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546A -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546A
KR20010085546A KR1020010009339A KR20010009339A KR20010085546A KR 20010085546 A KR20010085546 A KR 20010085546A KR 1020010009339 A KR1020010009339 A KR 1020010009339A KR 20010009339 A KR20010009339 A KR 20010009339A KR 20010085546 A KR20010085546 A KR 20010085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absorbent article
solvent
absorbent
absorben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누마노가즈키
쿠라타유리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8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5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8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chemical form
    • A61L2300/802Additives, excipients, e.g. cyclodextrins, fatty acids, surfact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에 소취제를 이용하여 소취 기능을 부여한 흡수성 물품이 있기는 하나, 통상은 사용전에 소취 기능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체액 투과성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와 상기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4)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팬티라이너)(1)을 제안한다. 표면 시트(2)와 흡수 코어(4) 사이에는 20℃에서 불휘발성의 액체 또는 반고체의 용제(8)가 설치되어 있다. 용제(8)에는 시클로덱스트린이 용해되어 있다. 용제(8)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콜, 1,3-부틸렌디올, 시트르산트리에틸(구연산트리에틸), 프탈산디에틸 등이다. 사용전에 시클로덱스트린의 소취 기능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사용시에는 신속하게 시클로덱스트린의 소취 기능이 발현된다.

Description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흡수성 물품{CYCLODEXTRIN-CONTAINING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취 기능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은 체내로부터 배출된 뇨·대변·땀·자궁에서 흘러나오는 점액·혈액·경혈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동시에,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흡수성 물품내에 상기 배설물을 보유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배설물의 냄새는 사용자나 배설물을 흡수한 흡수성 물품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불쾌한 것이다. 또한, 배설물을 흡수한 흡수성 물품을 계속해서 착용하는 경우, 고간(股間) 등에 상주하는 균이 배설물을 영양분으로 하여 번식하게 되므로 더욱 불쾌한 냄새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5-68694호에는 흡수체의 표면 또는 이면에 항균성 실리카겔 및 아크릴 수지를 도포 또는 함침시킨 흡수지를 배치한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항균제로서 항균성 실리카겔 및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균 증식에 따른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항균제가 갖는 탈취 기능에 의해 배설물의 냄새를 제거한다. 또한, 일본 PCT 출원 공개 공보 평성 제10-508218호에는 탈취제로서 벤토나이트 점토를 흡수 코어에 혼합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5-68694호 및 일본 PCT 출원 공개 공보 평성 제10-508218호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배설물을 흡수했을 때 실리카겔 또는 벤토나이트 점토 등의 탈취제가 배설물에 직접 침지된다. 다공질의 탈취제인 경우, 상기 배설물이 탈취제 표면을 덮으면 탈취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다. 즉, 소취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PCT 출원 공개 공보 평성 제8-508424호에는 탈취제로서 12 마이크론 이하의 입도를 갖는 미복합화된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팬티라이너가 기재되어 있다. 입도가 작은 시클로덱스트린이 주위에 존재하는 악취 물질을 포접하기 위해 소취 기능이 발현된다. 그러나, 사용전에 공기중의 수분에 의해 시클로덱스트린이 공기중의 화합물을 포접해 버린다. 따라서, 사용시에 포접할 수 있는 악취량이 적어지게 되어 소취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은 입도가 규정된 미분체로서,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탈락되기 쉽다. 또한, 중합체를 결합제로 이용하여 시클로덱스트린의 분체를 흡수성 물품으로 고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경우 흡수성 물품이 딱딱해져서 감촉이 손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수성 물품에 설치된 소취제의 기능이 사용전에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시에는 소취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취제로서 시클로덱스트린을 흡수성 물품에 고정시켜도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소재의 감촉을 손상시키지 않고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실시 형태로서 팬티라이너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소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팬티라이너
2 : 표면 시트
3 : 이면 시트
4 : 흡수 코어
8 : 용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 투과성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20℃에서 불휘발성의 액체 또는 반고체의 용제에 시클로덱스트린을 용해시킨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소취 기능을 갖는 시클로덱스트린이 용해된 상태로 불휘발성의 용제에 의해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다. 사용전에 있어서는 시클로덱스트린이 불휘발성의 용제중에 존재하고, 공기중의 미량의 수분에 접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공기중의 악취 물질을 포접하지 않는다. 사용시에 배설물의 수분이 시클로덱스트린에 접하면 악취 물질을 포접한다. 따라서, 시클로덱스트린이 갖는 탈취 기능을 사용전에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은 상온에서는 휘발하지 않는 액체 또는 반고체의 용제에 의해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므로, 용제에 의해 소재의 유연함이나 감촉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미포접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제는 비점이 40℃ 이상의 디올 또는 에스테르계 유기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디올류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화합물이고, 상기 에스테르계 유기용제는 시트르산트리에틸 및 프탈산디에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부분적으로 메틸화 및/또는 아세틸화된 α-, β- 및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이다.
