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301A - 소형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301A
KR20010086301A KR1020010001126A KR20010001126A KR20010086301A KR 20010086301 A KR20010086301 A KR 20010086301A KR 1020010001126 A KR1020010001126 A KR 1020010001126A KR 20010001126 A KR20010001126 A KR 20010001126A KR 20010086301 A KR20010086301 A KR 2001008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haft
slider
slide ke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547B1 (ko
Inventor
이사오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미쯔요시
Publication of KR2001008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0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positive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를 최대한 적게 한 구조로 간단하게 하여 저렴화시키고, 동시에 누름버턴의 가압조작이 가볍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특히 휴대용 전화기에 채용되기에 적합한 소형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축과, 그 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취부된 일단부에 캠부를 지니는 슬라이더 캠과, 그 슬라이더 캠 및 축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 캠의 캠부와 대향하는 측에 캠부를 설치하고 상기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인너 캠과, 그 인너 캠을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수용시키고 또, 캠부를 상기 슬라이더 캠의 캠부에 대향시켜 축에 취부된 아우터 캠과, 그 아우터 캠에 대해 비회전이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상기 인너 캠을 계지, 해리시키는 슬라이드키와, 그 슬라이드키의 일단부에 취부된 누름버턴과, 그 누름버턴 및/또는 슬라이드키와 상기 아우터 캠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1압축스프링보다 탄성력이 약한 제제2압축스프링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개폐장치{compact hinge device of a small size}
본 발명은, 소형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특히 개폐기구를 지니는 휴대용 전화기에 채용되기 적합한 소형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송화부측과 수화부측, 또는 키보드측과 디스플레이측을 고정측 틀체와 가동측 틀체에 각각 설치시키고, 서로의 틀체를 접어 개폐가능하게 구성한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개폐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8-1257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축을 개재하여 이중으로 접을 수 있도록 연결시킨 고정측 틀체의 취부부와 가동측 틀체의 취부부와의 사이에, 상기 축에 환권시켜 토션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측 틀체의 취부부와 가동측 틀체의 취부부사이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부를, 상기 수화부의 소정의 개방각도이상의 범위에서만 상기 가동측 틀체의 취부부와에 의해 계지하는 계지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측 틀체의 취부부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누름버턴을 가압 조작시킴으로써 동작시켜 상기 계지수단이 그 토션스프링의 일단부를 계지시키는 위치까지 상기 수화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측 틀체의 취부부에 상기 누름버턴을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측 틀체의 취부부에 대한 가동측 틀체의 계지상태를 해제하는 로크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측 틀체를 소정의 개방각도로부터 프리 스탑(free-stop)으로 정지시키는 프리쿠션기구를 설치하고, 푸쉬식으로 누름버턴을 누르면 가동측 틀체가 고정측 틀체에 대해 자동적으로 소정의 각도까지 개방하도록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공지된 푸쉬식 개폐장치는,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이 자주 발생하며, 또한,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수를 최대한 적게 한 구조로 간단하게 하여 저렴화시키고, 동시에 누름버턴의 가압조작이 가볍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특히 휴대용 전화기에 채용되기에 적합한 소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개폐장치를 채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가동측 틀체를 개방시켜서 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개폐장치의 일부단면 평면도,
