀块油孔打磨工具及打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19067B2 (ja) 2008-07-16
KR100712349B1 (ko) 2007-05-02
JP2001246549A (ja)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881B2 (en) Stabiliser, jetting and circulating tool
EP1787744B1 (de) Motorspindel
US7918288B2 (en) Drill bits with enclosed fluid slots and method
US7096950B2 (en) Combined milling and scraping tool
DE102012202766A1 (de) Honvorrichtung
KR20010087146A (ko) 세정기능을 내장한 연삭공구
EP3265638A1 (en) Coring tools for managing hydraulic properties of drilling fluid and related methods
US8313050B2 (en) Diamond nozzle
CA2539668C (en) Steerable drilling system
EP0413847A1 (de) Honwerkzeug zur Oberflächenbearbeitung von Bohrungswänden, insbesondere Zylinderlaufflächen
US20230019562A1 (en) Casing cleaning tool
WO2002074526A1 (en) Compressor
DE10232214C1 (de) Betonbohrer
CN102482926A (zh) 用于释放沉淀固体的井下工具头
US5255476A (en) Honing mandrel construction
US2443268A (en) Adjustable hone
DE19854113C2 (de) Fräswerkzeug zur Bearbeitung von Stein oder steinähnlichen Materialien
DE2220062A1 (de) Werkzeug zur Herstellung von Bohrungen und Nuten
CN114961577B (zh) 一种耐磨损的可旋转切削齿钻头
EP2568245B1 (de) Einrichtung zur Zuführung von Spülmedium in einem Bohrhammer
WO2010097616A2 (en) Diverter cup assembly
CN219387837U (zh) 一种具有扶正功能的套铣打捞工具
DE10238456C1 (de) Pumpe zur Förderung von Erdöl aus Tiefbohrungen
RU6427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обсадной трубы
US3019066A (en) Machine tool spindl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