상기 용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규조토, 수용성 항균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악취 억제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용제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코어와의 사이에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코어의 적어도 한쪽에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실시 형태로서 팬티라이너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티라이너(1)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체액을 수용하는 쪽인 체액 투과성 표면 시트(2), 속옷쪽에 위치하며 체액을 차단할 수 있는 이면 시트(3), 및 상기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체액 흡수층)(4)의 3층 구조를 갖는다.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는 흡수 코어(4)의 주위에서 고온 용융형 접착제 등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 코어(4)의 표면 시트(2)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시클로덱스트린이 함유된 용제(8)가 물방울 모양으로 도포되어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은 기본적으로 고리형의, 외측이 친수성이고 내측이 소수성인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수분의 존재에 의해 고리의 내측에 분자를 포접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클로덱스트린은 악취 물질을 포접하기 쉽도록 미포접 상태(미복합화: 고리내에 아무것도 포접하지 않는 상태)의 시클로덱스트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향료 등을 포접한 시클로덱스트린을 소량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은 주성분이 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학적으로 수식(메틸화, 아세틸화)된 α-, β- 및/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이다.
시클로덱스트린은 용제(8)중에 분산되어 용해된 상태로 존재한다. 용제는 상온(20℃)에서 휘발하지 않는 액체 또는 반고체의 것이다. 시클로덱스트린은 상온에서 휘발하지 않는 액체 또는 반고체중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통상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이 시클로덱스트린에 접촉하는 일은 거의 없고, 팬티라이너(1)를 사용하기 전에 시클로덱스트린이 공기중의 화합물을 포접하는 일도 없다. 또한, 사용시에 팬티라이너(1)가 배설액을 흡수하면, 그 수분이 용제를 통해 시클로덱스트린과 접촉한다. 그 결과, 시클로덱스트린이 배설물의 악취 물질을 포접하여 소취 기능이 발현된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을 팬티라이너(1)에 고정하는 용제(8)는 액체 또는 반고체이므로, 팬티라이너(1)에 설치되더라도 흡수성 물품을 딱딱하게 하여 감촉을 손상시키는 일도 없다. 또, 상온에서 휘발하는 용제에 시클로덱스트린을 용해하여 팬티라이너에 시클로덱스트린을 고정시키면, 팬티라이너의 보관중에 용제가 휘발되어 버리고, 시클로덱스트린이 고체가 되어 석출하게 된다. 결과, 팬티라이너가 딱딱해져서 감촉이 손상되게 된다. 또한, 상온에서 고체가 되는 용제를 이용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용제(8)는 피부 자극성이 적고 인체에 악영향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장품에 첨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비점이 40℃ 이상인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디올 등의 디올류나 시트르산트리에틸, 프탈산디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유기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제(8)중에 함유되는 시클로덱스트린의 함유량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80 질량%, 바람직하게는 20∼60 질량%이다. 단, 시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용제(8)의 점도가 커지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 있어서 도포가 곤란해진다.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용제(8)를 흡수 코어(4)에 도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슬롯 커터, 롤 커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거나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용제(8)는 흡수 코어(4)의 전면에 빈틈없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배설액을 흡수할 때에 배설액이 흡수 코어(4)로 이행하기 어렵게 되므로, 용제(8)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방울 모양(도트형)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제(8)는 스트라이프형이나 나선형(소용돌이형)으로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또,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용제(8)는 흡수 코어(4)상에 도포되어 있지만, 표면 시트(2)의 흡수 코어(4)측에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용제(8)는 흡수 코어(4)의 표면 시트(2)측의 전면에 걸쳐 설치되지만, 배설액이 주로 흡수되는 팬티라이너(1)의 X 방향 및 Y 방향의 중앙부에만 설치되어도 좋다.