도 4는 회전축의 평면도,
도 5는 회전축의 우측면도,
도 6은 와셔의 측면도,
도 7은 슬라이더 캠의 정면 단면도,
도 8은 슬라이더 캠의 좌측면도,
도 9는 슬라이더 캠의 우측면도,
도 10은 슬라이더 캠의 캠전개도,
도 11은 인너 캠의 정면도,
도 12는 인너 캠의 평면 단면도,
도 13은 인너 캠의 우측면도,
도 14는 인너 캠의 캠전개도,
도 15는 아우터 캠의 정면도,
도 16은 아우터 캠의 평면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아우터 캠의 우측면도,
도 18은 아우터 캠의 캠전개도,
도 19는 슬라이드키의 평면도,
도 20은 슬라이더 캠의 정면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슬라이더 캠의 좌측면도,
도 22는 각 캠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개폐장치의 토크 특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휴대용 전화기 2: 고정측 틀체
2a: 소형 마이크로폰 2b: 키보드
2c: 취부부 2d: 취부공
3: 가동측 틀체 3a: 소형 스피커
3b: 표시부 3c: 취부부
3d: 취부공 4: 개폐장치
5: 회전축 6: 슬라이더 캠
6c: 돌출형상 경사캠부 7: 제1압축스프링
8: 인너 캠 8a: 홈형상 경사캠부
8c: 플랜지부 8d: 계지홈
9: 아우터 캠 9b: 홈형상 경사캠부
9f: 키홈 10: 와셔
11: E링 12: 슬라이드키
12a: 계지부 12b: 계지 다리부
12c: 면취부 13: 누름버턴
14: 제2압축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개폐장치는, 축과, 그 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취부된 일단부에 캠부를 지니는 슬라이더 캠과, 그 슬라이더 캠 및 축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 캠의 캠부와 대향하는 측에 캠부를 설치하고 상기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인너 캠과, 그 인너 캠을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수용시키고 또, 캠부를 상기 슬라이더 캠의 캠부에 대향시켜 축에 취부된 아우터 캠과, 그 아우터캠에 대해 비회전이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상기 인너 캠을 계지, 해리시키는 슬라이드키와, 그 슬라이드키의 일단부에 취부된 누름버턴과, 그 누름버턴 및/또는 슬라이드키와 상기 아우터 캠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1압축스프링보다 탄성력이 약한 제제2압축스프링과로 구성한 것에 의해, 슬라이더 캠의 회전 즉, 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인너 캠을 아우터 캠의 내부에 수용시킴으로써 축방향 길이를 단축하고, 또한, 누름버턴용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가볍게 누름버턴을 누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키의 일측부에 선단에 계지부를 지니는 계지 다리부를 설치하고, 그 계지부를 상기 아우터 캠의 내부에 설치한 키홈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계지부를 인너 캠의 외주에 설치한 플랜지부에 설치한 계지홈으로 출입시킴으로써 상기 인너 캠이 아우터 캠에 구속되거나 해리되거나 하는 상태를 창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키의 계지부에 면취부를 설치하고, 그 면취부에 의해 계지부가 인너 캠의 계지홈에 삽입되는 때에 그 인너 캠을 회전시켜 원 위치에 복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을 가동측 틀체의 취부부에 설치한 취부공에 계지, 고정시키고, 상기 아우터 캠을 고정측 틀체의 취부부에 설치한 취부공에 계지,고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서 도면부호 "1"은 예를 들면 휴대용 전화기이고, 도면부호 "2"는 그 송화부측을 구성하는 고정측 틀체이다. 그 고정측 틀체(2)에는 , 예를 들면 소형 마이크로폰(2a)과 키보드(2b)가 설치된다. 도면부호 "3"은 휴대용 전화기(1)의 수화부측을 구성하는 가동측 틀체로서, 예를 들면 소형 스피커(3a)와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3b)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 틀체(2) 및 가동측 틀체(3)는, 각각의 단부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취부부(2c,3c)를 지니며, 실시형태의 것은 취부부(2c,2c)의 사이에 취부부(3c)가 삽입되어 조립되고, 각 취부부(2c,2c) 및 취부부(3c)를 축방향으로 연결시킨 개폐장치(4)에 의해 그 고정측 틀체(2)에 대해 가동측 틀체(3)가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4)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21에 도시된다. 특히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5"는 축이고, 그 축(5)은 일단부에서 대경의 머리부(5a)와, 그 머리부(5a)에 연속하여 대략 단면이 +문자형상의 계합부(5b)와, 그 계합부(5b)에 연속하여 소경부(5c)와를 지니며, 그 소경부(5c)의 자유단측에 변형부(5d)와 E링 계지용 원주홈(5e)을 설치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5)의 계합부(5b)에 그 중심축방향으로 설치한 단면이 대략 +문자형상의 계합공(6a)을 계합하여 삽입,관통시키고 있고 또한, 소경부(5c)를 삽입관통공(6d)로 삽입,관통시키면서 슬라이더 캠(6)이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슬라이더 캠(6)은, 특히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측에 머리부(6b)와 그 머리부(6b)의 단부면의 축방향으로 돌출시킨 한쌍의 돌출형상 경사캠부(6c,6c)를 지니며, 축(5)의 머리부(5a)와 그 자신의 머리부(6b)와의 사이에 계합부(5b)에 환권시켜 제1압축스프링(7)을 탄성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그 슬라이더 캠(6)과 축(5)은,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 틀체(3)의 취부부(3c)에 설치한 취부공(3d)내에 삽입되고, 머리부(5a)의 외주 축방향으로 설치한 한쌍의 계지돌조(5f,5f)를 취부공(3d)내에 설치한 계합홈(3e,3e)과 계합시키고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캠(6)의 한깡의 돌출형상 경사캠부(6c,6c)에 서로 접촉,대향시켜 한쌍의 홈형상 경사캠부(8a,8a)(도 11 참조)를 지니는 인너 캠(8)이, 그 중심축방향으로 설치한 삽입관통공(8b)에 축(5)의 소경부(5c)를 회전가능하게 삽입,관통시켜 설치되어 있고, 그 인너 캠(8)을 내부에 설치한 수용공(9a) 내로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여 아우터 캠(9)이, 그 일단부에 설치한 한쌍의 홈형상 경사캠부(9b,9b)(도 15 참조)를 슬라이더 캠(6)의 돌출형상 경사캠부(6c,6c)와 서로 접촉, 대향시키면서, 삽입관통공(9g)에 축(5)의 소경부(5c)를 회전가능하게 삽입,관통시키고 있다. 그 아우터 캠(9)은,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틀체(2)의 취부부(2c)의 일방의 것에 설치한 취부공(2d)내에 수납되고, 그 취부공(2d) 내에 설치한 계합홈(2e,2e)과 그 외주 축방향으로 설치한 계지돌조(9c,9c)를 계합시키고 있다.
도면부호 "10"은, 아우터 캠(9)이 축(5)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함고 k동시에 후술하는 슬라이드키(12)를 계지시키는 와셔이고,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설치한 변형삽입관통공(10a)을 지니며, 그 변형삽입관통공(10a)으로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5)의 소경부(5c)의 변형부(5d)를 삽입,관통계합시키과 동시에 축(5)의 원주홈(5e)에 설치한 E링(11)에 의해 그 축(5)의 소경부(5c)에 계지되어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2"는, 일단부측에 누름버턴(13)을 취부한 통형상의 슬라이드키이고, 아우터 캠(9)과의 사이에 그 자신에 환권시키고, 다른 일방의 제1압축스프링(7)보다 탄성력이 약한 전용의 제제2압축스프링(14)을 탄성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슬라이드키(12)는, 특히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각각 계지부(12a,12a)를 구비한 한쌍의 계지 다리부(12b,12b)를 지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계지부(12a,12a)를 아우터 캠(9)의 저판(9d)에 설치한 삽입공(9e,9e)에서 그 아우터 캠(9)내로 삽입시키고 있다. 또, 계지부(12a,12a)에는 특히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면취부(12c,12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계지부(12a,12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셔(10)로 축방향 우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계지됨과 동시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캠(9)의 내주에 설치한 키홈(9f,9f)에 계합하여 있고,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캠(8)의 일단부 외주에 설치한 플랜지부(8c)의 계지홈(8d,8d)과 그 위치에 의해 계합하여 인너 캠(8)의 회전을 저지시키거나 또는 해리시켜 인너 캠(8)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틀체(2)에 대해 가동측 틀체(3)를 폐쇄시킨 상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캠(6)의계지부(12a,12a)가 아우터 캠(9)의 키홈(9f,9f)과 계합한 상태에서 인너 캠(8)의 계지홈(8d,8d)와 계합하여 그 인너 캠(8)의 회전을 저지시키고 있는 것과,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캠(6)의 돌출형상 경사캠부(6c,6c)의 각 꼭대기부(6e,8e)가 각 인너 캠(8)의 홈형상 경사캠부(8a,8a)의 단부(8e,8e)에 계지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가동측 틀체(3)와 