기타, 용제(8)에는 시클로덱스트린 외에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규조토, 수용성 항균 화합물, 이들의 혼합물 등의 악취 억제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활성탄은 알칼리 첨착(添着), 산성 첨착 등의 첨착 활성탄이어도 좋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x/nM·nAlO2·ySiO2·zH2O로서 표시된다. 단, x, y는 정수이며, M은 양이온이고, n은 양이온상의 전하이다. M은 광범위한 양이온, 예컨대 Na+, K+, NH4 +, 알킬암모늄, 중금속 등이다. 또한, 벤토나이트는 천연 광물로서, 칼슘벤토나이트, 나트륨벤토나이트를 가리킨다. 단, 이들 악취 억제제는 시클로덱스트린의 소취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티라이너(1)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2)는 경혈, 뇨, 땀 등 액상의 배설물을 투과하는 체액 투과성 시트로 형성된다. 예컨대, 천연섬유 및/또는 합성섬유로 형성된 스펀레이스 부직포, 열 본딩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등에 개공(開孔) 처리한 것, 또는 개공 처리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시트이다.
이면 시트(3)는 체액 불투과성이면서 통기성이고, 예컨대 폴리올레핀계의 수지 시트 등으로 형성된다. 또는, 이면 시트로서 부직포를 이용하고, 이면 시트와 흡수 코어 사이에 방수성 필름을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기타 흡수성 물품 위에 중첩되어 사용되는 경우는 체액 투과성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4)는 흡수성 소재, 예컨대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 등으로 형성되고,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중합체와의 혼합물이 티슈 등의 흡수성 시트로 둘러싸인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팬티라이너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생리대, 개방형 기저귀, 예비 팬츠형으로 성형된 기저귀, 요 수거 패드, 나아가서는 의료용 또는 위생용 흡수 패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후에 화장실에 흘려버릴 수 있는 수용해성 흡수성 물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기저귀나 요 수거 패드 등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의 경우, 흡수 코어(4)중에 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 용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이 경우, 표면 시트(2)의 표면상에 용제(8)가 드러나지 않고, 착용자의 피부에 용제(8)가 부착되는 일도 없다. 기타, 용제(8)는 흡수 코어(4)의 이면 시트(3)측의 표면, 이면 시트(3)의 흡수 코어(4)측의 표면 및 흡수 코어(4)가 존재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의 주연부(周緣部)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티라이너를 형성하였다. 시클로덱스트린으로서, 메틸화-β-시클로덱스트린(워커케미컬사에서 제조한 상품명)을 이용하여 용제(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시트르산트리에틸)중 함량이 50 wt%가 되도록 용해·분산시켰다. 얻어진 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 용제 0.04 g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팬티라이너의 표면 시트상에 적가하였다. 얻어진 팬티라이너에 대해서 소취 기능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경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팬티라이너를 40℃에서 1, 2, 3 또는 4주간 보관한 후의 팬티라이너의 소취 기능에 대해서도 측정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시클로덱스트린을 일체 첨가하지 않은 팬티라이너와, 용제대신에 증류수중에 시클로덱스트린을 용해시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팬티라이너를 준비하였다. 비교예에 대해서도,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소취 기능을 측정하였다.
소취 기능 측정 방법
악취 물질로서 아세트산을 이용하였다. 팬티라이너의 용제를 가한 부분에 10% 아세트산 수용액 5 ml를 적가하였다. 그 후, 팬티라이너를 300 m커에 넣어, 40℃ 10분으로 가열한 후, 비이커내의 공기중의 잔류 악취 농도(아세트산량)를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소취율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소취율=((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미시간 경과 후 잔존 악취 농도)-(실시예의 잔존 악취 농도))÷(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미시간 경과 후 잔존 악취 농도)
결과를 도 3의 그래프에 도시한다. 그래프에서, '라이너만의 경우'는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이다. CD+H2O인 것은 시클로덱스트린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팬티라이너에 첨가한 비교예이다. 또한, PG는 프로필렌글리콜, 1,3-BG는 1,3-부틸렌디올, DPG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시트르산은 시트르산트리에틸을 용제로서 사용한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된 결과로부터,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는 소취 기능이 높다. 또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그것이 현저히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디올계 유기용제나 에스테르계 유기용제를 사용함으로써 「메틸화-β-시클로덱스트린」의 소취 기능을 높게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실시예의 팬티라이너에 있어서는, 시클로덱스트린을 증류수에 용해한 상태로 첨가한 비교예에 비하여 표면이 매끄럽고, 감촉이 우수하였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시클로덱스트린의 소취 기능이 흡수성 물품의 사용전에 저하되지 않고, 사용시에는 높은 소취 기능이 발현된다.