고정측 틀체(2)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제, 가동측 틀체(3)를 수동으로 고정측 틀체(2)에 대해 개폐시키면, 슬라이더 캠(6)의 돌출형상 경사캠부(6c,6c)의 각 꼭대기부(6e,6e)는, 인너 캠(8)의 홈형상 경사캠부(8a,8a)의 단부(8e,8e)를 타고 넘어 인너 캠(8)과 아우터 캠(9)의 각각의 홈형상 경사캠부(8a,8a; 9b,9b)의 형상을 따라 미끄럼 왕복동작함으로써 수동으로의 개폐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고정측 틀체(2)에 대해 가동측 틀체(3)를 자동적으로 개방시켜야 할 도 1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누름버턴(13)을 누르면, 누름버턴(13)은 제제2압축스프링(14)의 약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가볍게 가압하고, 동시에 슬라이드키(12)의 계지부(12a,12a)가 인너 캠(8)의 계지홈(8d,8d)에 대한 계합상태인 도 3의 상태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여 인너 캠(8)의 계지홈(8d,8d)에서 이탈하므로, 아우터 캠(9)은 그대로이지만, 인너 캠(8)은 회전가능하게 되며, 제1압축스프링(7)에 의해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해지고 있는 슬라이더 캠(6)의 돌출형상 경사캠부(6c,6c)의 꼭대기부(6e,6e)가 아우터 캠(9)의 홈형상 경사캠부(9b,9b)의 경사면부(9h,9h)에 안내되고, 슬라이더 캠(6)에 회전토크가 발생하여 축(5)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가동측 틀체(3)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이 경우의 가동측 틀체(3)가90도까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22의 (c)이다. 이 때, 누름버턴(13)에서 손을 떼어도 슬라이드키(12)의 계지부(12a,12a)는 인너 캠(8)의 플랜지부(8c)와 계합하여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결고, 그 누름버턴(13)은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각 캠은, 180도 간격으로 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의 것은 가동측 틀체(3)의 개방각도가 165도로 규제하고 있으므로, 도 2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캠(9)과 인너 캠(8)의 상대위치는 초기상태로 복귀함이 없이 약 15도의 차이가 있게 된다. 그 차이는 슬라이드키(12)가 인너 캠(8)의 계지홈(8d,8d)과 계합하는 때에 계지부(12a,12a)의 면취부(12c,12c)에서 인너 캠(8)을 회전시켜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하는 것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수동으로 가동측 틀체(3)를 폐쇄시키면, 슬라이더 캠(6)의 돌출형상 경사캠부(6c,6c)은 중첩하여 맞물려 있는 아우터 캠(9)과 인너 캠(8)의 각 홈형상 경사캠부(8a,8a; 9b,9b)를 미끄러져 도 22의 (a)의 상태로 돌아간다.
도 23은 누름버턴(13)의 오프시와 온인 때의 회전토크를 설명하는 것으로, 가동측 틀체(3)의 0도 내지 20도사이의 개폐영역은 크로스영역이고, 20도 내지 165도사이의 개폐영역은 오픈영역이다. 누름버턴(13)의 오프시 수동에 의한 가동측 틀체(3)의 개폐조작시에 있어서는, 가동측 틀체(3)은 20도의 폐쇄각도까지는 폐쇄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방되며, 3030도 내지 150도까지는 동일한 토크이고, 150도 근처부터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시작하지만, 누름버턴(13)이 온인 때의 자동개폐조작시에 있어서는 0도 내지 140도사이는 수동조작의 경우보다 약간 낮은 동일한 토크이고, 140도에서 브레이크가 들기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개폐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부품수를 최대한 적게 한 구조로 간단하게 하여 저렴화시키고, 동시에 누름버턴의 가압조작이 가볍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축과, 그 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취부된 일단부에 캠부를 지니는 슬라이더 캠과, 그 슬라이더 캠 및 축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 캠의 캠부와 대향하는 측에 캠부를 설치하고 상기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인너 캠과, 그 인너 캠을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수용시키고 또, 캠부를 상기 슬라이더 캠의 캠부에 대향시켜 축에 취부된 아우터 캠과, 그 아우터 캠에 대해 비회전이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상기 인너 캠을 계지, 해리시키는 슬라이드키와, 그 슬라이드키의 일단부에 취부된 누름버턴과, 그 누름버턴 및/또는 슬라이드키와 상기 아우터 캠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1압축스프링보다 탄성력이 약한 제제2압축스프링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개폐장치.
  2. 회전정지부 플랜지부와 그 플랜지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변형축부와 그 변형축부의 동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원형축부와 그 원형축부의 단부에 설티된 원주홈과를 지니는 축과, 그 축의 변형축부를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설치한 변형삽입관통공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관통시킨 일단부에 캠부를 지니는 슬라이더 캠과, 그 슬라이더 캠 및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 캠의 제1캠부와 대향하는 측에 접촉하는 제2캠부와를 지니며, 그 축의 원형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인너 캠과, 그 인너 캠을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수용시키고 또, 제3캠부를 상기 슬라이더 캠의 제2캠부와 대향하는 측에 접촉하여 설치된 아우터 캠과, 그 아우터 캠에 대해 비회전이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상기 인너 캠을 계지, 해리시키는 슬라이드키와, 그 슬라이드키의 일단부에 취부된 누름버턴과, 그 누름버턴 및/또는 슬라이드키와 상기 아우터 캠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1압축스프링보다 탄성력이 약한 제제2압축스프링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캠의 캠부는 돌출형상 경사캠부로 하고, 상기 인너 캠과 아우터 캠의 캠부는 각각 대략 동일 형상의 홈형상 경사캠부로 함과 동시에 이들 홈형상 경사캠부은 서로 반경방향으로 중첩시켜 상기 돌출형상 경사캠부과 대향시키고, 인너 캠의 홈형상 경사캠부의 입구부분을 아우터 캠의 홈형상 경사캠부의 입구부분보다도 약간 높게 하여 그 인너 캠의 상기 홈형상 경사캠부의 입구에서 상기 돌출형상 경사캠부의 꼭대기부를 항상 계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개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키의 일측부에 선단에 계지부를 지니는 계지 다리부를 설치하고, 그 계지부를 상기 아우터 캠의 내부에 설치한 키홈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계지부를 인너 캠의 외주에 설치한 플랜지부에 설치한 계지홈으로 출입시킴으로써 상기 인너 캠이 아우터 캠에 구속되거나 해리되거나 하는 상태를 창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소형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키의 계지부에는 면취부를 설치하고, 그 면취부에 의해 계지부가 인너 캠의 계지홈에 삽입되는 때에 그 인너 캠을 회전시켜 원 위치에 복귀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개폐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이 가동측 틀체의 취부부에 설치한 취부공에 계지,고정되고, 상기 아우터 캠이 고정측 틀체의 취부부에 설치한 취부공에 계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개폐장치.