또한, 액체 또는 반고체의 용제에 의해 시클로덱스트린이 고정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감촉이 손상되지 않는다.

Claims (7)

  1. 체액 투과성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상기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20℃에서 불휘발성인 액체 또는 반고체의 용제에 시클로덱스트린을 용해시킨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미포접(未抱接)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비점이 40℃ 이상인 디올류 또는 에스테르계 유기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류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고, 상기 에스테르계 유기용제는 시트르산트리에틸 및 프탈산디에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덱스트린은 부분적으로 메틸화 및/또는 아세틸화된 α-, β- 및 또는 γ- 시클로덱스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규조토, 수용성 항균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악취 억제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코어 사이에 있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코어의 적어도 한쪽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10009339A 2000-02-23 2001-02-23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흡수성 물품 KR20010085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5656 2000-02-23
JP2000045656A JP4209062B2 (ja) 2000-02-23 2000-02-23 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有した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546A true KR20010085546A (ko) 2001-09-07

Family

ID=1856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339A KR20010085546A (ko) 2000-02-23 2001-02-23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4209062B2 (ko)
KR (1) KR20010085546A (ko)
CN (1) CN1189219C (ko)
ID (1) ID29321A (ko)
MY (1) MY136281A (ko)
SG (1) SG96602A1 (ko)
TW (1) TW4748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7369B2 (ja) * 2001-03-02 2013-12-04 花王株式会社 介護臭用消臭剤
JP2004261230A (ja) 2003-02-18 2004-09-24 Uni Charm Corp 水洗可能な陰唇間パッド
US6861520B1 (en) 2003-04-30 2005-03-01 Dan River, Inc. Process for chemically bonding an odor-encapsulating agent to textiles and textiles formed by the process
US20050113771A1 (en) * 2003-11-26 2005-05-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dor control in personal care products
JP4818612B2 (ja) * 2005-01-11 2011-1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CA2624278A1 (en) * 2005-12-09 2007-06-14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EP2468308A1 (en) * 2010-12-21 2012-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releasable odor control
JP5769896B1 (ja) * 2014-10-10 2015-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28123B1 (ja) 2014-11-19 2015-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6359427B2 (ja) * 2014-11-19 2018-07-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6685400B2 (ja) 2015-12-10 2020-04-2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臭気制御組成物を含む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3091B2 (en) * 1993-03-31 1998-06-25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articles for odor control with positive scent signal
WO1998026808A2 (en) * 1996-12-17 1998-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odor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36281A (en) 2008-09-30
CN1189219C (zh) 2005-02-16
ID29321A (id) 2001-08-23
SG96602A1 (en) 2003-06-16
TW474804B (en) 2002-02-01
CN1314188A (zh) 2001-09-26
JP2001231816A (ja) 2001-08-28
JP4209062B2 (ja)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3581B2 (ja) 吸収性物品
KR101187484B1 (ko) 향상된 냄새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CA2763180C (e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n odour control system
NL192605C (nl) Absorberend voorwerp voor het opvangen van urine.
JP2013513445A (ja) 酸触媒を有する悪臭抑制組成物を含む吸収性物品
US10653811B2 (en) Articles with odor-controlling composition
JP3748021B2 (ja) 吸収性物品
BRPI0618779B1 (pt) artigos absorventes compreendendo um superabsorvente ácido e um sal orgânico de zinco
KR20130087581A (ko) 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JP4209062B2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有した吸収性物品
CA2297802A1 (en) Cyclodextrin-containing odour control material
EP3256088B1 (en) Articles with odor-controlling composition
JP2016532486A (ja) 悪臭低減組成物を含む物品
CA2225697A1 (en) Odor control device
JP2001149405A (ja) 吸収物品における臭気防除
WO2007067110A1 (en) A pair of disposable pants
KR200196072Y1 (ko) 탈취방향 생리대
KR0163506B1 (ko) 유컬립터스 오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
JP2000201973A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02331022A (ja) 尿臭低減方法及び尿臭低減機能を有する物品
MXPA00012315A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n essential oil
JPH067398A (ja) 消臭・防菌紙おむつ及び生理用ナプ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