KR10-2001-0001126A 2000-01-21 2001-01-09 소형 개폐장치 KR100399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3535A JP3509681B2 (ja) 2000-01-21 2000-01-21 小型開閉装置
JP2000-13535 2000-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301A true KR20010086301A (ko) 2001-09-10
KR100399547B1 KR100399547B1 (ko) 2003-09-26

Family

ID=1854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126A KR100399547B1 (ko) 2000-01-21 2001-01-09 소형 개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58111B2 (ko)
JP (1) JP3509681B2 (ko)
KR (1) KR100399547B1 (ko)
CN (1) CN1168277C (ko)
TW (1) TW49512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93Y1 (ko) * 2001-01-17 2001-06-15 포스텍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TWI241822B (en) 2001-03-22 2005-10-11 Nifco Inc Rotary actuator for hinge
JP4014814B2 (ja) 2001-03-30 2007-11-2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6768899B2 (en) * 2001-04-04 2004-07-27 Motorola, Inc.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007037B2 (ja) * 2001-11-16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03044380A1 (fr) * 2001-11-22 2003-05-30 Sugatsune Kogyo Co., Ltd. Charniere
JP3906702B2 (ja) 2002-02-12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205367B2 (ja) * 2002-05-22 2009-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4056320A (ja) * 2002-07-17 2004-02-19 Nippon Koki Co Ltd 携帯電子機器
KR100504801B1 (ko) * 2002-07-23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힌지 구조
TW566817U (en) * 2003-03-11 2003-12-1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and hinge assembly thereof
JP2004308872A (ja) * 2003-04-10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065834B2 (en) * 2003-06-09 2006-06-27 Southco, Inc. Bistable hinge with dampening mechanism
US7895710B2 (en) 2003-07-23 2011-03-01 Fujitsu Limited Hinge device
JP4105993B2 (ja) * 2003-07-23 2008-06-25 富士通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6985580B2 (en) * 2003-09-08 2006-01-10 Shin Zu Shing Co., Ltd. Auto-released hinge for a mobile phone
TWI230003B (en) * 2003-11-13 2005-03-21 Benq Corp Cellular phone and flip structure thereof
KR100619907B1 (ko) * 2004-10-08 2006-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토크 조절이 가능한 힌지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JP4594936B2 (ja) * 2005-02-15 2010-12-0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7650184B2 (en) * 2005-12-01 2010-01-19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Cylindrical multi-contact electrode lead for neural stimula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683868B1 (ko) * 2005-12-05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적용되는 안테나
JP5258097B2 (ja) * 2008-12-01 2013-08-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子機器
KR101934732B1 (ko) * 2009-07-31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20140226274A1 (en) * 2013-02-12 2014-08-14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s and methods for opening a computing device with a user cue
CN105229556A (zh) * 2013-06-28 2016-01-06 英特尔公司 铰链组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4305B2 (ja) * 1994-10-20 2007-10-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用電話器並びにその開閉装置
JPH08139793A (ja) * 1994-11-15 1996-05-31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用電話器の開閉装置
JPH1141328A (ja) * 1997-07-18 1999-02-12 Fujitsu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TW411069U (en) * 1997-10-08 2000-11-01 Kato Electric & Machinary Co Hinge device
US5937062A (en) * 1997-10-29 1999-08-10 Acer Peripherals, Inc. Hinge module for mounting a flip onto a portable telephone set
US6065187A (en) * 1998-05-14 2000-05-23 Motorola, Inc. Hinge assembly
US6195431B1 (en) * 1998-08-13 2001-02-27 Ericsson Inc. Rotational hinge damping mechanism
KR20010037149A (ko) * 1999-10-14 2001-05-07 박종섭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커버 열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277C (zh) 2004-09-22
US6658111B2 (en) 2003-12-02
CN1319978A (zh) 2001-10-31
TW495123U (en) 2002-07-11
US20010016474A1 (en) 2001-08-23
KR100399547B1 (ko) 2003-09-26
JP2001207721A (ja) 2001-08-03
JP3509681B2 (ja) 200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6301A (ko) 소형 개폐장치
KR100202531B1 (ko) 휴대용전화기의 개폐장치
KR100385433B1 (ko) 소형 힌지장치
US7627930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565718B2 (en) Automatic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3686845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00347110B1 (ko) 힌지장치
US7818845B2 (en) Automatically and manually activated open-and-close hinge device
US7100239B2 (en) Hinge assembly
US8006346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30083751A (ko) 로터리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힌지구조
US7027294B2 (en) Hinge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US20010036265A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s
US7150075B2 (en) Hinge for portable terminal
JPH11112630A (ja) ヒンジ装置
KR20030043712A (ko) 전자기기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JP2002089542A (ja) 小型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小型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用電話機
KR100374969B1 (ko) 휴대폰 힌지장치
KR200222454Y1 (ko) 휴대폰 힌지장치
JP4094932B2 (ja) 電子機器用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188531A (ja) プッシュオープンヒンジ装置
KR100699319B1 (ko) 전자기기용 힌지 및 그 힌지를 채용한 전자기기
JP4555203B2 (ja) ワンプッシュヒンジ装置
JP3813449B2 (ja) 電話装置
JP2003028135A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